KR20100119359A - 소파블록 - Google Patents

소파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359A
KR20100119359A KR1020090038441A KR20090038441A KR20100119359A KR 20100119359 A KR20100119359 A KR 20100119359A KR 1020090038441 A KR1020090038441 A KR 1020090038441A KR 20090038441 A KR20090038441 A KR 20090038441A KR 20100119359 A KR20100119359 A KR 20100119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weight
strength
basal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427B1 (ko
Inventor
고희봉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고희봉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희봉, 김정환 filed Critical 고희봉
Priority to KR102009003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42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21K2/06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파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더불어, 야간에 방파제의 전경이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재질적으로 파쇄된 현무암골재 및 송이석골재를 습윤상태로 적정 배합비에 의해 배합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물-시멘트비의 차이를 보정하여 강도를 일정하게 하며, 재료적인 성질에 의해 투수성, 흡음성, 자연색채를 띄면서도 적정 배합비에 의해 강도가 우수한 다공성의 재질로 구성된 소파 블럭에 관한 것이다.
소피블럭,방파제,나사공,미끄럼방지돌기,야광물질, 현무암골재, 송이석골재

Description

소파블록{tetrapod}
본 발명은 소파(消波)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구조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더불어, 야간에 방파제의 전경이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재질적으로 파쇄된 현무암골재 및 송이석골재를 습윤상태로 적정 배합비에 의해 배합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물-시멘트비의 차이를 보정하여 강도를 일정하게 하며, 재료적인 성질에 의해 투수성, 흡읍성, 자연색채를 띄면서도 적정 배합비에 의해 강도가 우수한 다공성의 재질로 구성된 소파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블럭(tetrapod)은 방파제의 유실과 월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파도의 힘을 소멸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이때, 소파블럭은 주로 방파제에서 지속적으로 파도의 영향을 받는 부분에 설치되며, 방파제 구성 요소인 물밑에 배치된 기초 돌과 방파제 블럭을 보호한다.
상기 소파 블럭은 작은 것의 경우, 무게가 5톤에 이르며 큰 것의 경우에는 100톤에 이른다.
또한, 상기 소파블럭의 형태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어지며, 사방으로 돌출된 4개의 뿔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소파블럭은 방파제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이 복수의 소파블럭이 설치된 방파제는 본연의 기능 외에도 사람들이 휴식 및 나들이처로 많이 찾는 것이 사실이다.
단순한 나들이의 경우에서부터,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까지 많은 사람들이 휴식을 위해 찾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소파블럭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바닷물에 노출이 불가피한 소파블럭의 외면은 수막 등의 여러원인으로 인해 마찰력이 떨어져 미끄러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소파블럭에 올라서서 낚시하는 사람 및 바다를 가까이에서 보려하는 휴식객들의 실족 사고가 우려될 수 있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또한, 천편일률적으로 형성된 소파블럭의 외형은 휴식 및 볼거리를 찾는 이들에게 큰 감흥을 주지 못하는게 사실이다.
특히, 여름의 경우에는, 휴식을 위해 밤에도 방파제를 찾는 사람들이 많은 바, 낮에 비해 밤에 보이는 소파블럭의 외형은 흉물스러워 보일수 있다.
이에 따라, 낭만적인 밤바다의 풍경외에도 이와 어우러질 수 있는 소파블럭의 심미감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 및 재질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하는 소파 블럭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몸체와, 이 몸체로부터 여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소파 블럭(tetrapod)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다리에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에는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나사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는 나사공에 나사체결된 나사부와, 이 나사부가 매입된 네크부와, 이 네크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네크부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에는 야광물질이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 및 다리 중, 나사공에 근접한 부위에는 상기 나사공에 연통된 배수공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재질적으로, 상기 몸체와 다리는 물, 시멘트, 골재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되, 그 조성물의 배합비는 물-시멘트비 20%, 습윤상태의 현무암골재 60 ~ 70중량%, 습윤상태의 송이석골재 8중량%이하(0중량%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습윤상태의 현무암골재는 70중량%로 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습윤상태의 송이석골재는 7중량%로 배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럭에 의하면 구조적 및 재질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구조적으로 몸체 및 다리에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설치됨으로써, 미끄럼으로 인한 실족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헤드부에 야광물질이 도포됨으로써, 밤에 소파블럭의 미려함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재질적으로 몸체와 다리를 현무암골재 및 송이석골재를 배합함에 있어서, 공극율에 의해 투수성이 우수하면서도 강도면에서도 우수하고, 상기 현무암골재 및 송이석골재를 습윤상태에서 배합하도록 함에 의해 시간 차에 따른 물-시멘트비의 변동을 방지하여 일정한 강도가 계속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공성의 외관이 형성됨에 의해 재질적으로 미끄럼으로 인한 실족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럭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소파블럭은 몸체(100)와, 다리(200)와, 미끄럼방지돌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소파블럭의 중심이 되는 부위이며, 몸체(100)의 사방으로 다리(200)가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이때, 몸체(100)의 재질은 물, 시멘트, 골재의 조성물로 구성하되 상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또한, 몸체(100)에는 나사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공(110)은 몸체(10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파이며, 그의 내부에는 나사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00) 중, 나사공(110)에 근접한 부위에는 배수공(120)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공(120)은 나사공(110)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관로이며, 나사공(11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나사공(110)에 미끄럼방지 돌기(300)가 체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나사공(110)에 바닷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다리(200)는 몸체(100)로부터 여러방향으로 돌출되어 파도의 힘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다리(200)의 개수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적인 것을 감안할 때, 몸체(100)로부터 4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리(200)에도 복수의 나사공(110)이 형성된다.
이때, 각 나사공(110)의 주위에도 그 나사공(110)에 연통되는 배수공(120)이 형성된다.
즉, 나사공(110)과 배수공(120)은 한 세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미끄럼방지돌기(300)는 몸체(100) 및 다리(200)에 설치되어 소파블럭의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300)는 복수로 제공된다.
이때, 미끄럼방지돌기(300)의 개수는 반드시 나사공(110)의 개수에 대응되지는 않는다.
즉, 제조비용 및 효율성을 감안할 때, 소파블럭 중,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소파블럭의 노출된 부위라 하더라도, 미끄럼방지돌기(30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끄럼방지돌기(300)는 몸체(100) 및 다리(200)에 설치되어 소파블럭 표면 상에서의 마찰계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때, 미끄럼방지돌기(300)는 몸체(100) 및 다리(200)의 나사공(11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300)는 나사부(310)와, 네크부(320)와, 헤드부(330)로 구성된다.
나사부(310)는 상기 나사공(110)에 나사체결되는 부위이며, 나사공(110)의 깊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네크부(320)는 나사공(110)이 매입된 부위이며, 몸체(100) 및 다리(2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거리를 제공한다.
즉, 네크부(320)의 길이에 따라, 몸체(100) 또는 다리(200)와 헤드부(330) 간에 이격거리가 정해지는 것이다.
물론, 네크부(320) 없이 나사부(310)가 헤드부(330)에 직접 매입되거나 고정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나사부(310)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강성이 약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크부(320)의 형태는 나사부(310)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헤드부(330)는 몸체(100) 및 다리(200)로부터 돌출된 노출 부위이며, 네크부(32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330)의 형태는 네크부(320)의 형태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헤드부(330)의 직경은 네크부(32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330)에는 야광물질이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밤에 방파제를 찾는 휴식객들을 위해 소파블럭의 외관이 미려하게 보이도록 한 것이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30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마찰계수를 높일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몸체(100)와, 다리(200)는 다공성을 갖도록 하여 재질자체로서 미끄럼이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일반적인 콘크리트 조성물 즉, 시멘트, 골재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골재로 현무암 골재 및 송이석 골재가 사용되어 강도를 유지하면서 흡수율과 흡음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0) 및 다리(200)를 시공하는 단계를 설명하면, 우선 현무암 및 송이석을 파쇄하여 골재형성 단계를 갖는다.
우선 본 단계에서는 재료를 선정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바, 시멘트는 KSL 5201, 5204, 5210, 5211 규격에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것으로 선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특히 현무암과 송이석은 산업현장에서 생산되는 산업폐기물로 크기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파쇄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파쇄공정을 거친 현무암 골재 및 송이석 골재는 8, 13, 19, 25mm로 그 입자 크기를 세분화 하여 분류하며, 이렇게 세분화 하는 것은 각각의 골재를 고루게 배합함으로써 완성된 제품이 미관상 현무암 재질에 가까운 미관을 형성하는 하는 것이며, 8mm미만인 경우는 공극 형성면에서 다공질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적합하지 않고 25mm를 초과하는 경우는 강도면에서 불리하게 되는 바, 골재의 크기는 8 ~ 25mm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골재는 편석이나, 얇고 긴 골재는 제외시킴이 타당하고 분류방법은 KSF 2526, 2527에 따라 분류한다.
그 다음으로 현무암 및 송이석 골재를 습윤상태로 만드는 단계를 갖는다. 본 단계에서는 현무암 및 송이석 골재를 습윤상태로 만드는 바, 이는 골재가 계절과 시간 등 다양한 함수에 의하여 골재의 함수상태가 변동하므로 골재를 표면건조상태보다 습윤상태(Wet condition)로 하여 물-시멘트비를 책정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골재를 습윤 상태로 유지 하는 것은 다공성의 재질을 최대한 살리기 위한 대비책이라 할 수 있는 바, 그 이유는 작업 환경 상태에 따라 골재의 함수율이 달라 질 수 가 있음을 고려하는 것인데 온난화의 영향으로 기후가 건조한 기후보다는 습한 기후가 많고 이로 인해 골재를 보관하고 있을 시 내부에 적층된 골재와 외부에 적층된 골재의 함수율이 달라 시간에 따라 물-시멘트비가 달라져서 콘크리트의 강도가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이렇게 시간에 따라 배합된 콘크리트 간에 강도가 다름으로 인해 구조물 전체에 내구성 저하 등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현무암 골재 및 송이석 골재를 습윤상태가 충분히 유지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시간에 따라 물-시멘트비가 상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골재호퍼에는 항상 물이 가득 차게 하여 현무암 골재 및 송이석 골재를 습윤상태가 충분히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렇게 현무암 골재 및 송이석 골재를 습윤상태가 충분히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현무암 및 송이석 자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공극 사이에 이물질이 잔존하여 시멘트와의 부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부착력이 감소는 결국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는 바, 현무암 골재 및 송이석 골재를 습윤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공극으로부터 이물질이 부유 등에 의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재료를 배합하는 단계를 갖는데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물-시멘트비를 20%로 하고, 현무암골재를 60 ~ 70중량%로, 송이석골재를 8중량%이하(0중량%초과)로 하여 배합하는 단계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배합비를 물-시멘트비를 20%로 하는 것은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을 제조함에 있어 경험적으로 취득한 것으로 물-시멘트비를 20%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떨어져 골재 사이에 모르타르(시멘트와 물)가 충분히 충진 되지 못하여 강도 등에 문제가 생김을 알 수 있었으며,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골재와의 부착력의 감소로 강도, 재료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물-시멘트비를 20%로 하여 배합비를 결정한다. 또한, 현무암골재를 60 ~ 70중량%로, 송이석골재를 8중량%이하(0중량%초과)로 하여 배합하는 바, 현무암골재를 60중량%미만,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하 실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도가 떨어지며, 현무암골재를 60중량%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연 현무암 외관(색채)을 띄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송이석 골재를 8중량%초과하는 경우에도 이하 실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도가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현무암골재는 70중량%로 배합됨이 강도면에서 타당하고, 상기 송이석골재는 7중량%로 배합됨이 강도면에서 타당하며, 현무암골재 및 송이석골재를 강도를 만족하는 한도에서 배합비를 높임으로써 투수성, 흡음율, 색채 등의 면에서 유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최적의 배합비로 계량된 재료(골재, 물, 시멘트)의 혼합을 하게 되는데 혼합은 믹서기 종류에 따라 다른 바, 팬 믹서는 재료가 투입이 된 후 60초가 적 당하며, 로타리 믹서는 재료가 투입이 된 후 90초가 적당하고, 혼합은 강제로 투입하되 먼저 현무암 골재와 송이석 골재를 혼합하고 시멘트를 다시 혼합 한 후에 물을 투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적의 배합비는 이하에서 제시하는 실험 예에 의해 그 효과가 증명된다.
<실험 예>
(가) 관련 설계기준 및 목표물성
설계기준강도 이상의 다공성 콘크리트 투수블럭 제조 시 목표 물성치를 설정하기 위한 관련 설계기준이 제시된다.
① 배합강도
구조물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기준강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콘크리트의 배합강도(fcr)를 설계기준강도(fck)보다 충분히 크게 정해야 한다. 설계기준강도의 목표를 210kgf/㎠으로 설정한다.
② 물계시멘트비
물계시멘트비는 콘크리트의 배합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균열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물??시멘트비를 정할 경우 압축강도와 물??시멘트비와의 관계는 시험에 의하여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때 공시체는 재령 28일을 표준으로 한다. 기준 재령의 시멘트??물비와 압축강도와의 관계식 에서 배합강도에 해당하는 시멘트-물비 값의 역수로 한다. 배합에 사용한 물-시멘트비는 물-시멘트비를 20%로 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을 제조함에 있어 경험적으로 취득한 것으로 물-시멘트비를 20%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떨어져 골재 사이에 모르타르(시멘트와 물)의 충분히 충진 되지 못하여 강도 등에 문제가 생김을 알 수 있었으며,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골재와의 부착력의 감소로 강도, 재료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물-시멘트비를 20%로 하여 배합비를 결정한다.
(나) 사용재료
실험에 사용한 재료의 성질은 표 1과 같다.
표 1 실험에 사용된 재료의 성질
시멘트 ?? 1종 보통포틀랜드시멘트
?? 비중: 3.15 ?? 분말도: 3,413 g/cm2
굵은골재 ?? 현무암쇄석 및 송이석쇄석, 비중: 1.71. 골재치수:8, 13, 19, 25mm
(다) 현무암 골재 배합비에 따른 강도실험(굳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실험)
본 실험의 주요 변수 중의 하나인 현무암골재의 배합비에 따른 강도실험으로 현무암골재 50중량%(H50), 현무암골재 60중량%(H60), 현무암골재 70중량%(H70), 현무암골재 80중량%(H80)에 대한 강도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때 현무암골재 비율에 따른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물-시멘트비는 20%가 되도록 배합을 하였다.
① 실험 계획
상기에서 언급한 배합을 기초로 총 4개의 배합에 대해 압축강도에 대한 실험 을 각각 수행하였는바, 거푸집 제거 시기 및 타설 후 강도에 대한 정확한 지표가 정해진 것이 아니기에 실험은 7일, 28일, 56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φ100ㅧ 200mm의 원주형 공시체를 제작하였으며, 항온항습실에서 24시간 양생한 후 몰드를 제거하여 20℃의 수조에서 실험 전까지 수중 양생을 실시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KS F 2405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 2 압축강도 실험 변수
구 분 W/C 28일 설계기준강도(kgf/㎠) 골재 혼합비율
H50 20 210 현무암골재 50중량%
H60 현무암골재 60중량%
H70 현무암골재 70중량%
H80 현무암골재 80중량%
② 실험 결과 및 분석
표 3 재령별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압축강도 값
Figure 112009026551518-PAT00001
구분 W/C 7 days ( kgf /㎠) 28days (kgf/㎠) 56days (kgf/㎠)
H50 20 160.3 180.2 187.7
H60 180.1 220.79 230.2
H70 181.2 228.78 234.2
H80 170.9 200.1 210.2
상기 실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계기준강도인 210kgf/㎠을 만족하는 시료는 H60 및 H70으로 현무암 골재의 배합비가 60중량% ~ 70중량%의 경우가 압축강도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현무암골재의 배합비가 80중량%의 경우는 오히려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현무암골재의 배합비가 70중량%의 경우에서 229.78kgf/㎠으로 압축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본 발명의 목적 이 다공성 재질의 소파블럭의 제조에 있는 바, 다공성의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현무암골재의 배합비를 강도기준을 만족하는 한 최대한으로 배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인 바, 최적의 현무암골재의 배합비는 70중량%인 것을 알 수 있다.
(라) 송이석 골재 배합비에 따른 강도실험(굳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실험)
본 실험은 상기 실험결과를 기초로 하여 물-시멘트비를 20%로 하고 현무암골재의 배합비를 70중량%(최적의 배합비)로 하여 다른 변수인 송이석골재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그 압축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송이석골재의 배합비를 1중량%(S1), 송이석골재 2중량%(S2), 송이석골재 3중량%(S3), 송이석골재 4중량%(S4), 송이석골재 5중량%(S5), 송이석골재 6중량%(S6), 송이석골재 7중량%(S7), 송이석골재 8중량%(S8), 송이석골재 9중량%(S9)에 대한 강도실험을 수행하였다.
① 실험 계획
상기에서 언급한 배합을 기초로 총 9개의 배합에 대해 압축강도에 대한 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는바, 거푸집 제거 시기 및 타설 후 강도에 대한 정확한 지표가 정해진 것이 아니기에 실험은 7일, 28일, 56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φ100ㅧ 200mm의 원주형 공시체를 제작하였으며, 항온항습실에서 24시간 양생한 후 몰드를 제거하여 20℃의 수조에서 실험 전까지 수중 양생을 실시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KS F 2405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 4 압축강도 실험 변수
구 분 W/C 28일 설계강도(kgf/㎠) 골재 혼합비율
S1 20 210 송이석골재 1중량%
S2 송이석골재 2중량%
S3 송이석골재 3중량%
S4 송이석골재 4중량%
S5 송이석골재 5중량%
S6 송이석골재 6중량%
S7 송이석골재 7중량%
S8 송이석골재 8중량%
S9 송이석골재 9중량%
② 실험 결과 및 분석
표 5 재령별 압축강도에 대한 그래프 및 압축강도 값
Figure 112009026551518-PAT00002
구분 W/C 7days (kgf/㎠) 28days (kgf/㎠) 56days (kgf/㎠)
S1 20 181.3 230.7 239.7
S2 184.2 230.9 240
S3 189.1 240 245.7
S4 190.2 244.78 250.2
S5 190.9 244.1 250.2
S6 192.8 246.5 254.1
S7 194.2 249.6 255.5
S8 194.1 242.6 253.5
S9 176.3 201.7 207.4
상기 실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이석 골재의 배합비를 늘려감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송이석골재의 배합비가 8중량%에서는 강도가 작 아지고 있으나, 설계기준강도인 210kgf/㎠는 만족하고 있고, 송이석골재의 배합비가 9중량%에서는 오히려 강도가 크게 감소할 뿐만 아니라 설계기준강도인 210kgf/㎠조차도 만족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송이석 골재의 배합비는 8중량%이하(0중량% 초과)의 경우는 강도조건을 만족함을 알 수 있으며, 송이석골재의 배합비가 7중량%에서 249.6kgf/㎠로 강도가 최대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는 바, 최적의 송이석 골재의 배합비는 7중량%임을 알 수 있다.
(라) 결론
상기 실험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다공성의 소파블럭 제조시 물- 시멘트비를 20%로 하고, 현무암골재를 60 ~ 70중량%로, 송이석 골재를 8중량%이하(0중량%초과)로 하여 배합하는 것이 현무암골재 및 송이석골재를 최대한 사용하여 투수성, 흡음성, 색채 등을 만족 시키면서 동시에 설계기준강도를 만족시킴을 알 수 있고, 강도면을 고려하여 최적의 배합비는 현무암골재 70중량%, 송이석골재 7중량%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합비에 의해 제조되는 소파블럭은 다공성의 특성상 표면에 공극이 발생하는 바, 이러한 공극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소파블럭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해 복수의 소파블럭을 방파제 외벽에 배치시킨다.
소파블럭의 배치가 완료되면, 몸체(100) 및 다리(200)에 형성된 나사공(110) 에 미끄럼방지돌기(300)를 나사공(110)에 체결시킨다.
이때, 미끄럼방지돌기(300)를 몸체(100) 및 다리(200) 상에 일률적으로 균일하게 체결시킬 필요는 없으며, 소파블럭이 배치된 전체적인 미관을 고려하여 체결시킨다.
즉, 복수의 미끄럼방지돌기(300)가 모여, 그 지역을 홍보하는 문구 및 여러 문양 등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미끄럼방지돌기(300)가 체결되지 않은 나사공(110)에는 바닷물이 투입될 수 있다.
하지만, 나사공(110)에 근접하게 형성된 배수공(120)을 통해 바닷물이 배수되기 때문에, 나사공(110)에 바닷물이 수용되지는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돌기(300)는 몸체(100) 및 다리(200)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미끄럼방지돌기(300)의 배치를 달리하여 여러 형태 및 다양한 문구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럭은 구조적으로 미끄럼방지돌기(300)가 설치되고 재질적으로 다공성의 재질로 구성되어 사람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소파블럭의 외관이 미려하게 보일수 있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사람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럭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럭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다리 110 : 나사공
120 : 배수공 200 : 다리
300 : 미끄럼방지돌기 310 : 나사부
320 : 네크부 330 : 헤드부

Claims (7)

  1. 몸체와, 이 몸체로부터 여러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소파 블럭(tetrapod)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다리에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에는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나사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는 나사공에 나사체결된 나사부와, 이 나사부가 매입된 네크부와, 이 네크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네크부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야광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다리 중, 나사공에 근접한 부위에는 상기 나사공에 연통된 배 수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다리는 물, 시멘트, 골재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되, 그 조성물의 배합비는 물-시멘트비 20%, 습윤상태의 현무암골재 60 ~ 70중량%, 습윤상태의 송이석골재 8중량%이하(0중량%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상태의 현무암골재는 70중량%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상태의 송이석골재는 7중량%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KR1020090038441A 2009-04-30 2009-04-30 소파블록 KR10112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441A KR101120427B1 (ko) 2009-04-30 2009-04-30 소파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441A KR101120427B1 (ko) 2009-04-30 2009-04-30 소파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359A true KR20100119359A (ko) 2010-11-09
KR101120427B1 KR101120427B1 (ko) 2012-06-12

Family

ID=4340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441A KR101120427B1 (ko) 2009-04-30 2009-04-30 소파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4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992B1 (ko) * 2011-12-09 2012-03-20 이기용 하이브리드 테트라 포드
KR20190068139A (ko) * 2017-12-08 2019-06-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테트라포드 부착등
KR20210013905A (ko) * 2019-07-29 2021-02-08 김성건 폐슬레이트를 이용한 백화 현상 방지용 슬레이트 송이석의 제조방법
KR102317331B1 (ko) * 2020-06-18 2021-10-25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KR102437020B1 (ko) 2022-01-21 2022-08-29 주식회사 양지 파랑유도가 가능한 소파블록 및 거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012B1 (ko) 2019-01-23 2019-08-06 이자윤 안전 테트라포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2494A (ko) * 1987-04-07 1988-11-28 고세진 신더콘(제주산송이)을 주재로한 경량골재 제조방법
KR900006950B1 (ko) * 1987-10-23 1990-09-25 대림산업 주식회사 호안 방파제의 개량 테트라포드(tetrapod)
KR200234128Y1 (ko) 2001-02-27 2001-09-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개량형 테트라포드
KR100614086B1 (ko) * 2006-05-03 2006-08-22 주식회사 세일종합기술공사 메인몸체를 가지는 방파제의 캡콘크리트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992B1 (ko) * 2011-12-09 2012-03-20 이기용 하이브리드 테트라 포드
KR20190068139A (ko) * 2017-12-08 2019-06-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테트라포드 부착등
KR20210013905A (ko) * 2019-07-29 2021-02-08 김성건 폐슬레이트를 이용한 백화 현상 방지용 슬레이트 송이석의 제조방법
KR102317331B1 (ko) * 2020-06-18 2021-10-25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KR102437020B1 (ko) 2022-01-21 2022-08-29 주식회사 양지 파랑유도가 가능한 소파블록 및 거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427B1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427B1 (ko) 소파블록
Yang Freezing-and-thawing durability of pervious concrete under simulated field conditions
WO2006099262A3 (en) Dry tinted cement mixture
WO2019216851A2 (en) Cement-based light precast mortar with expanded perlite aggregate
KR100919493B1 (ko) 수성발수제로 피복된 순환골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조성물
US20220178159A1 (en) Method for providing artificial basins, swimming pools and the like
DE102010005361A1 (de) Mineralischer Formkörper, Verwe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mineralischen Formkörpers
KR101559570B1 (ko) 친환경 다공성 식생콘크리트 블록
KR101284883B1 (ko) 인장보강재가 내장된 마사토 흙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091651A (ja) 竹繊維を混入したセメントモルタル
JP2006161335A (ja) 舗装用ブロック
KR100804204B1 (ko) 황토골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90228B1 (ko) 투수 세라믹 블럭
KR20120026688A (ko) 다공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발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4263385B2 (ja) 廃コンクリート材を再生した成形コンクリート舗装材
JP2011016689A (ja) インターロッキング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41402A (ja) 中空PCa部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柱材
JPH10194818A (ja) 高強度透水性コンクリートの製法
KR100781368B1 (ko) 황토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200383809Y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제품
KR20060010416A (ko) 황토 아스라인 건축용 내외장재 제조방법
WO2012011795A2 (es) Composición de aditivo para la fabricación de concretos de alta resistencia para prefabricados así como para concretos permeables y concretos resultantes
CN204299026U (zh) 自保温砌块
KR100763654B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과 그 바닥판 제품
KR100466281B1 (ko) 신개념 투수 콘크리트와 투수 판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