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928A -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과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과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928A
KR20100117928A KR1020090036655A KR20090036655A KR20100117928A KR 20100117928 A KR20100117928 A KR 20100117928A KR 1020090036655 A KR1020090036655 A KR 1020090036655A KR 20090036655 A KR20090036655 A KR 20090036655A KR 20100117928 A KR20100117928 A KR 2010011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game
user
cli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090036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7928A/ko
Publication of KR2010011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게임을 위한 각종 게임 명령어나 채팅용 텍스트 문장에 대응하여 사용자 음성을 지정해 놓고,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게임 명령어나 채팅용 텍스트 문장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단축키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게임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음성으로 텍스트 문장을 입력할 수 있어 빠르게 이루어지는 문자 채팅 상황에서도 다양한 표현을 쓸 수 있게 된다.
게임, 채팅, 단축키, 음성, 문장

Description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과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Method of Setting and Inputting Voice Hotkey for Computer Game, and Method for Chatting Message Processing }
본 발명은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과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그리고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각종 게임 명령어의 입력이나 채팅용 텍스트 문장의 입력을 간단한 음성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게임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게임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는데, 게임 명령어의 입력은 일반적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각 게임 명령어에는 단축키가 설정될 수 있으며, 각 단축키는 어느 하나의 키 또는 여러 키의 조합(예: SHIFT+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축키의 종류는 게임이 복잡해짐에 따라 계속 늘어나고 있다.
게임 명령어 입력을 위한 단축키의 종류가 늘어나면 게임 사용자들에게 부담을 주며, 게임을 진행하는 도중에는 그 진행 상황에 맞추어 여러 단축키를 신속하게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단축키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게임이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문자 채팅 서비스에 있어서도 키보드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다양한 메시지를 입력하기 어려워 상대방과의 채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러므로, 컴퓨터 게임이나 문자 채팅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게임 명령어나 채팅 문장을 보다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게임 명령어나 채팅용 텍스트 문장 등을 음성 단축키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과 입력 방법, 그리고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은,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통신망을 통해 게임 서버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게임 명령어의 종류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음성 단축키)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음성 단축키와 상기 선택된 게임 명령어의 대응 관계를 음성 단축키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음성 단축키의 지정은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성 단축키의 지정은 사용자가 음성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선택된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파일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상기 음성 단축키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단축키를 삭제하거나, 또는 음성 단축키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은, 게임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단축키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음성 단축키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서로 일치하는 음성 단축키가 존재하면,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해당 음성 단축키에 대응하는 게임 명령어를 입력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음성 단축키를 이용한 게임 명령어의 입력을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그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각 단계를 진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은, 채팅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채팅시에 사용할 텍스트 문장과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음성 단축 메시지)을 입력받고,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문장과 음성 단축 메시지의 대응 관계를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에 저장하는 음성 단축 메시지 설정단계; 상기 채팅 클라 이언트는 채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음성 단축 메시지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클라이언트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음성 단축 메시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입력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채팅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상기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음성 단축 메시지와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삭제하거나,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채팅 클라이언트의 기능은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각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여 자신의 음성을 지정해 놓고, 이 음성을 말함으로써 게임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게임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게임을 더욱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음성 메시지로 채팅용 텍스트 문장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이루어지는 문자 채팅 상황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으며, 키보드 조작법이 서툰 사용자들도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면서 채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11)에 설치된 게임 클라이언트(13)를 구동시켜 온라인 게임을 이용한다.
사용자 컴퓨터(11)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양을 가질 수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뿐 아니라 해당 온라인 게임을 이용할 수 있는 성능을 갖는 임의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1)에는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11-1),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11-2), 입력수단으로서의 키보드(11-3)와 마우스(11-4), 디스플레이 화면(11-5) 등 여러 주변장치들이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 컴퓨터(11)는 유선 인터넷망이나 무선 인터넷망 등 각종 통신망(16)에 접속할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사용자 컴퓨터(11)에 설치되어 통신망(16)을 통해 게임 서버(18)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며, 통신망(16)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온라인 게임의 진행 정보를 게임 서버(18)와의 사이에서 주고 받고, 게임을 위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사운드 효과 처리 등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측에서 수행되어야 할 기능을 담당한다.
사용자가 게임 클라이언트(13)를 구동시키면 온라인 게임이 시작되어 디스플레이 화면(11-5)을 통해 게임 화면이 출력되며, 스피커(11-2)를 통해 사운드 효과가 출력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키보드(11-3)와 마우스(11-4)를 이용하여 게임과 관련된 각종 게임 명령어를 입력하면서 게임을 진행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게임 명령어의 종류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21).
여기서 게임 명령어는 게임의 진행을 위한 것뿐 아니라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조작하거나 메뉴를 조작하기 위한 것 등 사용자가 게임 클라이언트(13)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과 관련하여 입력할 수 있는 명령어를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게임 명령어의 종류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그 하나의 예를 살펴보자면, 인터페이스 화면(31)에는 '귓속말 답하기', '거래 요청', '모든 창 감추기/보이기'. '말풍선 감추기/보이기', '다른 캐릭터 감추기/보이기' 등 게임 명령어 종류가 나타나 있고, 각 게임 명령어에는 각각 'T', 'SHIFT+T', 'F12', 'SHIFR+~', 'SHIFT + F12'의 단축키가 설정되어 있다는 정보도 나타나 있다.
각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여 '음성녹음' 버튼(31-1~3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음성녹음'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음성 단축키를 설정하고자 하는 게임 명령어를 선택한다. 예로서, '거래요청' 게임 명령어에 음성 단축키를 설정하려면 해당 음성녹음 버튼(33-2)를 클릭한다.
여기서 '음성 단축키'란 사용자가 각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여 입력해 놓는 음성 데이터를 말한다.
단계 S21을 통해 사용자가 어느 게임 명령어를 선택하면,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사용자가 해당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는 음성 단축키를 지정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S22).
단계 S22에서 사용자가 어떠한 방법으로 음성 단축키를 지정하도록 할 것인지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하나의 예는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11)에 연결된 마이크(11-1)를 통해 단계 S21에서 선택된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직접 입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게임 클라이언트(13)는 도 3b에 도시된 녹음창(33)과 같이 사용자가 음성 단축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3b에 도시한 녹음창(33)에서 사용자는 녹음시작 버튼(33-1)을 클릭하여 녹음을 시작하고, 녹음중지 버튼(33-2)을 클릭하여 녹음을 중지할 수 있으며, 녹음 시간은 상태바(33-3)의 이동으로서 표시된다.
사용자가 음성 단축키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은 사용자가 음성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파일을 지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현 시점에서 직접 녹음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방법으로 미리 녹음해 놓은 음성 파일을 검색하여 음성 단축키로 사용할 음성 파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의 예를 참조하자면, 사용자가 음성찾기 버튼(41)을 클릭하면 음성파일 검색창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음성 단축키로 사용할 음성 파일을 찾을 수 있도록 처리한다.
단계 S22에서 사용자가 음성 단축키를 지정하면, 게임 클라이언트(13)는 단계 S22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음성 단축키와 단계 S21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명령어의 대응 관계를 음성 단축키 저장소(20)에 저장한다(S23).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음성 단축키 저장소(20)에는 각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음성 단축키의 대응 관계가 저장된다.
예로서, 사용자가 도 3a에서 게임 명령어로 '거래요청' 항목을 선택하였고, 이에 대응하여 '거래하자'라는 음성을 입력해 놓았다면, 음성 단축키 저장소(20)에는 이러한 정보가 저장된다.
음성 단축키 저장소(20)는 디폴트 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그 저장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음성 단축키 저장소(2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나 휴대용 저장장치 등 사용자 컴퓨터(11)와 연동하는 디지털 데이터 저장매체에 생성되어 유지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원격지의 서버와 연동하는 스토리지에 해당 사용자와 관련하여 생성되어 유지될 수도 있다.
이제 단계 S21로 진행하여 계속 음성 단축키를 설정하거나 음성 단축키의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S24).
한편,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사용자가 음성 단축키 저장소(2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단축키를 삭제하거나 또는 기 설정되어 있는 음성 단축키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사용자가 음성 단축키 저장소(20)에 저장되어 있는 각 게임 명령어와 이에 대응하는 음성 단축키를 조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각 음성 단축키를 재생시켜 줌으로써 기 설정되어 있는 음성 단축키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각 음성 단축키를 다시 지정하거나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한 후 음성 단축키 저장소(20)의 내용을 그에 따라 갱신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사용자 컴퓨터(11)에 연결된 마이크(11-1)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다(S61).
단계 S61에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단축키 저장소(2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음성 단축키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62).
여기서 서로 일치한다는 것은 완전한 일치를 의미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음성은 항상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 아니므로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일치하면 두 음성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13)는 단계 S62에서의 비교 결과 서로 일치하는 음성 단축키가 존재하면(S63), 사용자가 해당 음성 단축키에 대응하는 게임 명령어를 입력한 것으로 처리한다(S64).
단계 S64에서 해당 음성 단축키에 대응하는 게임 명령어가 입력된 것으로 처리한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키보드(11-3)나 마우스(11-4)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 명령어를 입력한 상태와 같이 처리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게임 클라이언트(13)는 해당 게임 명령어가 입력되었을 때의 절차에 따라 이후 상황을 처리하면 된다.
또한,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음성 단축키를 이용한 게임 명령어의 입력을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게임 클라이언트(13)는 그 설정 상태에 따라 단계 S61 내지 S64에 따른 절차를 진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황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음성이 게임 명령어의 입력 이외에도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게임 클라이언트(13)가 게임 진행 상황에 따라 스스로 파악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음성 단축키를 이용한 게임 명령어의 입력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은 문자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채팅시에 입력할 텍스트 문장을 음성에 의한 단축 메시지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사용자 컴퓨터(11)에는 채팅 클라이언트(14)가 설치되며, 채팅 클라이언트(14)는 통신망(16)을 통해 채팅 서버(19)와 통신하면서 사용자가 타 사용자들과 함께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채팅 클라이언트(14)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채팅 메시지를 채팅 서버(19)로 전송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채팅 서버(19)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채팅 메시지를 채팅창에 표시한다.
도 7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은 크게 음성 단축 메시지를 설정하는 과정(S70)과, 설정된 음성 단축 메시지를 이용하는 과정(S74~S77)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음성 단축 메시지란 사용자가 문자 채팅시에 입력할 텍스트 문장에 대응하여 설정한 음성 데이터를 말한다.
먼저 채팅 클라이언트(14)는 사용자의 음성 단축 메시지 설정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채팅시에 사용할 텍스트 문장과 이에 대응하는 음성 단축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S71,S72).
단계 S72에서 사용자가 텍스트 문장과 이에 대응하는 음성 단축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인터페이스(80)의 예를 참조하자면, 사용자는 채팅글 입력란(81)에 키보드(11-3)를 이용하여 텍스트 문장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음성 단축 메시지 녹음 버튼(82)을 클릭하면 도 3b에 도시된 예와 같은 녹음창(33)을 출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녹음창(33)을 이용하여 음성 단축 메시지를 녹음한다.
이제 채팅 클라이언트(14)는 단계 S72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문장과 그에 대응하는 음성 단축 메시지를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70-1)에 저장한다(S73).
예로서, 사용자가 채팅글 입력란(81)에 "만나서 반가워. 나는 홍길동 이라고 해"라는 텍스트 문장을 입력하였고, 음성 단축 메시지로는 "방가방가"라는 음성을 입력하였다면, 이 정보가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70-1)에 저장된다.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70-1)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나 휴대용 저장장치 등 사용자 컴퓨터(11)와 연동하는 디지털 데이터 저장매체에 생성되어 유지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원격지의 서버와 연동하는 스토리지에 해당 사용자와 관련하여 생성되어 유지될 수도 있다.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70-1)는 디폴트 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그 저장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채팅 클라이언트(14)는 사용자가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70-1)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음성 단축 메시지와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삭제하거나,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채팅 클라이언트(14)는 사용자가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70-1)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음성 단축 메시지와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조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각 음성 단축 메시지를 재생시켜 줌으로써 기 설정되어 있는 음성 단축 메시지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음성 단축 메시지를 다시 입력하거나,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한 후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70-1)의 내용을 그에 따라 갱신한다.
이제 채팅 클라이언트(14)가 음성 단축 메시지를 이용하여 채팅 과정을 수행하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채팅 클라이언트(14)는 채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11)에 연결된 마이크(11-1)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면(S74),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70-1)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음성 단축 메시지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5).
여기서 서로 일치한다는 것은 완전한 일치를 의미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음성은 항상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 아니므로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일치하면 두 음성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채팅 클라이언트(14)는 단계 S75에서의 비교 결과 서로 일치하는 음성 단축 메시지가 존재하면(S76), 사용자가 해당 음성 단축 메시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입력한 것으로 처리한다(S77).
상기의 예를 들자면, 단계 S74에서 사용자가 '방가방가'라고 마이크(11-1)를 통해 말했다면, 채팅 메시지 입력란에는 그에 대응하는 "만나서 반가워. 나는 홍길동 이라고 해"라는 텍스트 문장이 표시된다.
그러면, 채팅 클라이언트(14)는 사용자가 키보드(11-3)를 통해 해당 텍스트 문장을 입력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채팅 메시지 입력란에 표시된 "만나서 반가워. 나는 홍길동 이라고 해"라는 문장을 채팅 서버(19)로 전송한다.
한편, 채팅 클라이언트(14)의 기능은 게임 클라이언트(13)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일반적으로 게임에 참여한 각 사용자들이 서로 문자 채팅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채팅 클라이언트(14)의 기능은 게임 클라이언트(13)가 담당할 수 있다.
이때, 게임 클라이언트(13)는 사용자가 음성 단축 메시지 설정 과정(S70)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시스템의 개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의 일 실시예,
도 3과 도 4는 음성 단축키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
도 5는 음성 단축키 저장소의 구조에 관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
도 8은 음성 단축 메시지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사용자 컴퓨터 11-1: 마이크
11-3: 키보드 11-4: 마우스
13: 게임 클라이언트 14: 채팅 클라이언트
16: 통신망 18: 게임 서버
19: 채팅 서버 20: 음성 단축키 저장소
33: 녹음창 70-1: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

Claims (9)

  1.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통신망을 통해 게임 서버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게임 명령어의 종류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음성 단축키)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음성 단축키와 상기 선택된 게임 명령어의 대응 관계를 음성 단축키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단축키의 지정은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단축키의 지정은 사용자가 음성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선택된 게임 명령어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파일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상기 음성 단축키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단축키를 삭제하거나, 또는 음성 단축키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
  5. 각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통신망을 통해 게임 서버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단축키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음성 단축키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서로 일치하는 음성 단축키가 존재하면,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해당 음성 단축키에 대응하는 게임 명령어를 입력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음성 단축키를 이용한 게임 명령어의 입력을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그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제5항에 기재된 각 단계를 진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7. 채팅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 채팅시에 사용할 텍스트 문장과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음성 단축 메시지)을 입력받고,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문장과 음성 단축 메시지의 대응 관계를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에 저장하는 음성 단축 메시지 설정단계;
    상기 채팅 클라이언트는 채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음성 단축 메시지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클라이언트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음성 단축 메시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입력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상기 음성 단축 메시지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음성 단축 메시지와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삭제하거나,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클라이언트의 기능은 게임 클라이언트가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KR1020090036655A 2009-04-27 2009-04-27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과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KR20100117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655A KR20100117928A (ko) 2009-04-27 2009-04-27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과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655A KR20100117928A (ko) 2009-04-27 2009-04-27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과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928A true KR20100117928A (ko) 2010-11-04

Family

ID=4340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655A KR20100117928A (ko) 2009-04-27 2009-04-27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과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79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964A1 (en) * 2011-01-05 2012-07-12 Razer (Asia-Pacific)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lecting, and updating visual interface content using display-enabled keyboards, keypads, and/or other user input devices
CN111405118A (zh) * 2020-03-25 2020-07-10 深圳市易联电子有限公司 一种可使用语音交互完成配置的智能按键及其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964A1 (en) * 2011-01-05 2012-07-12 Razer (Asia-Pacific)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lecting, and updating visual interface content using display-enabled keyboards, keypads, and/or other user input devices
US9990111B2 (en) 2011-01-05 2018-06-05 Razer (Asia-Pacific)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lecting, and updating visual interface content using display-enabled keyboards, keypads, and/or other user input devices
CN111405118A (zh) * 2020-03-25 2020-07-10 深圳市易联电子有限公司 一种可使用语音交互完成配置的智能按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5574B1 (en) Automatically sharing a document with user access permissions
AU2014281049B9 (en) Environmentally aware dialog policies and response generation
KR101770937B1 (ko) 민감 정보의 보안 스크린 공유를 갖는 전자 통신
KR102050814B1 (ko) 그룹 대화에서 사적 대화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33208B1 (ko) 인스턴트 통신 음성 인식 방법 및 단말기
CN110249325A (zh) 具有通信模型的输入系统
US20180109931A1 (en) Pre-Determined Responses for Wireless Devices
US20210126985A1 (en) Personalized updates upon invocation of a service
KR20190016671A (ko)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
US20240111958A1 (en) Assistan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unknown topics
WO2005101216A1 (ja) チャットシステム、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50020740A (ko)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90131355A (ko)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KR20100117928A (ko) 컴퓨터 게임을 위한 음성 단축키 설정 방법과 음성 단축키 입력 방법, 채팅 메시지 처리 방법
WO2018098050A1 (en) Automated display state of electronic mail items
JP2006338685A (ja) チャットシステム、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94080A (ko) 사용자간 대화 세션에 대한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능동적으로 주문 또는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ai 에이전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JPWO2019017027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80128653A (ko) 대화 검색 방법, 대화 검색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 및 대화 관리 서버
JP201801040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07457A (ko) 아바타 채팅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JP679166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832211B2 (en) Opening an attachment and conversation from a messaging application
JP2004102496A (ja) テキストおよびキャラクタ表示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ならびにサーバ
KR101392623B1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메시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