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304A -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304A
KR20100117304A KR1020090035973A KR20090035973A KR20100117304A KR 20100117304 A KR20100117304 A KR 20100117304A KR 1020090035973 A KR1020090035973 A KR 1020090035973A KR 20090035973 A KR20090035973 A KR 20090035973A KR 20100117304 A KR20100117304 A KR 2010011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alue
reverse output
repeater
unwanted wave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169B1 (ko
Inventor
한오형
유성환
이종민
진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3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16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기의 커버리지내에서 발생된 통화 품질의 열화를 발생시키는 불요파의 발생원을 신속하게 추적 및 제거할 수 있는 중계기의 불요파 추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장치는, 다수의 중계기들로부터 기지국측으로 송출되는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는 출력값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되는 역방향 출력값의 변화를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35973
불요파, 중계기, 역방향

Description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purious}
본 발명은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기의 커버리지내에서 발생된 통화 품질의 열화를 발생시키는 불요파의 발생원을 신속하게 추적 및 제거할 수 있는 중계기의 불요파 추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이제까지 비수요 지역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가 완전하게 제공되지 못했던 산간 벽지, 낙도, 도심 전파 사각 지대, 지하철, 터널, 아파트 단지 등에서도 고품질의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사업자의 이동 통신망 환경도 보다 넓은 지역과 시스템 용량의 확대가 절실히 요구되기 시작했으며,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과 인구 밀집도의 특수성으로 인해 최적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많은 음영 지역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여기서, 음영 지역이라 함은 기지국과 이동 통신 단말 간의 전파 통로가 단절된 지역을 의미한다. 즉, 건물이나 지형에 의하여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음영 지역의 해소를 위해서 기존에는 추가적으로 기지국을 설 치하였으나, 사업자가 음영 지역에 기지국 증설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통신 품질과 서비스 범위를 개선할 수 있는 중계기가 사용되고 있다.
중계기란 산이나 빌딩 혹은 기타 지형 지물로 인해 전파가 차단된 지역 또는 터널, 지하 주차장, 해상 등과 같이 전파 도달이 어려운 음영 지역을 대상으로 기지국의 신호가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를 증폭해 음영 지역을 서비스하며, 음영 지역 단말기의 신호가 기지국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중계기는 음영 지역의 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거나, 음영 지역을 이동하는 차량 또는 선박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계기의 기본 개념은 기지국의 RF 신호를 제 3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원하는 원격 지역에 전송하여 다시 RF 신호로 재생하는 방식이다. 중계기는 전송 매체의 종류에 따라 광중계기, 주파수 변환 중계기,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등으로 구분된다.
광중계기는 기지국의 RF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 후 광선로를 따라 원하는 원격 지역으로 전송 후 다시 RF 신호로 변환후 앰프를 거쳐 안테나로 송신하는 방식이다. 주파수 변환 중계기는 기지국의 RF 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빈 FA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전송한 후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다시 원래의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방식이다.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는 기지국의 RF 신호를 8GHz, 18GHz 등의 마이크로웨이브 주파수로 변환하여 전송 후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다시 RF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방식이다.
불요파는 이동 통신 기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요파는 통신에 장애를 줄 뿐만 아니라, 통신 사업자의 수익에 직결되기 때문에 신속히 찾아서 제거해야 한다. 특히,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는 시스템의 가입자 용량을 감소시키고, 심할 경우 근처의 통신을 완전히 두절시키기도 한다. 최근 들어 중계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중계기 고장이나 발진으로 인한 불요파의 발생 및 외부 전자 기기(예를 들어, CATV 부스터 등)의 고장이나 오동작으로 인한 불요파 발생이 증가하여 많은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불요파를 찾아내어 제거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이동용 발신 추적 장치를 이용한 기술과 방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발신 신호 방향을 찾아내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발신 장치를 이용한 기술은 지향성 안테나와 저잡음 증폭기(LNA), 그리고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 등을 사용하여 운용자의 직감으로 불요파의 발신원을 찾아내는 것이며, 방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발신 신호 방향을 찾아내는 기술은 방향성 수신 안테나가 회전하면서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방향을 각도 검출기로부터 검출하여 방향을 검출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기술들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정확한 불요파의 방향을 찾아내기 위하여 전파의 방해를 받지 않는 고층 빌딩 또는 높은 지대에서 측정해야 한다. 그러나, 고층 빌딩 또는 높은 지대로 불요파를 찾아내는 장치를 이동하기에는 기지국에서 사용하던 장치들의 중량이 과중하여 이동에 의해 장치의 손실이 많이 발생하고, 휴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동 통신 기기의 사용 중 통화에 지장 발생시 신속한 불요파 추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중계기로부터 기지축으로 송출되는 역방향 출력값들에 대한 평균 역방향 출력값을 관리하고,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 발생시 운용자의 명령에 의해 송출된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를 산출하여 불요파의 발생 위치를 추적하여 불요파 제거를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장치는, 다수의 중계기들로부터 기지국측으로 송출되는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는 출력값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되는 역방향 출력값의 변화를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방법은, 다수의 중계기들로부터 기지국측으로 송출되는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되는 역방향 출력값의 변화를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각 중계기에서 수집되는 역방향 출력값의 변화를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불요파 추적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요파 추적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통화 품질 열화를 발생시켜 통화를 불가능하게 하는 불요파의 발생원을 신속하게 추적 및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 불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음영 지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 통신망(120) 및 불요파 추적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가 설치되는 음영 지역은, 산, 바다 및 기타 지형 지물로 인해 전파가 차단되는 지역뿐만 아니라, 음영 지역을 이동하는 이동 수단, 예를 들어 지상의 음영 지역을 이동하는 차량이나 해상을 이동하는 선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는 출력별로 대형, 중형 및 소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하나의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서도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가 출력별로 대형, 중형 및 소형으로 구분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가 동일한 출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에 의한 커버리지는, 각 커버리지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 영역이 중복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망(120)은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불요파 추적 장치(130)는 통신망(120)과 연동하여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에서 통신망(120)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출력값의 변화를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망(120)은 이동 통신 시스템(100)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인 경우, 무선 접속망(UMTS Terrestrial RAN: UTRAN)(121) 및 무선 접속망(121)에 연결는 코어망(Core Network)(122)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접속망(121)는 WCDMA를 지원하기 위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의 무선 접속 규격을 적용한 기지국(121a) 및 기지국(121a)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121b)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21a)은 무선 구간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채널 코딩, 인터리빙, 변조와 복조 등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한다. 기지국(121a)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으로 불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 제어기(121b)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며, 기지국(121a)을 제어한다.
코어망(122)은 회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 회선교환 게이트웨이(Gateway MSC: GMSC), 패킷교환 지원 노드는(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GMSC 또는 GGSN를 통하여 외부망과 연결되는 망으로 이해될 수 있다. GMSC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종 합 정보 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에 연결될 수 있으며, GGSN은 패킷(Packet)의 송수신에 관련된다. GGSN은 인터넷(Internet)과 같은 IP(Internet Protocol)망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코어망(122)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3GPP 규격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불요파 추적 장치(130)는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로부터 통신망(120)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출력값 변화를 통해 불요파가 발생한 위치의 중계기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불요파 추적 장치(130)는 평상시에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역방향 출력값을 토대로 하여 각 중계기(111, 112, 113)에 대한 평균 역방향 출력값을 산출하여 보유할 수 있으며, 임의의 중계기 커버리지에서 불요파가 발생되는 경우 불요파가 발생된 커버리지의 중계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출력값이 평균 역방향 출력값보다 큰 특성을 이용하여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가 발생된 시점에서 수신된 신호의 역방향 출력값을 비교하여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의 중계기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불요파 추적 장치(130)가 통신망(120) 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망(120)과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불요파 추적 장치(130)가 통신망(120) 내에 설치되는 경우라도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기존에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장치들(예를 들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코어망 등)에 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장치(130)는, 출력값 수집부(131), 출력값 저장부(132), 위치 추적부(133) 및 통지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장치(130)는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들로부터 기지국(121a)측으로 송출되는 출력값을 수집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동 통신 시스템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기존에 포함된 장치에 부가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들로부터 기지국(121a)측으로 송출되는 출력값을 "역방향 출력값"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지국(121a)으로부터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측으로 송출되는 출력값은 "순방향 출력값"으로 칭할 수 있다.
출력값 수집부(131)는 사전 지정된 주기 또는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로부터 기지국(121)측으로 송출되는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할 수 있다. 출력값 수집부(131)가 사전 지정된 주기로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의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는 것은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 각각에 대한 평균 역방향 출력값을 산출하거나 불요파의 유입으로 인해 출력값이 비정상적으로 크게 되는 경우를 감시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출력값 수집부(131)는 운용자의 명령시에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운용자가 불요파의 발생을 인지하고 불요파가 발생한 위치의 중계기를 판단하고자 할 때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출력값 수집부(131)는 모든 중계기들에 대한 리스트(예를 들어, 중계 기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등)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기지국 또는 특정 섹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모든 중계기들에 대한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출력값 수집부(131)에서 보유하고 있는 리스트는 후술할 위치 추적부(133)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불요파 발생시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중계기의 정보를 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출력값 저장부(132)는 출력값 수집부(131)에 의해 수집된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들에 대한 역방향 출력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출력값 저장부(132)에 저장되는 역방향 출력값은, 사전 지정된 주기 또는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 후술할 위치 추적부(133)에 의해 산출된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 각각에 대한 평균 역방향 출력값, 불요파 발생시의 비정상적인 역방향 출력값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 추적부(133)는 사전 지정된 주기 또는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들의 평균 역방향 출력값을 산출하는 평균 출력값 산출부(133a) 및 불요파가 발생된 시점에서 수집된 비정상적인 역방향 출력값과 평균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값을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의 중계기를 판단하는 판단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평균 출력값 산출부(133a)는 사전 지정된 주기 또는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들의 평균 역방향 출력값을 산출하여 불요파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의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 각각에 대한 평균 역방향 출력값을 출력값 저장부(132)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평균 역방향 출력값은 매번 역방향 출력 값이 출력값 수집부(131)로 수집될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판단부(133b)는 현 시점에서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이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임계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 불요파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의 중계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임계치는 네트워크 정책상 불요파라고 인정될 수 있을만한 차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임계치는 네트워크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물론, 판단부(133b)가 현 시점에서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과 평균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를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용자가 고객 불만 신고나 모니터링 등을 통해 불요파 발생을 인지하고 불요파 발생 위치 의 중계기판단을 명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각각 커버리지(111a, 112a)를 가지는 중계기 1(111) 및 중계기 2(112)가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고, 중계기 1(111)의 커버리지(111a) 내에 불요파 발생원(111b)이 존재하는 경우, 발생된 불요파가 중계기 1(111)에만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중계기 2(112)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이때, 불요파는 중계기 1(111)의 커버리지(111)에서 발생되었기 때문에 중계기 2(112)에 비하여 중계기 1(111)이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즉, 불요파는 중계기 2(112)에 비하여 중계기 1(111)에 상대적으로 많이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판단부(133b)는 현 시점에서 출력값 저장부(112)에 저장된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에 대한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가 유입된 역방향 출력 값를 비교하고, 그 차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차이가 큰 순서에 따라 다수의 중계기들을 정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가 유입된 역방향 출력값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이때,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중계기 1(111) 및 중계기 2(112)가 중계기 1(111)의 커버리지에서 발생된 불요파의 영향을 받으며, 중계기 1(111)이 중계기 2(1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4는 중계기 1(111)의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가 유입된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중계기 2(112)의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가 유입된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가 유입된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는 "a"이고, 도 5에서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가 유입된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가 "b"라 가정하면, 불요파는 중계기 1(111)의 커버리지에서 발생하였으므로 a가 b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판단부(133b)는 불요파가 발생하였을 때,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들에 대하여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가 유입된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가 큰 순서로 정렬할 수 있으며, 차이가 가장 큰 중계기의 커버리지 내에서 불요파가 발생한 것으로 의심 및 추적할 수 있는 것이다.
통지부(134)는 판단부(133b)의 판단 결과 불요파가 발생한 커버리지에 해당하는 중계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중계기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와 불요파 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지부(134)가 SMS를 통해 운용자에게 통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운용자는 통지부(134)의 통지에 따라 불요파가 발생한 위치의 중계기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하는 중계기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불요파의 유입 차단 또는 불요파 발생원 제거 등의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운용자는 불요파 발생시 그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불요파에 의한 통화 불가 등으로 인한 고객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때, 도 6은 출력값 수집부(131)에서 사전 지정된 주기에 따라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로부터 기지국(121a)측으로 송출되는 출력값을 수집하고, 위치 추적부(133)에서 각 중계기별로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현 시점에서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가 발생하여 불요파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추적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방법은, 출력값 수집부(131)에서 사전 지정된 주기에 따라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들로부터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게 된다(S110). 출력값 수집부(131)가 출력값을 수집하는 주기는 네트워크 정책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값 수집부(131)는 모든 중계기들에 대하여 동일한 주기로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할 수도 있 고, 중계기별 또는 위치별로 다른 주기로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들은 출력값 저장부(132)에 저장될 수 있으며, 위치 추적부(133)는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들을 통해 각 중계기에 대한 평균 역방향 출력값을 산출 및 갱신하여 출력값 저장부(132)에 저장하게 된다(S120).
이때, 임의의 중계기의 커버리지 내에서 불요파가 발생된 경우, 수집되는 출력값은 이전에 저장된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위치 추적부(133)는 각 중계기별로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가 발생된 시점에서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과의 차이를 산출하고, 차이가 큰 순서대로 중계기를 정렬하게 된다(S130).
위치 추적부(133)는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불요파가 발생된 시점에서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가 가장 큰 중계기의 커버리지 내에서 불요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S140), 해당 중계기의 커버리지 내에서 불요파가 발생되었음을 운용자에게 통지하여 불요파 제거를 위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50).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장치(130)가 운용자의 개입없이 불요파 발생을 판단하고 추적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도 7은 운용자가 불요파 발생을 인지한 다음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경우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때, 도 7은 고객 불만 신고나 모니터링 등을 통해 운용자가 불요파 발생을 인지하고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할 것을 명령한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7은 운용자가 불요파 발생을 인지하기 이전에는 사전 지정된 주기에 따라 각 중계기들의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여 평균 역방향 출력값을 산출하여 저장하고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방법은, 먼저 운용자가 불요파 발생을 인지하고(S210), 출력값 수집부(131)로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의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할 것을 명령하게 된다(S220). 따라서, 도 7에서는 전술한 도 6과는 달리 사전 지정된 주기와는 다른 시점에 역방향 출력값의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운용자의 명령은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에도 적용되어 역방향 출력값이 기지국(121a)측으로 송출될 수 있다.
출력값 수집부(131)는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다수의 중계기(111, 112, 113)의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게 되고(S230),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은 출력값 저장부(132)에 저장된다(S240).
위치 추적부(133)는 전술한 S230단계에서 출력값이 수집되기 이전에 산출된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전술한 S230단계에서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을 비교하여 각 중계기별로 그 차이를 산출하게 된다(S250).
위치 추적부(133)는 전술한 S250 단계의 산출 결과, 평균 역방향 출력값과 전술한 S230 단계에서 수집된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가 가장 큰 중계의 커버리지 내에서 불요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S260), 해당 중계기의 커버리지 내에서 불요파가 발생되었음을 운용자에게 통지하여 불요파 제거를 위한 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S27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는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발생원이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1의 평균 산출값 및 불요파가 유입된 출력값이 도시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2의 평균 산출값 및 불요파가 유입된 출력값이 도시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추적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31: 출력값 수집부 132: 출력값 저장부
133: 위치 추적부 134: 통지부

Claims (10)

  1. 다수의 중계기들로부터 기지국측으로 송출되는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는 출력값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되는 역방향 출력값의 변화를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를 포함하는 불요파 추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값 수집부는, 사전 지정된 주기 또는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중계기들의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는 불요파 추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부는, 기수집된 역방향 출력값들을 통해 각 중계기들에 대한 평균 역방향 출력값을 산출하는 평균 출력값 산출부; 및
    상기 불요파가 발생된 시점에서 수집된 비정상적인 역방향 출력값과 상기 평균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값을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의 중계기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불요파 추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차이값이 가장 큰 중계기의 커버리지 내에 불요파 발생 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불요파 추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중계기 정보 및 경고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불요파 추적 장치.
  6. 다수의 중계기들로부터 기지국측으로 송출되는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되는 역방향 출력값의 변화를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요파 추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값을 수집하는 단계는, 사전 지정된 주기 또는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중계기들의 역방향 출력값을 수집하는 불요파 추적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는, 기수집된 역방향 출력값들을 통해 각 중계기들에 대한 평균 역방향 출력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불요파가 발생된 시점에서 수집된 비정상적인 역방향 출력값과 상기 평균 역방향 출력값의 차이값을 통해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불요파 추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이값이 가장 큰 중계기의 커버리지 내에 불요파 발생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요파 추적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가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중계기 정보 및 경고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불요파 추적 방법.
KR1020090035973A 2009-04-24 2009-04-24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043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973A KR101043169B1 (ko) 2009-04-24 2009-04-24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973A KR101043169B1 (ko) 2009-04-24 2009-04-24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04A true KR20100117304A (ko) 2010-11-03
KR101043169B1 KR101043169B1 (ko) 2011-06-20

Family

ID=4340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973A KR101043169B1 (ko) 2009-04-24 2009-04-24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1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2452A (zh) * 2016-01-19 2017-07-25 中国移动通信集团安徽有限公司 一种确定通话质量的方法和装置
KR102170744B1 (ko) * 2019-07-22 2020-10-27 국방과학연구소 수신기 주파수동조 변화를 이용한 불요신호 제거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746A (ko) * 2001-07-24 2003-02-05 (주)오픈브레인테크 불요파 추적기능을 내장한 원격기지국감시장치
KR100918693B1 (ko) * 2007-09-17 2009-09-22 주식회사 케이티 광 중계기 게인 자동 세팅 및 불요파 검출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2452A (zh) * 2016-01-19 2017-07-25 中国移动通信集团安徽有限公司 一种确定通话质量的方法和装置
KR102170744B1 (ko) * 2019-07-22 2020-10-27 국방과학연구소 수신기 주파수동조 변화를 이용한 불요신호 제거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169B1 (ko) 201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4017C2 (ru) Оценка кодов преамбулы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US11071001B2 (en) Radio sensor coverage estimation for wireless network assurance
US9398478B2 (en) Radio base station,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detecting a faulty antenna
WO2011083802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無線ネットワーク、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37694B2 (en) Method for detecting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and base station
EP3151437B1 (en) Blocking interference suppression method and device
US20070243864A1 (en) Analysis of arbitrary wireless network data using matched filters
US97565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traffic suppression turning point in a cellular network
WO2021200114A1 (ja) 干渉検出装置、無線基地局、干渉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913425A (zh) 一种基于MR和xDR的无线网络指标分析方法及系统
RU2754436C1 (ru) Обработка линий связи для пары лучей
KR101043169B1 (ko)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
EP3157182B1 (en) Techniques for measurement filtering for wireless systems
US2011010516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1131705B1 (ko)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WO1998033344A1 (en) Measuring usage of cellular mobile telephones
JP7464110B2 (ja) 干渉検出装置、無線基地局、干渉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09482B2 (ja) 干渉検出装置、無線基地局、干渉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200101A1 (ja) 干渉検出装置、無線基地局、干渉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200100A1 (ja) 無線基地局、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162926A1 (en) Interference detection mechanisms for microwave radio link transceivers
US20230051120A1 (en) Performance degradation handling between radio access network nodes
US7813321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election management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14615673A (zh) 自动补盲扩容方法、装置、小基站系统及存储介质
Ghannadrezaii et al. Outage Probability Analysis to Address Interference Vulnerabilities in Digital Mobile Radio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