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798A -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798A
KR20100116798A KR1020090035402A KR20090035402A KR20100116798A KR 20100116798 A KR20100116798 A KR 20100116798A KR 1020090035402 A KR1020090035402 A KR 1020090035402A KR 20090035402 A KR20090035402 A KR 20090035402A KR 20100116798 A KR20100116798 A KR 20100116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unit
motor
brak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632B1 (ko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주)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템코 filed Critical (주)템코
Priority to KR102009003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63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485Control devices automatic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41Electr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권상 장치 및 중량물을 운반하는 운반기계의 하중물의 낙하 방지 기능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중량물의 운반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어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감속기에 연결되어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드럼으로 이루어진 운반 장치에 있어서,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을 수행하는 드럼 축에 설치되어 그 회전속도 및 위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발생토록 하는 운전 조작부로부터 지시된 전기신호 와 드럼속도 및 위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전기신호를 전자적으로 연산하여 상기 운전 조작부에 최종적인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 조작부로 하여금 모터 및 회전 드럼을 제동 시키는 모터 제동기 및 드럼 제동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레인 권상장치, 운반기계, 감속기, 모터, 회전 드럼, 하중물, 드럼속도 및 위치 감지부, 운전 조작부, 제어부, 제동기

Description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Hoi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nveyance machine having safety braking function}
본 발명은 천정 크레인 및 운반 기계에 있어서, 중량물을 운반 중 기계장치 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 부품의 파손발생 및 모터를 제어하는 운전 조작부의 고장 등으로 발생하는 위험요소로부터 회전 드럼의 회전을 제동기로 하여금 구속함으로써 하중물의 자유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장치 및 시설물을 제작하는 작업장에 설치되어 중량 물을 운반하기 위해서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가 이용되는데, 이러한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의 통상적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110)와, 동력모터(110)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적당한 회전 비로 감속시키는 감속기(120)와, 감속기(120)에 연결되어 중량물을 이송 또는 운반시키는 회전드럼(130)과, 동력모터(110)에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운전 조작하는 운전 조작부(160)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에서의 안전장치로는 동력모터(110)와 감속기(12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축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커플 링(190)과, 운전 조작부(160)의 제어에 의거하여 동력 모터(110)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상기 커플링(190)에 연결 설치되는 모터 제동기(1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운반기계 장치의 안전장치로서 동력 전달을 하는 커플링(190)에 모터 제동기(170)를 연결 설치하여 동력 모터(110) 및 감속기(1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운전 조작부(160)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에서의 안전장치로는 동력모터(110)로부터 회전드럼(130)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부품이 파단 되거나 운전 제어부(160)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동력모터(110)의 오 동작 여부를 감지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중량물의 추락사고 및 운반 장치 전반에 대한 기기 보호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운반 작업의 안전을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련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품의 파손 발생 및 허용된 이송속도를 초과하거나 동력모터 및 제동 브레이크를 운전, 제어하는 운전 조작부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또는 이 운반기계가 이송할 수 있는 최대 범위를 초과하여 이송되는 위험을 감지하여 제동 브레이크로 하여금 동력모터 및 회전드럼의 회전을 구속하여 중량물의 추락 안전 사고 및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 방지 기능 일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안전 제동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제동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는, 중량물의 운반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와, 동력모터에 연결되어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감속기에 연결되어 중량물을 이송시키는 회전드럼과 동력모터를 운전 조작하는 운전조작부로 이루어진 안전 제동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 속도와 위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운전 조작부의 조작 신호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모터 및 회전드럼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 및 회전 드럼을 정지시키기 위한 모터 제동기와 드럼 제동기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운전시작이 되면, 운전 조작부를 통해 운전 정보를 입력받는 운전정보 입력과정과; 감지부로부터 회전드럼의 회전속도와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속도 및 위치 감지과정과; 상기 감지부로부터 정상적으로 회전드럼의 회전 속도와 위치정보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는 감지부 정상작동 판단과정과; 상기 운전 조작부의 운전명령에 따른 회전드럼의 회전 또는 정지 명령에 따른 회전드럼이 회전 또는 정지되는지와, 정/역방향 회전명령과 일치되는지를 판단하는 운전명령 정상작동 판단과정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회전드럼 최대 속도 이상인지 또는 미리 설정된 최저 속도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회전속도 판단과정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위치가 감지부에 기 설정된 설정위치를 벗어나는 지를 판단하는 위치이탈 판단과정과; 운반기계의 최대 이송거리를 회전드럼의 회전수로 연산하여 감지부에 미리 안전 이송거리를 설정하고 회전 드럼이 안전 이송거리를 초과하여 이송되는 지를 판단하는 안전 이송거리 판단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각 판단결과 정상인 경우 정상 운전을 진행하고, 상기 판단과정에서 어느 하나라도 판단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에러 발생인 경우, 모터제동기 및 드럼 제동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운전제어부로 출력하는 모터 및 드럼 제동기 작동과정과; 상기 모터 및 드럼 제동기 작동과정에서 해당 된 에러 발생 경보와 에러 상태를 알리도록 표시를 제어하는 경보 및 표시제어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량물을 운반하는 운반기계 특히 천정 크레인에서 중량물을 운반 중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부품의 파단 또는 동력 모터 및 동력 모터를 제어 조작하는 운전 조작부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중량물의 추락 낙하 등과 같은 비상사고를 감지하여 안전 제동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는 목적하고자 하는 운전동작 과 달리 오 동작 발생으로 인한 동력 전달 구성부품의 파손 등을 운전 조작부의 동작신호와 회전드럼의 회전 감지부를 통하여 전체 동력 전달부의 이상 유무를 제어기에서 분석하여 이상 감지 시에 운전 조작부에 이상 신호를 발생하여 회전드럼을 구속하는 제동기를 동작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운반 기계가 이송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이탈 시에도 운전 조작부에 이상 신호를 발생하여 회전 드럼을 구속하는 제동기를 동작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운반기계의 안전성을 높임과 동시에 동력 전달 구성품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서 장치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모든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장비 및 인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기계 권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운반용 기계 권상 장치의 제동 제어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운반용 기계 권상 장치의 각 에러발생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110)와; 상기 동력모터(1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20)와; 상기 감속기(1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130)과; 회전 드럼(130)에 연결되어 회전드럼(130)의 회전속도 및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140)와; 상기 동력모터(110)와 상기 감속기(120)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190)과; 상기 커플링(190)과 상기 회전드럼(130)에 각각 설치되어 동력모터(110)와 회전 드럼(130)을 각각 제동시키기 위한 모터 제동기(170) 및 드럼 제동기(180)와; 작업자의 운전 조작을 입력받아 상기 동력모터(110)의 구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 제동기(170)와 드럼제동기(180)를 제어하는 운전조작부(160)와; 상기 감지부(140)의 감지 신호와 상기 운전 조작부(160)로부터 명령 된 신호를 받아 연산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모터 제동기(170)와 드럼제동기(18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운전조작부(160)로 입력시키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드럼제동기(180)와 감지부(140) 및 제어부(150)를 추가설치하여 다양한 안전 사고 위험을 감지하여 모터 및 드럼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모터제동기(170)는 동력 모터용 주 제동장치로 모터 토오크(Motor torque)의 안전율 2배 적용하며, 드럼제동기(180)는 회전드럼(130)의 비상용 제동장치로 로드 토오크(Load torque)의 안전율 1.5배 적용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회전 드럼(130)의 회전 속도와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상 권하 최고도 및 최저도 위치 선정과, 회전드럼(130)의 회전 속도 감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감지부(140) 및 운전 조작부(160)로부터 신호를 받아 자체연산 장치로 분석하여 비상시 운전 조작부(160)로 이상신호 즉, 제동신호를 발생하여 모터제동기(170) 또는/및 드럼 제동기(180)를 동작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하중물의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제동 시스템은 회전드럼(130)의 회전 속도와 권상 권하의 최고도 및 최저도 위 치를 감지하고, 현재 운전 조작 명령에 부합되는 지를 분석판단하여 자동으로 제동 제어를 하게 되며, 회전 드럼(130)과 동력모터(110)를 각각 또는 동시에 제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고에 대하여 안전장치로서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의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시작이 되면, 운전 조작부(160)를 통해 운전 정보를 입력받는 운전정보 입력과정(S10)과; 감지부(140)로부터 회전드럼(130)의 회전속도와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속도 및 위치 감지과정(S20)과; 상기 감지부(140)로부터 정상적으로 회전드럼(130)의 회전 속도와 위치정보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는 감지부 정상작동 판단과정(S30)과; 상기 운전 조작부(160)의 운전명령에 따른 회전드럼(130)의 회전 또는 정지 명령에 따른 회전드럼(130)이 회전 또는 정지되는지와, 정/역방향 회전명령과 일치되는지를 판단하는 운전명령 정상작동 판단과정(S40)과; 상기 회전드럼(130)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회전드럼 최대 속도 이상인지 또는 미리 설정된 최저 속도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회전속도 판단과정(S50)과; 상기 회전드럼(130)의 회전위치가 감지부(140)에 기 설정된 설정위치를 벗어나는 지를 판단하는 위치이탈 판단과정(S60)과; 운반기계의 최대 이송거리를 회전드럼(130)의 회전수로 연산하여 감지부(140)에 미리 안전 이송거리를 설정하고 회전 드럼(130)이 안전 이송거리를 초과하여 이송되는 지를 판단하는 안전 이송거리 판단과정(S70)과; 상기 판단과정(S30 - S70)에서 각 판단결과 정상인 경우 정상 운전을 진행하고(S80), 상기 판단과정(S30 - S70)에서 어느 하나라도 판단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에러 발생인 경우, 모터제동기(170) 및 드럼 제동기(18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운전제어부(160)로 출력하는 모터 및 드럼 제동기 작동과정(S90)과; 상기 모터 및 드럼 제동기 작동과정(S90)에서 해당된 에러 발생 경보와 에러 상태를 알리도록 표시를 제어하는 경보 및 표시제어과정(S100)을 수행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에러 감지에 따른 비상 제동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동일한 단계는 중복 설명하지 않고 주요 에러 판단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회전속도 판단과정(S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속감지 판단 기능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 감지 판단 기능을 수행한다. 과속판단은, 운전 조작부(160)를 통해 운전 명령(S1-1)을 입력하여 운전이 시작되면, 동력모터(110) 및 동력전달부품(커플링(190)과 감속기(120)), 회전드럼(130)이 회전된다(S1-2). 이와 같은 운전상태에서 감지부(140)에 의해 회전드럼(130)의 속도를 감지하고, 제어부(150)에 설정된 최고 속도 설정치와 상기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회전드럼(130)의 회전속도를 비교하여 회전 드럼(130)의 회전 속도가 설정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S1-4)한다. 만약, 최고 설정치 이내인 경우는 동력장치 정상유지(S1-5)를 하고, 최고 설정치 이상이 되면 에러발생으로 판단하여 모터 및 드럼 제동기를 작동시켜 회전 드럼을 정지시킨다(S1-6).
그리고 저속감지 판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조작부(160)의 회전명령 대비 회전드럼(130)이 정속 회전하지 않고 소정속도(예; 0.3rpm)이하로 회전하는지를 판단하여(S4-4), 정속회전 하지않고 소정속도 이하로 회전되는 경우 모터 및 드럼 제동기를 작동시켜 회전 드런을 정지시킨다.(S4-6)
또한, 본 발명은 운전조작부(160)의 명령에 따른 정상작동 판단과정(S40)을 수행하는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드럼(130)의 정지 시 기계적 또는 전기적 오류로 정지하지 않고 계속 회전되는 지를 판단(S2-4)을 한다. 이와 같이 회전 드럼(130)의 정지 명령시 회전 드럼(130)이 정지되지 않는 경우 에러로 판단하여 모터 및 드럼 제동기를 작동시킨다.(S2-6) 또한, 운전명령에 의해 모터(110)를 작동시켜 회전드럼(130)을 회전시키도록 운전명령이 이루어졌으나, 상기 회전드럼(130)이 회전되지 않는 경우도 역시 모터 및 드럼 제동기를 작동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조작부(160)의 회전 명령에 의해 회전 드럼(130)이 정회전하지 않고, 역회전 되는지를 감지하여(S3-4) 모터 및 드럼 제동기를 작동시킨다(S3-6). 즉, 회전 드럼이 운전 조작부에서 요구하는 방향과 달리 S3-4와 같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 시 이를 검출하여 에러신호(Fauit signal)를 발생, 비상 제동토록 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낙하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회전드럼 위치이탈 판단과정(S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40)에 기 설정된 설정치 대비 회전드럼(130)의 위치가 이탈 되었는지를 판다(S6-4)하여 위치를 벗어난 경우 즉, 한계위치를 검출하게 되는 경우 즉시 모터 및 드럼 제동기를 작동시켜 모터와 회전드럼을 정지시킨다.(S6-6)
또한, 감지부 정상작동 판단과정(S30)에서 감지부 신호가 검출되지 않거나 정상적인 신호가 아닌 경우 감지부 에러로 판단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 권하 동작 검출시 감지부 즉,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24VDC전압으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지 못하고, 18V 이하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감지부 고장 및 내부 오류 발생 발생으로 판단하여(S5-4) 비상 제동토록 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낙하사고 방지한다(S5-6).
또한, 안전이송거리 판단과정(S80)은, 운반기계의 최대 이송거리를 회전드럼의 회전수로 연산 감지부에 미리 안전 이송거리를 설정하고, 회전 드럼이 안전 이송거리를 초과하여 이송 시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및 회전 드럼 제동기를 작동시켜 모터와 회전드럼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드럼(130)의 회전 속도와, 회전드럼의 회전위치 즉, 권상 권하 한계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감지부(140)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어부(150)가 상기 감지부(140)로부터 회전속도와 위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정해진 설정치 또는 운전 조작부(160)의 운전 명령과의 비교 판단에 의해 에러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에러 발생시 모터 제동기(170)와 드럼제동기(180)를 작동시켜 모터와 회전드럼을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아울러 이에 대한 에러 경보와 함게 표시제어를 하여 어떤 에러가 발생되었는지를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운반용 기계 권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기계 권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운반용 기계 권상 장치의 제동 제어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운반용 기계 권상 장치의 각 에러발생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권상 장치
110: 동력 모터
120: 감속기
130: 회전드럼
140: 드럼속도 및 위치 감지부
150: 제어부
160: 운전,조작부
170: 모터제동기
180: 드럼제동기

Claims (4)

  1. 대형 장치 및 시설물 내에서 중량 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에 있어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110)와;
    상기 동력모터(1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20)와;
    상기 감속기(1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130)과;
    회전 드럼(130)에 연결되어 회전드럼(130)의 회전속도 및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140)와;
    상기 동력모터(110)와 상기 감속기(120)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190)과;
    상기 커플링(190)과 상기 회전드럼(130)에 각각 설치되어 동력모터(110)와 회전 드럼(130)을 각각 제동시키기 위한 모터 제동기(170) 및 드럼 제동기(180)와;
    작업자의 운전 조작을 입력받아 상기 동력모터(110)의 구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 제동기(170)와 드럼제동기(180)를 제어하는 운전조작부(160)와;
    상기 감지부(140)의 감지 신호와 상기 운전 조작부(160)로부터 명령 된 신호를 받아 연산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모터 제동기(170)와 드럼제동기(18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운전조작부(160)로 입력시키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2. 중량물의 운반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110)와, 동력모터(110)에 연결되어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20)와, 감속기(120)에 연결되어 중량물을 이송시키는 회전드럼(130)과, 동력모터(110)를 운전 조작하는 운전조작부(160)로 이루어진 안전 제동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130)의 회전 속도와 위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140)와; 상기 운전 조작부(160)의 조작 신호 및 상기 감지부(140)의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모터 및 회전드럼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50)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110) 및 회전 드럼(130)을 정지시키기 위한 모터 제동기(170)와 드럼 제동기(180)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150)가, 운전시작이 되면, 운전 조작부(160)를 통해 운전 정보를 입력받는 운전정보 입력과정(S10)과;
    감지부(140)로부터 회전드럼(130)의 회전속도와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속도 및 위치 감지과정(S20)과;
    상기 감지부(140)로부터 정상적으로 회전드럼(130)의 회전 속도와 위치정보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는 감지부 정상작동 판단과정(S30)과;
    상기 운전 조작부(160)의 운전명령에 따른 회전드럼(130)의 회전 또는 정지 명령에 따른 회전드럼(130)이 회전 또는 정지되는지와, 정/역방향 회전명령과 일치되는지를 판단하는 운전명령 정상작동 판단과정(S40)과;
    상기 회전드럼(130)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회전드럼 최대 속도 이상인지 또는 미리 설정된 최저 속도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회전속도 판단과정(S50)과;
    상기 회전드럼(130)의 회전위치가 감지부(140)에 기 설정된 설정위치를 벗어나는 지를 판단하는 위치이탈 판단과정(S60)과;
    운반기계의 최대 이송거리를 회전드럼(130)의 회전수로 연산하여 감지부(140)에 미리 안전 이송거리를 설정하고 회전 드럼(130)이 안전 이송거리를 초과하여 이송되는 지를 판단하는 안전 이송거리 판단과정(S70)과;
    상기 판단과정(S30 - S70)에서 각 판단결과 정상인 경우 정상 운전을 진행하고(S80), 상기 판단과정(S30 - S70)에서 어느 하나라도 판단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에러 발생인 경우, 모터제동기(170) 및 드럼 제동기(18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운전제어부(160)로 출력하는 모터 및 드럼 제동기 작동과정(S90)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제동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제동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모터 및 드럼 제동기 작동과정(S90)에서 해당된 에러 발생 경보와 에러 상태를 알리도록 표시를 제어하는 경보 및 표시제어과정(S100)을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제동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의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정상작동 판단과정(S30)은,
    상기 감지부(140)의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24VDC전압으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지 못하고, 18V 이하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감지부 고장 및 내부 오류 발생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제동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35402A 2009-04-23 2009-04-23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42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402A KR101042632B1 (ko) 2009-04-23 2009-04-23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402A KR101042632B1 (ko) 2009-04-23 2009-04-23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798A true KR20100116798A (ko) 2010-11-02
KR101042632B1 KR101042632B1 (ko) 2011-06-20

Family

ID=4340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402A KR101042632B1 (ko) 2009-04-23 2009-04-23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2971A (zh) * 2020-03-06 2021-11-23 杭州国电大力机电工程有限公司 缆机起升机构防溜钩保护的制动方法和缆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5368A (ja) * 1995-12-25 1997-07-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ウインチのブレーキ装置
KR20000034416A (ko) * 1998-11-30 2000-06-26 이해규 비상정지장치가 구비된 크레인의 권양장치
JP2001158590A (ja) 1999-12-03 2001-06-1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クレーンの巻上ワイヤ巻込み防止装置
JP2003146587A (ja) 2001-11-15 2003-05-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ウインチの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2971A (zh) * 2020-03-06 2021-11-23 杭州国电大力机电工程有限公司 缆机起升机构防溜钩保护的制动方法和缆机
CN113682971B (zh) * 2020-03-06 2023-06-30 杭州国电大力机电工程有限公司 缆机起升机构防溜钩保护的制动方法和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632B1 (ko) 201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82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8328165B2 (en) Hoist with overspeed protection
JP490709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758497B2 (ja)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用旋回制御システム
CN107108188A (zh) 用于升降装置的安全制动器
WO2011001829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050098768A1 (en) Diagnostic system for cranes
CN113631851A (zh) 安全系统和包括安全系统的材料测试系统
CN107922169B (zh) 具有自适应电源单元的初始化和电动机的识别的输送机驱动单元
KR100403765B1 (ko) 하중물의 낙하 방지 기능을 갖는 천정 크레인 권상장치
JP4022221B2 (ja) クレーン設備、特にコンテナクレーン
KR101042632B1 (ko)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운반용 기계 권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047610B2 (ja) 周波数制御式三相クレーンモータ等の電気駆動装置を安全に断路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492732B2 (ja) 電子安全エレベータ
KR102021227B1 (ko) 크레인의 횡행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21020763A (ja) エレベーターのエンコーダー診断システム及び診断方法
CN115321300A (zh) 一种提升机制动失效控制系统
JP7432394B2 (ja) 駐車装置
KR20000034416A (ko) 비상정지장치가 구비된 크레인의 권양장치
CN113136918A (zh) 一种回转异常保护控制系统及挖掘机
WO2018100598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4727921B2 (ja) ウィンチおよび他の機械用の制御システム
JP2906773B2 (ja) 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4901446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CN207144493U (zh) 泵车转台的检测装置和泵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