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968A -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 - Google Patents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968A
KR20100115968A KR1020090034651A KR20090034651A KR20100115968A KR 20100115968 A KR20100115968 A KR 20100115968A KR 1020090034651 A KR1020090034651 A KR 1020090034651A KR 20090034651 A KR20090034651 A KR 20090034651A KR 20100115968 A KR20100115968 A KR 20100115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p
learner
country
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500B1 (ko
Inventor
김지성
Original Assignee
김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성 filed Critical 김지성
Priority to KR102009003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50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1G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국가를 대표하는 인물, 동, 식물 또는 의상을 이미지화하여 학습자가 시각적인 잔영으로 상기 이미지를 인식 및 학습하고 재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가, 지도, 이미지, 재연상, 학습

Description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Method for Learning Associations of Image and Associations of Image book}
본 발명은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은 특정 사물 또는 형태를 이미지화하여 기억하는 방법으로서 특정 형태, 특정 단어, 특정 숫자를 손쉽게 기억 또는 연상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이미지 연상 학습 방법은 특별한 특징이 없는 객체에 학습자가 손쉽게 기억하고 연상할 수 있도록 그에 알맞는 특성을 부여하여 학습자의 기억력 향상과 연상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특별한 규칙 또는 의미 없이 무의미하게 적용되면서 학습자가 이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연상 기억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그로 인해 학습자의 효율적인 이미지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형태로 이미지화된 대상을 보다 더 기억하려는 인간의 본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지도상에 도시된 국가를 보다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는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국가 지도에 도시된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전체 이미지로 기억하고, 기억된 이미지를 연상하여 상기 국가의 형태와 도시명을 기억할 수 있는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책 내부에 다수개의 국가 지도를 셋트 단위로 구성하여 학습자가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연상 학습용 책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은 해당 국가의 역사적인 인물, 의상 및 동,식물이 도시의 형태에 맞추어 형상화된 대표 이미지가 형상화된 지도를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와; 상기 국가의 도시명이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도시명 디스플레이 단계; 및 도시명이 미표기된 백지도 이미지가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제공된 백지도 이미지를 통해 학습자에게 도시와 국가의 형상을 재기억 가능하게 하는 이미지 제공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는 이미지화된 도시가 표현되지 않은 지도가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학습자가 대표 이미지를 한번 더 연상하도록 하는 이미지 재연상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표 이미지는 분할된 다수개의 도시가 서로 다른 색깔로 구분되어 지도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 제공 단계는 도시명과 국가명이 미 표기된 백지도에 학습자가 기억한 도시명 또는 국가명을 기입해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제공 단계는 지명이 표기된 실제 지도와 학습자가 기억한 도시명이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비교 검토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상 학습용 책은 책 내부에 일체로 제본된 속지상에 해당 국가의 역사적인 인물, 의상 및 동,식물이 도시의 형태에 맞추어 형상화된 대표 이미지가 표현된 도시가 합쳐져서 국가 지도로 형상화된 합성 이미지부와; 및 상기 합성 이미지부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학습자의 연상력 향상을 위해 상기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의 국가 지도가 도시된 이미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합성 이미지부는 각각의 도시 단위로 분할 도시되거나, 복수개의 도시가 합쳐진 형태로 도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 이미지부는 도시 단위의 조각(Piece) 또는 복수개의 도시가 1개로 합쳐진 합체 조각 단위로 이루어진 조각부가 구비되어 상기 합성 이미지부에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각부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이 루어진다.
상기 조각부에는 학습자가 촉각을 통해 대표 이미지로 표현된 형태를 인지 할 수 있도록 상기 조각부 상면에 양각부와 음각부가 형성된다.
상기 합성 이미지부에 도시된 대표 이미지의 도시는 인물 또는 동, 식물의 형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물이 입은 의류는 특정 도시 또는 지역적 특색이 가미된 형태로 표현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 이미지부에는 국가 지도 외측으로 이격되어 그림 형태의 부연 이미지가 도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부는 해당 국가의 대표 이미지가 미도시된 상태로 국가 지도가 도시된 제1 이미지부와; 상기 제1 이미지부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대표 이미지 없이 해당 국가의 도시명이 표기된 제2 이미지부; 및 상기 제2 이미지부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백지도로 해당 국가가 도시된 제3 이미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부에는 제3 이미지부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해당 국가의 실제 지도상에 도시명이 기입된 제4 이미지부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국가 지도는 합성 이미지부와 이미지부가 특정 국가를 나타내기 위해 한 셋트(Set)를 이루고, 다수개의 국가가 셋트 단위로 구분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연상 학습용 책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은 책 내부에 일체로 제본된 속지상에 국가를 대표하는 각종 대표 이미지가 표현된 도시가 합 쳐져서 국가 지도로 형상화된 합성 이미지부; 및 상기 합성 이미지부가 도시된 해당 면(Page)과 마주보는 다른 면(Page)에 상기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의 국가 지도로 도시된 이미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은 국가를 대표적으로 상징하는 대표이미지를 통해 해당 국가의 특징 및 형태를 손쉽게 연상 및 기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은 나이, 연령 및 성별에 상관 없이 모든 세대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은 시각 장애인이 촉감을 통해 국가의 전체 형태를 인지하고, 이를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은 지도, 퍼즐에 적용되어 사용가능하며 학습자의 학습 욕구를 자연스럽게 유발하여 학습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 습 방법은 해당 국가의 역사적인 인물, 의상 및 동, 식물이 도시의 형태에 맞추어 형상화된 대표 이미지가 형상화된 지도를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ST100)와; 상기 국가의 도시명이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도시명 디스플레이 단계(ST200); 및 도시명이 미표기된 백지도 이미지가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제공된 백지도 이미지를 통해 학습자에게 도시와 국가의 형상을 재기억 가능하게 하는 이미지 제공 단계(ST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ST100)는 이미지화된 도시가 표현되지 않은 지도가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학습자가 대표 이미지를 한번 더 연상하도록 하는 이미지 재연상 단계(ST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ST110)는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 되거나, 대표이미지가 도시된 책을 통해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ST110)는 시각 또는 촉각으로 이미지를 인식하거나, 촉각을 통해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며, 인식된 이미지는 학습자의 연상력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학습자는 이미지 재연상 단계(ST110)에서 별도로 구비된 필기구를 이용하여 이미지화된 기억을 바탕으로 도시명을 기입해보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대표 이미지는 국가마다 모두 상이하며, 국가에 속한 특정 도시에서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산업 또는 자연지형 및 의류 등이 대표 이미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대표 이미지는 분할된 다수개의 도시가 서로 다른 색깔로 구분되어 지도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학습자가 서로 다른 색깔로 도시된 대표 이미지를 보다 확실하게 잔영으로 기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미지 제공 단계(ST300)는 도시명과 국가명이 미 표기된 백지도에 학습자가 기억한 도시명 또는 국가명을 기입해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백지도에 직접 도시명을 기입해 보는 이유는 학습자가 최초에 시각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된 대표 이미지를 인식하여 기억하고, 상기 대표 이미지가 미도시된 지도를 다시 한번 보면서 기억된 대표 이미지를 연상한 상태에서 백지도상에 직접적으로 각각의 도시면을 기입해보면서 완전한 이미지 학습에 의한 도시의 형태를 학습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이미지 제공 단계(ST300)는 지명이 표기된 실제 지도와 학습자가 기억한 도시명이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비교 검토 디스플레이 단계(ST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상 학습용 책은 책 내부에 일체로 제본된 속지상에 해당 국가의 역사적인 인물, 의상 및 동, 식물이 도시의 형태에 맞추어 형상화된 대표 이미지가 표현된 도시가 합쳐져서 국가 지도로 형상화된 합성 이미지부(100); 및 상기 합성 이미지부(100)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학습자의 연상력 향상을 위해 상기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의 국가 지도로 도시된 이미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합성 이미지부(100)는 도시 단위로 분할 도시되거나, 복수개의 도시가 합쳐 진 형태로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각의 도시 단위로 분할 도시될 수도 있고, 대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몇개의 도시가 1개의 이미지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합성 이미지부(100)는 도시 단위의 조각(Piece) 또는 복수개의 도시가 1개로 합쳐진 합체 조각 단위로 이루어진 조각부(120)가 구비되어 상기 합성 이미지부(10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조각부(120)는 일종의 퍼즐과 같이 합성 이미지부(100)에서 분리되며, 상기 합성 이미지부(100)에는 조각부(120)가 착탈되도록 결합홈(10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조각부(120)는 결합홈(102)에 끼워지거나 외측으로 빼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조각부(120)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122)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요철부(122)는“凹”또는“凸”형태로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122)는 일반인(유아, 어린이 및 노약자)과 시각 장애인이 손쉽게 해당 조각부(120)의 형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유아 및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인지 발달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므로 손가락을 통해 촉각으로 전달되는 감각을 통해 새로운 사물 또는 형태에 대해 연상을 통한 인지가 가능해지므로 위와 같이 조각부(120)에 요철부(122)를 형성한다.
또한 시각 장애인은 시각을 통한 사물 판단이 어려워서 정확한 사물의 형태를 인지하기가 어려우므로, 위와 같이 요철부(122)를 형성하여 촉각을 통한 조각 부(120)의 형태를 일반인 및 장애인을 모두 포함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각부(120)에는 학습자가 촉각을 통해 대표 이미지로 표현된 형태를 인지 할 수 있도록 상기 조각부 상면에 양각부(124)와 음각부(126)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양각부(124)와 음각부(126)의 기준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대표 이미지로 표현된 조각부(120)가 사람일 경우에는 모자, 의상, 장신구 등이 양각부(124)로 표현되고, 얼굴, 손, 발을 포함한 신체는 음각부(126)로 표현될 수 있다. 신체에서 눈, 코, 입과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는 양각부(124)로 표현될 수 있다.
합성 이미지부(100)에는 국가 지도 외측으로 이격되어 그림 형태의 부연 이미지(110,120,130,140)가 도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연 이미지(110,120,130,14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미지부(200)는 해당 국가의 대표 이미지가 미도시된 상태로 국가 지도가 도시된 제1 이미지부(210)와; 상기 제1 이미지부(210)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대표 이미지 없이 해당 국가의 도시명이 표기된 제2 이미지부(220); 및 상기 제2 이미지부(220)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백지도로 해당 국가가 도시된 제3 이미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2,3 이미지부(210,220,230)는 각각 서로 다른 면(Page)상에 도시되며, 학습자가 제1 이미지부(210)로부터 제3 이미지부(230)까지 순차적으로 보고 인지하게 된다.
상기 이미지부(200)에는 제3 이미지부(230)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해당 국가의 실제 지도상에 도시명이 기입된 제4 이미지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제4 이미지부(240)는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인공위성으로 직접 촬영한 위성지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국가 지도는 합성 이미지부(100)와 이미지부(200)가 특정 국가를 나타내기 위한 한 셋트(Set)를 이루며, 다수개의 국가가 셋트 단위로 구분되게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상 학습용 책(1)을 통해 각국의 지도 및 도시명을 학습하는 학습자가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까지 순차적으로 넘겨 보면서 자연스럽게 다수개의 국가에 대한 형태와 도시명을 인지 및 학습하게 되고, 상기 다수개의 국가가 셋트 단위로 이루어져서 학습자의 이미지 형상화 및 기억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상 학습용 책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은 책 내부에 일체로 제본된 속지상에 국가를 대표하는 각종 대표 이미지가 표현된 도시가 합쳐져서 국가 지도로 형상화된 합성 이미지부(100'); 및 상기 합성 이미지부(100')가 도시된 해당 면(Page)과 마주보는 다른 면(Page)에 상기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의 국가 지도로 도시된 이미지부(200')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연상 학습용 책(1')을 펼치게 되면 좌측 페이지에는 합성 이미지부(100')가 도시되고, 우측 페이지에는 이미지부(200')가 도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의 사용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연상 학습용 책(1)을 펼쳐서 미국을 선택하면, 상기 미국을 대표 하는 대표 이미지가 도시된 합성 이미지부(100)가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미국에 대한 대표 이미지는 트럼프, 인디언, 러슈모어산(Mount Rushmore)의 석상, 아메리칸 댄스, 독립 선언문, 독수리에 대한 이미지이며 상기 이미지가 학습자에게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ST100) 된다.
상기 미국을 대표하는 대표 이미지는 위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른 이미지가 추가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돕기 위해 위에서 언급한 것으로 한정 설명 한다.
상기 대표 이미지(100)에는 실제 미국 지도에 맞추어서 각각 지역의 형태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트럼프에서 부터 독수리 까지 학습자가 이미지로 인식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도시 되거나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자면, 미국 지도에 도시된 대표 이미지(100)의 좌측에 킹(king) 카드가 도시되고, 상기 킹 카드와 마주보면서 퀸(Queen) 카드가 미국 지도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합성 이미지부(100)의 외측에는 상기 킹과퀸으로 도시된 트럼프 카드가 부연 이미지(110a)로 도시되어 있어서, 학습자는 미국 지도의 형태에 맞추어 대표 이미지로 표현된 킹과퀸 카드를 머리속에 이미지화하여 기억하게 된다.
학습자는 상기 킹 카드와 퀸 카드 사이에 어린아이가 도시되어 있어서 킹 카 드는 아버지로 인식하고, 퀸 카드는 어머니로 인식하며 상기 어린아이는 어버지 어머니 사이의 아이로 인식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 및 연상 효과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 킹과 퀸 카드의 우측에는 석상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부연 이미지(110b)로 러슈모어산(Mount Rushmore)에 역대 대통령의 두상이 조각되어 있다.
상기 석상 이미지는 학습자가 부연 이미지(110b)로 도시된 역대 대통령의 두상을 이미지화 하여 기억하게 되고 트럼프 카드와 석상 이미지를 기억하게 된다.
상기 석상 이미지의 하측에는 미국 국기의 휘장으로 쓰이는 독수리가 미국 지도의 지형에 맞추어 도시되어 있으며, 부연 이미지(110f)로 독수리가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석상 이미지의 우측에는 인디언 형상을 한 인디언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부연 이미지(110c)로 인디언이 도시되어 있어서 학습자가 이를 손쉽게 이미지화 하여 기억하게 된다.
상기 인디언 이미지의 우측에는 남여가 한 쌍이 되어서 춤을 추는 형상을 한 부연 이미지(110d)인 댄스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댄스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알고 있는 왈츠에 대한 뿌리 역활을 하는 아메리칸 댄스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댄스 이미지의 우측에는 독립 선언문의 사각형태에 맞추어서 부연 이미지(110e)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4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학습자는 미국의 전체 이미지를 순차적 으로 기억한 상태에서 다음 페이지에 도시된 제1 이미지부(210)를 보게 되면, 합성 이미지부(100)에서 이미지로 기억된 대표 이미지를 한번 더 연상(ST110)하게 된다.
만약, 학습자가 제1 이미지부(210)에 도시된 미국 지도를 보고, 미국의 대표 이미지와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이미지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에는(ST10) 합성 이미지부(100)가 도시된 미국 지도가 한번 더 디스플레이되어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된 도 4c를 참조하면, 국가에 포함된 다수개의 도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명이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ST200)되고, 학습자는 이미지로 기억된 기억을 바탕으로 제2 이미지부(220)에 도시된 미국의 전체 도시명을 학습한다.
이때 다수개의 도시명이 무작정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아니라, 합성 이미지부(100)에서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된 대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미국 지도의 좌측에서 부터 우측 순서 또는 학습자가 원하는 순서대로 도시명이 디스플레이되며, 학습자는 학습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트럼프 카드의 부연 이미지로 기억했던 킹에 해당되는 도시인 워싱턴과, 오리곤, 캘리포니아, 네바다를 학습자가 학습하고, 나머지 도시 지역도 순차적으로 대표 이미지 또는 도시의 형태에 따라 형상화된 합성 이미지를 기억하여 계속 학습해 나간다.
또한, 독수리로 도시된 텍사스를 비롯하여 인디언 이미지로 도시된 미네소타, 아이오와, 미쥬리등을 학습자가 기억된 이미지를 통해 학습해간다.
첨부된 도 4d를 참조하면, 제3 이미지부(230)에 도시된 백지도가 디스플레이 되면서 전 페이지에서 학습된 도시명에 대해 학습자는 도시면 또는 국가명을 기입해 볼 수 있다.
만약 학습자가 기억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도시명을 기입하다가 상기 도시명이 기억 나지 않아 해당 도시명을 기입하지 못할 경우(ST20)에는 제2 이미지부(220)가 도시된 페이지로 가서 다시 한번 더 도시명을 학습한다.
첨부된 도 4e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 제4 이미지부(240)에 도시된 실제 지도가 디스플레이 되면서 학습자는 이미 기억한 도시명과 실제 지도와 대조하여 상호 비교 검토(ST310)를 실시 한다.
상기 실제 지도는 위성을 통해 작업이 이루어진 지도를 사용하여 미국의 실제 지역 경계와 정확히 일치하며, 학습자가 기억한 합성 이미지를 통해 직접 기입한 도시명을 하나씩 기억해볼 수 있게 됨으로써 반복적인 학습 효과를 유발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프랑스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a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는 미국에 대한 지도와 도시명이 모두 디스플레이된 이후에 다음페이지에 도시된 프랑스가 상기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ST100) 된다.
프랑스를 상징하는 대표이미지는 지도 중앙에 군인으로 도시된 합성 이미지를 기준으로 좌, 우 측에 각각 드레스 및 모자를 쓰고 있는 여자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와, 상기 군인 하측에 위치한 아기 및 광대를 학습자가 우선적으로 인식하면 서 프랑스 전체 국가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기억하게 된다.
상기 군인 이미지는 부연 이미지(120a)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나폴레옹을 도시한 것이며, 군인 의상을 해당 지역에 형상화하여 학습자의 이해력과 이미지 기억력을 향상시키도록 하였으며, 군인 이미지의 좌측에는 드레스를 입고, 망토를 두르고 모자를 쓴 여인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망토는 중세시대의 여인이 즐겨있는 의상 형태에 해당되며, 학습자가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형상화가 가능하도록 부연 이미지(120d)로 도시하였다.
군인 이미지의 우측에는 모자를 쓴 아이가 손을 이마에 올린 형태로 지도가 형상화되어 있으며 부연 이미지(120b)상에 모자를 쓴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상기 도시의 형태를군인 이미지의 우측에 모자를 쓴 아이, 그리고 이마에 손을 올린 형태로 인식하고, 부수적으로 부연 이미지(120b)를 인식하고 연상하게 된다.
또한, 군인 이미지의 하측에는 아기 이미지가 모자를 쓰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프랑스 지도 외측으로 부연 이미지(120c)가 도시되어 있어서 학습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지하게 된다. 상기 아기 이미지의 오른쪽에는 광대와 개의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5b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는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이미지가 미도시된 지도와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면서 학습자가 이를 다시 한번 연상하여 기억해 본 다(ST110). 이때, 학습자의 연상 기억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색깔 그대로 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1 이미지부(210)에 도시된 프랑스 지도를 보고, 프랑스 대표 이미지와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이미지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에는(ST10)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프랑스 지도를 다시 한번 더 학습한다.
첨부된 도 5c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는 제2 이미지부(220)에 도시된 프랑스의 전체 도시명이 디스플레이되면서 학습자는 이를 학습(ST200)한다. 이때 다수개의 도시명을 무작정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합성 이미지부(100)에서 이미지로 기억한 대표 이미지를 기억한 상태에서 프랑스 지도의 중앙을 기준으로 도시명을 학습한다.
첨부된 도 5d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 제3 이미지부(230)에 도시된 백지도가 디스플레이되면서 학습자는 전 페이지에서 학습한 도시명을 순차적으로 기입해 본다.
만약 학습자가 기억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도시명을 기입하다가 상기 도시명이 기억 나지 않아 해당 도시명을 기입하지 못할 경우(ST20)에는 제2 이미지부(220)가 도시된 페이지로 가서 다시 한번 더 도시명을 학습한다.
첨부된 도 5e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 제4 이미지부(240)에 도시된 실제 지도와 이미 디스플레이되어 실제 지도와 대조하여 상호 비교 검토(ST310)가 이루어지도록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실제 지도는 프랑스의 실제 지역 경계와 정확히 일치하며, 학습자가 기 억한 합성 이미지를 통해 직접 기입한 도시명을 하나씩 기억해볼 수 있게 됨으로써 반복적인 학습 효과를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본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6a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 프랑스 지도가 모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일본 지도가 디스플레이되기 위해 일본에 대한 대표 이미지(벗꽃, 나막신, 사무라이, 후지산)가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ST100)된다.
일본 지도의 경우에는 우측 상부에 위치한 훗카이도에 남여가 입맛춤하는 형태로 합성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합성 이미지는 학습자가 키스 훗카이도로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기억할 수 있으며, 상기 키스 훗카이도 이미지에서 여자 의상은 기모노로, 신발은 조리로. 상기 기모노 상에 벗꽃에 도시되어 있음을 이미지 형상화를 통해 기억하게 된다. 일본 지도의 외측에는 기모노, 벗꽃, 조리에 해당되는 부연 이미지(130a, 130b, 130c)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키스 훗카이도의 남자 의상은 유카타(상의)를 입은 체로 도시되어 있으며 부연 이미지(130d)로 상기 유카타가 도시되어 있어서 학습자가 이를 인식하여 학습하게 된다.
훗카이도의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정복을 입은 남자의 가슴에 일본 황실을 상징하는 황실문장이 합성 이미지화하여 도시되어 있고, 일본 지도 외측에 부연 이미지(130e)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마주보는 위치에 사무라이 의상을 입은 남자가 합성 이미지로 형상화되어 있고 부연 이미지(130h)로 함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정복을 입은 남자와 사무라이 남자 이미지 사이에는 후지산과 신칸센 (고속철도)을 합성 이미지화하여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 부연 이미지(130f,130g)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사무라이 남자의 뒤쪽에는 나가기를 입은 남자가 게다(나막신)를 신은 형태로 합성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이격되어 부연 이미지(130i)가 함께 도시되어 있어서 학습자가 이를 이미지화하여 기억하게 된다.
첨부된 도 6b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는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이미지가 미도시된 지도가 연이어 디스플레이되고(ST110), 이를 본 학습자는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이미지를 다시 한번 연상하여 기억해 본다. 이때, 학습자의 연상 기억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색깔 그대로 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1 이미지부(210)에 도시된 일본 지도를 보고, 일본 대표 이미지와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이미지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에는(ST10) 합성 이미지부(100)에 도시된 일본 지도를 다시 한번 더 학습한다.
첨부된 도 6c를 참조하면, 제2 이미지부(220)에 도시된 일본의 전체 도시명이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ST200)된다. 이때 학습자는 다수개의 도시명을 무작정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합성 이미지부(100)에서 이미지로 기억한 대표 이미지를 기억한 상태에서 도시명을 학습한다.
첨부된 도 6d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 제3 이미지부(230)로 도시된 백지도가 디스플레이되고, 제공된 백지도 이미지를 통해 학습자가 전 페이지에서 학습한 도시명을 순차적으로 재기억 가능하도록(ST300) 디스플레이 되며, 학습자가 이를 기 억하여 도시명을 기입해 볼 수 있다.
만약 학습자가 기억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도시명을 기입하다가 상기 도시명이 기억 나지 않아 해당 도시명을 기입하지 못할 경우(ST20)에는 제2 이미지부(220)가 도시된 페이지로 가서 다시 한번 더 도시명을 학습한다.
첨부된 도 6e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 제4 이미지부(240)에 도시된 실제 지도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이미 디스플레이된 도시명과 실제 지도와 대조 가능하도록 상기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ST310)됨으로써, 학습자는 보다 정확하게 도시명과 해당 국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학습자에 대한민국지도가 디스플레이(ST100) 되면서 대한민국의 대표 이미지로 도시된 무궁화, 한복, 꽃신, 도령의 합성 이미지로 도시된 대한민국 지도를 상기 학습자가 학습하게 된다.
도령 이미지는 대한민국 지도의 상부에 왕건모를 쓴 부연 이미지(140g)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도령 이미지에서 도령은 갓신을 신은 형태로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 또한 부연 이미지(140a)로 도시되어 있어서 학습자가 이를 확인하고 이미지 형태로 기억하게 된다.
상기 도령 이미지의 하측에는 호박단추가 있는 저고리를 입은 아이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고 부연 이미지(140h,140i)로 호박단추와 저고리가 각기 도시되어 있다.
아이 이미지의 오른쪽 발 위치에는 웃고 있는 여자아이 머리에 북한 국화에 해당되는 목란이 합성 이미지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목란은 부연 이미지(140b)로 대한민국 지도의 외측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이 이미지의 하측에는 색동 저고리와 노리개, 꽃신 및 조바위를 머리에 쓰고 대한민국의 국화인 무궁화를 꽂은 여자 아이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색동 저고리와 노리개, 꽃신, 조바위 및 무궁화는 부연 이미지(140d, 140e, 140f, 140k, 140j)는 부연 이미지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어서 학습자가 이를 인지하고 기억하는데 보다 도움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합성 이미지로 도시된 대한민국 지도를 보고 학습자가 해당 국가의 지형을 인식하여 학습을 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명을 학습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명을 기입하고 다시 확인하는 설명은 실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상 학습용 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상 학습용 책(1)은 위에서 설명한 국가별 지도를 통한 학습 용도 이외에 국가형태가 합성 이미지로 분할된 퍼즐로 변형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대한민국 지도에 도령 이미지로 도시된 조각부(120)를 대한민국 지도의 외측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도령 이미지가 위치한 대한민국 지도는 결합홈(10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도령 이미지가 착탈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각부(120)의 외곽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요철부(1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유아, 어린이 및 시각 장애인이 촉각을 통해 해당 조각부의 형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자 아이 이미지에는 일반인을 포함한 시각 장애인이 손으로 만져보고 해당 형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양각부(124)와 음각부(126)가 형성되어 있어서 요철부(122)를 통해서는 해당 국가 또는 해당 도시의 외곽 형태를 인지하고, 상기 양각부(124)와 음각부(126)를 통해서는 합성 이미지의 구체적인 형상을 인지할 수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상 학습용 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연상 학습용 책(1')은 합성 이미지부(100')와 이미지부(200')가 좌, 우 양쪽 페이지에 각각 도시된 형태로 하여 학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에는 학습자가 학습 도중에 연상이 되지 않는 지도 및 도시명을 손쉽게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학습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상 학습용 책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책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연상 학습용 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합성 이미지부 110 : 부연 이미지
200 : 이미지부 210 : 제1 이미지부
220 : 제2 이미지부 230 : 제3 이미지부
240 : 제4 이미지부

Claims (15)

  1. 해당 국가의 역사적인 인물, 의상 및 동,식물이 도시의 형태에 맞추어 형상화된 대표 이미지가 형상화된 지도를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국가의 도시명이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도시명 디스플레이 단계; 및
    도시명이 미표기된 백지도 이미지가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제공된 백지도 이미지를 통해 학습자에게 도시와 국가의 형상을 재기억 가능하게 하는 이미지 제공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는
    이미지화된 도시가 표현되지 않은 지도가 학습자에게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학습자가 대표 이미지를 한번 더 연상하도록 하는 이미지 재연상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이미지는 분할된 다수개의 도시가 서로 다른 색깔로 구분되어 지 도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 단계는
    도시명과 국가명이 미 표기된 백지도에 학습자가 기억한 도시명 또는 국가명을 기입해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 단계는
    지명이 표기된 실제 지도와 학습자가 기억한 도시명이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비교 검토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6. 책 내부에 일체로 제본된 속지상에 해당 국가의 역사적인 인물, 의상 및 동,식물이 도시의 형태에 맞추어 형상화된 대표 이미지가 표현된 도시가 합쳐져서 국가 지도로 형상화된 합성 이미지부; 및
    상기 합성 이미지부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학습자의 연상력 향상을 위해 상기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의 국가 지도가 도시된 이미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학습용 책.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이미지부는 각각의 도시 단위로 분할 도시되거나, 복수개의 도시가 합쳐진 형태로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학습용 책.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이미지부는 도시 단위의 조각(Piece) 또는 복수개의 도시가 한개로 합쳐진 합체 조각 단위로 이루어진 조각부가 구비되어 상기 합성 이미지부에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학습용 책.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부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학습용 책.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부에는 학습자가 촉각을 통해 대표 이미지로 표현된 형태를 인지 할 수 있도록 상기 조각부 상면에 양각부와 음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학습용 책.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이미지부에 도시된 대표 이미지의 도시는 인물 또는 동, 식물의 형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물이 입은 의류는 특정 도시 또는 지역적 특색이 가미된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학습용 책.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이미지부에는
    국가 지도 외측으로 이격되어 그림 형태의 부연 이미지가 도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학습용 책.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부는
    해당 국가의 대표 이미지가 미도시된 상태로 국가 지도가 도시된 제1 이미지부;
    상기 제1 이미지부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대표 이미지 없이 해당 국가의 도시명이 표기된 제2 이미지부; 및
    상기 제2 이미지부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백지도로 해당 국가가 도시된 제3 이미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학습용 책.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부에는
    제3 이미지부의 다음 면(Page)에 도시되며 해당 국가의 실제 지도상에 도시명이 기입된 제4 이미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학습용 책.
  15.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국가 지도는 합성 이미지부와 이미지부가 특정 국가를 나타내기 위해 한 셋트(Set)를 이루고, 다수개의 국가가 셋트 단위로 구분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학습용 책.
KR1020090034651A 2009-04-21 2009-04-21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 KR101134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651A KR101134500B1 (ko) 2009-04-21 2009-04-21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651A KR101134500B1 (ko) 2009-04-21 2009-04-21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603A Division KR101157029B1 (ko) 2012-02-27 2012-02-27 지리 정보 학습을 위한 모니터 상에서의 지리적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968A true KR20100115968A (ko) 2010-10-29
KR101134500B1 KR101134500B1 (ko) 2012-04-09

Family

ID=4313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651A KR101134500B1 (ko) 2009-04-21 2009-04-21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5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1376A1 (en) * 2004-07-23 2006-02-23 Poppen Richard F Automated prioritization of map objects
US10650039B2 (en) * 2016-02-25 2020-05-12 Lionheart Legacy Uco Customizable world map
CN111833664A (zh) * 2018-06-12 2020-10-27 宋雨宸 一种中国历史学习工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806A (ko) * 1987-07-21 1989-04-11 김현경 연상기억 효과를 지닌 국내외 지도내에 동식물 형상 표출방법
JP3062042U (ja) * 1997-11-07 1999-09-28 直樹 岡本 日本地図の都道府県別ジグソーパズルによる学習用教材
KR20050116520A (ko) * 2004-06-08 2005-12-13 김현이 이미지와 의미가 연관된 학습 교재용 카드 및 상기 카드의제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1376A1 (en) * 2004-07-23 2006-02-23 Poppen Richard F Automated prioritization of map objects
US8311737B2 (en) * 2004-07-23 2012-11-13 Decarta Inc. Automated prioritization of map objects
US10650039B2 (en) * 2016-02-25 2020-05-12 Lionheart Legacy Uco Customizable world map
CN111833664A (zh) * 2018-06-12 2020-10-27 宋雨宸 一种中国历史学习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500B1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idel Neuropsychology of art: Neurological, cognitive, and evolutionary perspectives
Lingis Foreign bodies
Kurtz Athenian white lekythoi
Goldberg The lord who is half woman: Ardhanārīśvara in Indian and feminist perspective
Kunz Rings for the Finger
Rothstein Sight and spirituality in early netherlandish painting
Yahya Magic and divination in Malay illustrated manuscripts
Hendrix Painted Early Cycladic figures: an exploration of context and meaning
KR101134500B1 (ko) 이미지 연상을 통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상 학습용 책
Coe Art: The replicable unit—an inquiry into the possible origin of art as a social behavior
Mina et al. An Archaeology of Prehistoric Bodies and Embodied Identitie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Elsner Figurines: figuration and the sense of scale
Wenzel The image of the Buddha: Buddha icons and aniconic traditions in India and China
KR101157029B1 (ko) 지리 정보 학습을 위한 모니터 상에서의 지리적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Boner et al. The essence of form in sacred art
Peck The ordering of the figure
KR102361001B1 (ko) 인지강화를 위한 인지-지각 훈련키트 시스템
RU185031U1 (ru) Тренажер-куб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зрительно-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Hunt Empathetic wounds: Gregorio Fernández’s Cristos yacentes as a nexus of art, anatomy, and Counter-Reformation theology
Porterfield Lesson 05: Ideal Beauty in the Ancient World
Ramsamy-Iranah et al. Introducing Assistive Tactile Colour Symbol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 Preliminary Research
Schertz Seer or victim? The figure of Marsyas in Roman art, religion, and politics
Achrati Hand prints, footprints and the imprints of evolution
Moore Paper Cuts: The Production of Knowledge in Early Modern Anatomical Prints
Li Imagery in Buddhist Art: The Evolution of the Worship of Buddha Vairochana and the Five Buddha Fami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