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543A - 완강기 - Google Patents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543A
KR20100115543A KR1020090034171A KR20090034171A KR20100115543A KR 20100115543 A KR20100115543 A KR 20100115543A KR 1020090034171 A KR1020090034171 A KR 1020090034171A KR 20090034171 A KR20090034171 A KR 20090034171A KR 20100115543 A KR20100115543 A KR 20100115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rod
fixing rod
locking ro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610B1 (ko
Inventor
성인길
Original Assignee
성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인길 filed Critical 성인길
Priority to KR102009003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61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줄의 로프를 사용하여 완강기와 함께 아래로 하강하면서 화재 등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의 몸통와,
그 몸통의 외관 일측에 형성되어 로프를 통과시키는 로프통로 귀와,
상기 몸통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걸림봉 및 상부 걸림봉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몸통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걸림봉로 구성되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로프통과 귀 및 상부 걸림봉 사이의 몸체에 이격거리를 둔 로프 마찰부와,
상기 브레이크장치 하단에 설치되며, 체인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통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고정봉 및 상부 고정봉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체인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통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고정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걸림봉 및 고정봉의 단순한 구조를 사용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마찰통에 권회된 로프에 의하여 1차 브레이크 작동을 하고, 교차로 형성된 상하부 걸림봉에 의하여 2차로 브레이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다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완강기, 걸림봉, 고정봉, 탄성걸이구, 로프

Description

완강기{Fire escape apparatus}
본 발명은 한 줄의 로프를 사용하여 완강기와 함께 아래로 하강하면서 화재 등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동시에 안정도가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완강기는 비상시 탈출용으로 사용되는 기구로서, 아파트,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고정설치된 계단, 승강기 등의 피난설비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사용된다.
완강기는 일반 완강기와 간이 완강기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모두 사용자가 안전벨트만 착용하고 있으면 조속기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속도가 제어된다는 편리함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조속기의 작동을 위하여 조속기 내부에 여러 가지 장치들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져 제작단가가 높아지고, 완강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속기 작동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은 완강기(등록특허 제745615 호)가 제안되었다.
이 완강기는 긴 파이프 형상의 몸체(45)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안전 가이드 바(44)와, 상기 상부 안전 가이드바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하강시 로프가 몸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로프 걸이구(42)와, 상기 몸체 하부의 측면에 부착되어,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몸에 감은 안전걸이 끈을 결착할 수 있는 하부 안전 가이드 바(43)로 구성되고,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 안전 가이드바(44), 로프 걸이구(42), 하부 안전가이드바(43)가 몸체쪽으로 그 끝부분이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원리는 사용자가 아래로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한 로프(41)를 천천히 위로 올리면, 로프(41)가 위로 올려지면서 몸체(45)와 마찰되어 브레이크가 약화되면서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완강기의 경우 로프걸이구(41)에 삽입된 로프가 풀리면서 하강하기 때문에 로프가 부드럽고 질긴 고가의 로프를 사용하여야 만 되며(신축성이 존재하는 로프), 저가인 신축성이 없는 딱딱한 로프를 사용하는 경우 로프걸이구(41)에서 로프가 풀릴때 어려움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프 걸이구(42), 상부 안전 가이드바(44) 및 하부 안전가이드바(43)에 로프를 걸기 위하여는 등산용 매듭묶기의 "8"자 묶음과 같은 지식이 있어야 만 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여자들의 경우 로프 묶기에 어려움이 존재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완강기의 경우 처음부터 하강하는 인원 및 로프의 인장력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다양한 인원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기에 부족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보자도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완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은 브레이크 동작이 확실하고, 단순한 로프 묶기에 의하여 달성할 수가 있다.
다른 목적은 사용하는 인원수에 따라 별도의 구조가 필요없는 완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마찰통에 권회되는 권회수 및 로프의 종류 및 굵기의 선택에 의하여 달성된다.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작동이 확실한 완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몸통을 권회하는 로프에 의하여 1차 브레이크 작동이 되고, 상하로 교차로 형성된 상하 걸림봉에 의하여 2차 브레이크 되도록 하여 달성될 수가 잇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완강기는 원통형의 몸통와, 그 몸통의 외관 일측에 형성되어 로프를 통과시키는 로프통로 귀와, 상기 몸통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걸림봉 및 상부 걸림봉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몸통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걸림봉로 구성되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로프통과 귀 및 상부 걸림봉 사이의 몸체에 이격거리를 둔 로프 마찰부와,
상기 브레이크장치 하단에 설치되며, 체인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통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고정봉 및 상부 고정봉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체인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통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고정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 걸림봉 및 하부걸림봉은 원통형 몸통의 외부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직교로 교차되는 상부 고정봉 및 하부 고정봉에는 각각 체인을 삽입시킨후 용접으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걸림봉 및 고정봉의 단순한 구조를 사용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마찰통에 권회된 로프에 의하여 1차 브레이크 작동을 하고, 교차로 형성된 상하부 걸림봉(3),(4)에 의하여 2차로 브레이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다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특수한 매듭묶기 등을 사용하고 아니하고 상하부 걸림봉에 권회된 로프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위로 로프를 보내는 동작에 의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서서히 아래로 하강할 수가 있어 초보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 가 있으며,
또한 완강기의 탑승인원에 따라 그 구조의 변경이 없고, 단지 로프의 종류 및 굵기 만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제품 양산시에 다른 제품보다 생산원가를 낮출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완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완강기(10)는 원통형의 긴 몸통(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몸통(1)의 상부 일측에 로프통과 귀(2)가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완강기(10) 몸통(1)의 중간부분에 상부 걸림봉(3) 및 하부 걸림봉(4)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상부 걸림봉(3) 및 하부 걸림봉(4)은 일정한 이격거리를 가지고 서로 직교하여 몸통(1)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몸통(1)의 하부에는 상부 고정봉 및 하부 고정봉(5),(6)이 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봉(5) 및 하부 걸림봉(6)은 일정한 이격거리를 가지고 서로 직교하여 몸통(1)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도 2의 단면도에 그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몸통(1)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걸림봉(3) 및 상부 걸림봉(3)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몸통(1)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 착되는 하부 걸림봉(4)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프통과 귀(2) 및 상부 걸림봉(4) 사이의 몸체에 이격거리를 둔 로프 마찰부(25)를 가지고 있어 하강시 로프와 마찰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상부 걸림봉(3) 및 하부걸림봉(4)은 원통형 몸통(1)의 외부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돌출 설치되어 있어 아파트 외벽과 같은 구조물에 몸통(1)이 직접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장치 하단에 설치되며, 체인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통(1)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고정봉(5) 및 상부 고정봉(5)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체인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통(1)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고정봉(6)로 구성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직교로 교차되는 상부 고정봉(5) 및 하부 고정봉(6)에는 각각 체인(7),(8)을 삽입시킨후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도 3 및 도 4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완강기(10)을 사용하기 위하여 로프(9)를 로프통과 귀(2)을 통과시키어 마찰통(25)에 수회 권회한 후 상부 걸림봉(3)을 돌아 하부 걸림봉(4)을 돌아 브레이크 장치로 작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고정봉(5),(6)에 용접으로 고정된 체인(7),(8)에는 탈출자가 몸에 감긴 로프(22)가 탄성걸이구(21)를 통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걸이구(21)는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걸이구로서 등산장비의 일종인 "카라비너"이며, 상기 체인(7),(8) 고리의 수 만큼 탄성설이구(21)를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결국 비상시 탈출자는 상기 체인(7),(8)에 탄성걸이구(21)을 걸고, 도 4와 같이 로프의 일측 탄성걸이구(11)는 별도로 벽에 설치된 고정판에 걸고 완강기를 타고 탈출을 도모한다,
즉, 이때 브레이크 장치인 상부 및 하부 걸림봉(3),(4)을 통하여 권회되어 있는 로프(9)를 위로 올려 풀거나 아니면 브레이크가 걸려 있는 위치(a)에서 브레이크가 풀리는 위치(b)로 위치시키면, 상부 및 하부 걸림봉(3),(4)을 통하여 브레이크가 점차 풀리면서 완강기와 함께 탈출자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로프(9)를 위치(a)로 이동시키면, 상부 및 하부 걸림봉(3),(4)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고 있어 강력히 브레이크 동작을 수행하고 되는 것으로 탈출자는 자기가 원하는 속도로 하강할 수가 있다.
그리고 마찰통(25)에는 로프가 수회 권회되어 있어 탈출자가 하강시 마찰력을 보유하면서 천천히 하강할 수가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가 있다.
특히 이 마찰통은 순간적으로 로프을 놓치는 경우라도 마찰통에 수회 권회된 로프에 의하여 마찰력이 발생되어 브레이크 동작을 수행하므로 보다 안전된 하강을 확보 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로프의 끝부분에는 인정봉(12)을 연결할 수가 있는 것으로 탈출시 로프를 놓치는 경우에 안정봉(12)이 상기 상하부 걸림봉(3),(4)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양 걸림봉 사이에 걸리게 되므로 안전하게 탈출을 도모할 수가 있는 것으로 이경우 지상에서 일정 높이를 두고 안정봉(12)을 고정시키면 된다.
탈출시 탈출하고자 하는 인원에 따라 로프는 종류 및 굵기를 달리 할 수가 있으며, 마찰통(25)에 권회되는 로프의 횟수를 조절하여 안전하게 탈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완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완강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완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로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완강기의 구동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완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통 2 : 로프통과 귀
3 : 상부 걸림봉 4 : 하부 걸림봉
5: 상부 고정봉 6 : 하부 고정봉
7, 8 : 체인 9 : 로프
10 : 완강기 11, 21 : 탄성걸이구
25 : 마찰통

Claims (3)

  1. 원통형의 몸통(1)와,
    그 몸통(1)의 외관 일측에 형성되어 로프를 통과시키는 로프통로 귀(2)와,
    상기 몸통(1)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걸림봉(3) 및 상부 걸림봉(3)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몸통(1)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걸림봉(4)로 구성되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로프통과 귀(2) 및 상부 걸림봉(4) 사이의 몸체에 이격거리를 둔 로프 마찰부(25)와,
    상기 브레이크장치 하단에 설치되며, 체인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통(1)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고정봉(5) 및 상부 고정봉(5)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체인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통(1)을 관통하여 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고정봉(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걸림봉(3) 및 하부걸림봉(4)은 원통형 몸통(1)의 외부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일정간격을 두고 직교로 교차되는 상부 고정봉(5) 및 하부 고정봉(6)에는 각각 체인(7),(8)을 삽입시킨후 용접으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KR1020090034171A 2009-04-20 2009-04-20 완강기 KR101145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71A KR101145610B1 (ko) 2009-04-20 2009-04-20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71A KR101145610B1 (ko) 2009-04-20 2009-04-20 완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543A true KR20100115543A (ko) 2010-10-28
KR101145610B1 KR101145610B1 (ko) 2012-05-15

Family

ID=4313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171A KR101145610B1 (ko) 2009-04-20 2009-04-20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1286A (zh) * 2014-06-13 2014-08-27 陈波宇 一种多功能救生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3921A (zh) * 2012-12-25 2014-07-02 何思妮 新型缓降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866B1 (ko) * 2002-11-22 2004-03-22 상 국 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지지구조물
KR200405608Y1 (ko) * 2005-09-12 2006-01-11 박종래 완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1286A (zh) * 2014-06-13 2014-08-27 陈波宇 一种多功能救生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610B1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5611A1 (en) Self-Belay And Rappel Device And Methods Of Use
US20190277088A1 (en) Pass-Through Cable Grab System
KR101145610B1 (ko) 완강기
US20110011671A1 (en) Belaying apparatus with friction claw for climbing
WO2014194381A1 (en) Improvements in rope access equipment
US20160206902A1 (en) Fire escape emergency descent system (eds)
US20040262083A1 (en) Safety device for escaping from building
CN201076683Y (zh) 高楼逃生装置
KR101024097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WO20070049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cuing occupants from an elevated position
CN202740661U (zh) 钳式高楼逃生器
KR100599093B1 (ko) 산업용 하강전용 하강기.
JP4338098B2 (ja) 脱出用避難器具
KR200405608Y1 (ko) 완강기
KR200340975Y1 (ko) 로프에 설치하는 비상탈출용 완강장치
CA2943729C (en) Fall arrester and ladder fall prevention system
KR100745615B1 (ko) 완강기
CN212067482U (zh) 一种逃生装置
JP2002070017A (ja) 法面作業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法面作業安全帯
CN210933484U (zh) 一种高层火灾速降自救器
CN202645419U (zh) 安全逃生梯
CN212866817U (zh) 一种便于拆装的安全立网
CN110384878B (zh) 一种高层建筑速降逃生装置
CN208852271U (zh) 高层建筑自救式安全逃生装置
CN106837161A (zh) 楼层上下逃生的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