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453A - 무단 변속기의 전후진 변속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단 변속기의 전후진 변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453A
KR20100115453A KR1020090034030A KR20090034030A KR20100115453A KR 20100115453 A KR20100115453 A KR 20100115453A KR 1020090034030 A KR1020090034030 A KR 1020090034030A KR 20090034030 A KR20090034030 A KR 20090034030A KR 20100115453 A KR20100115453 A KR 20100115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w
driven
planetary
contro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8501B1 (ko
Inventor
최태수
Original Assignee
최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수 filed Critical 최태수
Priority to KR102009003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50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12/00Driving activities
    • F16H2312/09Switching between forward and rever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8-0025075)의 무단 변속 장치에 유성기어세트를 조합, 연결한 전후진 변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공지 기술의 유성기어세트를 결합방법, 즉 그 연결 방법을 달리하여 조합하면 통상의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 동력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전진, 중립 및 후진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으며, 입력대비 출력의 변속비 폭을 크게 할 수 있어 원가절감 및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가진다.
단순 유성기어세트(Simple planetary gear set),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세트(Double pinion planetary gear set), 복합 유성기어세트(Compound planetary gear set), 전후진 시스템, 구동 콘트롤기어, 종동 콘트롤기어

Description

무단 변속기의 전후진 변속시스템{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ystem 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무단 변속기의 전후진 변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의 단락 없이 전진, 중립 및 후진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입력 대비 출력의 변속비 폭을 무한대로 확장하여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성능을 개선한 것이다.
통상의 자동차용 변속기에서는 습식 또는 건식 클러치를 사용하여 동력을 차단한 후 전진, 중립 및 후진을 하고 있다.
즉, 이러한 종래기술의 무단변속기구에서는 전진, 중립 및 후진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클러치 또는 싱크로나이져 시스템을 사용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원가의 상승은 물론, 무게가 무겁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무단변속기에서 통상의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지의 기술인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하여 동력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전진, 중립 및 후진을 연속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원가 절감 및 효율을 증대시켜 에너지 절감을 기하고, 변속비의 변화폭을 무한대로 해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원리를 도 1에 의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도면부호를 지정할 때 'P', 'C', 'S', 'R' 이라는 문자가 조합되는데, 이것은 각각 'P'는 Planet Pinion, 'C'는 Planet Carrier, 'S'는 Sun Gear, 'R'은 Ring Gear의 약자를 지칭하는 것이다.
도 1의 (a)는 공지의 기술인 단순 유성기어세트(Simple planetary gear set)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b)는 도 1의 (a)의 단순 유성기어세트 부품 중에서 선기어의 회전력, 유성캐리어의 회전력, 링기어의 회전력 및 작용점을 레버 상에 각각 S, C, R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9023615112-PAT00001
이다.
도 1의 (c)에서 선기어(S)를 고정하고, 링기어(R)의 회전시 유성캐리어(C)의 회전속도 관계를 살펴보면, 선기어(S)의 회전수를 Ns, 잇수를 Zs라 하고, 링기 어(R)의 회전수를 Nr, 잇수를 Zr이라고 하며, 유성캐리어(C)의 회전수를 Nc라고 하자.
Ns=0일 때 Nr:Nc=(Zs+Zr):Zr 이므로
Figure 112009023615112-PAT00002
이다
여기서 선기어(S)를 출력축으로 했을 때 링기어(R)의 회전수 Nr을 일정하게 하고, 유성캐리어(C)의 회전수
Figure 112009023615112-PAT00003
로 하면 선기어(S)의 회전수 Ns=0이 되어 출력축은 정지하게 된다.
도 1의 (d)는 링기어(R)의 회전수 Nr을 일정하게 하고, 유성캐리어(C)의 회전수 Nc를
Figure 112009023615112-PAT00004
보다 크게 하면, 선기어(S)의 회전수 Ns>0이다.
도 1의 (e)는 링기어(R)의 회전수(Nr)와 유성캐리어(C)의 회전수(Nc)를 같게 하면 선기어(S)의 회전수(Ns)도 링기어(R)의 회전수(Nr)와 같게 된다.
즉, Nr=Nc=Ns 이다.
도 1의 (f)는 유성캐리어(C)의 회전수(Nc)가 링기어(R)의 회전수(Nr) 보다 크면 선기어(S)의 회전수(Ns)는 링기어(R)의 회전수(Nr) 보다 크다.
도 1의 (d), 도 1의 (e), 도 1의 (f)는 링기어(R), 유성캐리어(C), 및 선기어(S)의 회전방향이 모두 일치한다.
도 1의 (g)는 도 1의 (d), 도 1의 (e), 도 1의 (f)를 모두 표시한 것으로, 선기어(S)를 출력축으로 하고, 회전수(Nc)가
Figure 112009023615112-PAT00005
보다 크면, 선기어(S)가 링기어(R)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전진상태가 된다.
도 1의 (h)는 링기어(R)의 회전수(Nr)를 일정하게 하고, 유성캐리어(C)의 회전수(Nc)를
Figure 112009023615112-PAT00006
보다 작게 하면, 선기어(S)는 링기어(R)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선기어를 출력축과 일체로 연결하면 후진상태가 된다.
도 2는 선출원한 무단 변속기에 단순 유성기어세트를 연결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구동 선기어(101D)와 일체인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에 구동기어(101DG)를 일체로 연결하고, 종동 선기어(101F)와 일체인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에 종동기어(101FG)를 일체로 연결한다.
링기어(421R)와 일체로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하고, 유성캐리어(431C)와 일체로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한다.
구동기어(101DG)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가 치합하여 동력이 링기어(421R)로 전달되고, 종동기어(101FG)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가 치합하여 동력이 유성캐리어(431C)로 전달된다.
구동선기어(101D)와 종동선기어(101F)의 회전 속도비를 변화시켜 주므로 인해 링기어(421R)와 유성캐리어(431C)의 회전 속도비가 변화되어 종동축과 일체로 연결된 선기어(411S)가 연속적으로 전진, 중립 및 후진을 실현한다.
본 발명에서, 무단변속기에 연결되는 유성기어세트에는 단순 유성기어세트(Simple planetary gear set), 더블피니언 유성기어세트(Double pinion planetary gear set), 복합 유성기어세트(Compound planetary gear set)가 사용되며, 이러한 유성기어세트 형태의 연결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전후진 시스템을 이룰 수가 있다.
본원에서는 13가지의 전후진 시스템의 예를 들었다.
본 발명에서는, 무단변속기에서 통상의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지 기술인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하여, 동력의 단락 없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전진, 중립 및 후진을 연속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원가 절감 및 효율을 증대시켜 에너지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변속비의 변화폭을 무한대로 하여 성능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치 및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선출원(출원번호 10-2008-0025075)의 무단변속기에서의 무단변속기 시스템 중 그 한 예인 무단변속기 시스템(NO.1)에 조합 연결된 전후진 시스템(SP01)(전후진 시스템의 상세한 예는 후술함)의 실시예의 조립 단면이다.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와 구동기어(101DG)는 스플라인으로 조립하여 일체로 연결하고, 구동기어(101DG)의 우측에는 써클립(331)을 구동 선기어샤프 트(101DS)에 끼운다.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와 종동기어(101FG)는 스플라인으로 조립하여 일체로 연결하고, 종동기어(101FG)의 우측에는 써클립(332)을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에 끼운다.
링기어(421R)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스플라인으로 조립한 후 용접하여 일체로 연결한다.
유성캐리어(431C)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스플라인으로 조립한 후 용접하여 일체로 연결한다.
선기어(411S)와 출력샤프트(461OS)는 스플라인으로 조립한 후 용접하여 일체로 연결한다.
링기어(421R)의 내측과 선기어(411S)의 외측에는 유성피니언(441P)을 치합시키고, 유성피니언(441P)은 유성캐리어(431C)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유성피니언(441P)의 내경에는 니이들베어링(342)을 조립하며, 유성피니언(441P)의 좌측 및 우측에는 쓰러스트베어링(324)을 조립한다.
유성캐리어(431C)와 링기어(421R) 사이에는 쓰러스트베어링(327)을 삽입하여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시 회전이 원활하도록 한다.
유성캐리어(431C)의 내경과 출력샤프트(461OS)의 외경 사이에는 니이들베어링(348)을 끼워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고, 니이들베어링(348)의 좌측 및 우측에는 쓰러스트베어링(321)을 조립하며, 써클립(331)을 출력샤프트(461OS)에 끼운다.
링기어(421R)의 외경에 로울러베어링(349)을 조립시켜 케이스(17)에 끼워 링 기어(421R)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로울러베어링(349)의 좌측 및 우측에는 쓰러스트베어링(329)을 조립하고, 써클립(336)을 링기어(421R)에 끼워 링기어(421R)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링기어(421R)와 일체로 연결된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구동기어(101DG)와 치합하고, 유성캐리어(431C)와 일체로 연결된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종동기어(101FG)와 치합한다.
출력샤프트(461OS)의 외경과 케이스(16) 사이에는 볼베어링(351)을 삽입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며, 볼베어링(351)의 좌측에는 쓰러스트베어링(321)을 조립하고, 출력샤프트(461OS)의 외경으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오일씰(362)을 케이스(16)에 삽입한다.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의 외경과 케이스(16) 사이에 볼베어링(351)을 삽입하고, 볼베어링(351)의 왼쪽에 쓰러스트베어링(322)을 조립하며, 써클립(332)을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에 끼운다.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와 케이스(16) 사이에 오일씰(363)을 끼워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의 외경으로부터의 누유를 방지한다.
동력전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와 일체로 연결된 구동선기어(101D), 구동기어(101DG)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선기어(101D)와 치합되어 있는 구동 제1유성기어(103D)는 구동 캐리어샤프트(102DS) 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101DG)와 치합되어 있는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제1유성기어(103D)와 치합되어 있는 구동 제2유성기어(104D)는 구동 제2유성기어샤프트(107D)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제2유성기어(104D)의 둘레와 종동 제2유성기어(104F)의 둘레에 동시에 치합되어 있는 체인과 같은 전동요소(10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구동부(D)의 동력을 종동부(F)로 전달한다.
전동요소(105)에 치합된 종동 제2유성기어(104F)는 종동 제2 유성기어샤프트(107F)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자전하고, 종동 제2유성기어(104F)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 제1유성기어(103F)는 종동 캐리어샤프트(102FS) 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며, 종동 제1유성기어(103F)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선기어(101F)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종동선기어(101F)는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와 일체로 연결되고,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와 일체로 연결된 종동기어(101FG)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종동 콘트롤기어(461FCG)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와 일체로 연결되는 링기어(421R)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와 일체로 연결된 유성캐리어(431C)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링기어(421R)의 회전수를 Nr, 잇수를 Zr, 선기어(411S)의 회전수를 Ns, 잇수 를 Zs라 하고, 유성캐리어(431C)의 회전수를 Nc라 하면,
Figure 112009023615112-PAT00007
이므로
Figure 112009023615112-PAT00008
이 되어 출력샤프트(461OS)는 정지되고,
Figure 112009023615112-PAT00009
이면 출력샤프트(461OS)는 링기어(421R)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즉 전진하고,
Figure 112009023615112-PAT00010
이면, 출력샤프트(461OS)는 링기어(421R)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후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무단변속기에 연결되는 전후진 시스템의 한 예로서의 실시예를 기술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그 연결 방법을 달리한 전후진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전후진 시스템(SP01)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연결되는 전후진 시스템(SP01)으로서 이에 대해 다시 기술한다.
즉, 선기어(411S)의 외측과 링기어(421R)의 내측에 다수의 유성피니언(441P)을 치합시키고, 유성피니언(441P)은 유성캐리어(431C)에서 자전하며, 유성캐리어(431C)는 선기어(411S)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통상의 단순 유성기어세트에서 링기어(421R)와 일체로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하고, 유성캐리어(431C)와 일체 로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하며, 선기어(411S)와 일체로 출력샤프트(461OS)를 연결한 것이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킨다.
링기어(421R)로 동력이 입력되어, 링기어(421R)의 회전수(Nr)와 유성캐리어(431C)의 회전수(Nc)의 비를 변화시켜 전후진을 하는 시스템이다.
링기어(421R)의 잇수를 Zr, 회전수를 Nr이라 하고, 유성캐리어(431C)의 회전수를 Nc라 하며, 선기어의 회전수를 Ns, 잇수를 Zs라 하면,
유성캐리어(431C)의 회전수(Nc)는
Figure 112009023615112-PAT00011
이면,
출력샤프트(461OS)는 정지하게 되고,
Figure 112009023615112-PAT00012
이면,
출력샤프트(461OS)는 링기어(421R)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Figure 112009023615112-PAT00013
이면,
출력샤프트(461OS)는 링기어(421R)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후진하게 된다.
2. 전후진 시스템(SP02)
도 5는 전후진 시스템(SP01)과 같이 단순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 스템(SP02)을 도시한 것이다.
즉, 유성캐리어(431C)와 일체로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하고, 링기어(421R)와 일체로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한 것이다.
유성캐리어(431C)로 동력이 입력되고, 유성캐리어(431C)의 회전수(Nc)와 링기어(421R)의 회전수(Nr)의 비를 변화시켜 전진, 정지 및 후진을 하는 시스템이다.
3. 전후진 시스템(DP01)
도 6은 더블피니언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스템(DP01)을 도시한 것이다.
즉, 선기어(411S)의 외측에 다수의 제1유성피니언(441PA)을 치합시키고, 제1유성피니언(441PA)의 외측에 제2유성피니언(441PB)를 치합시킨다.
제2유성피니언(441PB)은 링기어(421R)의 내측에 치합된다.
제1유성피니언(441PA)와 제2유성피니언(441PB)은 유성캐리어(431C)에서 자전하며, 유성캐리어(431C)는 선기어(411S)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통상의 더블피니언 유성기어세트에서 링기어(421R)와 일체로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시키고, 유성캐리어(431C)와 일체로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시키며, 선기어(411S)와 일체로 출력샤프트(461OS)를 연결시킨 구조이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킨다.
링기어(421R)로 동력이 입력되고, 링기어(421R)의 회전수(Nr)와 유성캐리어(431C)의 회전수(Nc) 비를 변화시켜 출력샤프트(461OS)가 링기어(421R)와 정방향 으로 회전 및 정지하며, 그리고 링기어(421R)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스템이다.
4. 전후진 시스템(DP02)
도 7은 전후진 시스템(DP02)과 같이 더블피니언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스템(DP02)을 도시한 것이다.
즉, 유성캐리어(431C)와 일체로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시키고, 링기어(421R)와 일체로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시킨 구조이다.
유성캐리어(431C)로 동력이 입력되고, 유성캐리어(431C)의 회전수(Nc)와 링기어(421R)의 회전수(Nr)의 비를 조정하여 선기어(411S)와 일체로 연결한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및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시스템이다.
5. 전후진 시스템(CP01)
도 8은 단순 유성기어세트를 두개로 나열한 복합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스템(CP01)를 도시한 것이다.
즉, 좌측의 단순 유성기어세트의 구성부품을 제1열이라하고, 우측의 단순 유성기어세트의 구성부품을 제2열이라 한다.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일체로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한다.
제1열 선기어(411S1)와 일체로 제2열 링기어(421R2)를 연결한다.
제1열 링기어(421R1)와 일체로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연결하고, 제2 열 유성캐리어(431C2)와 일체로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한다.
제2열 선기어(411S2)와 일체로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를 조정하므로써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및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시스템이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킨다.
6. 전후진 시스템(CP02)
도 9는 전후진 시스템(CP01)에서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위치를 바꾼 구조이다.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링기어(421R1)와 제2열 선기어(411S2)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선기어(411S1)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 구조이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킨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를 조정하므로써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및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시스템이다.
7. 전후진 시스템(CP03)
도 10은 복합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스템(CP03)을 도시한 것이다.
즉,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선기어(411S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링기어(421R2)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링기어(421R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2열 선기어(411S2)를 출력샤프트(461OS)와 일체로 연결한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킨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를 조정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및 회전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8. 전후진 시스템(CP04)
도 11은 복합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스템(CP04)을 도시한 것이다.
즉, 제1열 링기어(421R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링기어(421R1)와 제2열 선기어(411S2)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선기어(411S1)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다.
구동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종동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를 조정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및 회전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9. 전후진 시스템(CP05)
도 12는 복합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스템(CP05)을 도시한 것이다.
즉, 제2열 선기어(411S2)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선기어(411S1)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킨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를 조정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력을 변화시킨다.
10. 전후진 시스템(CP06)
도 13은 복합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스템(CP06)을 도시한 것이다.
즉, 제2열 선기어(411S2)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선기어(411S1)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링기어(421R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링기어(421R2)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킨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 를 조정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11. 전후진 시스템(CP07)
도 14는 복합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스템(CP07)을 도시한 것이다.
즉,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제1열 선기어(411S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링기어(421R1)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2열 선기어(411S2)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킨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를 조정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력을 변화시킨다.
12. 전후진 시스템(CP08)
도 15는 복합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스템(CP08)을 도시한 것이다.
즉, 제1열 링기어(421R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선기어(411S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2열 선기어(411S2)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종동 콘트롤기 어(451FCG)는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킨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를 조정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및 회전력을 변화시켜 전진, 중립 및 후진을 하게 된다.
13. 전후진 시스템(CP09)
도 16은 제1열의 단순 유성기어세트와, 제2열의 더블피니언 유성기 어세트로 구성된 복합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전후진 시스템(CP09)을 도시한 것이다.
제1열 선기어(411S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링기어(421R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유성피니언(441P1)과 제2열 제2 유성피니언(441PB2)을 일체로 연결한다.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시키고,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2열 선기어(411S2)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다.
제2열 선기어(411S2)와 제2열 제2 유성피니언(441PB2) 사이에 제2열 제1 유성피니언(441PA2)을 치합한다.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킨다.
도 17은 전후진 시스템의 치합방법(A)에 관한 것으로, 무단변속기 시스템 중 에서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 또는 입력축(예를 들어 선출원에서의 111D)으로 동력이 입력되고,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 또는 출력축(예를 들어 선출원에서의 111F)으로 동력이 출력되는 경우에 전후진 시스템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 또는 입력축(111D)에 구동기어(101DG)를 일체로 연결하고, 구동기어(101DG)와 전후진 시스템의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치합한다.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 또는 출력축(111F)에 종동기어(101FG)를 일체로 연결하고, 종동기어(101FG)와 전후진 시스템의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치합하는 방법이다.
도 18은 전후진 시스템의 치합방법(B)에 관한 것으로, 무단변속기 시스템 중에서 구동 링기어(106D)로 동력이 입력되고, 종동 링기어(106F)로 동력이 출력되는 경우에 전후진 시스템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구동링기어(106D)와 구동기어(101DG)를 일체로 연결하고, 구동기어(101DG)와 전후진 시스템의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치합한다.
종동링기어(106F)와 종동기어(101FG)를 일체로 연결하고, 종동기어(101FG)와 전후진 시스템의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치합한다.
도 19는 전후진 시스템의 치합방법(C)에 대하여 무단변속기 시스템 중에서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로 동력이 입력되고, 종동링기어(106F)로 동력이 출력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와 구동기어(101DG)를 일체로 연결하며, 종동링기어(106F)와 종동기어(101FG)를 일체로 연결한다.
구동기어(101DG)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아이들기어 샤프트(472IGS) 상에서 자전하고 있는 아이들기어(471IG)로 동시에 치합하여 연결한다.
종동기어(101FG)는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와 치합한다.
도 20 내지 도 32는 상술한 전후진 시스템을 무단변속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선출원 무단변속기에 단순 유성기어세트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선출원 무단변속기에서의 무단변속기 시스템(NO.1)에 조합, 연결된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SP01) 실시예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SP01)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SP02)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DP01)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DP02)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1)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2)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3)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4)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5)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6)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7)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8)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9)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의 치합 방법(A)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의 치합 방법(B)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의 치합 방법(C)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SP01)의 장착도(NO.1).
도 21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SP02)의 장착도(NO.2).
도 22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DP01)의 장착도(NO.3).
도 23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DP02)의 장착도(NO.4).
도 24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1)의 장착도(NO.5).
도 25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2)의 장착도(NO.6).
도 26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3)의 장착도(NO.7).
도 27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4)의 장착도(NO.8).
도 28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5)의 장착도(NO.9).
도 29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6)의 장착도(NO.10).
도 30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7)의 장착도(NO.11).
도 31은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8)의 장착도(NO.12).
도 32는 본 발명의 전후진 시스템(CP09)의 장착도(NO.1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6, 17: 케이스
101D: 구동선기어
101DG: 구동기어
101DS: 구동선기어샤프트
101F: 종동선기어
101FG: 종동기어
101FS: 종동선기어샤프트
102DS: 구동 캐리어샤프트
102FS: 종동 캐리어샤프트
103D: 구동 제1유성기어
103F: 종동 제1유성기어
104D: 구동 제2유성기어
104F: 종동 제2유성기어
105: 전동요소
107D: 구동 제2유성기어샤프트
107F: 종동 제2유성기어샤프트
411S: 선기어
421R: 링기어
431C: 유성캐리어
441P: 유성피니언
441PA: 제1유성피니언
441PB: 제2유성피니언
451DCG: 구동 콘트롤기어
451FCG: 종동 콘트롤기어
461OS: 출력샤프트

Claims (17)

  1. 구동 제2유성기어(104D)와 종동 제2유성기어(104F)의 둘레에 치합되어 구동부(D)의 동력을 종동부(F)에 전달하는 치형부(tooth)를 가진 전동요소(105)를 포함하는 변속 시스템과, 연속적인 변속비를 얻기 위해 상기 변속 시스템을 조정하는 변속 조정 시스템과, 체인과 같은 상기 전동 요소(105)의 회전시 회전 반경의 동심원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가이드콘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에 조합, 연결되는 전후진 시스템으로서,
    구동선기어(101D)와 일체인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에 구동기어(101DG)를 일체로 연결하고, 종동선기어(101F)와 일체인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에 종동기어(101FG)를 일체로 연결하며,
    선기어(411S), 링기어(421R), 다수의 유성피니언(441P) 및 유성캐리어(431C)로 이루어진 단순 유성기어세트를 구비하고,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단순 유성기어세트의 구성요소와의 연결방법을 달리하며,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상기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상기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키고,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를 조정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및 회전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단순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SP01)으로서, 상기 링기어(421R)와 일체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하고, 상기 유성캐리어(431C)와 일체로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하며, 상기 선기어(411S)와 일체로 출력샤프트(461OS)를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단순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SP02)으로서, 상기 유성캐리어(431C)와 일체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하고, 상기 링기어(421R)와 일체로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하며, 상기 선기어(411S)와 일체로 출력샤프트(461OS)를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4. 구동 제2유성기어(104D)와 종동 제2유성기어(104F)의 둘레에 치합되어 구동부(D)의 동력을 종동부(F)에 전달하는 치형부(tooth)를 가진 전동요소(105)를 포함하는 변속 시스템과, 연속적인 변속비를 얻기 위해 상기 변속 시스템을 조정하는 변속 조정 시스템과, 체인과 같은 상기 전동 요소(105)의 회전시 회전 반경의 동심원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가이드콘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에 조합, 연결되 는 전후진 시스템으로서,
    구동선기어(101D)와 일체인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에 구동기어(101DG)를 일체로 연결하고, 종동선기어(101F)와 일체인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에 종동기어(101FG)를 일체로 연결하며,
    선기어(411S), 링기어(421R), 다수의 제1유성피니언(441PA)과 제1유성피니언(441PA) 외측에 치합한 제2유성피니언(441PB)의 더블피니언 및 유성캐리어(431C)로 이루어진 더블피니언 유성기어세트를 구비하고,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세트의 구성요소와의 연결방법을 달리하며,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상기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상기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를 조정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및 회전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DP01)으로서, 상기 링기어(421R)와 일체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하고, 상기 유성캐리어(431C)와 일체로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하며, 상기 선기어(411S)와 일체로 출력샤프트(461OS)를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더블피니언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DP02)으로서, 상기 유성캐리어(431C)와 일체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하고, 상기 링기어(421R)와 일체로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하며, 상기 선기어(411S)와 일체로 출력샤프트(461OS)를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7. 구동 제2유성기어(104D)와 종동 제 2유성기어(104F)의 둘레에 치합되어 구동부(D)의 동력을 종동부(F)에 전달하는 치형부(tooth)를 가진 전동요소(105)를 포함하는 변속 시스템과, 연속적인 변속비를 얻기 위해 상기 변속 시스템을 조정하는 변속 조정 시스템과, 체인과 같은 상기 전동 요소(105)의 회전시 회전 반경의 동심원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가이드콘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에 조합, 연결되는 전후진 시스템으로서,
    구동선기어(101D)와 일체인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에 구동기어(101DG)를 일체로 연결하고, 종동선기어(101F)와 일체인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에 종동기어(101F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단순 유성기어세트와 제2열 단순 유성기어세트로 이루어진 복합 유성기어세트를 구비하고,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구성요소와의 연결방법을 달리하며,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상기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상기 종동콘트롤기어(451FCG)는 상기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를 조정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및 회전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CP01)으로서,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일체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연결하고, 제1열 선기어(411S1)와 일체로 제2열 링기어(421R2)를 연결하며, 제1열 링기어(421R1)와 일체로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연결하고,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일체로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연결하며, 제2열 선기어(411S2)와 일체로 출력샤프트(461OS)를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CP02)으로서,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링기어(421R1)와 제2열 선기어(411S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선기어(411S1)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CP03)으로서,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선기어(411S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링기어(421R2)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링기어(421R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선기어(411S2)를 출력샤프트(461OS)와 일체로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CP04)으로서, 제1열 링기어(421R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링기어(421R1)와 제2열 선기어(411S2)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선기어(411S1)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CP05)으로서, 제2열선기어(411S2)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선기어(411S1)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CP06)으로서, 제2열 선기어(411S2)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선기어(411S1)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링기어(421R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2열 링기어(421R2)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CP07)으로서,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선기어(411S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링기어(421R1)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2열 선기어(411S2)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CP08)으로서, 제1열 링기어(421R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선기어(411S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선기어(411S2)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16. 구동 제2유성기어(104D)와 종동 제 2유성기어(104F)의 둘레에 치합되어 구동 부(D)의 동력을 종동부(F)에 전달하는 치형부(tooth)를 가진 전동요소(105)를 포함하는 변속 시스템과, 연속적인 변속비를 얻기 위해 상기 변속 시스템을 조정하는 변속 조정 시스템과, 체인과 같은 상기 전동 요소(105)의 회전시 회전 반경의 동심원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가이드콘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구동선기어(101D)와 일체인 구동 선기어샤프트(101DS)에 구동기어(101DG)를 일체로 연결하고, 종동선기어(101F)와 일체인 종동 선기어샤프트(101FS)에 종동기어(101F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단순 유성기어세트와 제2열 더블피니언 유성기어세트로 이루어진 복합 유성기어세트를 구비하고,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구성요소와의 연결방법을 달리하며,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는 상기 구동기어(101DG)와 치합시키고,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는 상기 종동기어(101FG)와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의 회전수와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회전수 비를 조정하여 출력샤프트(461OS)의 회전방향 및 회전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콘트롤기어(451DCG) 및 상기 종동 콘트롤기어(451FCG)의 상기 복합 유성기어세트의 각 구성요소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후진 시스템(CP09)으로서, 제1열 선기어(411S1)와 구동 콘트롤기어(451DCG)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1열 링기어(421R1)와 제2열 링기어(421R2)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제1유성피니언(441P1)과 제2열 제2유성피니언(441PB2)을 일체로 연결하며, 제1열 유성캐리어(431C1)와 제2열 유성캐리어(431C2)를 일체로 연결시키고, 제2열 유성캐리어(431C2)와 종동 콘트롤기어(451FCG)를 일체로 연결하며, 제2열 선기어(411S2)와 출력샤프트(461OS)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2열 선기어(411S2)와 제2열 제2유성피니언(441PA2) 사이에 제2열 제1유성피니언(441PA2)을 치합한 무단변속기의 전후진 시스템.
KR1020090034030A 2009-04-20 2009-04-20 무단 변속기의 전후진 변속시스템 KR101178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030A KR101178501B1 (ko) 2009-04-20 2009-04-20 무단 변속기의 전후진 변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030A KR101178501B1 (ko) 2009-04-20 2009-04-20 무단 변속기의 전후진 변속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453A true KR20100115453A (ko) 2010-10-28
KR101178501B1 KR101178501B1 (ko) 2012-09-03

Family

ID=4313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030A KR101178501B1 (ko) 2009-04-20 2009-04-20 무단 변속기의 전후진 변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5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2131A (zh) * 2014-12-03 2015-04-01 厦门跃众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三轮车变速箱
CN111451289A (zh) * 2020-04-08 2020-07-28 扬州泰富智造传动装备有限公司 一种立式轧机减速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18367T2 (de) 1995-03-24 2002-11-14 Aisin Aw Co Stufenloses Getriebe
KR100262593B1 (ko) 1996-12-17 2000-08-01 정몽규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20080027363A (ko) 2005-07-23 2008-03-26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무단 가변 변속비를 포함하는 복수의 변속비 비율을 갖는동력 분기형 변속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2131A (zh) * 2014-12-03 2015-04-01 厦门跃众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三轮车变速箱
CN111451289A (zh) * 2020-04-08 2020-07-28 扬州泰富智造传动装备有限公司 一种立式轧机减速机
CN111451289B (zh) * 2020-04-08 2022-04-08 扬州泰富智造传动装备有限公司 一种立式轧机减速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501B1 (ko)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216B2 (en)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US8376889B2 (en) Transmission producing continuously variable speed ratios
EP2971864B1 (en) Split power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architecture
US9188200B2 (en) Multi-speed transmission
US5971883A (en) Multi-speed power transmission
CA2670248C (en) Dual clutch multi-speed transaxle
US20110165986A1 (en) Transmission Producing Continuously Speed Ratios
US20160272059A1 (e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788102B1 (ko) 분류식 무단 변속기
KR20190057981A (ko) 전기차량용 변속기
US10197134B2 (en) Hybrid transmission having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pawl clutch
CN109764107B (zh) 一种变速传动装置
US8574110B2 (en) Transmission producing stepless variable speed ratios
US10371235B2 (en) Multiple speed transmission
CN113561757B (zh) 单电机单行星排多挡混合动力变速箱以及混合动力车辆
KR100240547B1 (ko) 무단 변속 장치
CN111664238A (zh) 一种无级变速器
JP6078401B2 (ja) 車両の駆動装置
KR101178501B1 (ko) 무단 변속기의 전후진 변속시스템
US20110059824A1 (en) Mode changing device for a power branching transmission
CN104806713A (zh) 一种电动车离心式三档自动变速系统
CN110998140A (zh) 成组变速器装置
KR20090103143A (ko) 유성치차를 이용한 연속 고변속장치
KR100987032B1 (ko) 연속 가변 변속기
CN218440449U (zh) 双电机四挡变速器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