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949A - 의료용 바늘 - Google Patents

의료용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949A
KR20100114949A KR1020090033385A KR20090033385A KR20100114949A KR 20100114949 A KR20100114949 A KR 20100114949A KR 1020090033385 A KR1020090033385 A KR 1020090033385A KR 20090033385 A KR20090033385 A KR 20090033385A KR 20100114949 A KR20100114949 A KR 2010011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edge
medical needle
need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482B1 (ko
Inventor
김양신
Original Assignee
김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신 filed Critical 김양신
Priority to KR102009003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48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피부를 뚫고 인체내의 특정 통증부위 내로 자입(刺入)하여 자극요법 및/또는 주사요법을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바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은 기단측에서 말단측으로 길다란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고 말단측으로 갈수록 상하면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하면이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는 양측단에 형성된 제1 커팅에지와 상기 제1 커팅에지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커팅에지보다 기단측으로 오목한 제2 커팅에지를 구비한다.
의료용 바늘, 커팅부, 관통부, 경뇌막, 주사요법, 자극요법

Description

의료용 바늘{MEDICAL NEEDLE}
본 발명은 의료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피부를 뚫고 인체내의 특정 통증부위 내로 자입(刺入)하여 자극요법 또는 주사요법을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바늘에 관한 것이다.
만성 근골격계 통증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의료문제 중 하나로서, 현재까지 연구된 바로는 통증부위에 대한 수술요법을 대신하여 바늘을 이용한 자극요법 또는 주사요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만성 통증에 있어서는 조직과 조직 사이에 유착이 발생하여 신경이나 힘줄 등의 움직임을 방해하면 더 많은 손상을 발생하고 이로 인한 통증이 발생한다. 예컨대, 힘줄의 움직임이 제한된 수근관 증후군, 신경(median nerve)의 움직임이 제한된 수근관 증후군, 힘줄부착부위의 운직임이 저하된 테니스엘보, 윤활막(synovium)이 종창되어 있어서 힘줄이 풀리(pulleys)를 자유롭게 통과할 때 필요한 공간이 좁아진 협착성건초염 등의 질병의 경우 힘줄 또는 신경이 주위 조직과 유착하여 통증과 움직임의 제한이 동반된다.
도 1은 손목 주위의 힘줄, 신경, 인대, 혈관 등의 내부조직이 보이도록 도시 한 것이고, 도 2는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수술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의 수근관(carpal tunnel)(4)은 정중신경(median nerve)(2) 및 손가락굽힘근 힘줄(flexor tendons)(3) 등이 통과하는 다발이며, 근막(1)으로 둘러 쌓인다. 신경이나 혈관이 두꺼워 지거나 주위조직과 마찰이 많이 일어나는 경우 염증이 유발되며, 염증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신경이나 혈관과 주위조직 간에 유착이 발생한다. 따라서, 신경(2)이나 힘줄(3)의 움직임이 저하되고, 통증이 유발된다. 이러한 유착을 박리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피부를 절개하고 유착을 박리하였으나 수술 후에 수술부위(A)에 의한 재 유착이 극심한 경우가 있고, 합병증이나 부작용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수술요법은 피부조직에도 큰 흉터를 남기며, 수술 후 회복시간이 상당히 요구된다. 따라서, 손상부위를 최소화하면서 치료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주사요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주사요법은 협착부위에 주사바늘(10a)을 이용하여 소염제 등의 주사약을 투약하여 치료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주사요법은 인대와 수근관을 절개하지 않고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지만, 신경 및 혈관 등의 유착을 모두 완벽하게 박리하여 치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수근관 내시경을 이용한 박리요법(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내시경 등과 같이 수근관 내부를 탐지할 수 있는 장치(내시경)를 장착한 바늘(10b)을 수근관을 관통하도록 진행 시킨 후, 협착부위를 박리용 바늘(10c)을 이용하여 박리시킨다. 즉, 힘줄을 다치 지 않게 하면서 박리용 바늘(10c)로 주위 조직과의 유착을 해제하면 통증이 완화되고 운동범위가 자유로워지면서 치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료를 위해 신경이나 힘줄 주위의 유착부위를 떼어내는 바늘 또는 유착 부위에 주사약을 투입하기 주사바늘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인 바늘은 선단부가 날카롭거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늘 이동시에 힘줄 및 신경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결대로 힘줄 및 신경과 주변조직간의 협착부를 박리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늘을 목적부위까지 진행시키면서 바늘의 날카로운 부분과 뾰족한 부분에 의해 주변조직 및 혈관에 상처가 생기거나 힘줄, 또는 신경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혈관, 근섬유 등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인체 내 치료대상 신경, 힘줄, 또는 근막으로 자입되어 근육과 힘줄, 근육과 근육, 힘줄과 힘줄, 근육과 근막사이 및 신경과 근막(경막), 경막과 인대 등의 서로 다른 조직 혹은 두 개의 같은 조직 사이에 발생한 조직의 유착을 해당 조직을 따라 결대로 이동하면서 유착부를 갈라 박리시킴으로써 유착으로 발생되는 만성적인 통증을 치료할 수 있는 의료용 바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늘이 인체 내 목적부위까지 이동하는 동안 바늘의 선단에 조직이 닿더라도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의료용 바늘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단측에서 말단측으로 길다란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고 말단측으로 갈수록 상하면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하면이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는 양측단에 형성된 제1 커팅에지와 상기 제1 커팅에지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커팅에지보다 기단측으로 오목한 제2 커팅에지를 구비하는 의료용 바늘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커팅에지의 양측 모서리는 라운드되어 있고, 상기 제2 커팅에지는 기단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되며, 상기 커팅부는 상기 관통부보다 급한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의 기단측에서 말단측까지의 길이가 상기 커팅부의 기단측에서 말단측까지 길이의 여덟 배이고, 상기 제2 커팅에지의 상기 기단측으로 오목한 부분의 곡률반경이 상기 본체의 반지름과 동일하며, 상기 제1 커팅에지 양측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상기 제2 커팅에지의 곡률반경의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상기 관통부 및 상기 커팅부를 가로질러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장비 등의 투시장비로 바늘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바늘을 진행시킬 수 있고, 바늘의 커팅부의 중앙부가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 커팅부의 오목한 부분을 주변조직과 협착된 신경이나 힘줄 등의 시술대상 조직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이동시키면 대상 조직의 표면을 따라 결대로 이동하면서 협착부를 쉽게 박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팅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목표지점을 향해 바늘이 이동하는 동안 주변 조직에 바늘의 커팅부에 접촉한다 하더라도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100)의 각 구성요소 부위 중 사용자, 즉, 시술자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부위를 기단이라 정의하고, 시술자로부터 가장 멀게 위치하는 부위를 말단이라 정의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의 의료용 바늘의 말단측 단부를 상측에서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5의 의료용 바늘의 말단측 단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의료용 바늘(100)은 단면이 원인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 형상으로서 기단측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는 본체(110)와, 환자의 피부를 뚫고 바늘(100)을 인체에 자입시키기 위해 본체(100)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고 말단측으로 갈수록 상하면이 좁아지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관통부(120)와, 관통부(120)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하면이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커팅에지를 갖는 커팅부(130)를 포함하며, 커팅부(130)는 양측단에 형성된 제1 커팅에지(131)와, 제1 커팅에지(131)들을 연결하고 제1 커팅에지(131)보다 기단측으로 오목한 제2 커팅에지(13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의 단면은 원기둥 형상이다.
바늘(100)이 환자의 신체에 자입되어 진행할 때 피부, 혈관, 신경, 근섬유 등의 조직을 절개하면서 진행하기 보다는 조직을 밀어내면서 진행하여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커팅부(130)의 제1 커팅에지(131) 양측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다. 제2 커팅에지(132)의 오목한 부분도 동일한 이유로 라운드 처리된다. 즉, 제1 커팅에지(131)의 양측 모서리는 라운드되어 있고, 제2 커팅에지(132) 또한 기단측으 로 오목하게 라운드 되어 있다.
바늘의 마찰력 및 제1 및 제2 커팅에지(131, 132)의 절개성능을 고려할 때 바늘의 치수는 아래와 같이 최적화된다. 아래의 길이 비례 및 각도는 본체(110)의 지름이 1.2mm인 경우 최적화 된 것이다.
커팅부(130)는 관통부(120)에 비해 급한 경사를 갖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측면에서 볼때 관통부(120)를 볼때 상하면이 이루는 각도는 10도 내외이고, 커팅부(130) 상하면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내외이다. 따라서 커팅부(130)가 관통부(120)보다 더 급한 경사를 갖는다.
제1 커팅에지(131)의 양단부 상하면도 라운드되면서도 말단부는 에지가 형성되도록 압연 성형된다. 제2 커팅에지(132)는 제1 커팅에지(131)가 형성된 후 기단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면서도 말단부는 에지가 형성되도록 압연 성형된다. 결과적으로 제2 커팅에지(132)의 상하면이 이루는 각도는 제1 커팅에지(131)의 상하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다.
또한, 관통부(120)의 길이는 기단에서 말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커팅부(130)의 약 여덟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팅에지(132)의 곡률반경은 바늘(100) 본체(110)의 반지름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커팅에지(131) 양측 모서리의 곡률반경은 제2 커팅에지(132)의 곡률반경의 약 1/4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을 이용하여 치료대상 조직(5)에 협착된 주변조직(6)을 박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을 이용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을 이용하여 협착성 건초염을 치료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근관 증후군의 치료는 의료용 바늘(100)의 오목한 제2 커팅에지(132)를 정중신경(2)에 인접하게 배치된 후 정중신경(2)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정중신경(2)과 협착된 주변조직을 정중신경(2)의 결을 따라 박리시키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제2 커팅에지(132)의 오목한 형상은 의료용 바늘(100)이 대상조직인 정중신경(2)을 따라 이동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제1 커팅에지(131)는 일종의 가이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중신경(2)과 수근관(4)이 협착된 수근관 증후군의 경우 의료용 바늘(100)을 정중신경(2)과 수근관(4) 사이에 삽입하여 정중신경(2)을 따라 진행시켜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착성 건초염 등과 같은 힘줄(3)과 관련된 질병의 경우 치료대상인 손가락의 힘줄(3)과 협착된 주변조직(5) 사이에 의료용 바늘 삽입하여 힘줄(3)을 따라 진행시켜 유착 또는 협착된 부위를 박리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제2 커팅에지(132)는 힘줄 및 신경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서로 근접해 있는 혈관, 신경, 근섬유 등의 조직에 바늘(100) 최첨단의 커팅부(130) 중앙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커팅에지(132)를 인접하게 위치시키고 대상조직에 협착 된 주변조직과의 틈을 통해 바늘(100)을 삽입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에 주사용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의료용 바늘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관통부(120) 및 커팅부(130)를 가로질러 관통하는 관통공(140)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관통공(140)을 따라 주사액이 유입될 수 있어서, 주사요법 시술이 가능하며, 주사바늘이 대상조직까지 진행되는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멸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손목 주위의 힘줄, 신경, 인대, 혈관 등의 내부조직이 보이도록 도시한 해부도,
도 2는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수술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주사요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수근관 내시경을 이용한 박리요법(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의료용 바늘의 말단측 단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의료용 바늘의 말단측 단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을 이용하여 치료대상 조직에 협착된 주변조직을 박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을 이용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치료하는 과정을 도시한 손목의 해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협착성 건초염을 치료하는 과정을 도시한 손목의 해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바늘에 주사용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의료용 바늘의 정면도이다.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바늘 110: 본체
120: 관통부 130: 커팅부
131: 제1 커팅에지 132: 제2 커팅에지
140: 관통공

Claims (7)

  1. 기단측에서 말단측으로 길다란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고 말단측으로 갈수록 상하면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하면이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는 양측단에 형성된 제1 커팅에지와 상기 제1 커팅에지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커팅에지보다 기단측으로 오목한 제2 커팅에지를 구비하는
    의료용 바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팅에지의 양측 모서리는 라운드되어 있고,
    상기 제2 커팅에지는 기단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되어 있는
    의료용 바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관통부보다 급한 경사를 갖는
    의료용 바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기단측에서 말단측까지의 길이가 상기 커팅부의 기단측에서 말단측까지 길이의 여덟 배인
    의료용 바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팅에지의 상기 기단측으로 오목한 부분의 곡률반경이 상기 본체의 반지름과 동일한
    의료용 바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팅에지 양측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상기 제2 커팅에지의 곡률반경의 1/4인
    의료용 바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관통부 및 상기 커팅부를 가로질러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의료용 바늘.
KR1020090033385A 2009-04-17 2009-04-17 의료용 바늘 KR10103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85A KR101035482B1 (ko) 2009-04-17 2009-04-17 의료용 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85A KR101035482B1 (ko) 2009-04-17 2009-04-17 의료용 바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949A true KR20100114949A (ko) 2010-10-27
KR101035482B1 KR101035482B1 (ko) 2011-05-18

Family

ID=4313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85A KR101035482B1 (ko) 2009-04-17 2009-04-17 의료용 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094B1 (ko) * 2011-08-22 2013-08-08 김병희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4104A (en) 1991-10-22 1993-10-19 Center For Urological Treatment & Research Device for pericatheter retrograde
DE10247022B4 (de) 2002-10-09 2016-09-08 Disetronic Licensing Ag Nadelspitze
US8540686B2 (en) 2005-03-02 2013-09-24 Covidien Ag Blunt tip vial access cannu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482B1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1752B1 (en) Systems for treatment of compressed nerves
JP2020192338A (ja) 繊維構造の経皮分裂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3813693B1 (en) Medical instrument for percutaneous release procedures
CN106963454B (zh) 针刀
Huntoon et al. Feasibility of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placement of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electrodes and anchoring during simulated movement: part two, upper extremity
CN206044691U (zh) 超声针刀
KR101035482B1 (ko) 의료용 바늘
Trumble et al. Endoscopic versus open surgical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Hong Needling therapy for myofascial pain control
KR20100082070A (ko) 사봉침
US20200197039A1 (en) Dissecting device
Borer Local analgesic techniques in small animals
CN210447149U (zh) 一种微创治疗腕管综合征的手术器械
US20230240703A1 (en) Trigger thumb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Richert Anesthesia of the nail apparatus
Durai et al. Practical application of using local anaesthetics: surgical perspectives
RU2754386C1 (ru) Способ декомпрессии срединного нерва на уровне карпальной связки
CN210873010U (zh) 一种钝型针灸针
CN208974608U (zh) 一种医用腕踝针
RU2355434C2 (ru) Способ блокады плечевого сплетения у людей брахиморфного типа телосложения
Roberts Peripheral Nerve Blocks for Children
KR20230160037A (ko) 시술용 와이어 그리핑 모듈
Zhang et al. Oblique Needling at Myofascial Trigger Points for Relapse of External Humeral Epicondylitis.
RU2135221C1 (ru)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блокады круглого пронатора
Baek et al. The Study of depth of local acupuncture points for rotator cuff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