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094B1 -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 - Google Patents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094B1
KR101292094B1 KR1020110083375A KR20110083375A KR101292094B1 KR 101292094 B1 KR101292094 B1 KR 101292094B1 KR 1020110083375 A KR1020110083375 A KR 1020110083375A KR 20110083375 A KR20110083375 A KR 20110083375A KR 101292094 B1 KR101292094 B1 KR 10129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ody
cut
needle
cutting
lig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077A (ko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김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희 filed Critical 김병희
Priority to KR102011008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0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니들을 제공한다. 상기 의료용 니들은, 일정 길이를 갖고, 약액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니들 몸체와; 상기 니들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를 노출시키고 일정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갖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니들 몸체의 단부에 배치되며, 벤딩되는 절단면이 형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MEDICAL NEEDLE FOR CUTTING LIGAMENT}
본 발명은 인체의 피부를 뚫고 인체 내의 특정 통증 부위에 존재하는 인대를 선택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성 근골격계 통증은 통증 부위에 대한 수술 요법을 대신하여 바늘을 이용한 자극요법 또는 주사요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만성 통증에 있어서는 조직과 조직 사이에 유착이 발생하여 신경이나 힘줄 등의 움직임을 방해하면 더 많은 손상을 발생하고 이로 인한 통증이 발생한다.
예컨대, 힘줄의 움직임이 제한된 수근관 증후군, 신경(median nerve)의 움직임이 제한된 수근관 증후군, 힘줄부착부위의 움직임이 저하된 테니스엘보, 윤활막(synovium)이 종창되어 있어서 힘줄이 풀리(pulleys)를 자유롭게 통과할 때 필요한 공간이 좁아진 협착성건초염 등의 질병의 경우 힘줄 또는 신경이 주위 조직과 유착하여 통증과 움직임의 제한이 동반된다.
이에 따라, 대한 민국 등록 특허 10-1035482(이하, 종래 특허라 한다)는 의료용 바늘을 제공하였다.
상기 종래 특허는 인체의 피부를 뚫고 인체 내의 특정 통증부위 내로 자입(刺入)하여 자극요법 및 주사요법을 시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종래 특허의 바늘은 기단측에서 말단측으로 기다란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고 말단측으로 갈수록 상하면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에서 말단측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하면이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는 양측단에 형성된 제1 커팅에지와 상기 제1 커팅에지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커팅에지보다 기단측으로 오목한 제2 커팅에지를 구비한다.
이를 통하여, 종래 특허는 바늘이 인체 내 목적부위까지 이동하는 동안 바늘의 선단에 조직이 닿더라도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수근관 증후군 또는 방아쇠 수지 증상은, 환부 내에서 신경이나 인대를 잡아 주는 다른 인대가 주행을 방해하여 신경을 비정상적으로 압박하여 발생되는 질환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질환의 경우, 종래 특허의 의료용 바늘을 사용하여 비정상적으로 압박하는 인대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초음파 유도하에 환부 내를 모니터링 하면서 인대 절단 시술을 시행하는데, 환부 내부로 투입되는 바늘의 선단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워 환부 내의 다른 조직들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목 내의 횡인대 측으로 용이하게 진입시키고, 절단 대상인 횡인대와 다른 인대의 사이 공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니들의 선단을 위치시킴으로써, 횡인대를 절단할 수 있는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횡인대 인근에 별도의 약액을 부가적으로 주입하여 초음파를 통하여 니들의 선단의 위치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목 부분을 관통하는 관통부와, 횡인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니들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일정 기간 사용시 새로이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니들 몸체를 따라 절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절단부를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하여 절단 목적물인 횡인대를 정확히 절단할 수 있는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의료용 니들을 제공한다.
상기 의료용 니들은, 일정 길이를 갖고, 약액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니들 몸체와; 상기 니들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를 노출시키고 일정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갖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 인근에 위치되도록 상기 니들 몸체의 단부 둘레에 배치되며, 벤딩되는 절단면이 형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니들 몸체의 타단측을 향하여 고리 형상으로 굽은 절단부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면은, 상기 니들 몸체의 타단측을 향하는 상기 절단부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단부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 몸체는, 상기 니들 몸체의 단부로부터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면의 단부를 잇는 제 2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면은, 상기 한 쌍의 제 1면과 상기 제 2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면은, 상기 한 쌍의 제 1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2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는, 상기 니들 몸체의 단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절단면을 통하여 상기 유로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보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니들 몸체의 단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니들 몸체에는, 상기 니들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상기 절단부의 단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홀을 따라 활주 가능하고, 일정 길이를 이루는 그립 로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유로는,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니들 몸체에는, 상기 관이 끼워져 설치되는 관 설치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과 상기 관 설치홀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손목 내의 황인대 측으로 용이하게 진입시키고, 절단 대상인 횡인대와 다른 인대의 사이 공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니들의 선단을 위치시킴으로써, 횡인대를 절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횡인대 인근에 별도의 약액을 부가적으로 주입하여 초음파를 통하여 니들 몸체의 선단의 위치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 부분을 관통하는 관통부와, 횡인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니들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일정 기간 사용시 새로이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 몸체를 따라 절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절단부를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하여 절단 목적물인 횡인대를 정확히 절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대를 걸어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 몸체의 형상 특성 상, 절단될 인대층 만을 걸어서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조작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니들 몸체는 다양한 약액을 주입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횡인대 절단과 더불어 인대 강화 주사 요법을 동시에 병행할 수도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절단부가 채택된 의료용 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절단부가 채택된 의료용 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관통부가 니들 몸체로부터 착탈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절단부가 니들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부와 니들 몸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니들 몸체에 착탈 가능한 다른 절단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니들 몸체에 착탈 가능한 또 다른 절단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관이 니들 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관이 니들 몸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절단부가 니들 몸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용 니들을 사용하여 임의의 인대를 절단 시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니들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의료용 니들은 니들 몸체(100)와, 관통부(200) 및 절단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니들 몸체(100)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니들 몸체(100)는 내부식성을 구비하도록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니들 몸체(100)의 내부에는 약액이 유동되는 유로(11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00)는 경사면(200a)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부(200)는 상기 니들 몸체(100)의 단부 또는 선단에 형성된다.
상기 유로(110)는 상기 경사면(20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유로(110)를 통하여 유동되는 약액은 관통부(200)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00a)은 일정의 경사를 이루어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00)는 인체의 손목 인근의 환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니들 몸체(100)의 단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부(300) 인근의 니들 몸체(100)의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절단부(300)는 니들 몸체(100)의 선단에 마련될 수도 있고, 관통부(2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절단부(300)는 절단면(S)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300)는 고리 형상으로 굽은 절단부 몸체(310)로 형성된다. 상기 절단부 몸체(310)는 니들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하며, 측면을 기준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면적을 이룬다.
여기서, 절단면(S)은 니들 몸체(100)의 타단을 향하여 굽은 일면에 형성된다.
즉, 니들 몸체(100)의 타단으로부터 관통부(200)를 향하는 방향을 진행 방향(①)이라 한다면, 상기 절단면(SS)이 형성되는 방향은 상기 진행 방향(①)의 역방향(②)을 따른다.
상기 절단면(S)은 후술될 작용 설명에서 횡인대(1, 도 13참조)가 걸치어짐과 아울러, 니들 몸체(100)가 역 진행 방향(②)으로 진행됨에 따라 횡인대(1)를 절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는 절단면(S)은 진행 방향(①)을 따르는 절단부 몸체(310)의 다른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절단면(S)은 상기 역 진행 방향(①)을 따르는 일면 및 진행 방향(②)을 따르는 다른 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른 면에 형성되는 절단면은 진행 방향(①)을 따라 이동되면서 횡인대(1)를 절단하고, 상기 일 면에 형성되는 절단면(S)은 역 진행 방향(②)을 따라 이동되면서 다시 횡인대(1)를 재차 절단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절단 대상인 횡인대(1)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절단부의 다른 예들을 더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절단부가 채택된 의료용 니들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절단부(400)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단부 몸체(410)를 갖는다. 상기 절단부 몸체(410)는 니들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를 갖는 판 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을 기준으로 다각 형상의 면적을 이룬다.
상기 절단부(400)는 니들 몸체(100)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서로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면(410a)과, 상기 한 쌍의 제 1면(410a)의 단부를 잇는 제 2면(410b)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단부(400)의 측면 형상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단면(S)은 상기 한 쌍의 제 1면(410a)과, 제 2면(410b) 모두에 형성된다.
진행 방향(①)을 따르는 제 1면(410a)에 형성된 절단면(S)은, 니들 몸체(100)가 진행 방향(①)을 따라 이동되면서, 횡인대(1, 도 13참조)를 일차적으로 절단한다.
제 2면(410b)에 형성된 절단면(S)은 상기 횡인대(1)를 진행 방향(①)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차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역 진행 방향(②)을 따르는 제 1면(410a)에 형성된 절단면(S)은, 니들 몸체(100)가 역 진행 방향(②)으로 이동되면서, 횡인대(1)를 삼차적으로 재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니들 몸체(100)를 1회 왕복 이동함으로써, 절단 대상인 횡인대(1)를 다수회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절단부가 채택된 의료용 니들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절단부(500)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단부 몸체(510)를 갖는다. 상기 절단부 몸체(510)는 니들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을 기준으로 다각 형상의 면적을 이룬다.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되는 절단부(400)와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500)는 니들 몸체(100)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서로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면(510a)과, 상기 한 쌍의 제 1면(510a)의 단부를 잇는 제 2면(510b)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단부(500)의 측면 형상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단면(S)은 상기 한 쌍의 제 1면(510a) 중 역 진행 방향(①)을 따르는 제 1면(510a)과, 제 2면(510b)에 형성된다.
진행 방향(①)을 따르는 제 1면은, 니들 몸체(100)가 진행 방향(①)을 따라 이동되면서, 횡인대(1)가 벌려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2면(510b)에 형성된 절단면(S)은 니들 몸체(100)가 진행 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횡인대(1)를 진행 방향을 따라 이차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역 진행 방향(②)을 따르는 제 1면(510a)에 형성된 절단면(S)은, 니들 몸체(100)가 역 진행 방향(②)으로 이동되면서, 횡인대(1)를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니들 몸체(100)를 1회 왕복 이동함으로써, 절단 대상인 횡인대(1)를 다수로 절단하여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관통부가 니들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예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관통부(201)와 니들 몸체(101)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201)는 단부에 경사면(201a)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경사면(201a)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보조 유로(20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부(201)의 하단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절단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절단부(3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고리 형상의 절단부(300)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절단부(400,500)가 채택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부(201)의 타단에는 나사 돌기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유로(201b)는 상기 관통부(201) 단부의 경사면(201a)과 상기 나사 돌기부(202)를 관통한다.
상기 니들 몸체(101)의 단부에는 상기 나사 돌기부(202)가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나사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니들 몸체(101)에는 그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는 유로(110)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10)는 상기 보조 유로(201b)와 연통된다.
이의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관통부(201)는 니들 몸체(101)의 단부에서 선택적으로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 하여 설명한 탈착 방식은 일 예이고, 두 개의 부재, 즉 관통부(201)와 니들 몸체(101)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하는 다른 탈착 방식도 채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절단부가 니들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한 일 예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절단부(300)는 니들 몸체(100)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니들 몸체(100)는 제 1니들 몸체(102)와 제 2니들 몸체(1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니들 몸체(102)의 단부에는 관통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 1니들 몸체(102)는 관통부(200)로부터 단차지어 일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단치지어 연장되는 부분(102a)의 직경은 제 1직경(D)을 갖는다.
상기 제 2니들 몸체(10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니들 몸체(102)의 단차지어 연장되는 부분(102a)에 삽입된다. 상기 제 2니들 몸체(103)의 내경(d1)은 상기 제 1직경(D)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상기 제 1니들 몸체(102)의 단차진 부분의 일면은 일정 방향을 따라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2니들 몸체(103)의 일단은 상기 경사면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절단부(300)는, 끼움 몸체(3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끼움 몸체(3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d2)이 상기 제 1직경(D)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끼움 몸체(320)의 양단에는 상기 경사와 동일한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 몸체(320)의 외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절단부 몸체(310)가 마련된다. 상기 절단부 몸체(310)는 대표적으로 도 1을 참조 하여 언급한 바와 동일하며, 그 이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절단부 몸체(400,500)가 채택될 수도 있다. 이는 도 8 및 도 9에 각각 도시된다. 여기서, 끼움 몸체는 '420', '520'으로 도시된다.
도 6은 도 5의 단면을 보여주고, 도 7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제 1니들 몸체(102)의 단차지어 연장되는 부분(102a)에 절단부(300)의 끼움 몸체(320)가 끼워진다.
이때, 제 1니들 몸체(102)의 단차진 부분의 일면의 경사면과 끼움 몸체(320)의 일단에 형성된 경사면은 서로 밀착된다. 즉 서로 비스듬하게 접촉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제 2니들 몸체(103)는 끼움 몸체(320)가 끼워진 상기 제 1니들 몸체(102)의 단차지어 연장되는 부분(102a)에 끼워진다.
이때, 끼움 몸체(320)의 타단에 형성된 경사면은 제 2니들 몸체(103)의 일단에 형성된 경사면과 밀착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니들 몸체(103)는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하여 제 1니들 몸체(102)에 고정된다.
따라서, 절단부(300)는 관통부(200)와 제 2니들 몸체(103)의 사이에 고정된다. 즉, 절단부(300)는 경사면들 끼리 비스듬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일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 몸체(320)의 외주에 형성된 절단부 몸체(310)를 고리 형상의 절단부 몸체(310)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였지만,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다른 절단부 몸체(410,510)가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니들 몸체(102,103)에 절단부를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절단부(300)의 절단면이 낡거나 손상되는 경우, 새로운 절단부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도 5 내지 9를 참조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니들 몸체(102,103)와 절단부(300)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도 1의 경우를 대표적으로 예를 들면, 절단부 몸체(310)를 니들 몸체(100)에 끼움 방식으로 탈착할 수도 있다.
절단부 몸체(310)의 단부에 끼움 돌기를 형성하고, 니들 몸체(100)에 끼움 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을 형성한다. 특히, 끼움 돌기의 양측방으로 탄성 벤드를 구성하고, 상기 니들 몸체(100)에 탄성 벤드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절단부 몸체(310)는 끼움 방식을 통하여 니들 몸체(100)에 고정되고, 탄성 벤드가 홈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 몸체(310)를 고정하기 위한 방식으로 니들 몸체(100)의 외주에 용접 방식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경우, 절단부 몸체(310)를 쉽게 교체하기는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나, 절단부 몸체(310)를 삭제하고, 새로운 절단부 몸체를 새로이 용접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관이 니들 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일 예를 보여 준다.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니들 몸체(100)에 형성되는 유로(110)는 관(P) 또는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 몸체(100)에는, 상기 관(P)이 끼워져 설치되는 관 설치홀(100a)이 더 형성된다.
상기 관 설치홀(100a)은 관통부(200)의 경사면(200a)에 연결된다.
상기 관 설치홀(100a)의 내주에는 제 1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P)의 외주에는 제 2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관(P)은 관 설치홀(100a)에 끼워지되, 서로 스크류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관(P)은 관 설치홀(100a)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니들 몸체(10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약액이 유동되는 관(P)의 내부가 오염되거나 부식되는 경우에, 다른 관으로 교체함으로써, 의료적으로 더 안전하고 청결하게 시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관이 니들 몸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유로(110)를 형성하는 관(P')은 니들 몸체(13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니들 몸체(130)에는, 상기 니들 몸체(130)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상기 절단부(300)의 단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관(P')은 상기 슬라이딩 홀(131)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니들 몸체(130)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홀(131)은 니들 몸체(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개구되는 개구(131a)를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딩 홀(131)은 니들 몸체(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홀(131)은 관(P') 및 하기의 그립 로드(600)가 이동되는 홀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절단부가 니들 몸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일 예를 보여준다.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슬라이딩 홀(131)을 따라 활주 가능하고, 일정 길이를 이루는 그립 로드(60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부 몸체(310)는 그립 로드(600)의 단부 둘레에 형성되어 슬라이딩 홀(131)의 개구(131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그립 로드(6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홀(131)에 끼워져 활주 가능하다. 이때, 절단부 몸체(310)는 그립 로드(600)의 단부 외주에 형성되어 개구(131a)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그립 로드(600)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이룬다.
도 11 및 도 12의 '202'는 관통부이고, '202a'는 경사면이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불필요한 인대 절단을 위하여, 약액 주입과 인대 절단 단계를 이룬다.
약액 주입은 관(P')을 니들 몸체(130)의 슬라이딩 홀(131)에 끼워 위치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인대 절단은, 약액 주입이 완료된 관(P')을 니들 몸체(130)의 슬라이딩 홀(131)로부터 이탈시키고, 그 위치에 절단부(300)를 위치시키고, 이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부(300)는 그립 로드(600)가 슬라이딩 홀(131)에서 활주 가능함으로써 니들 몸체(130)를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절단부 몸체(310) 역시 왕복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이의 구성을 통하여, 절단부 몸체(310)를 일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켜 불필요한 횡인대(1, 도 13참조)를 반복적으로 절단하여 정확하게 절단 시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 몸체(310)를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였지만, 그립 로드(600)의 단부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되는 절단부 몸체(400,500)가 채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절단부 몸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술 부위에 요구되는 절단부 몸체를 선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용 니들을 사용하여 임의의 인대를 절단 시술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의료용 니들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인대를 절단하는 시술 과정을 설명한다.
수근관 증후군의 경우, 횡인대(1)가 손가락들로 이어지는 다수의 인대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정중신경을 압박하여 발생되는 질환이다.
도 13을 참조 하면, 니들 몸체(100)의 관통부(200)는 손목 외부에서 횡인대(1) 주변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손목 조직을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니들 몸체(100)는 진행 방향(①)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관통부(200)는 횡인대(1) 주변으로 위치된다.
이때, 외부에서 니들 몸체(100)의 유로(110)로 약액을 주입한다. 이와 동시에 관통부(200)가 위치되는 조직 영역을 초음파로 관찰한다.
초음파는 물 성분을 용이하게 표시하기 때문에, 시술자는 절단될 인대층인 황인대(1)와 다른 인대(2)의 구분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 하면, 관통부(200)를 서로 다른 인대(1,2) 층의 사이 공간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벌어지는 횡인대(1)는 절단부 몸체(310)의 선단 외면을 타고 벌어진다.
도 15를 참조 하면, 절단될 횡인대(1)의 후방에 니들 몸체(100)의 단부에 마련된 절단부 몸체(310)가 위치된다.
이때, 횡인대(1)는 고리 형상의 절단부 몸체(310)의 절단면(S)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시술자는 니들 몸체(100)를 역 진행 방향(①)을 따라 잡아 당긴다.
이에 따라, 상기 횡인대(1)에 걸린 절단부 몸체(310)는 역 진행 방향(②)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횡인대(1)는 절단부 몸체(310)의 절단면(S)에 의하여 절단된다.
본 발명은 손목 조직 주변의 혈관 및 신경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액을 인대층 주변 영역으로 주입하여, 초음파를 통한 시야를 확보하여 인대층의 사이를 분리하고, 절단될 인대층 만을 다양한 형상의 절단부 몸체를 사용하여 정확히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절단부 몸체(300,400,500)의 형상 특성 상, 절단될 인대층 만을 걸어서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조작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니들 몸체는 다양한 약액을 주입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횡인대 절단과 더불어 인대 강화 주사 요법을 동시에 병행할 수도 있다.
100, 101, 130 : 니들 몸체 200, 201 : 관통부
300, 400, 500 : 절단부 310, 410, 510 : 절단부 몸체
320, 420, 520 : 끼움 몸체

Claims (12)

  1. 일정 길이를 갖고, 약액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니들 몸체;
    상기 니들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를 노출시키고 일정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갖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 인근에 위치되도록 상기 니들 몸체의 단부 둘레에 배치되며, 벤딩되는 절단면이 형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몸체에는, 상기 니들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상기 절단부의 단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홀을 따라 활주 가능하고, 일정 길이를 이루는 그립 로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니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관이고,
    상기 니들 몸체에는,
    상기 관이 끼워져 설치되는 관 설치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니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과 상기 관 설치홀은 스크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니들.
KR1020110083375A 2011-08-22 2011-08-22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 KR10129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75A KR101292094B1 (ko) 2011-08-22 2011-08-22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75A KR101292094B1 (ko) 2011-08-22 2011-08-22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77A KR20130021077A (ko) 2013-03-05
KR101292094B1 true KR101292094B1 (ko) 2013-08-08

Family

ID=4817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375A KR101292094B1 (ko) 2011-08-22 2011-08-22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0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94Y1 (ko) 2016-11-25 2017-05-22 김대영 의료용 니들링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573A (en) * 1990-03-30 1991-07-09 Chow James C System for endoscopic surgery
US5908433A (en) * 1996-05-10 1999-06-01 Stryker Corporation Carpal tunnel knife
US20100069944A1 (en) * 2007-01-31 2010-03-18 Kurume University Surgical appliance for use in taking out transplant-use tendon and in regenerating operation of tendon at location where transplant tendon was taken out
KR101035482B1 (ko) * 2009-04-17 2011-05-18 김양신 의료용 바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573A (en) * 1990-03-30 1991-07-09 Chow James C System for endoscopic surgery
US5908433A (en) * 1996-05-10 1999-06-01 Stryker Corporation Carpal tunnel knife
US20100069944A1 (en) * 2007-01-31 2010-03-18 Kurume University Surgical appliance for use in taking out transplant-use tendon and in regenerating operation of tendon at location where transplant tendon was taken out
KR101035482B1 (ko) * 2009-04-17 2011-05-18 김양신 의료용 바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94Y1 (ko) 2016-11-25 2017-05-22 김대영 의료용 니들링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77A (ko)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5800B2 (ja) 治療薬の脈絡膜上投与のための装置
US10350110B2 (en) Dual lumen surgical work tip for placing chemicals to dissolve cataracts
EP1967147B1 (de) Punktionsvorrichtung für die Entnahme einer organischen Probe
US20050283124A1 (en) Needle with slotted tip
RU201413770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оперечного разреза связки при помощи нити
JP2014528301A (ja) 眼内注射デバイス
CN104189973B (zh) 一种利于超声引导的神经阻滞装置
US20230001104A1 (en) Hollow needle for access in non-linear path
KR101292094B1 (ko) 인대 제거용 의료용 니들
CN103096965B (zh) 包括引导线的导管组件
JP2015519100A5 (ko)
US20030229321A1 (en) Needle with slotted tip
CN106618671B (zh) 一种用于关节软骨修复的定位导向器及其应用
CN213047164U (zh) 一种埋线针
KR20190106352A (ko) 척추성형술용 니들 세트
Fredrickson " Oblique" needle-probe alignment to facilitate ultrasound-guided femoral catheter placement
CN213130087U (zh) 一种畜牧兽医用的家禽注射器
CN208582474U (zh) 用于超声联合神经刺激仪引导的留置神经穿刺针及套件
WO2013004578A1 (de) Punktionsvorrichtung für die entnahme organischer proben
CN103169510A (zh) 用于治疗房颤的化学消融装置
US20200139055A1 (en) Hollow needle with bendable hub system
CN205434520U (zh) 清创工具
DE102014203920B4 (de) Vorrichtung zur Laserlithotripsie
CN109498262A (zh) 眼部注药针及其注药系统
CN204246238U (zh) 用于胆道镜的电凝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