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773A - 골프장갑 - Google Patents

골프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773A
KR20100114773A KR1020090033327A KR20090033327A KR20100114773A KR 20100114773 A KR20100114773 A KR 20100114773A KR 1020090033327 A KR1020090033327 A KR 1020090033327A KR 20090033327 A KR20090033327 A KR 20090033327A KR 20100114773 A KR20100114773 A KR 2010011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finger
support pad
ring finger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연
Original Assignee
임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연 filed Critical 임상연
Priority to KR102009003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773A/ko
Publication of KR2010011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골프장갑은 엄지부,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를 가지는 장갑 몸체와, 중지부의 약지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지지패드; 및 약지부의 소지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지지패드;를 포함하여, 장갑 몸체에 사용자의 손을 넣고 그립 자세를 취할 경우, 제1 및 제2지지패드에 의해 중지부와 약지부 사이, 약지부와 소지부 사이의 공간이 채워져 중지부와 약지부 및 소지부 사이의 파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지지패드에 의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그립자세가 자연스럽게 숏섬그립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골프 장갑, 파지력, 숏섬그립, 지지패드

Description

골프장갑{A GOLF GLOVE}
본 발명은 골프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올바른 골프 클럽 파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장갑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골프인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골프는 상업적인 차원에서 생업으로도 그 인기가 높지만 골프는 다른 운동과는 달리 비교적 신체적인 조건에 크게 제약받지 않으면서도, 본인 단독의 책임하에 행해지는 운동이므로 더욱 흥미로운 운동이라 할 수 있으며, 과격하지 않고 다칠 염려가 없는 운동으로서 남녀노소에 이르기까지 즐길 수 있는 사교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프로 또는 아마 골퍼들은 일보 증진을 위하여 인도어(연습장)에서 정확한 그립 파지상태, 어드레스에서 스윙폼의 교정은 물론 반복적인 연습으로 숙련도를 높이고 기능성이 우수한 골프 용품에 경쟁적으로 관심을 쏟고 있다.
또한 골프는 섬세하고 민감한 운동으로서 다양한 요소에 의하여 핸디가 정해진다. 낮은 핸디를 유지하기 위해선 선천적인 소질에 따른 영향이 크겠지만 앞서 설명한 여러 가지 요건 또한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이들 요소 중의 하나인 정확한 그립의 파지 동작과 어드레스 자세에서 피니싱 동작까지의 과정에서 그립의 파지력 및 파지에 의한 그립의 이완 또는 요동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 또한 중요하다.
그립(grip) 동작에 있어서 약간의 예외는 있겠지만 통상적으로 롱섬그립(long thumb grip)과, 숏섬그립(shot thumb grip)으로 구분할 수 있다.
롱섬그립(long thumb grip)의 경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상 생활중에서 물건을 잡을 때에 순간적으로 잡는 자세이다, 롱섬그립을 잡으면 편하게 느껴지는 이유도 평상시의 습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롱섬그립을 하면 그립의 접지면이 짧기 때문에 그립이 손안에서 뒤틀릴 우려가 있어 본능적으로 그립을 강하게 잡게 된다. 그런데 그립을 강하게 잡게 되면 상체까지 경직되므로 정상적인 스윙을 기대하기 힘들다.
롱섬그립 때문에 생기는 대표적인 부작용은 손목 꺾임 절제능력(제어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스윙 크기에 따른 적절한 콕킹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스윙 스타트가 손목 꺾임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풀백스윙(full back swing)이 되지 않았어도 손목이 많이 꺾여 풀백스윙이 다 된 것으로 착각하게 된다. 때문에 급하게 다운스윙이 되면서 군힘까지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손목의 과다한 꺾임은 숏섬그립으로 바뀌면 쉽게 해결된다.
또한 풀백스윙이 다 되었는데도 손목이 필요 이상 많이 꺾이기 때문에 오버백스윙이 된 것으로 느끼게 되어 백스윙 크기를 줄이려고 한다. 이 상황에서 백스 윙 크기를 줄인다는 것은 왼쪽어깨 회전을 90°이하로 줄이는 결과이기 때문에 위험한 발상이다. 롱섬그립을 했어도 어깨회전은 정상적으로 90°이상 되어야 한다.
또한 롱섬그립으로 인한 위험한 요소가 또 있다. 즉, 손목이 미리 꺾이면서 스윙 스타트가 되면 스윙이 높아지므로 스윙아크(swing arc)가 좁아지고 손목의 꺾이는 각도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스윙궤도(swing path) 또한 일정치 않게 된다. 안정되고 일정한 샷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숏섬 그립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가락 모두를 붙인 상태로 손바닥을 펴고 인지의 둘째 마디와 수도 중앙을 사선으로 잡으며 인지의 둘째 마디와 엄지의 끝이 거의 같은 길이가 된다. 그립이 손바닥을 사선으로 가로질러 잡히기 때문에 그립의 접지면이 넓어진다. 오른손을 중지와 약지의 둘째 마디 위에 그립을 올려놓고 엄지 끝과 인지 둘째 마디의 길이가 거의 같게 잡는다.
이와 같이 숏섬그립을 하게 되면, 그립을 가볍게 잡아도 클럽의 뒤틀림이 없고, 스윙 크기에 따라서 적절한 콕킹이 이루어진다. 숏섬그립을 하고 스윙을 하게 되면, 왼팔이 움직이는 궤도로 클럽이 따라 움직이게 되고 스윙아크는 자동적으로 폭이 커진다.
도 1c는 숏섬그립 자세를 손등 위치에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골퍼 쪽에서 보았을 때, 엄지손가락을 클럽 샤프트의 중앙선보다 약간 오른쪽에 놓아서 집게손가락과 함께 그립을 가볍게 눌러 잡는다.
그리고 약지, 중지, 검지 세 손가락은 감는 상태를 유지한다. 집게 손가락은 피스톨의 방아쇠 구멍을 잡은 모양을 하고, 엄지손가락은 헤머의 약간 오른쪽에 놓아서, 마치 왼손으로 피스톨을 잡듯이 그립을 잡는다.
또한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으로 만들어지는 'V'자형이 오른쪽 귀를 향하도록 한다.
또한 스윙이 잘못되는 이유중에는 대부분 그립을 너무 세게 잡는데 원인이 있다. 예를 들어, 참새를 손으로 잡았을 때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가볍게 잡는 정도가 좋다, 클럽을 빨리 치면 공이 멀리 나가는데 그 에너지는 손을 통해서 그립으로 전달된다. 클럽을 너무 세게 쥐면 몸의 에너지가 잘 전달되지 않게 되어 클럽 스피드가 떨어지게 된다. 즉, 클럽을 가볍게 쥐어야 스피드가 늘게 된다. 그럼에도 초보자들이 그립을 세게 쥐는 이유는 멀리 보내고 싶은 욕심에, 그리고 평정심을 잃었을 때 등으로서 매 연습시마다 올바른 그립자세를 취하고, 가볍게 잡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골퍼가 자연스럽게 숏섬그립의 형태로 그립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이상적인 그립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골프장갑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숏섬그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골프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 장갑은, 엄지부,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를 가지는 장갑 몸체와, 상기 중지부의 상기 약지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지지패드; 및 상기 약지부의 상기 소지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지지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장갑 몸체에 사용자의 손을 넣고 그립 자세를 취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지지패드에 의해 중지부와 약지부 사이, 약지부와 소지부 사이의 공간이 채워져 중지부와 약지부 및 소지부 사이의 파지력을 강화시키고, 숏섬그립 자세가 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약지부의 상기 제1지지패드에 마주하여 대응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3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지지패드는 그립 자세에서 손바닥 쪽으로 돌출되어 손가락과 클럽 사이의 공간을 채워서 약지 손가락의 파지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소지부의 상기 제2지지패드에 마주하여 대응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4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지지패드는 그립 자세에서 손바닥 쪽으로 돌출되어 손가락과 클럽 사이의 공간을 채워서 약지의 파지력을 강화시 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검지부의 상기 엄지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립 자세에서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어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의 파지력을 강화시키는 제5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골프 장갑에 따르면, 중지부와 약지부, 약지부와 소지부 사이를 밀착하도록 하되, 클럽 샤프트와의 공간을 채워주도록 제1 내지 제4지지패드를 설치함으로써 그립시 손가락들의 파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지패들들로 인하여 골퍼가 롱섬그립을 잡으려고 해도 돌출부위의 불편함 때문에 자연스럽게 ㄱ가장 이상적인 그립(숏섬그립)의 형태로 파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손의 힘이 어린이나 초보자들의 경우 그립자세를 올바르게 유지한 상태로 파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이면서도 이상적인 그립자세로 어드레스 자세에서 피니싱까지의 동작과정에서 파지력에 안정성을 갖게 된다.
또한 제5지지패드를 검지부에 설치함으로써 그립 자세에서 엄지 손가락을 클럽 샤프트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엄지 손가락의 지분부분이 클럽 샤프트를 강하게 눌러서 파지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의 경우에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 만, 샤프트에 대한 그립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파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은, 장갑몸체(100)와, 장갑 몸체(100)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5지지패드(110,120,130,140,150)를 구비한다.
상기 장갑 몸체(100)는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엄지부(101)와, 검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검지부(102)와, 중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중지부(103)와, 약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약지부(104) 및 소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소지부(105)가 각각 분기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장갑 몸체(100)는 인조가죽이나, 섬유재질, 비닐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갑의 손등 부분을 덥는 상부에는 벨크로 타입의 조임밴드(106;도 5 참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패드(110)는 중지부(103)의 약지부(104)와 마주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패드(120)는 약지부(104)의 소지부(105)에 마주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지지패드(110,12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고무패드, 헝겁, 가죽 등의 재질을 장갑 몸체(10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바느질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지지패드(110,120)는 중지부(103) 및 약지부(104) 각각의 하부측에 치우치는 위치에 즉, 중지부(103) 및 약지부(104) 각각의 첫번째 마디부(103a,104a) 및 두번째 마디부(103b,104)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1 및 제2지지패드(110,120)는 도 3과 같이 골퍼가 손에 장갑 몸체(100)를 끼운 상태에서 골프 클 럽의 샤프트(20)를 그립시, 사선 방향으로 눕혀지게 굽어진 중지부(103)와 약지부(104) 각각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1지지패드(11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된 상태에서 중지부(103)와 약지부(104) 사이의 공간을 채워서 중지부(103)가 약지부(104)에 대해 안정감 있게 파지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지지패드(12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된 상태에서 약지부(104)와 소지부(105) 사이의 공간을 채우도록 위치되어 약지부(104)가 소지부(105)에 대해 안정감 있게 파지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지지패드(130)는 약지부(104)의 상기 제1지지패드(110)에 마주하여 대응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3지지패드(130)는 도 2의 상태에서 약지부(104)의 좌측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약지부(104)의 첫번째 마디(104a)와 두번째 마디(104b) 사이 또는 두번째 마디(104b)에 겹쳐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3지지패드(130)는 그립 자세에서 도 4와 같이 손바닥 쪽으로 돌출되어 약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 부분의 공간에 위치됨으로써, 결국 클럽 샤프트(20)와 약지 및 중지 손가락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손가락과 클럽 사프트(20) 사이의 공간이 채워지게 되고, 약지 손가락은 제3지지패드(130)에 의해 안정감 있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약지 손가락의 파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4지지패드(140)는 소지부(105)의 상기 제2지지패드(120)와 마주하여 대응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4지지패드(140)는 도 2의 상태에서 소지부(105)의 좌측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소지부(105)의 두번 째 마디부(105a)의 전후에 걸쳐서 오버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4지지패드(140)는 도 4와 같은 그립 자세를 취할 경우 손바닥 쪽으로 돌출되어 약지 손가락과 소지 손가락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됨으로써, 결국 클럽 샤프트(20)와 약지 및 소지 손가락들 사이의 공간이 채워지게 되어 약지 및 소지 손가락의 파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3 및 제4지지패드(130,140)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지지패드(110,12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장갑 몸체(10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지지패드(130,140) 각각은 그 형상이 삼각뿔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삼각뿔 형상을 가지는 제3 및 제4지지패드(130,140)는 그립자체를 취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럽 샤프트(20)와 손가락들 사이에 위치되어 클럽샤프트(20)와 손가락들 사이의 공간을 채워줌으로써, 자연스럽게 숏섬그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약지부(104) 및 소지부(105) 각각의 양측면에 위치되도록 제1 내지 제4지지패드(110,120,130,140)를 설치함으로써 그립 자세에서 클럽 샤프트(20)에 대한 중지, 약지 및 소지 손가락들의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파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되고, 이상적인 그립자세(숏섬그립)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검지부(102)의 엄지부(101)와 마주하는 전면에 돌출되도록 제5지지패드(150)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5지지패드(150)는 그립 자세에서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어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의 파지력을 강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자세에 서 제5지지패드(150)는 엄지부(101)와 검지부(102)의 사이에 위치되며, 일부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의 두께 및 크기를 가짐으로써 엄지 손가락 및 검지 손가락의 파지력을 강화시키고, 안정된 그립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a는 롱섬그립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b 및 도 1c 각각은 숏섬그립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을 끼고 그립 자세를 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클럽 샤프트 100..장갑 몸체
101..엄지부 102..검지부
103..중지부 104..약지부
105..소지부 110..제1지지패드
120..제2지지패드 130..제3지지패드
140..제4지지패드 150..제5지지패드

Claims (4)

  1. 엄지부,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를 가지는 장갑 몸체와,
    상기 중지부의 상기 약지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지지패드; 및
    상기 약지부의 상기 소지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지지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장갑 몸체에 사용자의 손을 넣고 그립 자세를 취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지지패드에 의해 중지부와 약지부 사이, 약지부와 소지부 사이의 공간이 채워져 중지부와 약지부 및 소지부 사이의 파지력을 강화시키고, 숏섬그립 자세가 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지부의 상기 제1지지패드에 마주하여 대응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3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지지패드는 그립 자세에서 손바닥 쪽으로 돌출되어 손가락과 클럽 사이의 공간을 채워서 약지 손가락의 파지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부의 상기 제2지지패드에 마주하여 대응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4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지지패드는 그립 자세에서 손바닥 쪽으로 돌출되어 손가락과 클럽 사이의 공간을 채워서 약지의 파지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의 상기 엄지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립 자세에서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어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의 파지력을 강화시키는 제5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프 장갑.
KR1020090033327A 2009-04-16 2009-04-16 골프장갑 KR20100114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27A KR20100114773A (ko) 2009-04-16 2009-04-16 골프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27A KR20100114773A (ko) 2009-04-16 2009-04-16 골프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73A true KR20100114773A (ko) 2010-10-26

Family

ID=4313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27A KR20100114773A (ko) 2009-04-16 2009-04-16 골프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7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672B1 (ko) * 2018-04-26 2019-10-04 정승철 골프장갑
KR20240045635A (ko) 2022-09-30 2024-04-08 김경희 골프 장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672B1 (ko) * 2018-04-26 2019-10-04 정승철 골프장갑
KR20240045635A (ko) 2022-09-30 2024-04-08 김경희 골프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2280A (en) Golf grip training device
US4146935A (en) Glove for hobbling grip
US8663024B2 (en)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US20090094730A1 (en) Wrist Glove
KR101397968B1 (ko) 골프장갑
KR101030131B1 (ko) 손목 고정 기능이 부가된 골프용 장갑
WO2006053182A1 (en) Golf club gripping aid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10284499A (ja) ラケットグリップの補助具
KR20100114773A (ko) 골프장갑
KR200434359Y1 (ko) 걸이밴드가 부착된 골프장갑
US20100100998A1 (en) Golf Glove With Wrist Insert
KR102458605B1 (ko) 스포츠용 장갑
KR200412498Y1 (ko) 손목받침대가 구비된 골프장갑
WO2015049935A1 (ja) ゴルフ用手袋
KR20040011582A (ko) 그립의 고정력과 밀착성을 높인 골프장갑
KR200210332Y1 (ko) 골프 장갑
KR20210010727A (ko) 골프 연습장치
US20110197337A1 (en) Pivoted athletic glove
KR200380480Y1 (ko) 골프 장갑
KR200351973Y1 (ko) 그립용 골프장갑
KR102346902B1 (ko) 자세교정용 골프장갑
KR200296089Y1 (ko) 골프장갑
KR102530191B1 (ko) 골프 장갑
KR102520878B1 (ko)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
KR101302080B1 (ko) 골프용 장타 골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