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234A -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234A
KR20100114234A KR1020090032660A KR20090032660A KR20100114234A KR 20100114234 A KR20100114234 A KR 20100114234A KR 1020090032660 A KR1020090032660 A KR 1020090032660A KR 20090032660 A KR20090032660 A KR 20090032660A KR 20100114234 A KR20100114234 A KR 20100114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verse driving
driving
revers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102009003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234A/ko
Publication of KR20100114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6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direction of trav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주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레이저 검지 기능 및 지자기 검지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로 역주행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레이저 스캔라인을 일정 간격 별로 형성하여 차량의 레이저 스캔 라인 통과 순서에 따라 차량의 역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레이저 스캐너와, 도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고서, 차량의 통과 상태를 지자기의 교란 크기 측정에 의해 각각 검지하여 차량 통과 순서에 따라 역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지자기 검지기, 상기 레이저 스캐너와 상기 지자기 검지기로부터의 각각의 차량 역주행 검지에 따라 역주행 차량의 진행 저지 및 정상 주행 차량으로의 역주행 상태 통보를 위한 경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역주행 차량의 진행 저지 및 정상 주행 차량으로의 역주행 상태 통보를 위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Reverse Driving of Vehicle}
본 발명은 도로 주변의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은 신뢰도의 검지 기능을 통해 차량의 도로 역주행을 정확히 검지하여 이를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증가와 더불어 전국 도로망의 확충이 가속화됨에 따라 국도, 지방 도로 및 고속 국도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인 바, 도로의 증가 및 차량의 고속 주행 여건이 마련됨에 따라 증가되는 차량 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도로의 정상 주행 방향에 대해 차량이 역으로 주행하여 발생되는 역주행 사고는, 대형 교통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많아서 각별한 방지 대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통상, 국도, 지방 도로 및 고속 국도에서 발생하는 역주행 사고는 주로 휴게소의 진입로에서 발생하는 빈도가 많은 실정인 바, 진입로에서 역주행하려는 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지하여 역주행 상태를 경보함에 의해, 역주행으로 인한 대 형 교통사고 및 도로 정체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고속 도로의 휴게소 진입로나 역주행 사고가 빈발하는 도로 구간에 적외선 감지기 또는 영상 검지기를 갖춘 역주행 방지 시스템을 설치하여, 적외선을 이용하거나 영상 검지 기능을 통하여 역주행 차량의 감지를 통해 차량의 역주행 상태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적외선 감지기 또는 영상 검지기를 갖춘 역주행 방지 시스템의 경우에는, 적외선 감지 기능 또는 영상 검지 기능이 도로 상의 기후 변화 및 주변 조명 상태의 변화에 취약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안개가 발생하거나 장마 기간 등의 기후 변화가 심하게 발생하거나 가로등 및 차량 조명등으로 인한 영향에 의해 오류를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서, 차량의 역주행 감지 기능을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정상적으로 수행하기가 어렵도록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로의 주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레이저 검지 기능 및 지자기 검지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로 역주행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레이저 스캔라인을 일정 간격 별로 형성하여 차량의 레이저 스캔 라인 통과 순서에 따라 차량의 역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레이저 스캐너와, 도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고서, 차량의 통과 상태를 지자기의 교란 크기 측정에 의해 각각 검지하여 차량 통과 순서에 따라 역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지자기 검지기, 상기 레이저 스캐너와 상기 지자기 검지기로부터의 각각의 차량 역주행 검지에 따라 역주행 차량의 진행 저지 및 정상 주행 차량으로의 역주행 상태 통보를 위한 경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역주행 차량의 진행 저지 및 정상 주행 차량으로의 역주행 상태 통보를 위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역주행 사고가 빈발하는 구간이나 고속 국도 휴게소 또는 국도 진입로 등에 차량의 역주행을 감지하는 레이저 스캐너와 지자기 검지기를 각각 설치하고, 레이저 스캐너 및 지자기 검지기로부터 차량이 역주행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이 공통적으로 검지되면, 그 역주행 상태를 원격지 통신을 통해서 상황실로 보고함과 더불어, 도로측에 설치된 고속 차단기를 작동시키고, 전광판을 점등시켜서 역주행 경고가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함에 따라, 기후 변화 및 조명상태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주변 환경 변화에 노출되어 있는 도로 상에서의 차량 역주행 상태를 주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레이저 스캐너 및 지자기 검지기를 통해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게 되면서, 보다 높은 신뢰성의 차량 역주행 검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되고, 고신뢰성의 역주행 검지 기능으로 인한 대형 교통사고 및 도로 정체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은,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와,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 카메라(18), 제어부(20), 통신 인터페이스(22), 차단기 구동부(24), 고속 차단기(26), 표시 구동부(28), 정방향 전광판(30), 역방향 전광판(32), 경보음 발생부(34)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황실에는 통신 인터페이스(36)와, 상황 감시용 컴퓨터 단말(38)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는 역주행 사고가 빈발하거나 역주행의 가능성이 많은 도로의 도로가에 설치되고서, 도로의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레이저광을 발사함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차량의 존재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레이저 스캐너(10,12)는 광원으로 904nm의 적외선 레이저를 사용하고, 1.5×10-8Joules의 레이저 출력을 가지고 360 회/초의 스캔 속도로 레이저광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40℃∼+70℃의 동작 온도와, 0∼100%의 동작 습도, 시간당 80㎜의 동작가능 강우량, 98Kg/㎡의 동작가능 강설량, 1g/㎥의 먼지 농도 등의 사용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로 주변의 환경 변화 상태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차량의 주행 방향 검지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는 차량을 구성하는 철 등의 상자성 금속체가 이동할때 지자기를 교란하는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통과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도로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는 각 검지기가 에폭시 수지에 의해 몰딩되어 있는 모듈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호 접속 케이블을 통해 유선 연결되어 있으며, X-Y-Z의 3축 형태로 이루어져서 지자기 검출범위는 -4∼+4 Gauss이고, 한계 자장값은 20Gauss이며, 3.0mV/V/Gauss의 검출 강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정상 진행 방향을 따라 제1레이저 스캐너(10)로부터 제2레이저 스캐너(12)의 순서로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차량이 정상 주행중인 것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제1레이저 스캐너(10)가 차량을 감지한 다음에 제2레이저 스캐너(12)가 후속적으로 검지하도록 되어 있고, 차량이 역주행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제2레이저 스캐너(12)가 차량을 검지한 다음에 제1레이저 스캐너(10)가 후속적으로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의 설치 위치와 근접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되, 각 레이저 스캐너(10,12)의 레이저광 발생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의 바닥면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매립 설치되어 있도록 하게 되는 바, 상기 제1지자기 검지기(14)는 상기 제1레이저 스캐너(10)로부터의 레이저광 발생 경로 상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지자기 검지기(16)는 상기 제2레이저 스캐너(12)로부터의 레이저광 발생 경로 상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는 차량의 정상 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상기 제1지자기 검지기(14)에서 차량을 검지한 다음에 후속적으로 제2지자기 검지기(16)에서 차량을 검지하도록 하고, 차량의 역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지자기 검지기(16)에서 차량을 검지한 다음에 후속적으로 제1지자기 검지기(14)에서 검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자기 검지기(14,16)의 차량 통과 상태 검지에 따라 발생되는 출력 파형이 차량의 정상 주행 상태와 역주행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바,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로부터 발생되는 출력 파형의 형태에 따라 도로통과 차량의 정상 주행상태 또는 역주행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와, 상기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는 RS-422 방식의 시리얼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부(20)의 데이터 입력포트와 연결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 모듈을 적용하여 상기 제어부(20)와 무선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는 각 레이저 스캐너가 개별 구성수단으로서 적용되어 상기 제어부(20)와 각각 개별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이저광을 각각 발생하는 단일의 레이저 스캐너를 적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18)는 역주행 차량의 진행 방향을 향하고 있는 역방향 전광판(32) 내측의 중앙 화면 부위에 차량의 역주행 경로를 향하여 설치되고서,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 및 상기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에 의해 역방향 주행이 검지되는 차량의 전면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18)는 예컨대 이더넷과 같은 고속 랜(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부(20)와 접속되어 상시적으로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어부(20)의 촬영 명령에 의해 역주행 차량을 촬영한 정지화상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18)는 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부(20)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2)와 직접 접속되어 촬영 영상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상황실의 상황 감시용 컴퓨터 단말(38)로 직접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의 레이저광 스캔 동작을 통해 검지되는 차량의 주행 방향이 역주행으로 판명되고, 상기 제1 및 제2자지가 검지기(14,16)로부터 검지되는 동일 차량의 주행 방향이 역주행으로 판명되면, 상기 차단기 구동부(24)를 구동제어하여 고속 차단기(26)가 역주행 차량의 역 주행을 저지하도록 하고, 상기 표시 구동부(28)를 구동 제어하여 각 전광판(30,32)에 역주행 상태의 경고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경보음 발생부(34)를 통해 역주행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차량의 역주행 사실을 상황실로 통보하며, 상기 카메라(18)를 통해 역주행 차량을 촬영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이 생성되도록 하여 통신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상황실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와,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에서 차량의 정상 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레이저 스캔라인과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의 출력 파형으로부터 진입 검지 구간 및 진출 검지 구간을 파악하여 주행 검지 차량의 정상 주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차량의 역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레이저 스캔라인과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의 출력 파형으로부터 진입 검지 구간 및 진출 검지 구간을 파악하여, 제2레이저 스캔라인의 출력 파형 발생 이후에 제1레이저 스캔라인의 파형이 발생되고, 제2지자기 검지기의 출력 파형이 발생된 이후에 제1지자기 검지기의 출력 파형이 발생되어 파형이 변화된 것을 파악하여 차량이 역주행 중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2)는 상기 상황실의 통신 인터페이스(36)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역주행 발생 정보 및 상기 카메라(18)로부터 촬영된 정지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차단기 구동부(24)는 상기 제어부(2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고속 차단기(26)를 가동시키기 위한 구동을 수행하고, 상기 고속 차단기(26)는 상기 차단기 구동부(24)의 구동에 따라 차단바 또는 로드 블럭(Road Block)을 작동시켜서 역주행하는 차량의 진로를 차단하여 역주행이 더이상 진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속 차단기(26)는 상기 차단기 구동부(24)의 구동에 의해 모터 구동 방식으로 차단바 또는 로드 블럭을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바 또는 로드 블럭은 차량의 충돌에 의한 차량 사고 및 차량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 재질로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구동부(28)는 상기 제어부(2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정방향 전광판(30) 및 역방향 전광판(32)에 차량의 역주행에 대한 경고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표시 구동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정방향 전광판(30)은 도로의 정상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고서, 차량의 역방향 주행 사실을 정상 주행하는 여타 차량에게 경고하는 문구를 표시하게 되고, 상기 역방향 전광판(32)은 도로의 역주행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고서, 역주행하는 차량에게 해당 차량이 역주행 중임을 경고하는 문구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경보음 발생부(34)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역주행을 경고하는 경보음을 음성 출력한다.
상기 상황실의 통신 인터페이스(36)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2)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고서, 차량의 역주행 발생 정보 및 역주행 차량을 촬영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상황 감시용 컴퓨터 단말(38)에 제공한다.
상기 상황 감시용 컴퓨터 단말(38)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6)를 통해 상기 카메라(18)로부터 촬영되는 역주행 차량에 대한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을 화면 표시함과 더불어, 역주행 발생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화면 표시하여 상황실의 관리자에게 통보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5의 도면 및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와,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를 통해 도로의 주행 방향을 따라 차량이 정상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을 검지함에 따른 대기 상태에서(단계 S10), 제어부(20)는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 스캐너(10,12)로부터 차량의 역주행이 검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1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2레이저 스캐너(12)로부터의 제2레이저 스캔라인을 차량이 먼저 통과하고 이후에 상기 제1레이저 스캐너(10)로부터의 제1레이저 스캔라인을 차량이 통과함에 따라, 차량의 역주행이 검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 스캔라인과 근접 위치에 설치된 제1 및 제2지자기 검지기(14,16)로부터 차량의 역주행이 검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1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2지자기 검지기(16)가 먼저 차량의 통과를 검지한 다음에 상기 제1지자기 검지기(14)가 차량의 통과를 검지함에 따라, 차량의 역주행이 검지되었다고 판단되면, 표시 구동부(28)를 구동 제어하여 정상 주행 차량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설치된 정방향 전광판(30)에 맞은편의 차량 역 주행을 경고하는 경고 문구가 예컨대 "역주행 주의운전"과 같이 표시되도록 하고, 역주행 차량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설치된 역방향 전광판(32)에 해당 역주행 차량에 대한 역주행 경고 문구로서 예컨대 "역주행 정지"와 같은 문구가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경보음 발생부(34)를 통해서 차량의 역주행을 저지하기 위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단계 S13).
그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20)는 차단기 구동부(24)를 제어하여 고속 차단기(26)를 작동시킴에 따라 차단바 또는 로드 블럭이 도로를 가로질러서 설치되어 역주행 차량이 더이상 역주행하지 못하도록 조치하게 되고(단계 S14), 통신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상황실에 역주행 차량의 발생을 통보하는 정보를 전송하여 차량의 역주행 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5).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스캐너 및 지자기 검지기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지자기 검지기를 통해 검지되는 차량의 도로 정상주행시 및 역주행시 검지 출력 파형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스캐너 및 지자기 검지기를 통해 차량의 도로 정상 주행시 및 역주행시의 진입검지 및 진출검지의 검지 출력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역주행 검지 및 역주행 경보가 발생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레이저 스캐너, 14,16:지자기 검지기,
18:카메라, 20:제어부,
22,36:통신 인터페이스, 24:차단기 구동부,
26:고속 차단기, 28:표시 구동부,
30:정방향 전광판, 32:역방향 전광판.

Claims (3)

  1. 도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레이저 스캔라인을 일정 간격 별로 형성하여 차량의 레이저 스캔 라인 통과 순서에 따라 차량의 역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레이저 스캐너와;
    도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고서, 차량의 통과 상태를 지자기의 교란 크기 측정에 의해 각각 검지하여 차량 통과 순서에 따라 역주행 상태를 검지하는 지자기 검지기;
    상기 레이저 스캐너와 상기 지자기 검지기로부터의 각각의 차량 역주행 검지에 따라 역주행 차량의 진행 저지 및 정상 주행 차량으로의 역주행 상태 통보를 위한 경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역주행 차량의 진행 저지 및 정상 주행 차량으로의 역주행 상태 통보를 위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부는 역주행 차량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어 역주행 경고 문구를 표시하는 역방향 전광판과, 정상 주행 차량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어 해당 도로에서의 역주행 경고 문구를 표시하는 정방향 전광판, 역주행을 경고하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단바 또는 로드 블럭 중에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서 역주행 차량의 진행을 차단시키는 고속 차단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
KR1020090032660A 2009-04-15 2009-04-15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 KR20100114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660A KR20100114234A (ko) 2009-04-15 2009-04-15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660A KR20100114234A (ko) 2009-04-15 2009-04-15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234A true KR20100114234A (ko) 2010-10-25

Family

ID=4313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660A KR20100114234A (ko) 2009-04-15 2009-04-15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2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61B1 (ko) * 2014-12-26 2015-07-09 김돈신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CN105825685A (zh) * 2016-04-20 2016-08-03 周欣 基于磁阻传感器网络的车辆逆行无线探测与智能控制系统
KR102249520B1 (ko) * 2020-09-02 2021-05-11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열영상을 이용한 역주행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334592B1 (ko) * 2021-05-20 2021-12-06 주식회사 에스투에이치원 차량의 역주행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61B1 (ko) * 2014-12-26 2015-07-09 김돈신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CN105825685A (zh) * 2016-04-20 2016-08-03 周欣 基于磁阻传感器网络的车辆逆行无线探测与智能控制系统
KR102249520B1 (ko) * 2020-09-02 2021-05-11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열영상을 이용한 역주행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334592B1 (ko) * 2021-05-20 2021-12-06 주식회사 에스투에이치원 차량의 역주행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3358Y1 (ko) 스쿨존의 속도 감지 및 표시장치
RU2682153C2 (ru)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в неправиль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JP4706315B2 (ja) 車両の運転支援システム
KR100608974B1 (ko) 지하주차장 진출입구의 안전시설 시스템
CN106097776A (zh) 一种弯道防碰撞预警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5301884A (ja) 環状交差点の車両情報システム
KR102296105B1 (ko) 스마트 센서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안전지원 시스템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100692109B1 (ko) 스쿨존 안전 시스템
KR101682061B1 (ko) 도로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2965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0271892A (ja) 広告表示システム
KR20160092963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114234A (ko) 차량의 도로 역주행 방지 시스템
KR20180131410A (ko) 지그비통신과 높이측정을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KR20090040636A (ko) 역주행방지시스템
KR100923586B1 (ko)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등 판별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정보 표시 방법
JP2005234774A (ja) 交通信号無視車両警告装置、及び交通信号無視車両警告・記録装置
KR20200142718A (ko)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KR102246833B1 (ko) 차량 정체 및 도로 상황 알림시스템
KR101819420B1 (ko) 졸음쉼터 진출입 알림 시스템
JP6582186B1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KR102458852B1 (ko) 휴게소의 역주행 방지시스템
JPH0726522A (ja) 高さ制限超過検知・警報装置
JPH10269492A (ja) 車両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