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03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036A
KR20100113036A KR1020100032290A KR20100032290A KR20100113036A KR 20100113036 A KR20100113036 A KR 20100113036A KR 1020100032290 A KR1020100032290 A KR 1020100032290A KR 20100032290 A KR20100032290 A KR 20100032290A KR 20100113036 A KR20100113036 A KR 20100113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prs
transmitt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162B1 (ko
Inventor
한승희
이대원
권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080020536.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422663B/zh
Priority to EP13000905.3A priority patent/EP2597915B1/en
Priority to HUE10761897A priority patent/HUE027807T2/en
Priority to AU2010235311A priority patent/AU2010235311B2/en
Priority to CN201410428094.2A priority patent/CN104243080B/zh
Priority to PCT/KR2010/002201 priority patent/WO2010117236A2/ko
Priority to CA2758170A priority patent/CA2758170C/en
Priority to EP10761897.7A priority patent/EP2418887B1/en
Priority to US13/263,727 priority patent/US8982788B2/en
Priority to ES10761897.7T priority patent/ES2547869T3/es
Publication of KR2010011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036A/ko
Priority to US14/533,930 priority patent/US9215054B2/en
Priority to US14/921,513 priority patent/US97057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162B1/ko
Priority to US15/602,736 priority patent/US1041193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9Acquisition of downlink reference signals, e.g. detection of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6Pilot sequence conve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6Frame synchronisation, e.g. packet synchronisation, time division duplex [TDD] switching point detection or subfram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5Pilot or known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6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 H04L27/2678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using cyclostationarities, e.g. cyclic prefix or postf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전송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무선 프레임 내의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positioning subframe)이 결정되고, PRS가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PRS는 단일 PRS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 맵핑되며, 상기 맵핑된 PR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상기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상기 각 OFDM 심벌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프레임의 상기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입은 제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분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의 타입은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3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어 개발되고 있는 4세대 무선 통신은 하향링크 1Gbps(Gigabits per second) 및 상향링크 500Mbps(Megabits per second)의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가 위치와 이동성에 관계없이 신뢰할 수 있는(reliable)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무선 채널(wireless channel)은 경로 손실(path loss), 잡음(noise), 다중 경로(multipath)에 의한 페이딩(fading) 현상, 심벌 간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 또는 단말의 이동성으로 인한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등의 비이상적인 특성이 있다. 무선 채널의 비이상적 특성을 극복하고, 무선 통신의 신뢰도(reliability)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신뢰할 수 있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등이 있다. OFDM은 낮은 복잡도로 심벌 간 간섭 효과를 감쇄시킬 수 있는 3세대 이후 고려되고 있는 시스템이다. OFDM은 직렬로 입력되는 심벌을 N(N은 자연수)개의 병렬 심벌로 변환하여, 각각 분리된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실어 송신한다. 부반송파는 주파수 차원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동 통신 시장은 기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 OFDM 기반 시스템으로 규격이 변이될 것으로 예상된다. MIMO 기술은 다중 송신 안테나와 다중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킨다. MIMO 기술에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 빔포밍(beamforming) 등이 있다. 수신 안테나 수와 송신 안테나 수에 따른 MIMO 채널 행렬은 다수의 독립 채널로 분해될 수 있다. 각각의 독립 채널은 레이어(layer) 또는 스트림(stream)이라 한다. 레이어의 개수는 랭크(rank)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 시스템 동기 획득, 채널 정보 피드백 등을 위하여 상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의 채널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 환경에서는 다중 경로 시간 지연으로 인하여 페이딩이 발생하게 된다. 페이딩으로 인한 급격한 환경 변화에 의하여 생기는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여 전송 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을 채널 추정이라고 한다. 또한 단말이 속한 셀 혹은 다른 셀에 대한 채널 상태(channel state)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채널 추정 또는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송수신기가 상호 간에 알고 있는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게 된다.
참조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부반송파를 참조 신호 부반송파라하고,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요소를 데이터 부반송파라 한다. OFDM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는 모든 부반송파에 할당하는 방식과 데이터 부반송파 사이에 할당하는 방식이 있다. 참조 신호를 모든 부반송파에 할당하는 방식은 채널 추정 성능의 이득을 얻기 위하여 프리앰블 신호와 같이 참조 신호만으로 이루어진 신호를 이용한다. 이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참조 신호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데이터 부반송파 사이에 참조 신호를 할당하는 방식에 비하여 채널 추정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의 전송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전송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 부반송파 사이에 참조 신호를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참조 신호의 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채널 추정 성능의 열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배치가 요구된다.
수신기는 참조 신호의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수신된 신호에서 이를 나누어 채널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채널 값을 보상하여 송신단에서 보낸 데이터를 정확히 추정할 수 있다. 송신기에서 보내는 참조 신호를 p, 참조 신호가 전송 중에 겪게 되는 채널 정보를 h,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열 잡음을 n,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y라 하면 y=h·p+n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참조 신호 p는 수신기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LS(Least Square) 방식을 이용할 경우 수학식 1과 같이 채널 정보(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를 추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이때 참조 신호 p를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 추정값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값에 따라서 그 정확도가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h값의 추정을 위해서는
Figure pat00006
이 0에 수렴해야만 하고, 이를 위해서는 많은 개수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여
Figure pat00007
의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우수한 채널 추정 성능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듬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말 포지셔닝(UE positioning)은 최근 실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정밀한 단말 포지셔닝 방법이 요구된다. 단말 포지셔닝 기법은 크게 4가지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1) 셀 ID 기반 방법: 셀 ID 기반 방법은 셀의 커버리지(coverage)를 이용한다. 단말의 위치는 해당하는 단말을 서비스하는 서빙 셀에 대한 정보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서빙 셀에 대한 정보는 페이징(paging), 로케이팅 영역 업데이트(locating area update), 셀 업데이트(cell update), URA 업데이트,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routing area update)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셀 커버리지를 기반으로 하는 포지셔닝 정보는 사용되는 셀(used cell)의 셀 아이덴티티(identity), 서비스 영역 아이덴티티 또는 서빙 셀과 관계되는 위치의 지리적 좌표(coordinate)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포지셔닝 정보는 QoS(Quality of Service) 추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능한 경우 포지션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포지셔닝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포지셔닝 정보로 지리적 좌표가 사용될 경우, 단말의 추정된 위치는 서빙 셀 내의 고정된 어느 위치, 서빙 셀의 커버리지 영역의 지리적 중심점, 또는 셀 커버리지 내의 다른 고정된 점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지리적 위치는 셀 특정(cell specific)인 고정된 지리적 위치에 대한 정보와 다른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다른 정보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에서 신호의 RTT(Round Trip Time) 또는 TDD 모드에서 수신 타이밍 편차 등의 정보일 수 있다.
2) OTDOA-IPDL(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 Idle Periods in Downlink) 방법: 도 1은 ODDOA-IPDL 방법에 의한 단말의 위치 추정 개념을 나타낸다.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타이밍 차이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정한다. 단말이 서빙 셀에 매우 가까이 위치한 경우, 서빙 셀의 강한 전송 전력으로 인해 인접 셀이 전송한 신호를 단말이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hearability problem)이 생길 수 있다. 이는 ADC 레벨이 서빙 셀을 기준으로 결정되고, 인접 셀에서 전송된 신호들은 해당 ADC 레벨보다 낮은 수준으로 수신되어 신호 구별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서빙 셀의 하향링크에 IPDL이 적용될 수 있다. IPDL은 네트워크에서 설정 가능할 수 있다. OTDOA-IPDL 방법에서 아이들 주기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OTDOA-IPDL 방법은 단순한 OTDOA 방법이 된다.
3) 네트워크 지원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방법: 본 방법은 GN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장착한 단말을 이용한다.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GNSS 신호가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4) U-TDOA 방법: 본 방법은 단말로부터 전송되고 4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TOA(Time Of Arrival)를 네트워크가 측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방법은 데이터의 TOA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단말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기지국을 필요로 한다. 측정 유닛의 지리적 좌표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쌍곡선 측량법(hypervbolic trilateration)에 의해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참조 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셀로부터 전송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각 신호의 지연 시간(delay)의 차이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지연 시간의 차이를 기지국으로 보고하여 기지국에서 단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스스로 그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LTE TS36.355 V9.0.0(2009-12) 4.1.1절을 참조하면, 각 셀로부터 전송된 참조 신호의 단말이 측정한 지연 시간의 차이(RSTD;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등의 측정 값들은 LPP(LTE Positioning Protocol)를 통해 E-SMLC(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가 제어할 수 있다. LPP는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로부터 얻은 위치 관계 측정값을 사용하여 목적 장치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도록 E-SMLC 등의 위치 서버(location server)와 단말 등의 목적 장치(target device) 간에 점 대 점(point-to-point)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셀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참조 신호의 패턴은 전력 차이(power difference) 또는 지연 차이(delay difference)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효율적인 참조 신호 구조 설계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 프레임 내의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positioning subframe)을 결정하고, PRS를 생성하고, 상기 PRS를 단일 PRS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 맵핑하고, 상기 맵핑된 PRS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상기 각 OFDM 심벌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프레임의 상기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입은 제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분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의 타입은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에 동일한 PRS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단말이 PRS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의 타입과 관계 없이 단말의 위치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ODDOA-IPDL 방법에 의한 단말의 위치 추정 개념을 나타낸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3은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는 CRS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복수의 셀로부터 전송된 포지셔닝 서브프레임(positioning subframe)이 일부 정렬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은 제안된 PRS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복수의 셀로부터 수신된 PRS 사이의 시간 차이 보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8는 제안된 PRS 전송 방법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PRS 패턴을 구성하는 기본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0 및 도 21은 제안된 PRS 전송 방법에 따른 PRS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PRS가 맵핑되는 자원 요소와 다른 참조 신호가 맵핑되는 자원 요소가 서로 겹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3 및 도 24는 CRS를 이용한 단말의 위치 추정 방법에 따른 서빙 셀의 서브프레임과 인접 셀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기지국 및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LTE-A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단말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단말이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단말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 기술은 하향링크(downlink) 또는 상향링크(uplink)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향링크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3은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 36.211 V8.5.0 (2008-12)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의 6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 내 슬롯은 #0부터 #19까지 슬롯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한다. TT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다중 접속 방식으로 SC-FDMA가 사용될 경우 SC-FDMA 심벌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는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개수, 또는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GPP LTE는 노멀(normal)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에서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확장(extended) CP에서 하나의 슬롯은 6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는 1번째 슬롯(1번째 서브프레임(인덱스 0인 서브프레임)의 1번째 슬롯)과 11번째 슬롯(6번째 서브프레임(인덱스 5인 서브프레임)의 1번째 슬롯)의 마지막 OFDM 심벌에서 전송된다. PSS는 OFDM 심벌 동기 또는 슬롯 동기를 얻기 위해 사용되고, 물리적 셀 ID(identification)와 연관되어 있다. PSC(Primary Synchronization code)는 PSS에 사용되는 시퀀스이며, 3GPP LTE는 3개의 PSC가 있다. 셀 ID에 따라 3개의 PSC 중 하나를 PSS로 전송한다. 1번째 슬롯과 11번째 슬롯의 마지막 OFDM 심벌 각각에는 동일한 PSC를 사용한다.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는 제1 SSS와 제2 SSS를 포함한다. 제1 SSS와 제2 SSS는 PSS가 전송되는 OFDM 심벌에 인접한 OFDM 심벌에서 전송된다. SSS는 프레임 동기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SSS는 PSS와 더불어 셀 ID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제1 SSS와 제2 SSS는 서로 다른 SSC(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를 사용한다. 제1 SSS와 제2 SSS가 각각 31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고 할 때, 길이 31인 2개의 SSC 시퀀스 각각이 제1 SSS와 제2 SSS에 사용된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은 1번째 서브프레임의 2번째 슬롯의 앞선 4개의 OFDM 심벌에서 전송된다. PBCH는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하는데 필수적인 시스템 정보를 나르며, PBCH를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MIB(Master Information Block)라 한다. 이와 비교하여,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라 한다.
3GPP TS 36.211 V8.5.0 (2008-12)에 개시된 바와 같이, LTE는 물리 채널을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 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과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눈다. 또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와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이 있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한다. DCI는 PDSCH의 자원 할당(이를 하향링크 그랜트라고도 한다), PUSCH의 자원 할당(이를 상향링크 그랜트라고도 한다), 임의의 UE 그룹 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NRB개의 자원 블록을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 블록의 수 NRB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NRB은 60 내지 1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도 상기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자원 그리드 상의 자원 요소는 슬롯 내 인덱스 쌍(pair) (k,l)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k(k=0,...,NRB×12-1)는 주파수 영역 내 부반송파 인덱스이고, l(l=0,...,6)은 시간 영역 내 OFDM 심벌 인덱스이다.
여기서, 하나의 자원 블록은 시간 영역에서 7 OFDM 심벌, 주파수 영역에서 12 부반송파로 구성되는 7×12 자원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자원 블록 내 OFDM 심벌의 수와 부반송파의 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OFDM 심벌의 수와 부반송파의 수는 CP의 길이, 주파수 간격(frequency spacing)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멀 CP의 경우 OFDM 심벌의 수는 7이고, 확장된 CP의 경우 OFDM 심벌의 수는 6이다. 하나의 OFDM 심벌에서 부반송파의 수는 128, 256, 512, 1024, 1536 및 2048 중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2개의 슬롯을 포함하고, 각 슬롯은 노멀 CP에서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1.4Mhz 대역폭에 대해서는 최대 4 OFDM 심벌들)이 제어 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이 된다. 3GPP LTE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은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있다.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즉,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쥴링 정보 및 임의의 UE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파워 제어 명령 등을 가리킨다.
도 6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되기 위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의 PUCCH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RB 쌍(pair)을 구성하여 할당된다. 상기 RB 쌍에 포함되는 RB들은 각각의 슬롯의 서로 다른 부반송파(subcarrier)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RB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가 홉핑(frequency-hopped)되었다고 한다.
참조 신호는 일반적으로 시퀀스로 전송된다. 참조 신호 시퀀스는 특별한 제한 없이 임의의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참조 신호 시퀀스는 PSK(Phase Shift Keying) 기반의 컴퓨터를 통해 생성된 시퀀스(PSK-based computer generated sequence)를 사용할 수 있다. PSK의 예로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이 있다. 또는, 참조 신호 시퀀스는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CAZAC 시퀀스의 예로는 ZC(Zadoff-Chu) 기반 시퀀스(ZC-based sequence), 순환 확장(cyclic extension)된 ZC 시퀀스(ZC sequence with cyclic extension), 절단(truncation) ZC 시퀀스(ZC sequence with truncation) 등이 있다. 또는, 참조 신호 시퀀스는 PN(pseudo-random)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PN 시퀀스의 예로는 m-시퀀스, 컴퓨터를 통해 생성된 시퀀스, 골드(Gold) 시퀀스, 카사미(Kasami) 시퀀스 등이 있다. 또, 참조 신호 시퀀스는 순환 쉬프트된 시퀀스(cyclically shifted sequence)를 이용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셀 특정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S), MBSFN 참조 신호 및 단말 특정 참조 신호(UE-specific RS)로 구분될 수 있다. CRS는 셀 내 모든 단말에게 전송되는 참조 신호로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MBSFN 참조 신호는 MBSFN 전송을 위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 특정 참조 신호는 셀 내 특정 단말 또는 특정 단말 그룹이 수신하는 참조 신호로, 전용 참조 신호(DRS: Dedicated RS)로 불릴 수 있다. DRS는 특정 단말 또는 특정 단말 그룹이 데이터 복조에 주로 사용된다.
먼저 CRS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CRS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기지국이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CRS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기지국이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CRS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기지국이 4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CRS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는 3GPP TS 36.211 V8.2.0 (2008-03)의 6.10.1절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CRS 구조는 LTE-A 시스템의 특징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력적 다중 지점(CoMP; 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수신 기법 또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등의 특징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CRS는 채널 품질 측정, CP 검출, 시간/주파수 동기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기지국이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안테나 전송의 경우, 안테나마다 하나의 자원 그리드가 있다. 'R0'은 제1 안테나에 대한 참조 신호, 'R1'은 제2 안테나에 대한 참조 신호, 'R2'은 제3 안테나에 대한 참조 신호, 'R3'은 제4 안테나에 대한 참조 신호를 나타낸다. R0 내지 R3의 서브프레임 내 위치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다. ℓ은 슬롯 내 OFDM 심벌의 위치로 노멀 CP에서 ℓ은 0부터 6의 사이의 값을 가진다. 하나의 OFDM 심벌에서 각 안테나에 대한 참조 신호는 6 부반송파 간격으로 위치한다. 서브프레임 내 R0의 수와 R1의 수는 동일하고, R2의 수와 R3의 수는 동일하다. 서브프레임 내 R2, R3의 수는 R0, R1의 수보다 적다. 한 안테나의 참조 신호에 사용된 자원 요소는 다른 안테나의 참조 신호에 사용되지 않는다. 안테나 간 간섭을 주지 않기 위해서이다.
CRS는 스트림의 개수에 관계 없이 항상 안테나의 개수만큼 전송된다. CRS는 안테나마다 독립적인 참조 신호를 갖는다. CRS의 서브프레임 내 주파수 영역의 위치 및 시간 영역의 위치는 단말에 관계 없이 정해진다. CRS에 곱해지는 CRS 시퀀스 역시 단말에 관계 없이 생성된다. 따라서, 셀 내 모든 단말들은 CRS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CRS의 서브프레임 내 위치 및 CRS 시퀀스는 셀 ID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CRS의 서브프레임 내 시간 영역 내 위치는 안테나의 번호, 자원 블록 내 OFDM 심벌의 개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CRS의 서브프레임 내 주파수 영역의 위치는 안테나의 번호, 셀 ID, OFDM 심벌 인덱스(ℓ), 무선 프레임 내 슬롯 번호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CRS 시퀀스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 OFDM 심벌 단위로 적용될 수 있다. CRS 시퀀스는 셀 ID,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 슬롯 번호, 슬롯 내 OFDM 심벌 인덱스, CP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OFDM 심벌 상에서 각 안테나별 참조신호 부반송파의 개수는 2개이다. 서브프레임이 주파수 영역에서 NRB 개의 자원 블록을 포함한다고 할 때, 하나의 OFDM 심벌 상에서 각 안테나별 참조신호 부반송파의 개수는 2×NRB이다. 따라서, CRS 시퀀스의 길이는 2×NRB가 된다.
수학식 2는 CRS 시퀀스 r(m)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8
여기서, m은 0,1,...,2NRB max-1이다. 2NRB max은 최대 대역폭에 해당하는 자원 블록의 개수이다. 예를 들어, 3GPP LTE 시스템에서 2NRB max은 110이다. c(i)는 PN 시퀀스로 모조 임의 시퀀스로, 길이-31의 골드(Gold) 시퀀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3은 골드 시퀀스 c(n)의 일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Nc=1600이고, x1(i)은 제1 m-시퀀스이고, x2(i)는 제2 m-시퀀스이다. 예를 들어, 제1 m-시퀀스 또는 제2 m-시퀀스는 매 OFDM 심벌마다 셀 ID,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 슬롯 번호, 슬롯 내 OFDM 심벌 인덱스, CP의 종류 등에 따라 초기화(initialization)될 수 있다.
2NRB max보다 작은 대역폭을 갖는 시스템의 경우, 2×2NRB max 길이로 생성된 참조 신호 시퀀스에서 2×NRB 길이로 일정 부분만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CRS는 LTE-A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의 추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SI의 추정을 통해 필요한 경우에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및 랭크 지시자(RI; Rank Indicator) 등이 단말로부터 보고될 수 있다. 단말 특정 참조 신호는 LTE-A 시스템에서 PDSCH 복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PDSCH와 단말 특정 참조 신호는 동일한 프리코딩 동작을 따를 수 있다.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참조 신호 중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RS는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은 일반(normal) 서브프레임 또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반 서브프레임에서는 서브프레임의 전 영역에서 주어진 CRS 패턴에 의해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CRS가 전송된다. 한편, MBSFN 서브프레임은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도 있고, 해당 반송파(carrier)에서 모든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으로 구성(dedicated MBSFN subframe)될 수도 있다.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프레임에서 TDM 방식으로 다중화되는 경우,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서브프레임의 전 영역 중 일부에서만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CRS가 전송된다. 이때 MBSFN 서브프레임에서 CRS가 전송되는 영역은 PDCCH로 지정되는 영역이며, 데이터 영역으로 지정된 부분에서는 CRS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MBSFN 서브프레임은 기지국이 특수한 용도로 지정한 서브프레임이므로 CRS를 통한 채널 품질 측정 및 채널 상태 추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MBSFN 서브프레임에서 PDCCH로 지정되는 영역은 서브프레임의 처음 2 OFDM 심벌까지일 수 있다. 어느 서브프레임에서나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을 위해서는 PRS가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필요가 있다. 다만 PRS가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 채널 추정 또는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한 CRS의 간섭을 받을 수 있다. CRS는 셀 특정 참조 신호로서 모든 단말에 대하여 반드시 전송되어야 한다. MBSFN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의 일부에서만 CRS가 전송되므로, 일반 서브프레임과는 달리 CRS의 간섭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CRS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서빙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강하여 인접 셀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hearability problem을 해결할 수 있다. hearability problem은 ADC 레벨이 서빙 셀을 기준으로 결정되고, 인접 셀에서 전송된 신호들은 해당 ADC 레벨보다 낮은 수준으로 수신되어 신호 구별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도 10은 복수의 셀로부터 전송된 포지셔닝 서브프레임(positioning subframe)이 일부 정렬된 모습을 나타낸다.
PRS가 전송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서브프레임을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라 할 수 있다. 복수의 셀로부터 전송된 PRS를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처리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서 정렬(aligned)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복수의 셀로부터 전송된 PRS를 같은 시간에 처리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무선 프레임 중의 특정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될 수 없으므로, 복수의 셀로부터 전송된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서 정렬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PRS가 일반 서브프레임이 아닌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 단말의 위치 추정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PRS와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PRS는 추정 성능과 구성의 유연성(flexibility)의 관점에서 상충 관계(trade-off)에 있다. 따라서 PRS는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만 전송되기보다는,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 모두에서 전송될 필요가 있다. 이때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의 CRS 패턴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PRS 패턴이 일반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과 MBSFN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의 2가지로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단말이 IPDL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전송되는지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전송되는지를 알아야 함을 의미하며, 이는 추가적인 시그널링 부담(overhead)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이 두 가지 종류의 PRS 패턴에 대한 서로 다른 상관기(correlator)를 설계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따라서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에서 동시에 구성 가능한 IPDL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단말은 현재 IPDL이 일반 서브프레임에 지정되어 있는지 MBSFN 서브프레임에 지정되어 있는지 알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말에 대한 추가적인 시그널링 없이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을 모두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으로 할당하기 위한 PRS 패턴을 제안한다.
이하 제안된 PRS 전송 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기술하도록 한다.
도 11은 제안된 PRS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단계 S100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으로 결정한다.
상기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OFDM 심벌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상기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제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도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은 CRS가 서브프레임 전체에 걸쳐 전송되는 일반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제2 타입 서브프레임은 CRS가 처음 일부 OFDM 심벌, 특히 PDDCH로 지정된 영역에서만 전송되는 MBSFN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 및 상기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입 구성 정보는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2 타입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MBSFN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정의하며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연속한 N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 및 상기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인지 MBSFN 서브프레임인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입장에서는 복수의 셀의 상대적인 셀 특정 파워(cell-specific power)와 셀 특정 시간 지연 오프셋(cell-specific time delay offset)을 측정하기 위하여 해당하는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해야 한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 및 상기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은 전송되는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인지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은 해당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인지 MBSFN 서브프레임인지에 관계 없이, 해당 서브프레임이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되었다면 단말은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관계 없이 동일한 구조의 PRS 패턴을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으므로 해당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된 PRS를 처리하여 단말의 위치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게 이벤트 유발 방식(event-triggered)을 적용하여 필요할 때에 시그널링되거나, 또는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의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주기적으로 할당되게 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기지국은 PRS를 생성한다.
단계 S130에서 기지국은 상기 생성된 PRS를 단일 PRS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 맵핑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P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인지 MBSFN 서브프레임인지 관계 없이 단일 PRS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PRS를 맵핑할 수 있다. 단일 PRS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PRS를 맵핑함으로써, 단말은 서브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하나의 상관기(correlator)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되는 PRS 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단일 PRS 패턴은 PRS가 맵핑되는 OFDM 심벌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RS는 6 부반송파의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OFDM 심벌의 시퀀스에 맵핑될 수 있다.
상기 단일 PRS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내의 OFDM 심벌의 CP의 길이 및/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전송 안테나 포트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PBCH 전송 안테나 포트의 개수는 물리적 안테나의 개수일 수 있고 또는 논리적 안테나의 개수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내의 OFDM 심벌이 노멀 CP를 가지며 상기 PBCH 전송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1개 또는 2개일 때, 상기 단일 PRS 패턴은 4번째, 6번째, 7번째, 9번째, 10번째, 11번째, 13번째 및 14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3, 5, 6, 8, 9, 10, 12 및 13)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내의 OFDM 심벌이 노멀 CP를 가지며 상기 PBCH 전송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4개일 때, 상기 단일 PRS 패턴은 4번째, 6번째, 7번째, 10번째, 11번째, 13번째 및 14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3, 5, 6, 9, 10, 12 및 13)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내의 OFDM 심벌이 확장 CP를 가지며 상기 PBCH 전송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1개 또는 2개일 때, 상기 단일 PRS 패턴은 5번째, 6번째, 8번째, 9번째, 11번째 및 12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4, 5, 7, 8, 10 및 11)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내의 OFDM 심벌이 확장 CP를 가지며 상기 PBCH 전송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4개일 때, 상기 단일 PRS 패턴은 5번째, 6번째, 9번째, 11번째 및 12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4, 5, 8, 10 및 11)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프레임이 2개 이상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된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과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된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은 동일할 수 있다. 일반 서브프레임의 특정 OFDM 심벌은 CRS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므로, 일반 서브프레임에서의 PRS 패턴과 MBSFN 서브프레임에서의 PRS 패턴이 동일한 경우 MBSFN 서브프레임에서 특정 OFDM 심벌에서는 아무 것도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각 셀은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CRS의 관점에서 간섭이 없도록 CRS와 PRS를 배치할 수 있으며, 각 셀에서 전송된 PRS는 서브프레임의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PRS가 전송되는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되는 경우, MBSFN 서브프레임에서의 PRS 전송은 일반 서브프레임의 CP 구성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서브프레임이 노멀 CP를 사용하는 경우 MBSFN 서브프레임도 노멀 CP를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1번째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인덱스 0)은 일반 서브프레임이므로,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의 CP 구성은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포함되는 무선 프레임의 1번째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인덱스 0)의 CP 구성을 따를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단말은 각 셀에서 전송되는 PRS를 이용하여 참조 신호의 시간 차이(RSTD)를 측정한다.
단계 S150에서 단말은 측정한 상기 RSTD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제안된 PRS 전송 방법에 의하여 일반 서브프레임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해당 서브프레임이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되면 각 셀은 해당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서 원래 전송되는 것으로 스케쥴링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PRS를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서빙 셀과 하나의 인접 셀을 가정할 때, 서빙 셀과 인접 셀에서 지정된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모두 일반 서브프레임인 경우 각 셀은 해당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PRS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빙 셀에서 지정된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이고 인접 셀에서 지정된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 서빙 셀은 해당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PRS를 전송하며, 인접 셀도 해당 MBSFN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부분은 전송하지 않고 PRS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빙 셀에서 지정된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인접 셀이 복수일 때에도 확장 가능하다.
도 12는 복수의 셀로부터 수신된 PRS 사이의 시간 차이 보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단계 S200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 및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의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에 의해 무선 프레임 내의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제1 타입 서브프레임과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은 일반 서브프레임, 상기 제2 타입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하며, 각 OFDM 심벌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단말은 상기 복수의 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셀로부터 PRS를 수신한다.
단계 S220에서 단말은 상기 복수의 셀로부터 전송된 PRS 사이의 시간 차이(timing difference)를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상기 PRS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 맵핑되어 전송될 때,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에 따른 서브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상기 PRS는 단일 PRS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맵핑될 수 있다. 상기 단일 PRS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내의 OFDM 심벌의 CP의 길이 및/또는 PBCH 전송 안테나 포트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제안된 PRS 전송 방법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노멀 CP의 경우이다. 도 13-(a)의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처음 3개의 OFDM 심벌까지 PDCCH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4개의 안테나(안테나 포트 0 내지 3)의 CRS가 전송된다. 상기 4개의 안테나의 CRS는 1번째, 2번째, 5번째, 8번째, 9번째 및 12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0, 1, 4, 7, 8 및 11)에서 전송된다. 도 13-(b)의 같은 CP를 가지며 상기 일반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1번째와 2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0, 1)에서 4개의 안테나(안테나 포트 0 내지 3)의 CRS가 전송된다. 3번째 OFDM 심벌(OFDM 심벌 인덱스 2)에서는 상기 일반 서브프레임의 PDCCH 영역에 대응되어 PRS가 펑쳐링(puncturing)될 수 있다.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CRS가 전송되는 자원 요소에 대응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자원 요소에서도 PRS가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PRS가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CRS가 전송되는 OFDM 심벌에서 전송되지 않는 경우, 해당 OFDM 심벌의 모든 자원 요소에서는 PRS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PRS가 전송될 수 있는 OFDM 심벌은 MBSFN 서브프레임의 4번째, 6번째, 7번째, 10번째, 11번째, 13번째 및 14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3, 5, 6, 9, 10, 12 및 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OFDM 심벌일 수 있다.
도 14는 확장 CP의 경우이다. 도 13에서도 도 12와 마찬가지로 PRS가 전송될 수 없는 OFDM 심벌을 제외한다면, PRS가 전송될 수 있는 OFDM 심벌은 MBSFN 서브프레임의 5번째, 6번째, 9번째, 11번째 및 12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4, 5, 8, 10 및 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OFDM 심벌일 수 있다.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서 PRS가 전송될 수 없는 블로킹(blocking) OFDM 심벌에서는 아무 것도 전송이 되지 않거나, 또는 가상 전송(dummy transmission)이 수행될 수 있다. 블로킹 OFDM 심벌에서 아무 것도 전송되지 않는다면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RF부에서 전환 시간(transition)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로킹 OFDM 심벌에서 가상(virtual) CRS, 펑쳐링되기 전의 가상 PRS 및 임의의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제안된 PRS 전송 방법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5 내지 도 18의 서브프레임 구조는 2개의 전송 안테나(안테나 포트 0 및 1)를 가정한 경우의 서브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15는 노멀 CP의 경우이다. 도 15-(a)의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PRS가 전송 가능한 OFDM 심벌은 PDCCH와 영역과 CRS가 전송되는 OFDM 심벌을 제외한 4번째, 6번째, 7번째, 9번째, 10번째, 11번째, 13번째 및 14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3, 5, 6, 8, 9, 10, 12 및 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OFDM 심벌일 수 있다. 도 15-(b)의 MBSFN 서브프레임에서 PRS가 전송 가능한 OFDM 심벌도 상기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PRS가 전송 가능한 OFDM 심벌과 같다.
도 16은 확장 CP의 경우이다. 도 16-(a)의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PRS가 전송 가능한 OFDM 심벌은 PDCCH와 영역과 CRS가 전송되는 OFDM 심벌을 제외한 5번째, 6번째, 8번째, 9번째, 11번째 및 12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4, 5, 7, 8, 10 및 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OFDM 심벌일 수 있다. 도 16-(b)의 MBSFN 서브프레임에서 PRS가 전송 가능한 OFDM 심벌도 상기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PRS가 전송 가능한 OFDM 심벌과 같다.
도 17은 상기 도 15의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가상 데이터(dummy data)를 추가로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PRS가 전송되지 않는 OFDM 심벌인 3번째, 5번째, 8번째 및 12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2, 4, 7 및 11)에서 각각 가상 데이터가 맵핑되어 전송된다. 도 18은 상기 도 16의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가상 데이터를 추가로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PRS가 전송되지 않는 OFDM 심벌인 3번째, 4번째, 7번째 및 10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2, 3, 6 및 9)에서 각각 가상 데이터가 맵핑되어 전송된다.
상기 일반 서브프레임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에 맵핑되는 PRS 패턴은 기본 블록(basis block)에 정의된 패턴을 반복한 형태일 수 있다. PRS를 전송하는 각 셀은 각각의 기본 블록을 기반으로 각각 다른 PRS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19는 PRS 패턴을 구성하는 기본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다.
기본 블록은 N*N 크기의 행렬일 수 있다. 상기 행렬의 열은 주파수 영역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행렬의 행은 시간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19의 기본 블록에서 검게 칠해진 영역에 PRS가 맵핑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검게 칠해진 영역은 각 행과 각 열에서 1개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도 19와 같은 형태의 행렬을 라틴 방진(Latin Square) 행렬이라 할 수 있다.
기본 블록은 셀 ID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각 셀은 대역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각각의 기본 블록을 반복하여 PRS를 그에 따라 맵핑할 수 있다. PRS가 PRS 서브프레임의 1개의 자원 블록에 맵핑되는 경우 상기 기본 블록의 특정 행 또는 특정 열을 상기 1개의 자원 블록에 맞추기 위하여 펑쳐링할 수 있다. PRS가 PRS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자원 블록에 맵핑되는 경우 상기 1개의 자원 블록에 맵핑되는 PRS가 그 패턴을 그대로 유지하여 상기 복수의 자원 블록에 맵핑될 수 있다.
또는 일정한 규칙에 의해 정의된 수식에 따라 기본 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PRS 시퀀스의 길이를 N이라 하고, Np=N+1이라 가정한다. 이때 PRS 서브프레임의 ℓ번째 OFDM 심벌의 부반송파 인덱스 k는 수학식 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수학식 4에서 Np는 N보다 큰 가장 작은 소수일 수 있고, anID는 셀 ID 또는 주파수 재사용(frequency reuse)와 관련된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계수(reuse factor)가 6인 경우,
Figure pat00011
일 수 있다. 만약 (N+1)이 N보다 큰 가장 작은 소시가 아닌 경우, PRS 서브프레임의 ℓ번째 OFDM 심벌의 부반송파 인덱스 k는 수학식 5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수학식 6은 상기 수학식 4 또는 수학식 5에 의해서 생성된 12*12 크기의 기본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3
도 20은 제안된 PRS 전송 방법에 따른 PRS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6의 기본 블록이 상기 도 20-(a)의 일반 서브프레임 및 도 20-(b)의 MBSFN 서브프레임의 3번째 OFDM 심벌부터 14번째 OFDM 심벌(OFDM 심벌 인덱스 2~13)까지 매칭된다. PRS가 전송될 수 없는 3번째, 5번째, 8번째 및 11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2, 4, 7 및 10)에서는 PRS가 펑쳐링된다. 이에 따라 도 20-(a)의 4번째, 6번째, 7번째, 9번째, 10번째, 11번째, 13번째 및 14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3, 5, 6, 8, 9, 10, 12 및 13)에 맵핑되는 PRS 패턴은 각각 상기 수학식 6의 2번째, 4번째, 5번째, 7번째, 8번째, 9번째, 11번째 및 12번째 열의 행렬 원소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도 20-(b)의 MBSFN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은 상기 도 20-(a)의 일반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과 동일하다. 단말은 상기 PRS 패턴에 의하여 복수의 셀에서 전송되는 PRS를 충돌 없이 수신할 수 있다.
수학식 7은 상기 수학식 4 또는 수학식 5에 의해서 생성된 6*6 크기의 기본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4
도 21은 제안된 PRS 전송 방법에 따른 PRS 패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7의 기본 블록이 상기 도 21-(a)의 일반 서브프레임 및 도 21-(b)의 MBSFN 서브프레임에서 PRS가 맵핑 가능한 OFDM 심벌에 매칭된다. 도 21-(a)의 5번째, 6번째, 8번째, 9번째, 11번째 및 12번째 OFDM 심벌(각각 OFDM 심벌 인덱스 4, 5, 7, 8, 10 및 11)에 맵핑되는 PRS 패턴은 각각 상기 수학식 7의 제1 열부터 제6열까지의 행렬 원소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도 21-(b)의 MBSFN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은 상기 도 21-(a)의 일반 서브프레임의 PRS 패턴과 동일하다. 단말은 상기 PRS 패턴에 의하여 복수의 셀에서 전송되는 PRS를 충돌 없이 수신할 수 있다.
도 22는 PRS가 맵핑되는 자원 요소와 다른 참조 신호가 맵핑되는 자원 요소가 서로 겹치는 경우를 나타낸다.
PRS가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에서 모두 전송되는 경우 PRS가 맵핑되는 자원 요소와 향후에 추가될 수 있는 참조 신호(이하 특수 참조 신호)가 맵핑되는 자원 요소가 중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자원 요소에 PRS와 특수 참조 신호를 중첩(superposition)하여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PRS와 상기 특수 참조 신호가 서로 충돌을 일으킴으로써 단말의 위치 추정 성능 또는 특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동작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자원 요소에서 상기 PRS 또는 상기 특수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수 참조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PRS만을 전송하는 경우 특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동작의 성능은 감소하나, PRS를 이용한 단말의 위치 추정 성능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반대로 상기 PRS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특수 참조 신호만을 전송하는 경우 단말의 위치 추정 성능은 감소하나, 상기 특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동작의 성능은 감소하지 않는다.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데에 있어 PRS를 이용하지 않고 기존의 CRS를 이용할 수도 있다. CRS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경우, 서빙 셀의 강한 전송 전력에 의해 인접 셀에서 전송하는 CRS를 정확하게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 셀의 C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서빙 셀은 그에 대응되는 서브프레임의 PDSCH 영역의 전송 전력을 끄거나 줄임으로써 단말이 인접 셀로부터 전송되는 CRS를 보다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CRS를 이용한 단말의 위치 추정 방법에 따른 서빙 셀의 서브프레임과 인접 셀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23을 참조하면, 인접 셀이 CRS를 전송하는 포지셔닝 서브프레임과 대응되는 서빙 셀의 서브프레임에서 PDSCH의 전송 전력을 끌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인접 셀이 CRS를 전송하는 OFDM 심벌과 대응되는 서빙 셀의 OFDM 심벌에서 PDSCH의 전송 전력을 끌 수 있다. 상기 서빙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접 셀로부터 전송되는 CRS를 보다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기지국 및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지국(800)은 프로세서(810; processor), PRS 생성부(820; PRS generating unit) 및 전송 회로(830; transmit circuitry)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으로 결정하고, PRS 생성부(820)에서 생성된 PRS를 단일 PRS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 맵핑한다. PRS 생성부(820)는 PRS를 생성한다. 전송 회로(830)는 상기 PRS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한다. 프로세서(810)는 P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인지 MBSFN 서브프레임인지 관계 없이 단일 PRS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PRS를 맵핑할 수 있다. 상기 단일 PRS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내의 OFDM 심벌의 CP의 길이 및/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전송 안테나 포트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말(900)은 프로세서(910), 수신 회로(920; receive circuitry) 및 전송 회로(930)를 포함한다. 수신 회로(920)는 복수의 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서 PRS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다. 전송 회로(930)는 상기 복수의 셀로부터 전송된 상기 PRS 사이의 시간 차이(timing difference)를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910)는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 및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셀로부터 전송된 상기 PRS 사이의 시간 차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에 의해 무선 프레임 내의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제1 타입 서브프레임과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은 일반 서브프레임, 상기 제2 타입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하며, 각 OFDM 심벌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R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단일 PRS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맵핑될 수 있다. 상기 단일 PRS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 내의 OFDM 심벌의 CP의 길이 및/또는 PBCH 전송 안테나 포트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전송 방법에 있어서,
    무선 프레임 내의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positioning subframe)을 결정하고,
    PRS를 생성하고,
    상기 PRS를 단일 PRS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 맵핑하고,
    상기 맵핑된 PRS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상기 각 OFDM 심벌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프레임의 상기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입은 제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분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의 타입은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032290A 2009-04-10 2010-04-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3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758170A CA2758170C (en) 2009-04-10 2010-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UE10761897A HUE027807T2 (en) 2009-04-10 2010-04-09 Procedure and apparatus for sending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10235311A AU2010235311B2 (en) 2009-04-10 2010-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3/263,727 US8982788B2 (en) 2009-04-10 2010-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0/002201 WO2010117236A2 (ko) 2009-04-10 2010-04-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13000905.3A EP2597915B1 (en) 2009-04-10 2010-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080020536.XA CN102422663B (zh) 2009-04-10 2010-04-09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定位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CN201410428094.2A CN104243080B (zh) 2009-04-10 2010-04-09 发射及接收定位参考信号的方法和用户设备
ES10761897.7T ES2547869T3 (es) 2009-04-10 2010-04-09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transmitir una señal de referencia de posicionamiento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EP10761897.7A EP2418887B1 (en) 2009-04-10 2010-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4/533,930 US9215054B2 (en) 2009-04-10 2014-11-0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4/921,513 US9705719B2 (en) 2009-04-10 2015-10-2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5/602,736 US10411930B2 (en) 2009-04-10 2017-05-2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35609P 2009-04-10 2009-04-10
US61/168,356 2009-04-10
US17360709P 2009-04-29 2009-04-29
US61/173,607 2009-04-29
US17645009P 2009-05-07 2009-05-07
US61/176,450 2009-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036A true KR20100113036A (ko) 2010-10-20
KR101738162B1 KR101738162B1 (ko) 2017-05-22

Family

ID=4313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290A KR101738162B1 (ko) 2009-04-10 2010-04-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8982788B2 (ko)
EP (2) EP2597915B1 (ko)
KR (1) KR101738162B1 (ko)
CN (2) CN104243080B (ko)
AU (1) AU2010235311B2 (ko)
CA (1) CA2758170C (ko)
ES (1) ES2547869T3 (ko)
HU (1) HUE027807T2 (ko)
WO (1) WO2010117236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328A1 (en) * 2010-11-17 2012-05-24 Lg Electronics Inc.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72588A1 (ko) * 2012-05-14 201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측정 방법
KR20170036736A (ko) * 2014-09-25 2017-04-03 인텔 코포레이션 무선 셀룰러 기술에서 디바이스간 지원 포지셔닝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및 이용
KR20170042174A (ko) * 2015-10-08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30217A (ko) * 2016-08-12 2019-03-21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KR20190032491A (ko) * 2016-08-12 2019-03-27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무선 전기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WO2022030963A1 (ko) * 2020-08-03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277236B2 (en) 2016-08-12 2022-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ownlink signal by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3694B2 (en) 2003-07-02 2010-08-10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8660574B2 (en) * 2008-04-02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Generic positioning protocol
US9057606B2 (en) 2009-09-10 2015-06-16 Nextnav, Llc Wide area positioning system
US9035829B2 (en) 2008-09-10 2015-05-19 Nextnav, Llc Wide area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CA2928283A1 (en) 2008-09-10 2010-03-18 Nextnav, Llc Wide area positioning system
US8917209B2 (en) 2009-09-10 2014-12-23 Nextnav, Llc Coding in a wide area positioning system (WAPS)
US8614975B2 (en) 2008-09-19 2013-12-24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ing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37155B2 (en) * 2008-10-28 2015-05-19 Sven Fischer Time of arrival (TOA) estimation for positio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982851B2 (en) * 2009-01-06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Hearability improvements for reference signals
KR101738162B1 (ko) 2009-04-10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44881B1 (ko) * 2009-04-10 201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9435874B2 (en) 2009-04-21 2016-09-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ositioning for terminals in a wireless network
US8660540B2 (en) * 2009-04-21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version negotiation for positioning for terminals in a wireless network
EP2434823A1 (en) 2009-04-27 2012-03-28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663616B1 (ko) * 2009-04-29 2016-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시퀀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849326B2 (en) 2009-06-12 2014-09-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centric link adaptation for coordinated multipoint downlink transmission
US8219128B2 (en) * 2009-06-12 2012-07-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centric link adaptation for coordinated multipoint downlink transmission
EP2264961A1 (en) * 2009-06-19 2010-12-22 ST-NXP Wireless France Process for estimating the channel from the PSS signal in a LT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r for the same
US9279879B2 (en) 2009-06-26 2016-03-08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in the presence of passive distributed elements
KR101332886B1 (ko) * 2009-08-13 2013-11-2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위치확인 측정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91712B2 (en) 2009-09-10 2016-03-22 Nextnav, Llc Cell organization and transmission schemes in a wide area positioning system (WAPS)
US9372266B2 (en) 2009-09-10 2016-06-21 Nextnav, Llc Cell organization and transmission schemes in a wide area positioning system (WAPS)
US8688139B2 (en) 2009-09-10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wireless transmitter mapping and mobile station positioning
US9277523B2 (en) 2009-11-05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ed positio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594358B2 (ja) * 2010-03-12 2014-09-2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区間設定方法、中継局、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
US9091746B2 (en) 2010-07-01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positions of wireless transceivers to be add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137959B1 (ko) * 2010-11-08 2020-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594756B (zh) * 2011-01-07 2016-09-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定位参考信号子帧的传输方法及系统
JP5437310B2 (ja) * 2011-05-02 2014-03-1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363782B2 (en) 2011-06-22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positioning in multicarrier configurations
US9176217B2 (en) 2011-08-02 2015-11-03 Nextnav, Llc Cell organization and transmission schemes in a wide area positioning system (WAPS)
US8675792B2 (en) * 2011-09-07 2014-03-18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of Doppler spread estimation
US20150085766A1 (en) * 2011-10-10 2015-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ultiplexing control information at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276709B2 (en) * 2011-11-08 2016-03-0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cellular networks
US8824527B2 (en) * 2011-11-15 2014-09-02 Acorn Technologies, Inc. OFDM receiver with time domain channel estimation
US9407393B2 (en) * 2011-11-21 2016-08-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data and wireless device using same
WO2013100516A1 (en) 2011-12-26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formation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ing cooperative multi-point scheme
US9497719B2 (en) * 2012-01-29 2016-11-15 Lg Electronics Inc.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s, and base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s
KR101674960B1 (ko) * 2012-02-21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제한된 피드백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3125897A1 (en) * 2012-02-23 2013-08-29 Lg Electronic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in mbsfn subframe
US20130242766A1 (en) * 2012-03-14 2013-09-19 Qualcomm Incorporated Pre-sib2 channel estimation and signal processing in the presence of mbsfn for lte
WO2013141584A1 (ko) * 2012-03-19 201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US9686056B2 (en) 2012-05-11 2017-06-20 Blackberry Limited PHICH transmission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US20130308567A1 (en) * 2012-05-15 2013-1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a new carrier type
EP2856202B1 (en) 2012-06-05 2016-12-21 NextNav,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positioning of user device
US8891491B2 (en) * 2012-06-15 2014-11-18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of processing signals and a signal processor
WO2014019228A1 (zh) * 2012-08-03 2014-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终端、基站
US9390279B2 (en) 2012-09-11 2016-07-12 Nextnav,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ditional access to transmitted information
US9286490B2 (en) 2013-09-10 2016-03-15 Nextnav,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ditional access to transmitted information
IN2015DN01892A (ko) * 2012-09-19 2015-08-07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US9479303B2 (en) * 2012-10-23 2016-10-2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651653B2 (en) * 2012-12-24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generation for multiple transmit antenna systems
CN104010363B (zh) * 2013-02-26 2018-05-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参考信号子帧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
CN104581922B (zh) * 2013-10-23 2019-06-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lte系统中主同步信号在时域实现的方法和装置
CN104754723A (zh) * 2013-12-26 2015-07-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空口同步信令的处理方法和装置
EP3092729B1 (en) * 2014-01-09 2019-04-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network liste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113312A1 (en) * 2014-01-30 2015-08-06 Qualcomm Incorporated PRS AND eMBMS SUPPORT UNDER eIMTA IN LTE
US9949315B2 (en) * 2014-02-24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enabling asynchronous transmissions in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KR101871873B1 (ko) * 2014-03-03 2018-06-2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5171198A1 (en) * 2014-05-08 2015-11-12 Fujitsu Limited Resource allocation
WO2015199392A1 (ko) * 2014-06-23 2015-12-30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Positioning)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22287A1 (en) 2014-08-07 2016-02-11 Coherent Logix, Incorporated Multi-partition radio frames
BR122023024931A2 (pt) * 2014-08-07 2024-01-23 ONE Media, LLC Aparelho e método para transmitir um fluxo de transporte de taxa variável
KR20170049494A (ko) * 2014-08-27 201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32308A1 (ko) * 2014-08-29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otdoa 관련 동작 수행 방법
US20170288897A1 (en) * 2014-08-29 2017-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measurement to support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server for supporting positioning,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positioning
WO2016122761A1 (en) * 2015-01-26 2016-08-04 Intel IP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to improv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ing accuracy
US10397795B2 (en) * 2015-01-30 2019-08-27 Mediatek Inc. Frame structure and data mapping for license assisted access
CN107258087B (zh) * 2015-02-24 2020-08-21 飞利浦灯具控股公司 位置化信标信号和控制相关信号的时间复用传输
WO2016153240A1 (ko) * 2015-03-22 201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결정을 위한 측정 결과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482742B1 (en) 2015-05-12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generation for multiple transmit antenna systems
WO2017132969A1 (zh) * 2016-02-04 2017-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US10736113B2 (en) * 2016-02-16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signal techniques for narrowband devices
US10887143B2 (en) * 2016-05-06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2359272B1 (ko) * 2016-05-06 202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액세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360617B (zh) * 2016-05-10 2020-02-0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定位参考信号的发送方法、基站和终端
MX2018014138A (es) * 2016-05-19 2019-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o y aparato para transmision y recepcion e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que soporta estructura y trama escalable.
CN107465497B (zh) * 2016-06-03 2021-08-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定位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装置
ES2968347T3 (es) * 2016-06-30 2024-05-09 Nec Corp Método y aparato para la configuración de señale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CN107623652B (zh) * 2016-07-14 202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JP6816257B2 (ja) 2016-08-08 2021-01-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Nprs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045325B2 (en) 2016-08-12 2018-08-07 Innovative Technology Lab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97872A4 (en) * 2016-08-12 2020-03-25 Innovative Technology Lab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 RECEIV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889212B (zh) * 2016-09-30 2021-08-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的方法和设备
US10788565B2 (en) * 2016-11-04 2020-09-29 Apple Inc.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 measurements for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positioning
EP3321709A1 (en) * 2016-11-11 2018-05-16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 User equipment local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delays and path strengths
EP3549300B1 (en) * 2016-12-05 2020-10-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bandwidth on a lean carrier based on another reference signal bandwidth
US10420063B2 (en) * 2017-02-02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On-demand user equipment positioning
US10863453B2 (en) * 2017-02-14 2020-1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S power pattern
EP4138334A1 (en) 2017-03-24 2023-02-22 Apple Inc. Design of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muting for even further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efemtc)
US10736074B2 (en) 2017-07-31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location determination by beamforming of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US20190297489A1 (en) * 2018-03-23 2019-09-26 Qualcomm Incorporated Waveform design and signaling support for positioning enhancement
CN110366093A (zh) 2018-04-03 2019-10-22 索尼公司 电子设备、用户设备、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750346B2 (en) * 2018-04-03 2023-09-0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structure for navigation and positioning signals
KR102392079B1 (ko) * 2018-05-04 2022-05-02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무선망에서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856096B (zh) * 2018-07-30 2022-07-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定位参考信号生成方法、相关装置、通信系统及存储介质
CN110831175B (zh) * 2018-08-09 2020-12-04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下行定位参考信号时频图样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基站
US11646921B2 (en) 2018-08-09 2023-05-09 Qualcomm Incorporated Using physical channels for positioning measurement signals
CN110535586B (zh) * 2018-08-20 2022-07-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Prs的生成方法、相关装置及通信系统
JP7096343B2 (ja) * 2019-01-11 2022-07-0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測位情報を得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GB2583691B (en) * 2019-02-15 2021-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5G new radio networks
CN113748722B (zh) * 2019-02-15 2024-03-01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定位的方法及用于支持其的装置
US11777764B2 (en) 2019-03-28 2023-10-03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waveform desig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1239967B2 (en) 2019-05-02 2022-02-01 Qualcomm Incorporated Patterns for reference signals used for positio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12398624B (zh) * 2019-08-16 2022-05-3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接收定位参考信号的方法和相关设备
US20220407647A1 (en) * 2019-08-29 2022-12-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82183B2 (en) * 2019-09-16 2021-08-03 Qualcomm Incorporated Comb shift design
US20210029507A1 (en) * 2019-10-04 2021-01-28 Intel Corporation Distributed resource management mode for nr positioning
CN115632750A (zh) * 2019-12-17 2023-01-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直通链路定位参考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终端
US11622371B2 (en) * 2020-03-30 2023-04-04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ancellation indication for up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CN113810094B (zh) * 2020-06-11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的方法和通信装置
US11678211B2 (en) * 2021-04-28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Partial measurement of reference signal for positioning resource
US11540089B1 (en) * 2021-09-23 2022-12-27 Qualcomm Incorporated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enabled sidelink positioning
EP4319231A1 (en) * 2022-08-02 2024-02-07 Vodafone Portugal - Comunicações Pessoais, S.A. Method of authenticating a user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855A (ko) * 2002-05-31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등화할 수 있는오에프디엠 수신기의 채널 등화기 및 이를 이용한 채널등화 방법
KR100601939B1 (ko) * 2004-01-16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Ofdm 시스템에서의 초기 주파수 동기 방법 및 장치
KR100602189B1 (ko) * 2004-07-07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및 심볼 시간동기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1208510B1 (ko) 2005-08-23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ofdma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
US7797000B2 (en) * 2006-12-01 2010-09-14 Trueposition, Inc. System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cell transmitter parameters to facilitate the location of wireless devices
ES2845903T3 (es) * 2007-04-11 2021-07-28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Información de estructura de señal de referencia para mediciones en celdas vecinas
CN101675672B (zh) * 2007-05-02 2016-03-02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发信号通知邻近小区的分配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EP2163015B1 (en) * 2007-06-18 2016-1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of system information
CN101299634A (zh) * 2008-06-19 2008-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Lte系统的专用导频的发送方法
CN101340227B (zh) * 2008-08-15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参考信号的发送方法和装置
US8982851B2 (en) * 2009-01-06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Hearability improvements for reference signals
US7940740B2 (en) * 2009-02-03 2011-05-10 Motorola Mobilit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nd processing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based on identifier associated with a base station
WO2010098581A2 (en) * 2009-02-26 2010-09-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ata in mbsfn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76205B1 (ko) * 2009-03-17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730925B2 (en) * 2009-04-09 2014-05-20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ference signals for accurate time-difference of arrival estimation
KR101738162B1 (ko) 2009-04-10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328A1 (en) * 2010-11-17 2012-05-24 Lg Electronics Inc.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01134B2 (en) 2010-11-17 2015-12-01 Lg Electronics Inc.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72588A1 (ko) * 2012-05-14 201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측정 방법
US9313765B2 (en) 2012-05-14 2016-04-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36736A (ko) * 2014-09-25 2017-04-03 인텔 코포레이션 무선 셀룰러 기술에서 디바이스간 지원 포지셔닝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및 이용
KR20170042174A (ko) * 2015-10-08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720070B2 (en) 2015-10-08 201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30217A (ko) * 2016-08-12 2019-03-21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KR20190032491A (ko) * 2016-08-12 2019-03-27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무선 전기 통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검출
US11277236B2 (en) 2016-08-12 2022-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ownlink signal by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US11726163B2 (en) 2016-08-12 2023-08-15 Nokia Technologies Oy Position detection of user equipment with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WO2022030963A1 (ko) * 2020-08-03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58170A1 (en) 2010-10-14
CN104243080B (zh) 2017-06-09
HUE027807T2 (en) 2016-11-28
CN102422663A (zh) 2012-04-18
US20170257242A1 (en) 2017-09-07
AU2010235311A1 (en) 2011-11-24
US9215054B2 (en) 2015-12-15
EP2418887B1 (en) 2015-08-05
US20150063195A1 (en) 2015-03-05
EP2418887A2 (en) 2012-02-15
US20120027110A1 (en) 2012-02-02
AU2010235311B2 (en) 2013-09-12
US20160043887A1 (en) 2016-02-11
CN102422663B (zh) 2014-09-24
EP2597915A1 (en) 2013-05-29
WO2010117236A2 (ko) 2010-10-14
KR101738162B1 (ko) 2017-05-22
EP2597915B1 (en) 2015-04-08
US10411930B2 (en) 2019-09-10
ES2547869T3 (es) 2015-10-09
US9705719B2 (en) 2017-07-11
WO2010117236A3 (ko) 2011-01-20
US8982788B2 (en) 2015-03-17
CA2758170C (en) 2016-11-22
EP2418887A4 (en) 2012-10-24
CN104243080A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19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9370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5721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600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489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85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754056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参考信号的方法及其设备
KR2014004439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3083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516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400418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