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749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749A
KR20100112749A KR1020090031192A KR20090031192A KR20100112749A KR 20100112749 A KR20100112749 A KR 20100112749A KR 1020090031192 A KR1020090031192 A KR 1020090031192A KR 20090031192 A KR20090031192 A KR 20090031192A KR 20100112749 A KR20100112749 A KR 20100112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generating
dust
sound
generating unit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1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2749A/en
Priority to PCT/KR2010/000751 priority patent/WO2010117133A2/en
Publication of KR2010011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7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PURPOSE: A vacuum cleaner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nfirm the cleaning progress state in detail by differently generating the tones and intensity of sound depending on the amount of dusts. CONSTITUTION: A vacuum cleaner comprises a body unit, a nozzle assembly body, an air path, a dust detecting sensor, a sound generating unit(50) and a control unit. The nozzle assembly body is connected to the body unit, and the air path is formed at the body unit and the nozzle assembly. The dust detecting sensor detects the amount of the dusts flowing through the air path. The sound generating unit outputs sound by generating flow velocity,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ound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sound outputted from the dust detecting sensor.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되는 공기에 먼지가 포함된 경우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청소지역의 청소 진행정도 및 청소완료 여부를 인지시키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that generates sound when dust is included in inhaled air, thereby allowing a user to recognize the degree of cleaning progress and whether the cleaning is completed.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업라이트(upright) 타입과 캐니스터(canister) 타입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업라이트 진공청기는 별도의 호스나 연장관 등을 거치지 않고 노즐 조립체와 청소기 본체가 직접 연결되며, 카페트 청소 시 진공청소기의 자중을 이용하여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 진공청소기는 업라이트와 달리 노즐 조립체와 청소기 본체가 호스 및 연장관을 통해서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업라이트 타입 진공청소기에 비해 노즐 조립체의 조작이 자유롭기 때문에 마루바닥 또는 계단이나 좁은구역의 청소에 효과적이다.In general, vacuum cleaners are largely divided into an upright type and a canister type. The upright vacuum clean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nozzle assembly and the cleaner body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hose or extension tub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by using the weight of the vacuum cleaner when cleaning the carpet. In addition, unlike the upright, the canister vacuum cleaner communicates with the nozzle assembly and the cleaner body through the hose and the extension pipe, and the nozzle assembly is free to operate compared to the upright vacuum cleaner, which is effective for cleaning the floor, the stairs, or the narrow area.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소리를 발생하여 진공청소기의 상태나 청소기의 동작여부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다양한 소리발생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가 개시된 바 있다.Such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has been disclosed with a vacuum cleaner having various sound generating structures for generating a sound to recognize the state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 제575705호에는 로봇청소기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 관에 떨림판을 배치하여 배기공기를 통해 떨림판을 동작시켜 소리를 발생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 제1995-26470호에는 모터의 과부하를 경고하기 위해 공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탄성판이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실용 제1995-8227호에는 진공청소기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속을 이용하여 경고음을 울리는 집진경고호각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등록특허 US 4,463,473은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흡입부하가 일정 레벨 초과하면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소리발생실린더 및 소리조절실린더를 통해 소리가 발생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미국공개특허 US 2007-180649에는 먼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먼지의 양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LED램프나 음향생성기를 작동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일본공개특허 평 4-338436에는 먼지센서를 통해 먼지가 감지되는 경우 스피커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청소상태를 알려주는 구조가 각각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575705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vibration plate is disposed in an exhaust pipe installed inside a robot cleaner to generate sound by operating the vibration plate through exhaust air. No. 26470 discloses an elastic plate that generates sound by the flow of air through an air passage to warn of overload of the motor, an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95-8227, air generated by press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a vacuum cleaner is disclosed. A dust collection warning whistle is disclosed using a flow rate of US, and US Patent No. 4,463,473 discloses a sound generating cylinder and sound by introducing external air through a bypass channel when the suction load exceeds a certain level to prevent the motor from being overloaded. A structure in which sound is generated through an adjustment cylinder is disclosed, and US Patent Publication US 2007-180649 detects the dust by a sensor. When the amount of dust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disclosed a structure for operating the LED lamp or sound generato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4-338436, when the dust is detected by the dust sensor to drive the speaker to clean the user state Each telling structure is disclosed.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진공청소기는 단순히 소리를 내거나 그렇지 않는 2가지 경우만 가능하며, 소리의 세기를 조절하기에는 어려운 구성들이었다. 특히 먼지를 감지하여 청소 진행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미국공개특허 US 2007-180649와 일본공개특허 평 4-338436은 감지되는 먼지량에 따라 소리의 세기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좀 더 세밀하게 청소의 진행상태를 인지시키지는 것은 기대할 수 없었다.By the way, the vacuum cleaner of the prior art is possible only two cases that do not make a sound, it was a difficult configuration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sound. In particular, U.S. Patent Publications US 2007-180649 an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338436 for detecting dust and notifying the progress of cleaning are controlled in more detail by adjusting the intensity or height of the sound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detected. It was not expected to be aware of the condition.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소 중에 감지되는 먼지의 양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의 높낮이나 세기를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청소 진행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recognizing the cleaning progress state to the user by varying the height or intensity of the sou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detected during clean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된 노즐 조립체; 상기 청소기 본체 및 상기 노즐 조립체에 형성된 공기유로;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노즐 조립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 유속을 발생시킴에 따라 소리를 내는 소리발생유닛; 및,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er body; A nozzle assembly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An air passage formed in the cleaner body and the nozzle assembly; A dust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cleaner body or the nozzle assembly and detecting an amount of dust flowing through the air passage; A sound generating unit that makes a sound according to generating a flow rat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und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dust sensor, wherein the controller changes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It provide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소리발생유닛에서 발생되는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rease the flow rate generated in the sound generating unit as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detection sensor increas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높낮이 또는 세기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height or intensity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as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changes.

상기 소리발생유닛은, 팬;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팬을 감싸는 팬 케이스; 및, 상기 팬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소리발생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리발생유닛은 팬 케이스와 연결된 순환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generating unit, the fan; A motor for driving the fan; A fan case surrounding the fan; And a sound generating material disposed in the fan case. In this case, the sound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duct connected to the fan case.

더욱이, 상기 소리발생유닛은, 상기 공기유로에 연결된 바이패스덕트; 상기 바이패스덕트 내부에 설치된 소리발생물질; 및, 상기 바이패스덕트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Furthermore, the sound generating unit includes: a bypass duct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A sound generating material installed in the bypass duct;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nclude;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duct.

상기 소리발생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노즐 조립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generating unit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cleaner body or the nozzle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된 노즐 조립체; 상기 청소기 본체 및 상기 노즐 조립체에 형성된 공기유로;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노즐 조립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노즐 조립체에 설치되며, 유속을 발생시킴에 따라 소리를 내는 소리발생유닛; 및,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진공청소기 작동에 따라 공기를 흡입할 때 상기 먼지감지센서에 의해 먼지의 유입이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소리발생유닛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body; A nozzle assembly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An air passage formed in the cleaner body and the nozzle assembly; A dust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cleaner body or the nozzle assembly and detecting an amount of dust flowing through the air passage; A sound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the cleaner body or the nozzle assembly and generating a sound according to a flow rat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und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dust sensor,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ct inflow of dust by the dust sensor when inhaling air according to a vacuum cleaner operation. Only by providing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sound through the sound generating unit,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as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detection sensor increas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높낮이 또는 세기를 변화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controller may of course change the height or intensity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as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chang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양한 유속을 가지는 기류를 형성하고, 그 유속에 따라 다른 속도로 이동하는 소리발생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높낮이 또는 세기가 다른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청소의 진행상태를 좀 더 세밀하게 알려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irflow having various flow rates is formed, and the height or intensity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moving at different speeds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thereby causing the user to proceed with cleaning. This has the advantage of giving you more detail about the statu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개략블록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 노즐 조립체(30), 먼지감지센서(35) 및 소리발생유닛(50)을 구비한다. 이 경우,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진공청소기(1)는 캐니스터 타입 진공청소기 또는 업라이트 타입 진공청소기이다. 이때, 캐니스터 타입 진공청소기일 경우 청소기 본체(10)와 노즐 조립체(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0)가 통상의 연장관(미도시) 및 연결호스(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업라이트 타입 진공청소기일 경우 연결부(20)가 단순히 청소기 본체(10)와 노즐 조립체(3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미도시)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vacuum clean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leaner body 10, a nozzle assembly 30, a dust sensor 35, and a sound generating unit 50. In this case, the vacuum cleaner 1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is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or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the connection member 20 connecting the cleaner body 10 and the nozzle assembly 3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extension tube (not shown) and a connection hose (not shown). In the case of a cleaner, the connection unit 20 may simply correspond to a connection passage (not shown) connecting the cleaner body 10 and the nozzle assembly 30.

청소기 본체(10)는 집진장치(11)를 구비하고, 연결부재(20)와 연통되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집진장치(11)로 안내하기 위한 제1 공기유로(13)를 구비한다. 또한 청소기 본체(10)는 청소기 본체(10)에서 동작하는 각종 장치 예를 들면, 흡입모터(미도시)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를 구비한다.The cleaner body 10 includes a dust collecting device 11 and has a first air passage 13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ng member 20 to guide air containing dust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11. In addition, the cleaner main body 10 includes a controller 15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that operate in the cleaner main body 10, for example, a suction motor (not shown).

노즐 조립체(30)는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31)를 구 비하고, 흡입구(31)와 연결부재(20)를 상호 연결하는 제2 공기유로(33)를 구비한다. 또한 노즐 조립체(30)는 흡입구(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감지센서(35)를 포함한다.The nozzle assembly 30 has a suction port 31 for sucking dus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has a second air passage 33 which interconnects the suction port 31 and the connecting member 20. In addition, the nozzle assembly 30 includes a dust sensor 35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31.

먼지감지센서(35)는 흡입구(31)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양에 따라 따른 먼지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먼지감지센서(35)는 제어부(15)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발생된 먼지감지신호를 제어부(15)로 전달한다. 한편, 먼지감지센서(35)는 진공청소기(1) 작동 시 노즐 조립체(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먼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먼지감지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The dust sensor 35 is installed in the suction port 31 to generate a dust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contained in the moving air. The dust detection sensor 3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15,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ust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 On the other hand, the dust sensor 35 does not generate a dust detection signal when the dust is not included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nozzle assembly 30 when the vacuum cleaner 1 operates.

소리발생유닛(50)은 청소기 본체(10)의 일부에 설치되며, 제어부(15)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ound generating unit 50 is installed at a part of the cleaner body 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ler 15.

도 2를 참고하면, 소리발생유닛(50)은 팬 케이스(51), 구동모터(54), 팬(55), 순환덕트(57) 및 소리발생물질(58)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ound generating unit 50 includes a fan case 51, a driving motor 54, a fan 55, a circulation duct 57, and a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팬 케이스(51)는 팬(55)을 완전히 감싸기 위해 상/하부 팬케이스(51a,51b)를 구비한다. 상/하부 팬케이스(51a,51b)는 팬(55)의 유지보수를 위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결합되는 구조는 통상의 부재간의 결합수단 즉, 상/하부 팬케이스(51a,51b)의 일주면에 소정의 리브(미도시)를 형성하여 나사(미도시)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팬 케이스(51)는 서로 거리를 두고 떨어진 제1 및 제2 관통구멍(53a,53b)이 형성된다.The fan case 51 includes upper and lower fan cases 51a and 51b to completely surround the fan 55. The upper and lower fan cases 51a and 51b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for maintenance of the fan 55, and the mutually coupled structure is a coupling means between ordinary members, that is, upper and lower fan cases 51a and 51b. A predetermined rib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be interconnect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not shown). In addition, the fan case 51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53a and 53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구동모터(54)는 제어부(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5)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이 경우 구동모터(54)는 팬 케이스(51) 일측에 배치되어 팬(55)에 구 동력을 전달한다.The drive motor 5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 and the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 In this case, the driving motor 5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an case 51 to transmit the driving power to the fan 55.

팬(55)은 터빈팬으로 팬 케이스(5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회전중심에 구동모터(54)의 구동축(54a)이 삽입되는 결합구멍(55a)이 형성된다. 팬(55)은 구동모터(54)에 의해 회전하면서 팬 케이스(51) 및 순환덕트(57) 내에 유속을 발생시킨다.The fan 55 is a turbine fan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fan case 51, and a coupling hole 55a into which the drive shaft 54a of the drive motor 54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rotation. The fan 55 rotates by the drive motor 54 to generate a flow rate in the fan case 51 and the circulation duct 57.

순환덕트(57)는 양단이 각각 팬 케이스(51)의 제1 및 제2 관통구멍(53a,53b)에 연통된다. 이에 따라 팬 케이스(51) 내에서 팬(55)의 회전에 따라 소정 유속으로 이동하는 기류는 순환덕트(57)를 따라 일 방향으로 순환한다.Both ends of the circulation duct 57 communic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53a and 53b of the fan case 51,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airflow moving at a predetermined flow r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an 55 in the fan case 51 circulates in one direction along the circulation duct 57.

소리발생물질(58)은 비즈(beads)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리발생물질(58)은 팬(55)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기류에 의해 팬 케이스(51) 및 순환덕트(57) 내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소리발생물질(58)은 자신들끼리 충돌하거나 팬 케이스(51)의 내벽, 팬(55) 및 순환덕트(57)의 내벽에 충돌하면서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충돌에 의해 소리를 내는 소리발생물질(58)은 팬 케이스(51), 팬(55) 및 순환덕트(57)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소정의 강성을 가지면서 소정의 탄력을 가지는 레진(resin)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is formed in the shape of beads.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moves in one direction in the fan case 51 and the circulation duct 57 by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fan 55. In this case,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s 58 generate sound while colliding with each other or colliding with the inner wall of the fan case 51, the inner wall of the fan 55, and the circulation duct 57. In this way,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making a sound by collision has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a predetermined elasticity in consider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fan case 51, the fan 55, and the circulation duct 57.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본 실시예에서는 소리발생유닛(50)의 위치를 청소기 본체(10)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노즐 조립체(3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소리발생유닛(50)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진공청소기(1)의 흡입모터(미도시) 또는 노즐 조립체(30)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사용자가 좀 더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소리발생유닛(50)을 진공청소기(1)의 손잡이(미도시) 부분에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sound generating unit 5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the cleaner body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in the nozzle assembly 30, and is also generated from the sound generating unit 50. The sound generating unit 50 is a vacuum cleaner so that the user can hear more clearly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nois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not shown) or the nozzle assembly 30 of the vacuum cleaner 1.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in the handle (not shown) of 1).

이와 같이 구성된 소리발생유닛(50)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도 1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having the sound generating unit 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진공청소기를 온(on) 시켜 노즐 조립체(30)를 통해 피청소면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이때 먼지감지센서(35)는 흡입구(31)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양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양에 대응하는 먼지발생신호를 발생한다.The vacuum cleaner is turned on to suck the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ogether with the air through the nozzle assembly 30. At this time, the dust detection sensor 35 detects the amount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31, and generates a dust gen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mount.

제어부(15)는 먼지감지센서(35)로부터 먼지의 양에 따라 서로 다른 먼지발생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모터(54)의 속도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5)는 먼지감지센서(35)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할수록 구동모터(54)를 통해 팬(55)의 회전속도를 높여 팬 케이스(51) 내부와 순환덕트(57)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속을 증가시킨다.The controller 15 receives different dust generation signals from the dust detection sensor 35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and controls the speed of the driving motor 54 correspondingly. That is, the controller 15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55 through the drive motor 54 as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35 increases, and the circulation duct 57 inside the fan case 51. Increase the flow rate generated internally.

소리발생물질(58)은, 도 3과 같이, 팬 케이스(51) 내부와 순환덕트(57)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류에 의해 팬 케이스(51) 내부와 순환덕트(57) 내부를 순환한다. 이때, 소리발생물질(58) 들 끼리 부딪히거나, 팬 케이스(51) 내벽, 팬(55) 및 순환덕트(57) 내벽에 부딪히면서 일정한 소리를 낸다.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circulates inside the fan case 51 and inside the circulation duct 57 by the airflow generated in the fan case 51 and the circulation duct 57. At this time,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s (58) are bumped with each other, or hit the inner wall of the fan case 51, the fan 55 and the inner wall of the circulation duct (57) to make a constant sound.

기류의 유속이 빨라지는 경우, 소리발생물질(58)은 더 빠른 속도로 팬 케이스(51) 내부와 순환덕트(57) 내부를 순환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충돌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더 높거나 큰 소리를 낼 수 있다.When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 is faster,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is circulated inside the fan case 51 and the circulation duct 57 at a higher speed, and thus the collis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so that the higher or greater Can make a sound.

따라서 본 발명은 노즐 조립체(30)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의 양이 변화함에 따라 소리발생유닛(50)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높낮이 또는 세기를 변화시켜, 사용자 로 하여금 소리발생유닛(5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정도를 듣는 것만으로 현재 청소의 진행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height or intensity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50 as the amount of dust sucked through the nozzle assembly 30, the user is generated in the sound generating unit 50 By simply listening to the sound level, you can easily track the current cleaning progress.

상기 소리발생유닛(50)은 도 4와 같이 순환덕트(57)를 생략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상술한 소리발생유닛(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소리발생유닛(50a)의 분해사시도이다.The sound generating unit 50 may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circulating duct 57 is omitted as shown in FIG. 4.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und generating unit 50a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ound generating unit 50 described above.

소리발생유닛(50a)은 팬 케이스(51), 구동모터(54), 팬(55) 및 소리발생물질(58)을 포함한다. 여기서 팬 케이스(51)를 제외한 구동모터(54), 팬(55) 및 소리발생물질(58)은 도 2에 도시된 소리발생유닛(50)의 구동모터(54), 팬(55) 및 소리발생물질(58)과 동일하므로 그 구성설명은 생략한다.The sound generating unit 50a includes a fan case 51, a driving motor 54, a fan 55, and a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Here, except for the fan case 51, the driving motor 54, the fan 55, and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may include the driving motor 54, the fan 55, and the sound of the sound generating unit 50 shown in FIG. 2. Since the same as the generating material 58,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팬 케이스(51)는 팬(55)을 완전히 감싸기 위해 상/하부 팬케이스(51a,51b)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부 팬 케이스(51a)는 일측에 외부공기가 팬 케이스(5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멍(59a)을 구비하고, 타측에 팬 케이스(5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배출구멍(59b)을 구비한다.The fan case 51 includes upper and lower fan cases 51a and 51b to completely surround the fan 55. In this case, the upper fan case 51a has an air inlet hole 59a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fan case 51 on one side, and an air discharge hole 59b discharged from the fan case 51 on the other side. Equipped.

이러한 공기유입구멍(59a) 및 공기배출구멍(59b)은 소리발생물질(58)이 공기유입구멍(59a) 및 공기배출구멍(59b)을 통해 팬 케이스(51)에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소리발생물질(58)의 크기보다 더 작은 네트(59c,59d)가 설치된다.The air inlet hole 59a and the air discharge hole 59b are sound generating materials so that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does not exit the fan case 51 through the air inlet hole 59a and the air discharge hole 59b. Nets 59c and 59d smaller than the size of 58 are provided.

또한 공기유입구멍(59a) 및 공기배출구멍(59b)은 팬(55) 회전 시 외부공기를 팬 케이스(51) 내로 유입 및 배출한다. 이에 따라 팬 케이스(51) 내부에는 소정 유속을 가지는 기류가 형성된다. 소리발생물질(58)은 상기 기류에 의해 팬 케이스(51) 내부에서 순환하게 되고, 이때, 팬 케이스(51) 내벽 및 팬(55)에 충돌하면 서 소리를 낸다.In addition, the air inlet hole 59a and the air discharge hole 59b introduce and discharge external air into the fan case 51 when the fan 55 rotates. As a result, airflow having a predetermined flow rate is formed inside the fan case 51.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is circulated inside the fan case 51 by the air flow, and at this time,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58 makes a sound while colliding with the inner wall of the fan case 51 and the fan 55.

더욱이 공기유입구멍(59a) 및 공기배출구멍(59b)은 상부 팬 케이스(51a)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외부 공기가 팬 케이스(51) 내로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한 위치라면 팬 케이스(51)의 어디에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Furthermore, the air inlet hole 59a and the air discharge hole 59b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he upper fan case 51a. However, the air inlet hole 59a and the air discharge hole 59b are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formed anywhere of (51).

한편, 도 5와 같이, 소리발생유닛(150)은 팬(55)에 의한 기류형성없이 제1 공기유로(13)를 따라 유입되는 기류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the sound generating unit 150 may generate a sound using the airflow flowing along the first air passage 13 without forming the airflow by the fan 55.

이러한 소리발생유닛(150)은 바이패스덕트(157), 밸브(157a) 및 소리발생물질(158)을 포함한다.The sound generating unit 150 includes a bypass duct 157, a valve 157a, and a sound generating material 158.

바이패스덕트(157)는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멍(157a)과 타측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157b)이 각각 제1 공기유로(13)에 소정 거리를 두고 연통된다. 이 경우 공기유입구멍(157a)은 공기배출구멍(157b)의 위치에 비해 제1 공기유로(13)를 따라 흐르는 기류의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류에 위치 설정된다.In the bypass duct 157, the air inlet hole 157a formed on one side and the air discharge hole 157b formed on the other side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passage 1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air inlet hole 157a is positioned upstream in view of the direction of the airflow flowing along the first air passage 13 as compared with the position of the air outlet hole 157b.

공기유입구멍(157a) 및 공기배출구멍(157b)은 소리발생물질(158)이 공기유입구멍(157a) 및 공기배출구멍(157b)을 통해 바이패스덕트(157)에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소리발생물질(158)의 크기보다 더 작은 네트(157c,157d)가 설치된다.The air inlet hole 157a and the air outlet hole 157b are provided so that the sound generating material 158 does not exit the bypass duct 157 through the air inlet hole 157a and the air outlet hole 157b. Nets 157c and 157d smaller than the size of 158 are provided.

밸브(157a)는 공기유입구멍(157a)을 개폐하도록 공기유입구멍(157a)에 설치되며, 예를 들면 전자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157a)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밸브(157a)는 제어부(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된다.The valve 157a is provided in the air inlet hole 157a to open and close the air inlet hole 157a. For example, the valve 157a is composed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able solenoid valve 157a. The valve 157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

제어부(15)는 먼지감지센서(35)를 통해 감지되는 먼지의 양에 따라 밸브(157a)의 개폐여부는 물론, 밸브(157a)의 개방정도를 제어함에 따라 바이패스덕트(157)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한다. 이 경우, 바이패스덕트(157)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을 수록 바이패스덕트(157) 내에 발생하는 기류의 유속은 증가한다.The control unit 15 is introduced into the bypass duct 157 by controlling whether the valve 157a is opened or closed, as well as whether the valve 157a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35. Control the amount of air In this case, as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bypass duct 157 increases,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 generated in the bypass duct 157 increases.

소리발생부재(158)는 상술한 소리발생부재(58)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바이패스덕트(157) 내로 소정 기류가 형성될 때 소리발생부재(158) 자신들 끼리 충돌하거나 바이패스덕트(157) 내벽에 충돌하면서 소리를 낸다. 더욱이, 기류의 유속이 증가할 수 록 더 빠른 속도로 충돌하여 더 큰 소리를 발생한다.The sound generating member 158 is made in the same manner as the sound generating member 58 described above, and when a predetermined air flow is formed in the bypass duct 157, the sound generating members 158 themselves collide with each other, or the bypass duct 157 is formed. Make a sound while hitting the inner wall. Moreover, as the air flow velocity increases, it collides at higher speeds, producing louder sounds.

더욱이 소리발생부재(158)는 제1 공기유로(13)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 즉, 연결부재(20)나 제2 공기유로(33) 상에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Furthermore, the sound generating member 158 has been described as being located in the first air passage 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provided on the path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at is, the connection member 20 or the second air passage 33. Of course it is possible.

이와 같은 상술한 소리발생부재(50.50a,150)는 업라이트 타입 및 캐니스터 타입 진공청소기에는 물론, 로봇청소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above-described sound generating members 50.50a and 150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upright type and canister type vacuum cleaners, but also to the robot clean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개략블록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설치된 소리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und generating device installed in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설치된 소리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ound generating device installed in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설치된 소리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ound generating device installed in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설치된 소리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in Drawings *

15: 제어부 35: 먼지감지센서15: control unit 35: dust detection sensor

50: 소리발생유닛 51: 팬 케이스50: sound generating unit 51: fan case

54: 구동모터 55: 팬54: drive motor 55: fan

57: 순환덕트 58: 소리발생물질57: circulation duct 58: sound generating material

157: 바이패스덕트 159: 밸브157: bypass duct 159: valve

Claims (11)

청소기 본체;A cleaner body;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된 노즐 조립체;A nozzle assembly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상기 청소기 본체 및 상기 노즐 조립체에 형성된 공기유로;An air passage formed in the cleaner body and the nozzle assembly;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노즐 조립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A dust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cleaner body or the nozzle assembly and detecting an amount of dust flowing through the air passage; 유속을 발생시킴에 따라 소리를 내는 소리발생유닛; 및,A sound generating unit that makes a sound according to generating a flow rate; And,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und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dust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control unit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sound generated in the sound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소리발생유닛에서 발생되는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control unit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flow rate generated in the sound generating unit as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높낮이 또는 세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control unit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o change the height or intensity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as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발생유닛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unit, 팬;Pan;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A motor for driving the fan; 상기 팬을 감싸는 팬 케이스; 및,A fan case surrounding the fan; And, 상기 팬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소리발생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 sound generating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fan cas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팬 케이스와 연결된 순환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circulation duct connected to the fan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발생유닛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unit, 상기 공기유로에 연결된 바이패스덕트;A bypass duct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상기 바이패스덕트 내부에 설치된 소리발생물질; 및,A sound generating material installed in the bypass duct; And, 상기 바이패스덕트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du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리발생유닛은 상기 노즐 조립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sound generating unit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nozzle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리발생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sound generating unit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leaner body. 청소기 본체;A cleaner body;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된 노즐 조립체;A nozzle assembly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상기 청소기 본체 및 상기 노즐 조립체에 형성된 공기유로;An air passage formed in the cleaner body and the nozzle assembly;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노즐 조립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A dust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the cleaner body or the nozzle assembly and detecting an amount of dust flowing through the air passage;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노즐 조립체에 설치되며, 유속을 발생시킴에 따라 소리를 내는 소리발생유닛; 및,A sound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the cleaner body or the nozzle assembly and generating a sound according to a flow rate; And,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und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dust sensor. 상기 제어부는 진공청소기 작동에 따라 공기를 흡입할 때 상기 먼지감지센서에 의해 먼지의 유입이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소리발생유닛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sound through the sound generating unit only when the inflow of dust is detected by the dust sensor when the air is suck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control unit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as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양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소리발생유닛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높낮이 또는 세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control unit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o change the height or intensity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as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KR1020090031192A 2009-04-10 2009-04-10 Vacuum cleaner KR2010011274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192A KR20100112749A (en) 2009-04-10 2009-04-10 Vacuum cleaner
PCT/KR2010/000751 WO2010117133A2 (en) 2009-04-10 2010-02-08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192A KR20100112749A (en) 2009-04-10 2009-04-10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749A true KR20100112749A (en) 2010-10-20

Family

ID=4293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192A KR20100112749A (en) 2009-04-10 2009-04-10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112749A (en)
WO (1) WO2010117133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0739A (en) * 2015-07-31 2015-10-14 苏州路之遥科技股份有限公司 Audio frequency induction vacuum cleaner controller
CN105796010A (en) * 2016-05-23 2016-07-27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Dust fullness prompting method, dust fullness prompting device and dust collector
CN105816103A (en) * 2016-05-23 2016-08-03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Dust full prompting method, dust full prompting device and dust collector
CN112205930B (en) * 2020-09-28 2022-07-01 深圳福必得科技有限公司 Sweep and drag workstation of integrative robo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192A (en) * 2004-04-09 2005-10-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or of electric cleaning machine
KR20060032876A (en) * 2004-10-13 200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volum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obot cleaner
KR100876694B1 (en) * 2006-09-06 2008-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How to control the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7133A3 (en) 2010-12-02
WO2010117133A2 (en)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416B1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549677B2 (en) Exhaust assembly
JP2005516713A (en) Filter housing
CN104519779B (en) The muffler system of the vacuum motor in vacuum cleaner
WO2000059357A1 (en) Vacuum cleaner
KR20100112749A (en) Vacuum cleaner
KR950024731A (en) Upright Cleaner
KR20180010703A (en) Vacuum cleaner
KR20100029405A (en) Suction flow speed control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2013040708A (en) Air conditioner
WO2015198418A1 (en) Air cleaner
KR20090034493A (en) Robot cleaner
JP511202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3528807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H11187988A (en) Airflow circulating type cleaner
WO2012001854A1 (en) Suction tool fo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same
JP2008023043A (en) Upright vacuum cleaner
US6813807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secondary dirt and dust collection inlet
KR101330729B1 (en) Robot cleaner
KR20170039344A (en) Air treatment apparatus
TWI626918B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7172852A (en) Air cleaner
TWI798891B (en) Hand drying device
WO1996008192A1 (en) Cleaner and cleaning method
TWI709715B (en) Mobile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