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464A -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464A
KR20100112464A KR1020090030984A KR20090030984A KR20100112464A KR 20100112464 A KR20100112464 A KR 20100112464A KR 1020090030984 A KR1020090030984 A KR 1020090030984A KR 20090030984 A KR20090030984 A KR 20090030984A KR 20100112464 A KR20100112464 A KR 20100112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barrier
metal peroxide
layer
binder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경
이헌동
곽준영
손대희
김진호
김진모
김용이
신순영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프로
황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프로, 황태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프로
Priority to KR102009003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2464A/ko
Publication of KR20100112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변해 기존의 열차단필름보다 높은 열차단 효과가 있고, 태양광이 강한 주간에는 필름이 착색되었다가 태양광이 없는 야간이나 또는 어두운 터널 등에서는 필름의 색상이 다시 탈색되어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넓어져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색 가변형 열차단층을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가 혼용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가시광선 변화율(△T)이 50% 이상으로 근적외선(780nm~1700nm)영역까지 차단되는 특성이 있고, 근적외선 흡수 범위가 1700~2000nm까지 차단된다. 따라서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에 열차단 재료의 혼용으로 형성된 열차단 층은 태양광 에너지 분포에서 95%를 차지하는 가시광선 영역부터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영역을 일사 투과율이 높은 낮시간 동안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친환경적이며, 고성능의 에너지 절감형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분말을 과산화수소 및 유기 하이드로과산화물에 반응시켜 리플럭스(Reflux)법으로 무정형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제조함으로서, 합성공정이 용이하고, 기존의 간단한 설비로서도 합성 가능한 이점과 균일한 무정형 금속 바인더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 코팅 졸은 PET 기재층에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또는 롤투롤 코팅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코팅되고, 열풍 및 UV를 조사시켜 색 가변형 열차단층을 형성함으로써 평탄한 도막 표면을 얻고, 기존의 코팅 설비를 이용하여 저렴한 생산원가에 의해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그리고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은 상기 기재층과 접하지 않은 면에 점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건물 또는 차량 등의 유리에 접착이 가능하며, 열차단층과 접하지 않은 면에 이형지를 추가로 포함하여 외부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 열차단필름, 전이금속, 포토크로믹

Description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The heat shielding film having heat shieling layer which used a variable chromatic metallic peroxide bin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토크로믹(photochromic) 기능을 갖는 무기 바인더 재료와 적외선 차단제가 혼용된 열차단층으로 구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변해 기존의 열차단필름보다 높은 열차단 효과가 있고, 태양광이 강한 주간에는 필름이 착색되었다가 태양광이 없는 야간이나 또는 어두운 터널 등에서는 필름의 색상이 다시 탈색되어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넓어져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각국은 자국의 부존자원 고갈이 차츰 심화되면서 다가올 난관에 대하여 기술개발을 통해 극복할 수밖에 없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특히 자원 고갈에 대비한 에너지 절감방안에 대한 대책은 국가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고, 특히 에 너지의 절감방안의 한 예로써, 사람들이 생활하는 건물이나 또는 차량의 창을 통하는 열에너지의 제어수단으로 열차단필름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동안 건물이나 또는 차량의 창에 사용하던 종래의 필름은 유리 썬팅을 통한 태양열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가시광선 및 자외선, 적외선(열선)을 구분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반사시키는 방식인 반사필름(reflection film)이 사용되었으나 반사필름의 특성상 시공 시 실내가 어두워 지고, 다시, 전열 등을 켜야 하는 악순환이 따르는 문제점들이 발생함에 따라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필름이 열차단필름(heat shielding film)이다.
열차단필름(heat shielding film)은 주파수(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에 따른 흡수 반사를 조절하는 최첨단 필름으로, 가시광선은 통과시키고, 유해 자외선 및 적외선에 대한 투과율을 조정 제조할 수 있어 실내가 밝으면서도 단열 효과가 우수하여 여름에는 에어컨 사용량이 줄고, 겨울에는 난방기 가동율이 줄어 에너지 절감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열차단필름(heat shielding film)은 국내 공개특허 제1996-0021518호의 프라노케톤계 화합물 또는 스퍼로퍼란계 화합물의 포토크로믹 염료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색 태양광선조절필름과 일본 공개특허 특원평10-39134호의 유기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함유하는 점착제를 이용한 광가역 변색성 차광재와 그리고 일본공개특허 특원평9-300516호의 유기 포토크로믹 재료를 기재 필름의 양면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 광 필름 및 차량용 차광 창문에 관한 특허들이 알려져 있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들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색 가변형 물질로서 유기 포토크로믹 재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아조벤젠계 화합물, 티오인디고계 화합물, 안트라센계 화합물,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스피로피란계 화합물, 활로겐화은 등과 같은 유기 포토크로믹 재료들의 최대 단점은 내구성이 떨어지고, 이러한 유기 포토크로믹 재료들은 유기 용매에 쉽게 용해되어 고분자 바인더와 혼합하여 코팅막을 형성시켜 자연광 및 태양광에 노출시키게 되면, 착색되었다가 태양광이 없을 때는 다시 탈색되는 기능을 갖지만 단 몇일만에 가변성은 상실되고 유기물 분자들이 파괴되어 투명한 상태로 되어 버린다. 유기 포토크로믹 재료가 탈색(bleach) 상태에서는 고리형 결합의 치환기가 채색(colored) 상태에서 개환되면서 이중결합이 생성되어 발색단의 역할로 우리 시야에는 착색으로 보이게 되며, 이와 같은 메카니즘이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불안정한 이중결합의 생성은 안정한 결합의 형태 또는 이중결합의 파괴로 가역이 될 수 없는 제 3의 상태인 부산물이 생성되어 더 이상의 가변성을 띄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런 약한 분자 특성을 갖고 있는 물질들은 항상 자연광 및 태양광에 노출되는 윈도우 필름에는 상당히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러한 물질은 기능성 색소로서 대부분 일본 및 미국에서 매우 고가에 수입하는 실정이어서 원활한 공급 자체에도 문제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서 유기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사용한 태양광 조절 필름은 유기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내구성의 한계점을 개선시키지 못하고 있 고, 특히 기본적인 적외선 차단 특성이 없는 유기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단지 가시광선에서의 변화 즉 가시광선 영역 중에서도 단파장을 차단하는 정도의 효과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에서 언급한 유기 포토크로믹을 점착제에 혼합하여 형성한 필름은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그 이유로는 유기 포토크로믹 분자와 점착제의 조성 중 경화제의 라디칼은 유기 포토크로믹 분자의 변색성에 악영향을 미쳐 그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스마트 윈도우 창호는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전기적인 작용으로 인해 산화, 환원 반응을 거쳐 색깔이 변색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는 액상 전해질 층을 가지게 되어 필름화는 힘들고 또한 전기적인 컨트롤 박스와 같은 부가 장치가 필요하여 사용 및 설치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고, 저조한 생산성과 높은 불량률 등으로 인해 제조단가가 아주 높게 형성된다.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반복시간에 따른 전하량이 초기보다 떨어져 그 기능성에 문제점이 많다.
그리고 기존의 열차단 재료로 사용되는 화합물로서 안티몬틴옥사이드(ATO), 인듐틴옥사이드(ITO), 2산화실리카(SiO2), 3산화알루미나(Al2O3), 3산화몰리브덴(MoO3), 5산화니오브(Nb2O5), 5산화 바나듐(V2O5), 텅스텐 브론즈(Tungsten Bronze) 등이 있는데, 이중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화합물로는 적외선 차단 특성이 양호한 무기산화물로는 안티몬틴옥사이드(ATO), 인듐틴옥사이드(ITO)와 텅스텐 브론즈(Tungsten Bronze) 등이 있다.
ATO는 ITO 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적으로 가시광선 투과율을 요하는 열차단필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근적외선 흡수 특성이 1700nm에서 흡수를 시작하고 2000nm까지 경사를 보이는 그래프로, 완벽한 근적외선(780nm~1700nm)영역 차단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즉 높은 가시광선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그 투입량이 한정 되어진다. 만약 높은 근적외선을 나타내기 위해서 충진량을 높게 한다면, 가시광선은 40~50%로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과도한 무기물 함유는 열차단 코팅층의 2차 문제점(코팅층: 크랙, 부착력 저하, 백탁, 경시변화) 등을 일으킨다. 이렇듯 입자크기 10~20nm 의 ATO라고 해도 가시광선 대비 근적외선 차단 특성은 그 한계를 가지고 있어 활용 범위 및 고성능 열차단필름 제조에는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TO는 ATO보다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 특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인듐(indium)가격이 세계적으로 높은 가격의 원료로 잘 알려져 있고, 많은 IT업계에서는 ITO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찾는게 현실이며, 열차단필름제조에서도 이런한 고가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없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하여 기존의 열차단 재료와 혼용시켜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태양광에 의한 차광 효과와 적외선 차단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 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기재층의 일면에 색 가변형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에 있어서, 상기 색 가변형 열차단층은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가 혼용된 코팅졸을 이용하여 형성시킴으로써, 근적외선의 흡수 파장이 1700~2000nm까지 차단되고, 태양광 에너지 분포에서 95%를 차지하는 가시광선의 영역부터 근적외선, 원적외선의 범위까지 즉 780~2200nm 파장 영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높은 열차단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차단층의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의 코팅도막의 두께를 3~5㎛까지 높힘으로써, 표면 크랙 발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분말을 과산화수소 및 유기 하이드로과산화물에 반응시켜 리플럭스(Reflux)법으로 무정형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제조함으로 서, 합성공정이 용이하고, 기존의 간단한 설비로서도 합성 가능한 이점과 균일한 무정형 금속 바인더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 코팅 졸은 PET 기재층에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또는 롤투롤 코팅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코팅되고, 열풍 및 UV를 조사시켜 색 가변형 열차단층을 형성함으로써 평탄한 도막 표면을 얻고, 기존의 코팅 설비를 이용하여 저렴한 생산원가에 의해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은 상기 기재층과 접하지 않은 면에 점착층을 형성시켜 건물 또는 차량 등의 유리에 접착할 수 있도록 하고, 열차단층과 접하지 않은 면에 이형지를 추가로 포함하여 외부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층의 일면에 색 가변형 열차단층을 형성시킨 열차단필름에 있어서,
기재층의 상면에 열차단층과 점착층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이형지를 부착시킨 구조이고,
그리고 상기 열차단층은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를 혼합한 코팅 졸을 이용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S1);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를 혼합하여 코팅졸을 제조하는 단계(S2);
기재층의 상면에 코팅졸을 코팅하여 열차단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3);
열차단층 상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4);
점착층의 상면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단계(S5);
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제조방법을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단, 상기 열차단층을 형성하기 위해 코팅하는 코팅 졸은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점제 0.5~2.0 중량부, 유기용제(a) 10~20 중 량부, 광중합체 20~30 중량부 및 열차단 재료 10~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리고 무기 금속 과산화물은 무정형 MOx 형태의 과산화물로서, 전이금속 M과 산소가 결합된 과산화물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에서 M은 전이금속원소(Ti, Sc, W, Mo, Zr, Fe, Co, Ni, V)들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색 가변형 열차단층을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가 혼용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가시광선 변화율(△T)이 50% 이상으로 근적외선(780nm~1700nm)영역까지 차단되는 특성이 있고, 근적외선 흡수 범위가 1700~2000nm까지 차단된다. 따라서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에 열차단 재료의 혼용으로 형성된 열차단층은 태양광 에너지 분포에서 95%를 차지하는 가시광선 영역부터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영역을 일사 투과율이 높은 낮시간 동안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친환경적이며, 고성능의 에너지 절감형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분말을 과산화수소 및 유기 하이드로과산화물에 반응시켜 리플럭스(Reflux)법으로 무정형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제조함으로서, 합성공정이 용이하고, 기존의 간단한 설비로서도 합성 가능한 이점과 균일한 무정형 금속 바인더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 코팅 졸은 PET 기재층에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또는 롤투롤 코팅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코팅되고, 열풍 및 UV를 조사시켜 색 가변형 열차단층을 형성함으로써 평탄한 도막 표면을 얻고, 기존의 코팅 설비를 이용하여 저렴한 생산원가에 의해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그리고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은 상기 기재층과 접하지 않은 면에 점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건물 또는 차량 등의 유리에 접착이 가능하며, 열차단층과 접하지 않은 면에 이형지를 추가로 포함하여 외부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 필름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 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10)의 일면에 색 가변형 열차단층(20)을 형성시킨 열차단필름에 있어서,
기재층(10)의 상면에 열차단층(20)과 점착층(30)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점착층(30)의 상부에 이형지(40)를 부착시킨 구조이고,
그리고 상기 열차단층(20)은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를 혼합한 코팅 졸을 이용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재층(10)은 그 상면에 형성시킨 열차단층(20)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층으로, PET,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PP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PET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재층(10)에 상기 열차단층(20)을 코팅하여 열풍 건조 및 UV 조사를 하게 되면 120℃ 이상의 온도에 노출되어 일반적인 플라스틱 기재는 열변형 온도를 가지게 되고 열변형온도 이상일 때는 기재 자체에 변형이 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열변형온도가 가장 높은 플라스틱 기재로서 PET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차단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상면에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기존의 열차단 재료를 혼합시킨 코팅 졸을 이용하여 코팅하여 열차단층(20)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는 자외선에 의해 가시광 영역의 파장이 변화를 가지고 이로서 태양광 에너지 분포중 가시광 영역을 차단하게 되고, 또한 근적외선 영역으로 780nm~1700nm의 파장까지 동시에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장파장 쪽의 근적외선 영역은 투과하는 특성 때문에 이는 기존의 열차단 재료와 혼합함으로써 장파장 영역의 근적외선 영역까지 차단하여 일사율이 가장 높은 낮 동안의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코팅 졸은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점제 0.5~2.0 중량부, 유기용제(a) 10~20 중량부, 광중합체 20~30 중량부 및 열차단 재료 10~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는 플라스틱 기재에 박막 코팅할 때 낮은 점도로 인해서 박막 두께가 1㎛이하로 형성될 때가 대부분이다. 이때 낮은 두께는 광변색의 한계점을 나타낸다. 보다 높은 색 변색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박막 두께가 최소 3㎛이상 되어야만 가시광 변화율 △T 50% 이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 나 기존의 금속 과산화물이 3㎛이상의 도막 두께로 형성된다면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고 부착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코팅 졸에 증점제 및 광 경화를 일으키는 광중합체 등과 같은 조제를 첨가함으로써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는 무기 금속 과산화물 25~35 중량%와 유기용제(b) 65~7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은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은 무정형 MOx 형태의 과산화물로서, 전이금속 M과 산소가 결합된 과산화물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M은 전이금속원소(Ti, Sc, W, Mo, Zr, Fe, Co, Ni, V)들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제(b)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의 점성을 유지하고, 코팅시 유기용제(a)보다 비점이 낮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건조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하며, 사용가능한 유기용제(b)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부탄디올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는 무기 금속 과산화물의 사용량이 25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무기 금속 과산화물의 함량 부족으로 색 가변형 기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무기 금속 과산화물의 사용량이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용제의 함량에 비해 무기 금속 과산화물의 함량이 과다하여 작업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졸에서 증점제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의 점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며, 증점제의 사용량이 0.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바인더의 점성이 낮아 원하고자 하는 코팅 두께로 코팅할 수가 없고, 증점제의 사용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바인더의 점성이 너무 높아 코팅 작업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증점제는 크산탄검(Xanthan gum), 폴리쿼터(Polyquat), 란잠검(Rhamsan gum), 로카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웰란검(Welan gum), 나트륨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Aluminum magnesium silicate), 스멕타이트(Smect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알루미나졸(Alumina sol)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a)는 알코올보다 비점이 약간 높은 용제로서 휘발성을 알코올보다 조금 늦춤으로써 코팅되는 열차단층의 박막 표면을 평활성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며, 유기용제(a)의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기재에 코팅된 졸의 휘발성 성분들이 너무 빨리 휘발되어 열차단층 표면의 박막이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고, 유기용제(a)의 사용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재에 코팅된 졸의 휘발성 성분들이 너무 늦게 휘발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열차단층 표면의 박막이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유기용제(a)는 MIBK(Methyl isobutyl ketone), 톨루엔(Toluene), NMP(N-Methyl-2-pyrrolidone), DMAC(Dimethyl acetamide), PMA(Propylene glycol mono methyl ether acetate), DBE(dibasic Esters), DMC(dimethyl carbonate), 자일렌(Xylene), 부틸알콜(Buthyl alcohol)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체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가 코팅된 도막이 높은 색 가변성을 가지기 위해서 일정 두께 이상 형성 될 때 부서지는(Brittle)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도막표면의 경도를 높이는 작용으로서, 광중합체의 사용량이 20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코팅도막이 부서지는 현상 및 코팅 작업 공정 중 코팅 도막이 손상 될 우려가 있고, 광중합체의 사용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색 가변성의 효과가 저하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광중합체는 디아크릴산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산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산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산 1,6-헥산디올, 디아크릴산 글리세린, 디메타크릴산 글리세린, 디아크릴산 1,10-데칸디올, 디메타크릴산 1,10-데칸디올 등의 2관능 아크릴레이트, 트리아크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크릴산 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산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크릴산 디펜타에리스리톨 등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차단 재료는 적외선의 흡수 파장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열차단 재료는 ATO sol, ITO sol 또는 Tungsten bronze sol, 프탈로시아닌 계 금속착염 색소, 디티올렌 계 금속착염 색소, 디인모늄, 카본블랙, LaB6(육붕화 란타늄 화합물), 산화 알루미늄, 산화 실리카, FTO (불화 틴옥사이드)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차단 재료의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적외선 흡수파장을 차단하는 작용 효과가 저하할 우려가 있고, 열차단 재료의 사용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색 가변형 무기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의 함량이 적어져서 색 가변형 특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열차단 재료는 나노분산 졸 형태로 그 고형분이 20~3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형분이 20 중량% 미만일 때는 적외선 차단 특성이 좋지 못하고,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Tungsten boronze sol은 ATO sol 보다 높은 가시광선 과율과 우수한 적외선 차단 특성을 지녔다. 또한 ITO sol 보다 낮은 단가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코팅 졸을 이용하여 기재층(10)의 상면에 코팅시켜 형성한 열차단층(20)은 이온전도 현상에 의한 변색이 아닌 전자의 광전효과를 응용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간편한 변색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근적외선 차단 특성을 제공한다. 즉 가시광선 변화율 △T 50% 이상을 가지고 근적외선(780nm~1700nm)영역까지 차단되는 특성을 가지며, 열차단 재료로는 안티몬틴옥사이드(ATO), 인듐틴옥사이드(ITO), 2산화실리카(SiO2), 3산화알루미나(Al2O3), 3산화몰리브덴(MoO3), 5산화니오브(Nb2O5), 5산화 바나듐(V2O5), 텅스텐 브론즈(Tungsten Bronze) 등으로 분산 입도가 100nm 이하인 분산 졸 형태의 1종 이상을 포함하게 되며 적외선 영역(1700nm~2200nm)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은 상기 열차단층(20)의 상기 기재 층(10)과 접하지 않은 면에 점착층(30)을 추가로 형성시켜 건물 또는 차량 등의 유리에 접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층(30)은 상기 열차단층(20)의 일면에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필름을 건물 또는 차량 등의 유리에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점착층(30)의 점착성은 주로 고분자 사슬의 분자량, 분자량 분포, 또는 분자구조의 존재량에 의존하고, 특히 분자량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아크릴계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8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80~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아크릴계공중합체에 8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초기 점착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응집력 저하로 인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은 상기 점착층(30)은 상기 색 가변형 열차단층(20)과 접하지 않은 면에 이형지(40)를 추가로 포함하여 점착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지(40)는 상기 점착층(30)의 일면에 형성되어 건물 또는 차량 등의 유리에 접착되기 전까지 상기 점착층(30)의 점착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이형지(40)는 바람직하게 PET기재에 실리콘 코팅 처리된 필름을 사용하게 된다. 실리콘 코팅 처리가 되어 있지 않으면 최종 제조된 열차단필름을 유리에 시공시 이형지(40)를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점착층(30)과 이형지(40)가 분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인 도 2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제조방법의 블록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를 참조하면,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S1);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를 혼합하여 코팅졸을 제조하는 단계(S2);
기재층의 상면에 코팅졸을 코팅하여 열차단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3);
열차단층 상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4);
점착층의 상면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단계(S5);
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S1 단계에서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는 리플럭스(Reflux)법에 의해 제조한다. 즉, 반응온도 0~45℃ 범위에서 금속분말을 과산화수소 및 유기 하이드로과산화물에 반응시키고, 다시 건조 과정을 거쳐 노란색 분말을 수득한다. 수득된 노란색 분말은 다시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에 용해시키므로써 용액 상의 순수 무기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 S2 단계에서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를 혼합하여 코팅 졸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그 성분과 조성비는 상기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S3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 코팅 졸은 상기 기재층(10)에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또는 롤투롤 코팅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코팅되고, 열풍건조 및 UV 조사하여 열차단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중 특히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설비를 통해 코팅되는 경우에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설비는 대면적 코팅에 있어서 가장 평탄한 도막 표면을 나타내고 생산성 또한 다른 설비보다 높다는 장점이 있다.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에 있어서 코팅부에서 투입되는 코팅졸은 용적율이 각기 다른 종류의 마 이크로 실린더가 있으며 이때 실린더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 형태의 셀은 코팅액을 포집하는 미세한 홈과 같으며, 이 셀의 용적률에 따라 코팅졸을 기재 필름에 코팅할 수 있는 량이 정해진다. 이때의 용적률은 셀 홈의 크기에 정해지므로 20.5~32.2 ㎤/㎥ 일때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S4 단계에서는 건축 및 차량의 유리창에 접착 시킬 수 있는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본 단계에서 사용하는 점착제는 통상적인 점착제로서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실리콘계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S5 단계에서는 점착층 표면을 보호하고 유리에 시공할 때 분리 될 수 있는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형지는 합성수지 필름,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구성을 아래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져서는 아니된다.
1. 시험편의 제조
(실시예 1)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의 출발원료로는 Mo 50g을 과산화수소 150g에 투입하고 Reflux 반응시켰다. 이때 온도 범위는 25±1℃에서 실시하였다. 노랗게 용해된 액상을 열풍 오븐에서 60℃로 건조시키면 노란색의 분말을 수득하게 된다. 수득한 생성물은 에탄올 100g에 용해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전체 용액 100 중량부에 증점제로 카라기난 0.5 중량부, 유기용제로 MIBK 10 중량부, 광중합체로 디아크릴산 에틸렌글리콜 20 중량부의 비율로 넣고 교반 후 코팅 졸을 제조한다. 제조된 코팅 졸에 열차단 재료인 ATO sol를 20 중량부 투입하여,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 코팅 졸이 얻어진다. 코팅 졸은 기재인 PET 일면에 코팅하고, 이때 도막 두께는 3~5㎛으로 한다. 열풍 및 UV 조사를 통해 도막을 경화 시키고 형성된 코팅 도막 배면에 점착 코팅을 하게 된다. 이때 점착 두께는 8~10㎛ 로 되게한다. 이형지를 합지하여 상기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필름을 가로 145mm × 세로 145mm로 절단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금속 분말을 제조하되, 시험편을 제조하되, 단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 합성 제조과정 중에서 출발원료인 Mo 대신 W를 투입하여 제조한 분말을 에탄올 100g에 용해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전체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점제로 카라기난 2.0 중량부, 유기용제로 MIBK 20 중량 부, 광중합체로 디아크릴산 에틸렌글리콜 30 중량부의 비율로 넣고 교반 후 코팅 졸을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열차단 재료를 투입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제조하되, 단 열차단 재료 투입과정 중에서 ATO sol 대신 Tungsten bronze sol 투입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제조하되, 단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 합성 제조과정 중에서 출발원료인 Mo 대신 W를 투입하고, 열차단 재료를 ATO sol 대신 Tungsten bronze sol를 투입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제조하되, 단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 합성 제조과정 중에서 출발원료인 Mo 대신 K를 투입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제조하되, 단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 합성 제조과정 중에서 출발원료인 Mo 대신 Mg를 투입하고, 열차단 재료를 ATO sol 대신 Tungsten bronze sol를 투입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2. 가시광선 변화율 및 적외선 차단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의 시험편을 이용하여 가시광선 변화율 및 적외선 차단 특성을 측정한 결과 아래 [표 1]의 내용과 같다.
시험 조건으로 가시광선 변화율 및 적외선 차단율의 측정은 JASCO (JAPAN) 650 UV/VIS spectrometer 으로 baseline을 공기 중에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가시광선 변화율은 bleached 상태의 투과율에서 colored 상태의 투과율의 차이로 표기 된 것이고, 적외선 차단율은 780~2200 nm 영역에서 전체 100%에 투과율을 뺀 값으로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가시광선 변화율
△T%(400~780㎚)
32 42 37 48 25 15
적외선 차단율%
(780~2200㎚)
68 73 79 85 66 65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UV/VIS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에 관한 것으로, A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의 bleached 상태의 투과 곡선이며, B는 본 실시예 4의 colored 상태의 투과 곡선이다.
상기 [표 1]의 측정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1 내지 4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로서 무정형 MOx 형태의 과산화물(M : 전이금속)을 사용함으로써, 일반 금속을 사용한 비교예 1, 2에 비해 가시광선 변화율 및 적외선 차단율의 효과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의 원소결합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2를 대상으로 Fourier Transform Infra Red Spectrometer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석기(시험조건: FT-IR 관찰은 Bruker(Germany), IFS88 Spectrum GX)에 의해 리플럭스(Reflux)법으로 합성된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의 원소결합 분석을 한 결과로서, 도 4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텅스텐 과산화물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제조방법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UV/VIS spectrometer 투과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 2의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의 원소결합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에 관한 것이다.

Claims (7)

  1. 기재층의 일면에 색 가변형 열차단층을 형성시킨 열차단필름에 있어서,
    기재층의 상면에 열차단층과 점착층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이형지를 부착시킨 구조이고,
    그리고 상기 열차단층은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를 혼합한 코팅 졸을 이용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층의 상기 코팅 졸은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점제 0.5~2.0 중량부, 유기용제(a) 10~20 중량부, 광중합체 20~30 중량부 및 열차단 재료 10~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는 무기 금속 과산화물 25~35 중량%와 유기용제(b) 65~7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 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금속 과산화물은 무정형 MOx 형태의 과산화물로서, 전이금속 M과 산소가 결합된 과산화물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에서 M은 전이금속원소(Ti, Sc, W, Mo, Zr, Fe, Co, Ni, V)들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a)는 MIBK(Methyl isobutyl ketone), 톨루엔(Toluene), NMP(N-Methyl-2-pyrrolidone), DMAC(Dimethylacetamide), PMA(Propylene glycol mono methyl ether acetate), DBE(dibasic Esters), DMC(dimethyl carbonate), 자일렌(Xylene), 부틸알콜(Buthyl alcohol)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b)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부탄디올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7.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S1);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와 열차단 재료를 혼합하여 코팅졸을 제조하는 단계(S2);
    기재층의 상면에 코팅졸을 코팅하여 열차단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3);
    열차단층 상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4);
    점착층의 상면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단계(S5);
    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90030984A 2009-04-09 2009-04-09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2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84A KR20100112464A (ko) 2009-04-09 2009-04-09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84A KR20100112464A (ko) 2009-04-09 2009-04-09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464A true KR20100112464A (ko) 2010-10-19

Family

ID=4313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984A KR20100112464A (ko) 2009-04-09 2009-04-09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246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184B1 (ko) * 2013-07-02 2015-03-03 율촌화학 주식회사 능동형 광량 조절 스마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4481B1 (ko) * 2013-04-09 2015-03-20 주식회사 마프로 윈도우 필름
US9028081B2 (en) 2011-12-01 2015-05-12 Flatiron Research Group, LLC Removable window insulator
KR20190103598A (ko) * 2018-02-28 2019-09-05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마트 윈도우 필름
WO2020080844A1 (ko) * 2018-10-18 2020-04-23 황태경 열 차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8081B2 (en) 2011-12-01 2015-05-12 Flatiron Research Group, LLC Removable window insulator
KR101504481B1 (ko) * 2013-04-09 2015-03-20 주식회사 마프로 윈도우 필름
KR101498184B1 (ko) * 2013-07-02 2015-03-03 율촌화학 주식회사 능동형 광량 조절 스마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03598A (ko) * 2018-02-28 2019-09-05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마트 윈도우 필름
WO2020080844A1 (ko) * 2018-10-18 2020-04-23 황태경 열 차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8096B2 (en) Electrochromic element with improved electrolyte layer
US20140340729A1 (en) Reflective dimming electrochromic element with non-water based hydro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layer inserted therein, and dimming element using the same
CN106956486B (zh) 具有高紫外阻隔性能的隔热膜及其制备方法
KR101977347B1 (ko) 근적외선 차단용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코어-쉘 구조의 황화구리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112464A (ko) 색 가변형 금속 과산화물 바인더를 이용한 열차단층이 형성된 열차단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6997134A (zh) 一种智能遥控自供能电致变色窗及其制备方法
JP2004514163A (ja) 光学活性フィルムコンポジット
JP5700552B2 (ja) 紫外線遮蔽能を有するガラス物品および紫外線遮蔽膜形成用微粒子分散組成物
Yao et al. Long-lived multilayer coatings for smart windows: integration of energy-saving, antifogging, and self-healing functions
CN106313794A (zh) 一种复合隔热调光玻璃及其制备方法
Renaud et al. Transparent tantalum cluster-based UV and IR blocking electrochromic devices
CN208801693U (zh) 复合式隔热结构
CN103923438A (zh) 叠层用树脂组合物及其用途
Wen et al. Mg‐Doped VO2@ ZrO2 Core− Shell Nanoflakes for Thermochromic Smart Windows with Enhanced Performance
CN112984836A (zh) 一种被动式冷热双效材料
CN107735700A (zh) 波长转换滤波器和其制造方法以及太阳能电池模块
CN109143716A (zh) 可见-近红外光电致变色复合材料、其制备方法及应用
CN206186472U (zh) 一种可弯折的隔热节能膜
KR20200065132A (ko) 스마트 창호용 금속 도핑 바나듐 산화물 하이드로겔
Wang et al. Durable and Scalable Superhydrophobic Colored Composite Coating for Subambient Daytime Radiative Cooling
CN104861762B (zh) 一种透明玻璃隔热材料及其应用
CN105247687B (zh) 用于太阳能电池的盖玻片、具有用于太阳能电池的盖玻片的太阳能电池组件、用于形成透明膜的涂布液和用于形成透明保护膜的方法
KR101307015B1 (ko) 고투과 열차폐 조성물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커버 글라스 도막 구조
S Abbas et al. Study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epoxy panel doped with fluorescein-sodium dye
JP2018077301A (ja) 近赤外線吸収性光学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