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460A -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Google Patents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460A
KR20100112460A KR1020090030978A KR20090030978A KR20100112460A KR 20100112460 A KR20100112460 A KR 20100112460A KR 1020090030978 A KR1020090030978 A KR 1020090030978A KR 20090030978 A KR20090030978 A KR 20090030978A KR 20100112460 A KR20100112460 A KR 2010011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ests
insecticidal
amiz
mix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042B1 (ko
Inventor
박성희
최경순
Original Assignee
박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희 filed Critical 박성희
Priority to KR102009003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04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8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Azadirachta (ne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은 인체에는 이상이 없으면서도 해충에 대하여 우수한 살충 및 기피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농약, 방향제, 세제 및 화장품 등과 같은 제품을 제조하는데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쑥, 씀바귀, 산초, 멀구슬나무, 해충, 살충, 기피, 혼합 추출물

Description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Mixture extract having insecticidal and repellent effects and produc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의 변화로 인하여 인간에게 해가되는 다양한 해충들이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에 서식 하면서 인간에게 해를 주고 있다. 예컨대, 모기의 경우 그 소리나 흡혈 활동은 수면방해, 불쾌감, 불안감 등 정신적, 심리적인 피해를 주며, 말라리아, 뇌염, 뎅그열, 피부 알레르기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 또한 바퀴벌레, 나비, 수충 및 진드기 등과 같은 해충들도 모기와 유사하게 인간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지금까지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이 전 세계에 걸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제 2차 세계대전 중에는, 태평양에 주둔했던 군대들이 해충으로 인하여 큰 고통을 겪고 있어, 발라서 해충에 물리지 않는 해충 기피제를 개 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었다. 또 해충의 신경 전달 저해, 에너지 생산 저해, 생장조절, 행동 억제 등에 관여하는 살충제를 개발하기 위한 시험도 활발히 이루어 졌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개발된 DEET(N,N-diethyl-m-toluamide)는 현재까지 개발된 기피제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합성기피제로, 여러 모기 종에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모기붙이, 파리, 이, 벼룩, 진드기 등의 해충 전반에 걸쳐 사용되며, 가축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DDT(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는 말라리아나 황열병을 퍼뜨리는 모기, 발진티푸스를 전파하는 이 및 전염병을 퍼뜨리는 벼룩에 대하여 매우 살충력이 좋으면서도, 사람 및 가축에 해가 적기 때문에 전 세계의 관심을 끌며 잇따라 합성되었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해충 기피제 및 살충제의 대부분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제품으로 환경오염 유발, 피부 트러블 발생 등의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DEET의 경우 불쾌한 냄새가 나며, 피부에 자극을 주고, 몇몇 플라스틱이나 합성고무와 반응하여 안경이나 시계줄에 손상을 입히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빠르고 강한 피부침투력으로 인하여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DDT의 경우는 자연계에 살포되면 잘 분해 되지 않으며, 생물에 섭취되면 배설이 아주 천천히 일어나므로 생체 내에 축적되는 등 생태계나 사람의 건강에 끼치는 영향이 커 그 사용이 금지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인공 합성된 해충 기피제 및 살충제로부터 벗어나 환경에 피해가 없으면서도 쾌적한 웰빙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천연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가 식물체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식물은 다양한 대사과정을 거쳐 알칼로이드(alkaloid), 플라본(flavon), 테르펜(terpene) 및 탄닌(tannin) 등의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공장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식물의 종류는 55만종 이상 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 중 인류가 이용하고 있는 식물은 1% 정도에 지나지 않아 식물을 이용한 유용한 물질 발굴은 새로운 연구 분야로 부곽 되고 있다.
식물에서 추출된 물질은 의약품, 농약, 염료 및 향신료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적절한 식물의 추출물들을 혼합시켜 사용할 경우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다양한 해충에 대하여 기피 또는 살충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인식하에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해충의 기피제 및 살충제를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합성된 기피제 및 살충제 이상의 효과를 갖는 물질을 발굴한 사례는 많지가 않다. 따라서 식물 추출물이 들어간 농약, 비누, 세제, 샴푸, 의약부외품 등을 개발하여, 인간에게는 무해하면서도, 다양한 해충들에게는 치명적인 제품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 추출물 중에서 다양한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으면서도 인간에게는 해가되지 않는 물질을 발굴하고자 노력한 결과,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물질은, 한 종류의 식물에서 추출한 물질보다 해충에게 보다 치명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혼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세제 및 방향제 등과 같은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쑥, 씀바귀, 산초 및 멀티구슬나무의 혼합 추출물은 해충 특히, 모기의 유충에 우수한 살충효과를 가지므로 살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쑥, 씀바귀, 산초 또는 멀티구슬나무 1종의 식물 추출물만을 사용한 것보 다도 살충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인체에는 이상이 없으면서도 해충에 대하여 우수한 살충 내지 기피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방향제, 비누, 세제 및 화장품 등과 같은 예방차원의 제품을 공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해충의 살충 및 해충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투입하는 단계와; 추출용매가 투입된 혼합물을 추출하여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의 엑기스를 추출한 것으로,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의 조성비는 추출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건조시킨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는 순서대로 1:0.5-5:1.5-3:0.5-5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5:0.5-2:1.5-4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5-3.5: 1.5-2:1.5-3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 용매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노르말-헥산 또는 클로로포름 중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노르말-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용매는 추출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살충제 및 기피제로 사용할 경우는 알코올과 노르말-헵탄을 혼합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살충성분의 추출함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향균제 또는 과일 보존제로 사용할 경우는 정제수를 선택함으로써 물에 쉽게 용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의 혼합물에 추출용매는 1:3-100 중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0 중량비로 투입한다. 추출용매가 3 중량비 미만이면 엑기스가 용이하게 추출되지 못하며, 100 중량비를 초과하면 농축시 과다한 에너지가 소비된다.
추출 및 여과하는 과정은 사용목적에 따라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감압농축된 엑기스는 그 자체를 직접 또는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유효성분이나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건조하여 분말화하고, 그 분말을 부형제, 합성 살균제 또는 살충제에 혼합하여 가공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모기, 파리, 진드기, 이 또는 바퀴벌레를 포함하는 해충의 살충에 유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모기의 유충에 대한 살충 활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면, 쿨렉스 피피엔스 팔렌스(Culex pipiens pallens), 쿨렉스 트리타에니오힌쿠스(Culex tritaeniorhynchus), 쿨렉스 비쉬누이(Culex vishnui), 쿨렉스 겔리두스(Culex gelidus), 쿨렉스 푸스코케팔라(Culex fuscocephala), 아에데스 아에기 키(Aedes aegyti) 및 아노펠레스 스테펜시(Anopheles stephens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모기 유충에 살충 활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을 농약 등의 살충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활성 성분의 함량은 살충제의 제형, 살포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0.01 내지 40 중량%가 바람직하다. 활성 성분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해충의 살충 효과가 미미하며, 40 중량% 이상이면 충분한 살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과량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해충의 살충 효과 이외에도 해충의 기피효과를 가질수 있으며, 이는 일상 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화장품, 세제 및 방향제등의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품에는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영양수, 화장수 및 팩과 같은 물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세제에는 비누, 샴푸, 린스, 클렌징, 전신 세정제, 트리트먼트 및 미용액 제품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방향제는 명칭에 상관없이 추출물의 미세 입자가 공기를 매개하여 해충에게 이동함으로써, 해충의 기피효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사용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이외에 다른 유효성분 또는 부형제를 첨가한다. 사용하는 부형제로는 액체 또는 고체 담체(희석제), 전착제, 유화제, 보습제, 분산제, 점착제, 붕해제 등과 같이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액체 담체의 예로는 톨루엔, 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 수소, 부탄올, 옥탄올, 글리콜 등과 같은 알코올, 아세톤 등의 케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아미드, 디메킬설폭사이드 등과 같은 설폭사이드, 메틸나프타렌, 시클로헥산온, 동물유, 식물유,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등유, 경유 등의 석유 분획 또는 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고체 담체의 예로는 점토, 카올린, 활석, 규조토, 실리카, 탄산 칼슘, 몬트로밀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장석, 석영, 알루미나, 톱밥 등을 들 수 있다. 전착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니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유화제 또는 분산제의 예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있다.
예를 들어 고급 알코올 나트륨 설페이트,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라우릴 베타인, 트리톤-X-100 등의 트리톤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트로 디알킬설로석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점착제의 예로는 카프복시메킬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코올을 들 수 있고, 상기 붕해제로는 리그닌설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비누를 제조할 경우, 혼합 추출물 이외에 화장비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누성분 및 계면활성제 등과 통상적인 산화방지제, 보습제, 점종 제, 무기염류, 향료, 안료 및 염료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화장비누 조성물은 고형 비누 외에도 연고 또는 액제 등의 제제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제품에 대하여 적절한 양을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장비누를 제조할 경우, 혼합 추출물을 제품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중량%로 첨가한다. 혼합 추출물이 2 중량% 미만일 경우, 해충 기피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충분한 해충의 기피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과량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품은 인체와 피부에는 우호적인 작용을 하는 반면, 모기나 곤충 등의 해충에게는 접근을 기피토록 하는 향을 내게 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의 엑기스 추출>
천연식물의 수집
대한민국 중북부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쑥(Artemisia annua), 씀바귀(Ixeris dentata Nakaki), 산초(Zanthoxylum popetitum A.P.DG) 및 남부지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L.)를 5월부터 8월 기간 중에 수집 및 채취한 뒤, 10일간 직사광선을 피해 건조하여 위 재료의 건조물로 만들어 공시재료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식물의 목록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9021553650-PAT00001
천연추출물의 추출
건조가 잘된 원료인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를 각각 50g, 150g, 90g 및 110g 혼합한 후, 80% 에탄올 600g을 첨가하여 총 1000g 만들었다. 혼합물을 35℃에서 12시간동안 1차 추출하고 EYELA A-3s 감압농축기(EYELA Tokyo Rikaikai 사)를 사용하여 감압증류 하였다. 에탄올 증발량 만큼인 450g의 50% 에탄올을 첨가한 후, 35℃에서 8시간 동안 2차 추출하였다. 1차 추출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압증류한 뒤, 에탄올 증발량 만큼인 220g의 20% 에탄올로 35℃에서 4시간 동안 3차 추 출한 후 에탄올을 증발 시켰다. 추출된 물질을 여과지 No. 3(Wattman)을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도1 나타내었다.
쑥( A rtemisia annua), 멀구슬나무( M elia azedarach L.), 씀바귀(I xeris dentata Nakaki) 및 산초( Z anthoxylum popetitum A.P.DG) 에서 추출된 물질의 명칭을 원료의 학명의 앞부분을 따서 이하 AMlZ로 명명하였다.
천연추출물의 유효성분 확인
AMIZ 추출물의 원료를 이용한 추출물(AMIZ)의 물성을 HPLC(JASCO 모델 LC900시리즈)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혼합 천연 추출물의 분석은 최초 이동상으로 아세토니트릴(CH3CN)/물 (50:50;v/v)을 사용하였고, 최종 이동상인 아세토니트릴(CH3CN)/물(80:20; v/v)까지 25분 동안 용매 기울기를 설정하여, 5분씩 용매를 용리하였다. AMIZ 혼합물의 투입량은 10㎕이였으며, UV 검출기를 사용하여 230nm의 최적의 파장에서 검출하였다. 표 2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HPLC 분석결과 용출 순서는 클로로젠산(tR=4.77min), 시네린 II(tR=10.98min), 피레스린 II(tR=11.33min), 시네린 I(tR=17.10min), 피레스린 I(tR=17.40min) 및 투센다닌(tR=21.08)min) 순으로서 나타났다. 본 발명의 AMIZ 추출물은 HPLC 확인 결과, 클로로젠산, 시네린 Ⅰ,Ⅱ, 피레스린 Ⅰ,Ⅱ 및 투센다닌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추출물의 성격상, 해충의 살충 또는 기피 효과를 갖는 물질이 이들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2>
Figure 112009021553650-PAT00002
<천연 추출물의 살충활성 확인>
살충활성 시료의 조제
상기 추출된 AMIZ 용액을 가지고 살충활성 실험을 하기 위해서 파리목(dipetra)의 모기유충단계인 4령 유충(4th instar Larva) 및 성충의 전단계인 퓨파(Pupa) 총 10마리를 Blank를 포함한 8개의 시험관(test tube)에 각각 분주하였다. 이후 각각의 시험관에 10ml 씩 정제수로 동일하게 맞추고 표 3에 나타난 양의 AMIZ 추출물을 첨가하여 시간대 별로 사멸되는 유충의 개체 수를 확인하였다. 실험조건은 유충이 생활 할 수 있는 실온조건인 28℃-30℃이었으며, 5회 반복실험 한 뒤 사멸되는 유충 개체수의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표 3>
Figure 112009021553650-PAT00003
AMIZ의 살충성 확인
AMIZ 추출물을 이용하여 15분, 30분, 60분, 120분 및 360분 동안 유충이 사멸되는 과정을 표 4 에 나타내었다. 1번 시험관은 AMIZ추출물이 전혀 없는 관계로 유충이 전혀 사멸되지 않았으며, AMIZ추출물의 농도가 1.0ml에서 4.0ml까지 높아짐에 따라 사멸되는 유충의 개체수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MIZ 농도가 클수록 사멸되는 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표 4>
Figure 112009021553650-PAT00004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 나무의 개별 추출물과 AMIZ 추출물의 살충성 비교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의 혼합 추출물이 아닌, 개별 식물의 추출물의 살충성 효과를 상기 AMIZ 추출물의 살충성 효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각 개별 식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AMIZ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과 동일하였으며, 4령 유충(4th instar Larva) 및 성충의 전단계인 퓨파(Pupa) 각각 50 마리를 가지고 실험하였다. 4.0ml의 AMIZ를 10ml의 정제수에 넣었을 때와 동일한 농도의 개별 식물의 추출 용액을 가지고, 4령 유충 및 퓨파에 대한 살충효과 실험을 하였으며, 60분을 기준으로 개체의 사멸된 마리수를 확인하여, 본 발명의 AMIZ와의 살충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5>
Figure 112009021553650-PAT00005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의 개별 식물 추출물의 경우 4령 유충 및 퓨파에 대하여 살충 효과가 있지만, 동일한 조건에서의 본 발명의 AMIZ 혼합 추출물과 비교할 경우 그 살충효과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AMIZ 혼합 추출물이 그 혼합으로 인하여 보다 우수한 살충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천연 추출물 제품의 해충 기피 확인>
AMIZ 물질을 첨가한 미용비누의 제조
본 발명의 AMIZ 추출물을 비누화 반응을 일으킨 70℃-80℃의 유지에 첨가하고, 이에 불포화지방산이 높은 호호바 오일 및 라벤더 향을 넣고 완전하게 혼합하였다. 혼합물의 온도를 50℃-60℃로 냉각한 후에 틀에다 숙성 시켰다. 본 실험예의 혼합비는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09021553650-PAT00006
AMIZ 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미용비누의 제조
AMIZ의 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미용 비누를 상기 실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미용비누를 제조하였다. 본 비교예의 혼합비를 표 7에 나타내었다. AMIZ의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양 만큼, 모기의 기피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향을 넣어 실시예와 비교하였다.
<표 7>
Figure 112009021553650-PAT00007
미용비누의 피부상태 및 기피활성 확인
실험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미용비누를 가지고 피부상태 및 모기 기피정도를 확인하였다. 피부상태는 1시간 경과 후에 측정하였으며, 총 13단계로 나누어, 최고점을 13점으로 하였다. 미용비누의 모기에 대한 기피활성은 이집트 암컷모기 60마리가 실험자의 팔을 문 횟수를 카운트하였다. 이는 30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09021553650-PAT00008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 1 내지 4까지의 AMIZ를 첨가한 미용비누 및 비교예 1 내지 6까지의 AMIZ를 첨가하지 않은 미용비누를 비교한 결과, AMIZ 물질을 첨가하더라도 피부 상태에는 큰 변화를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첨가된 AMIZ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모기에 물리는 횟수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AMIZ 추출물을 미용비누, 세제 및 세안제 등에 사용할 경우, 인간에게는 독성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기피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AMIZ의 추출방법 및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을 확인하기 위한 공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AMIZ를 HPLC로 분리한 뒤, 최적 파장인 230nm에서 검출한 결과를 보여주는 크로마토그램이다.

Claims (7)

  1.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를 용매로 추출한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쑥, 씀바귀, 산초 및 멀구슬나무는 순서대로 1:0.5-5:0.5-3:0.5-5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인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노르말-헥산 또는 클로로포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인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은 모기, 파리, 진드기, 이 또는 바퀴벌레를 포함하는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5. 제 1항 내지 4항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제.
  6. 제 1항 내지 4항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7. 제 1항 내지 4항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향제.
KR1020090030978A 2009-04-09 2009-04-09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17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78A KR101174042B1 (ko) 2009-04-09 2009-04-09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78A KR101174042B1 (ko) 2009-04-09 2009-04-09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460A true KR20100112460A (ko) 2010-10-19
KR101174042B1 KR101174042B1 (ko) 2012-08-16

Family

ID=4313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978A KR101174042B1 (ko) 2009-04-09 2009-04-09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0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8884A (zh) * 2011-11-07 2012-06-20 沈阳双鼎科技有限公司 提高苦碟子注射液用药材有效成分含量的人工栽培方法
WO2013070045A1 (ko) * 2011-11-10 2013-05-16 주식회사 내츄럴스페이스 피톤치드가 함유된 천연 식품보존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88334B1 (ko) * 2013-03-25 2013-07-22 (주)솔빛피앤에프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CN103262864A (zh) * 2013-06-13 2013-08-28 金陵科技学院 一种生物杀虫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909B1 (ko) 2018-12-26 2019-03-08 자인바이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258B1 (ko) * 2002-08-05 2005-10-06 케이지바텍 주식회사 한약추출물을 이용한 식물병해충 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21926B1 (ko) * 2005-09-21 2008-04-1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드기 알레르기원 중화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JP4065005B1 (ja) 2006-12-27 2008-03-19 柳 智玲 植物病害虫防除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8884A (zh) * 2011-11-07 2012-06-20 沈阳双鼎科技有限公司 提高苦碟子注射液用药材有效成分含量的人工栽培方法
WO2013070045A1 (ko) * 2011-11-10 2013-05-16 주식회사 내츄럴스페이스 피톤치드가 함유된 천연 식품보존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85734B1 (ko) * 2011-11-10 2013-07-18 주식회사 내츄럴스페이스 피톤치드가 함유된 천연 식품보존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88334B1 (ko) * 2013-03-25 2013-07-22 (주)솔빛피앤에프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CN103262864A (zh) * 2013-06-13 2013-08-28 金陵科技学院 一种生物杀虫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042B1 (ko)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jkumar et al. Repellent activity of selected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the malarial fever mosquito Anopheles stephensi
Khater et al. Commercial mosquito repellents and their safety concerns
EP3503733B1 (en) Insect repellent compound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9198435B2 (en) Natural pestic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MX2011010032A (es) Plaguicida a base de alcaloides isoquinolicos, flavonoides, aceites vegetales y/o esenciales.
US10258036B2 (en) Extract of Euodia suaveolens Scheff, repellent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KR102196541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살충 및 기피제 및 그의 제조 방법
Nicoletti et al. Neem-borne molecules as eco-friendly control tools against mosquito vectors of economic importance
KR101174042B1 (ko)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Elango et al. Evaluation of repellent properties of botanical extracts against Culex tritaeniorhynchus Giles (Diptera: Culicidae)
Okonkwo et al. Insecticidal potential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the leaves of Phyllanthus amarus and Stachytarpheta cayennensis in Nigeria
KR100868314B1 (ko) 비사볼란겔론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KR100341056B1 (ko) 천연 모기 기피제
Alievi et al. Ateleia glazioveana and Ocimum basilicum: plants with potential larvicidal and repellent against Aedes aegypti (Diptera, Culicidae)
KR20140084596A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KR20130026742A (ko) 모기 등 해충의 퇴치를 위해 은행나무에서 추출하는 천연살충성분 및 그의 제조방법.
Mukhtar et al. Sustainable use of botanical products in plant protection as a promising panacea to integrated pests management and control: issues, challenges, benefits and future prospects
EP2161990A1 (en) Mosquito repellent
KR101061038B1 (ko)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Uniyal et al. Larvicidal and oviposition deterrent activity of twenty three essential oils against Aedes aegypti
Dhandapani et al. Larvicidal, pupicidal and smoke toxicity effect of Kaempferia galanga to the malarial vector, Anopheles stephensi
Garud et al. Annona squamosa: A review on its larvicidal oviposition deterrent and insect repellent potency
Hiremath Review on Study of Insecticidal Activity of Cymbopogon citratus, and Aloe vera against Musca domestica
KR20180058978A (ko)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친환경 해충 방제용 조성물
Boanyah et al. Natural repellents a topic not to be neglected in a quest for new effective mosquito repellent: A review on Azardirachta indica (neem) and Citrus sinensis (sweet or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