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857A -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 Google Patents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857A
KR20100111857A KR1020090030274A KR20090030274A KR20100111857A KR 20100111857 A KR20100111857 A KR 20100111857A KR 1020090030274 A KR1020090030274 A KR 1020090030274A KR 20090030274 A KR20090030274 A KR 20090030274A KR 20100111857 A KR20100111857 A KR 20100111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rane
wire
membrane structure
preve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6437B1 (ko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to KR102009003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43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막의 가장자리에 서로 인접되게 고정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피팅부재, 이 피팅부재에 연결되며 막구조물에 연결 지지되는 연결부재, 이 막 내측에 수용되는 와이어를 축 삽입하는 삽입부재, 이 와이어를 당겨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력발생부, 및 이 와이어의 장력 발생 방향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여 와이어와 상기 삽입부재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삽입부재를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천막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로 설치되는 막구조물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삽입된 와이어를 당겨 장력 조절시 막이 굴곡지게 형성됨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30274
막구조물, 막, 와이어, 장력, 힌지

Description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MEMBRANE STRUCTURE HAVING WRINKLE-FREE DEVICE OF MEMBRANE}
본 발명은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막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로 설치되는 막구조물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삽입된 와이어를 당겨 장력 조절시 막이 굴곡지게 형성됨을 방지할 수 있어 설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막구조물은 천정부나 측벽부를 천으로 이루어진 막으로 형성한 것으로 설치나 해체가 용이하고 다양한 구조와 용도로 구축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기 때문에 전시장, 창고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막구조물의 경우, 천정을 형성할 경우 자유스럽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상이 가능하여 일반적인 구조물로 불가능하거나 난이도가 높은 형상을 표현할 수 있어 임시구조물 뿐만 아니라 고정구조물에서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막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지면에 입설되는 수 개의 기 둥과 이와 연결되는 프레임에 막의 단부를 고정하여 원하는 형상,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굴곡된 물결의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막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은 막의 단부가 고정되는 위치와, 막이 걸쳐지는 프레임의 위치 등에 의하여 결정지어지며, 이때 설치되는 용도를 고려하여 일반적인 천과 비교하면 아주 적은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막의 경우 최적의 위치에서 최적의 장력으로 고정되지 않으면 부분적인 처짐이나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막을 고정하는 단부의 고정은 고리나 체인 등을 이용하여 주름이 없도록 신장시켜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시키고 있다.
또한, 설치 중 또는 설치 후에 일부분이 늘어나는 경우에 그 장력을 조절하여 다시 조여줄 수 있도록 조임 구조에 의하여 조여주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 등이 제공되고 있다.
기존 막구조는 막을 고정하는 단부를 원하는 각도로 처짐이 없이 곡률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를 잡아당겨 고정하게 되는데, 이 와이어의 잡아당기는 힘의 방향에 따라 막이 편평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막과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와이어를 삽입하는 삽입부재를 힌지 가능하게 구비함에 따라 와이어의 장력 변화에도 항상 와이어와 삽입부재를 일직선상으로 배치 가능하게 함으로써 막의 우는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은: 막의 가장자리에 서로 인접되게 고정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피팅부재, 이 피팅부재에 연결되며 막구조물에 연결 지지되는 연결부재, 이 막 내측에 수용되는 와이어를 축 삽입하는 삽입부재, 이 와이어를 당겨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력발생부, 및 이 와이어의 장력 발생 방향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여 와이어와 상기 삽입부재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삽입부재를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써, 상기 힌지부는, 상기 삽입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힌지부재, 및 상기 힌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함께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핀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는 둘레면을 절개한 절개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마주하는 상기 절개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힌지부는, 상기 삽입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고, 내경보다 입구의 길이가 작은 함몰 홈부, 상기 연결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핀, 및 상기 함몰홈부 내부에서 다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핀의 단부에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볼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와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힌지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개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절개테두리부는 결속부재에 의해 서로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는 클램프에 의해 측방향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램프는, 상기 막의 서로 대응되는 상,하측에 동시에 접하는 고정부재, 상기 와이어를 내측에 수용하여 지지하며, 양측을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은 종래 기술과 달리 막과 막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와이어를 삽입하는 삽입부재를 힌지 가능하게 구비함에 따라 와이어의 장력 변화에도 항상 와이어와 삽입부재를 일직선상으로 배치 가능하게 함으로써 막의 우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힌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와이어 지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와이어 장력 변화에 따른 힌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힌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8)에 구비된 주름방지장치(10)는 피팅부재(20), 연결부재(30), 삽입부재(40), 장력발생 부(50) 및 힌지부(100)를 포함한다.
특히, 막구조물(8)은 막(2)을 다양한 부분에 고정하여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막(2)을 고정하는 단부는 평편한 상태가 아닌 일정한 곡률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경우 원하는 각도로 처짐이 없이 일정한 곡률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단부에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막(2)은 막구조물(8)이 가진 곡선을 따라 곡률을 이루게 되나, 보다 곡선의 형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인접한 단부의 끝단간의 장력이 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고정된 단부에서 잡아당기는 인장력 뿐만 아니라 꺽어지는 즉 굴절되는 힘을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다시 말하면, 고정된 단부에서는 단순히 한 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2개소 이상의 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하도록 하되 단부에 인접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막(2)의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이 바람직하다면 그 단부에서 이러한 형상을 이루도록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다른 곳과 굴절된 형상으로 작용하면 원하는 형상이 보다 자연스럽게 형상화되는 것이다.
더불어, 주름방지장치(10)의 피팅부재(20)는 연결부재(30)와 연결되는 부위에 해당되는 막(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막(2)은 막구조물(8)에서 잡아당겨지는 인장력을 받게 되는데, 이 피팅부재(20)는 인장력에 의한 막(2)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피팅부재(20)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막(2)의 가장자리 상,하측에 각각 접하게 된다. 그래서, 피팅부재(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막(2)에 발생되는 장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막(2)을 보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피팅부재(20)는 설치된 막(2)의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다.
물론, 피팅부재(20)는 막(2)의 상측 또는 하측 가장자리에 단독으로 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피팅부재(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하나의 연결부재(30)와 연결되는 피팅부재(20)는 막(2)의 상측 또는 하측에 하나 형성될 수도 있으나, 두 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나의 연결부재(30)와 연결되는 피팅부재(20) 각각의 인장력 발생 방향을 달리함으로써 막(2)이 주름지거나 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막(2)을 기준으로 상,하 대응되는 한 쌍의 피팅부재(20)는 체결요소수단(22)으로 체결되어 서로 결속된다. 즉, 체결요소수단(22)은 상측의 피팅부재(20), 막(2) 및 하측의 피팅부재(20)를 함께 체결한다. 여기서, 체결요소수단(22)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막(2)의 동일 모서리 가장자리에 서로 이웃하게 위치한 하나 이상의 피팅부재(20)는 하나의 연결부재(30)에 연결되고, 이 연결부재(30)는 막구조물(8)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재(30)는 막(2)의 모서리 개수만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결부재(30)는 인장력이 발생하는 막(2)의 모서리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연결부재(30)는 연결노브(32)에 의해 대응되는 각각의 피팅부재(20) 와 연결된다.
더욱 상세히, 적어도 피팅부재(20) 개수만큼의 연결노브(32)는 연결부재(30)에 고정 연결된다. 이때, 연결노브(32)와 연결부재(30)는 서로 분리 가능한 체결요소수단(22)으로 서로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노브(32)는 각 대응되는 피팅부재(20)와 고정 연결된다. 이 연결노브(32)와 피팅부재(20)는 서로 분리 가능한 체결요소수단(22)으로 서로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체결요소수단(22)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연결노브(32)와 피팅부재(20)를 결속하는 체결요소수단(22)은 막(2)과 상,하측의 피팅부재(20)를 결속하는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
아울러, 연결노브(32)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연결부재(30)는 마운팅부(34)에 의해 막구조물(8)에 연결, 고정된다.
일례로써, 마운팅부(34)는 연결부재(30)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rod,35), 및 이 로드(35)를 막구조물(8)의 설정된 부위에 결속하는 브라켓(37)을 포함한다.
특히, 로드(35)는 연결부재(30)와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연결부재(30)는 좌,우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브라켓(37)은 피벗핀(38)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한다. 이때, 피벗핀(38)은 축방향을 로드(35)의 축방향과 수직되게 배치한다. 아울러, 로드(35)는 피벗핀(38)의 둘레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로드(35)가 피벗핀(38)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은 볼트 체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부재(30)는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막(2)은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와이어(6)를 삽입한다. 이 와이어(6)는 막(2)의 가장자리를 지지함으로써 막(2)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막(2)은 테두리를 따라서 일부를 접어 포갠다. 그래서, 막(2)은 가장자리에 포개어진 수용부재(4)를 형성한다. 이 수용부재(4)는 내부에 와이어(6)를 삽입한다. 이때, 와이어(6)는 수용부재(4)에 삽입되고, 양측이 막(2)의 모서리 부위에서 노출된다. 여기서, 수용부재(4)의 가장자리는 막(2)과 열융착이나 꿰맴에 의해 와이어(6)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수용부재(4)의 외측으로 노출된 와이어(6)는 외력에 의해 당겨져 인장력을 발생해야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수용부재(4)의 외측으로 노출된 와이어(6)는 삽입부재(40)에 축 삽입된다. 이 삽입부재(40)는 양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고, 연결부재(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연결된다. 편의상, 삽입부재(40)는 연결부재(3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삽입부재(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삽입부재(40)에 삽입된 와이어(6)의 단부는 장력발생부(50)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래서, 막(2)은 와이어(6)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장력발생부(50)는 와이어(6)를 삽입부재(40)의 외측으로 강제로 당겨 장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써, 장력발생부(50)는 와이어(6)의 양측 단부 둘레면에 형성되는 나사산부(52) 및 삽입부재(40)의 외측에 지지되며 나사산부(52)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54)를 포함한다.
즉, 하나의 와이어(6) 양측에 형성된 너트부재(54) 각각이 삽입부재(40)의 외측에 지지된 채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되면, 나사산부(52)가 삽입부재(40) 각각의 외측 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와이어(6)는 팽팽하게 당겨지는 장력이 발생된다.
여기서, '외측'이라 함은 대략 브라켓(37)을 향하는 방향을 향하는 삽입부재(40)의 단부를 의미한다.
한편, 연결부재(30)와 삽입부재(40)는 힌지부(100)로 연결된다. 이 힌지부(100)는 와이어(6)의 장력 발생 방향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여 와이어(6)와 삽입부재(40)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써, 힌지부(100)는 힌지부재(112), 힌지핀(114) 및 절개테두리부(116)를 포함한다.
힌지부재(112)는 삽입부재(4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이 힌지부재(112)는 연결부재(30)와 면접촉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힌지부재(112)는 삽입부재(40)와 일체로 금형 제작되거나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힌지부재(112)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힌지핀(114)은 면접하는 힌지부재(112)와 연결부재(30)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힌지부재(112)와 삽입부재(40)는 힌지핀(114)을 기준으로 연결부재(30)에 대해 좌, 우 회동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와이어(6)는 직선 상 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막(2)은 울지 않게 된다.
한편, 삽입부재(40)는 둘레면을 절개한 절개테두리부(116)를 형성하고, 힌지부재(112)는 마주하는 절개테두리부(116)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삽입부재(40)를 벌릴 수 있어 다양한 직경의 와이어(6)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힌지부재(112)를 연결부재(30)의 상,하 양측면에 동시에 접하는 한 쌍 구비하여 함께 힌지핀(114)으로 결속됨으로써 와이어(6)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힌지부재(112)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삽입부재(40)는 단면상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도 7 내지 도 9에서처럼, 힌지부(100)는 힌지부재(121), 함몰홈부(122), 연장핀(124) 및 힌지볼(125)을 포함한다.
힌지부재(121)는 삽입부재(4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이 힌지부재(121)는 연결부재(30)와 면접촉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힌지부재(121)는 삽입부재(40)와 일체로 금형 제작되거나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힌지부재(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함몰홈부(122)는 힌지부재(121)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함몰홈부(122)는 내경이 입구의 길이(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아울러, 연결부재(30)는 가장자리에서 연장핀(124)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고, 이 연장핀(124)은 단부에 구(球) 형상의 힌지볼(125)을 일체로 형성한다. 힌지볼(125)은 연장핀(124)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힌지볼(125)은 함몰홈부(122) 내부에 형성되어 함몰홈부(122) 내측면과 구름접촉을 하게 된다. 그래서, 힌지볼(125)은 다방향(多方向)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힌지부재(121)와 삽입부재(40)는 와이어(6)의 장력발생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됨으로써 양측을 각각 힌지부(100)에 연결한 와이어(6)가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힌지볼(125)은 쉽게 함몰홈부(122)에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9에서처럼, 삽입부재(40)와 함몰홈부(122)는 힌지볼(125)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개테두리부(126)를 형성하고, 서로 마주하는 절개테두리부(126)는 결속부재(127)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즉, 힌지부재(121)와 이에 대응되는 삽입부재(40)의 둘레면은 절반으로 절개되어 절개테두리부(126)를 형성한다. 그리고, 힌지볼(125)이 절개된 함몰홈부(122) 내부에 안착된 후, 절개된 힌지부재(121)는 결속부재(127)로 결속됨으로써 조립 완료된다. 결속부재(127)가 절개된 부위를 결속하는 방식은 볼팅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결속부재(127)는 볼트와 너트 등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삽입부재(40)는 절개되지 않고 함몰홈부(122) 내부에 힌지볼(125)을 사출 성형하여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막(2)의 수용부재(4) 외측으로 노출된 와이어(6)는 클램프(200)에 의해 측방향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클램프(200)가 삽입부재(40)에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와이어(6)의 장력에 대한 지지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즉, 클램프(200)가 없다면, 와이어(6)는 외측방향으로 심하게 휠 수 있고, 이 경우, 막(2)은 찢어질 수 있다.
일례로써, 도 4에서처럼, 클램프(200)는 고정부재(210), 지지부재(220) 및 체결부재(23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10)는 막(2)의 서로 대응되는 상,하측에 동시에 접하도록 한 쌍 구비되고, 지지부재(220)는 와이어(6)를 내측에 수용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양측을 각각의 대응되는 고정부재(210)에 접촉하게 되며, 체결부재(230)는 고정부재(210)와 지지부재(22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고정부재(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지지부재(220)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와이어(6)를 접하게 함으로써 와이어(6)를 측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체결부재(230)는 다양한 기계체결요소로 한다.
물론, 클램프(200)가 와이어(6)를 측방향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팽팽하게 인장되는 와이어(6)에 의한 막(2)과 수용부재(4)의 연결부위 파손이나 막(2)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5에서처럼, 작업자는 와이어(6)를 수용부재(4) 내측에 삽입하고, 이 수용부재(4)의 양측으로 노출된 와이어(6) 각각을 대응되는 삽입부재(40)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와이어(6)의 양측에 형성된 나사산부(52)에 너트부재(54) 각각을 체결한다.
편의상, 와이어(6)의 일측만 도시하나, 양측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나서, 도 6에서처럼, 작업자가 삽입부재(40)의 각 외측에 지지되는 너트부재(54)를 강제로 죄임에 따라, 와이어(6)의 인장력 발생 방향은 소정 변화된다. 이때, 삽입부재(40)는 힌지부(100)에 의해 회동된다. 따라서, 삽입부재(40)는 연결부재(30)에 대해 회동하며 수용부재(4)에 삽입된 와이어(6)를 일직선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힌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와이어 지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와이어 장력 변화에 따른 힌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힌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막 6: 와이어
8: 막구조물 10: 주름방지장치
20: 피팅부재 30: 연결부재
32: 연결노브 34: 마운팅부
40: 삽입부재 50: 장력발생부
100: 힌지부 112,121: 힌지부재
114: 힌지핀 116,126: 절개테두리부
122: 함몰홈부 125: 힌지볼
200: 클램프

Claims (7)

  1. 막의 가장자리에 서로 인접되게 고정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피팅부재;
    상기 피팅부재에 연결되며, 막구조물에 연결 지지되는 연결부재;
    상기 막 내측에 수용되는 와이어를 축 삽입하는 삽입부재;
    상기 와이어를 당겨 장력을 발생시키는 장력발생부; 및
    상기 와이어의 장력 발생 방향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와 상기 삽입부재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삽입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힌지부재; 및
    상기 힌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함께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둘레면을 절개한 절개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마주하는 상기 절개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삽입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고, 내경보다 입구의 길이가 작은 함몰홈부;
    상기 연결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핀; 및
    상기 함몰홈부 내부에서 다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핀의 단부에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와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힌지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개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절개테두리부는 결속부재에 의해 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클램프에 의해 측방향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막의 서로 대응되는 상,하측에 동시에 접하는 고정부재;
    상기 와이어를 내측에 수용하여 지지하며, 양측을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KR1020090030274A 2009-04-08 2009-04-08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KR101066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274A KR101066437B1 (ko) 2009-04-08 2009-04-08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274A KR101066437B1 (ko) 2009-04-08 2009-04-08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367A Division KR101066442B1 (ko) 2011-06-23 2011-06-23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857A true KR20100111857A (ko) 2010-10-18
KR101066437B1 KR101066437B1 (ko) 2011-09-23

Family

ID=4313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274A KR101066437B1 (ko) 2009-04-08 2009-04-08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4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06B1 (ko) * 2011-03-04 2011-05-19 (주)에스에이치테크놀로지 천막 고정 구조
KR101069386B1 (ko) * 2011-06-29 2011-09-30 주식회사 동아스트 막구조물의 주름방지 시스템
KR101107521B1 (ko) * 2011-08-17 2012-01-31 장성준 막 구조물의 막재 재긴장장치 및 재긴장방법
KR20190080367A (ko) 2017-12-28 2019-07-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물전기화학 바이오 에너지 생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579B1 (ko) 2012-01-06 2012-10-15 주식회사 에이맥스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KR102189606B1 (ko) * 2019-08-27 2020-12-11 주식회사 다온 막구조물 서스펜션
KR102123240B1 (ko) 2020-02-13 2020-06-16 주식회사 엠테크 막구조 부상(浮上)방지 수단을 구비한 스마트 재인장 시스템
IT202100021425A1 (it) * 2021-08-06 2023-02-06 Andrea Bettega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vela ombreggiante e vela ombreggiant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004U (ja) * 1983-02-12 1984-08-24 日本鋼管株式会社 膜構造における膜体とケ−ブルとの接合構造
KR100868918B1 (ko) * 2007-12-05 2008-11-17 문광모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06B1 (ko) * 2011-03-04 2011-05-19 (주)에스에이치테크놀로지 천막 고정 구조
KR101069386B1 (ko) * 2011-06-29 2011-09-30 주식회사 동아스트 막구조물의 주름방지 시스템
KR101107521B1 (ko) * 2011-08-17 2012-01-31 장성준 막 구조물의 막재 재긴장장치 및 재긴장방법
KR20190080367A (ko) 2017-12-28 2019-07-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물전기화학 바이오 에너지 생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437B1 (ko) 201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437B1 (ko)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KR200442418Y1 (ko) 막구조물의 주름방지장치
KR101066442B1 (ko)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US8635721B2 (en) Playard
KR101883734B1 (ko) 막구조물 코너 등분포하중용 장력조절장치
KR20170001285U (ko) 난간 설치용 건조대
KR101365492B1 (ko) 천막용 코너 고정장치
KR101102904B1 (ko) 각도조절 막플레이트
CA2710708C (en) Membrane element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more particularly for ceilings or walls
KR101190579B1 (ko)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KR200437103Y1 (ko) 막구조물의 주름방지장치
JP2018017850A (ja) スクリーン装置
JP3564381B2 (ja) 吊り金具用変向金具
JP5696057B2 (ja) バンド締付具
KR102351419B1 (ko) 막 구조물의 막재 및 케이블용 장력조절장치
JP5701536B2 (ja) バリケード
KR101156606B1 (ko) 케이블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KR100470104B1 (ko) 장력조절이 가능한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고정구조
EP1747734A1 (en) A sitting apparatus comprising seat tensioning means
KR101069386B1 (ko) 막구조물의 주름방지 시스템
JP3477272B2 (ja) 組立式広告装置の広告シート固定構造
JP2017141632A (ja) 屋根上取り付け金具
CN206090729U (zh) 一种升降杆墙座结构
KR102191292B1 (ko) 막구조물
JP3914836B2 (ja) 外壁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