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946A -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 Google Patents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946A
KR20100110946A KR1020090029234A KR20090029234A KR20100110946A KR 20100110946 A KR20100110946 A KR 20100110946A KR 1020090029234 A KR1020090029234 A KR 1020090029234A KR 20090029234 A KR20090029234 A KR 20090029234A KR 20100110946 A KR20100110946 A KR 20100110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wheel
self
motor vehicle
whee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058B1 (ko
Inventor
이경훈
김지웅
김석환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05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45Self-steer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8Mounting of vehicle engines
    • B60G2204/182Electric motor on wheel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30In-whee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50Constructional features of wheel supports or knuckles, e.g. steering knuckles, spindle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축 인휠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축 인휠 모터 차량에서 제자리 회전시 발생되는 타이어 횡방향에서의 노면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여 타이어의 마멸 현상 및 현가 장치에 미치는 저항력을 줄이고, 제자리 회전에 소요되는 구동 모터의 소요 동력 및 회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다축 인휠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축 인휠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는 차체의 상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완충 스프링이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휠과 차체를 연결하는 주축암과, 일단이 상기 완충 스프링의 근방에서 상기 주축암에 연결되는 조향 링크와, 상기 조향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제자리 회전시 전륜의 일측이 토우인되고, 상기 토우인되는 전륜과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후륜이 토우아웃되도록 압축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자리 회전, 투우인, 토우아웃, 현가 장치, 자가 정렬

Description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SELF-ALIGNMENT SUSPENSION FOR MULTI-AXIS IN-WHEEL MOTOR VEHICLE}
본 발명은 다축 인휠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축 인휠 모터 차량에서 제자리 회전(피보팅; pivoting)시 발생되는 타이어 횡방향에서의 노면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여 타이어의 마멸 현상 및 현가 장치에 미치는 저항력을 줄이고, 제자리 회전에 소요되는 구동 모터의 소요 동력 및 회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다축 인휠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직렬형 하이브리드 차량 및 무인 전기 동력 차량에서 다축(예컨대, 3축 이상) 인휠 모터 차량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자리 회전은 좌우 바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모멘트(yaw moment)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이 회전중심축에 대해서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제자리 회전 운동시, 노면과 차량 측면방향으로의 미끄럼 운동에 의해 타이어 횡방향으로 마찰 저항(103)이 발생한다. 이러한 마찰 저항은 타이어의 마멸을 야기한다. 또한, 상기 마찰 저항이 커질수록 제자리 회전에 소요되는 구동 모터의 소요 동력 및 회전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마찰력 발생으로 인하여 현가장치의 각 요소에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저항력에 의하여 현가 장치의 각 부품 요소의 구조 강성 및 내구성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축 인휠 모터 차량에서 제자리 회전시 발생되는 타이어 횡방향에서의 노면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여 타이어의 마멸 현상 및 현가 장치에 미치는 저항력을 줄이고, 제자리 회전에 소요되는 구동 모터의 소요 동력 및 회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다축 인휠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는, 차체의 상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완충 스프링이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휠과 차체를 연결하는 주축암과, 일단이 상기 완충 스프링의 근방에서 상기 주축암에 연결되는 조향 링크와, 상기 조향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제자리 회전시 전륜의 일측이 토우인되고, 상기 토우인되는 전륜과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후륜이 토우아웃되도록 압축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 지지판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 내에서 가이드되어, 상기 조향 링크와 연동하는 슬라이딩 가이드와, 상기 지지판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사이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탄성 스프링에 인가되는 프리로드(preload)를 설정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축암의 차체 연결 조인트와 차륜 중심축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축 인휠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에 따르면, 다축 인휠 모터 차량에서 제자리 회전시 발생되는 타이어 횡방향에서의 노면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함으로써, 타이어의 마멸 현상 및 노면 마찰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마찰 저항이 감소함으로써 현가 장치에 미치는 저항력 또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자리 회전에 소요되는 구동 모터의 소요 동력 및 회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가적 엑츄에이터 및 제어 로직이 없이도 원활한 제자리 회전 조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포함한다"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 /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를 차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인휠 모터 차량의 자가 정렬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자가 정렬 현가장치의 차륜 중심축과 주축암의 차체 연결 조인트가 동일 축선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그것의 평면도이고, (b)는 (a)의 A-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그것의 사시도이고, (b)는 (a)의 B-B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제자리 회전시 발생하는 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인휠 모터 차량의 자가 정렬 현가장치의 제자리 회전시 자가 정렬 토우인/아웃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1)는 크게 차체(2)의 상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완충 스프링(40)이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휠(3)과 차체(2)를 연결하는 주축암(10)과, 일단이 상기 완충 스프링(40)의 근방에서 상기 주축암(10)에 연결되는 조향 링크(30)와, 상기 조향 링크(30)의 타단에 연결되는 완충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축암(10)은 휠(3) 및 타이어(4)를 지지하고 있다. 전/후륜 주축 암(10)은 제 1 차체 연결부(12)에 의해 차체(2)에 고정되며, 상기 주축암(10)과 차체 연결부(12)의 사이에는 구형 조인트(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륜 주축암(50)은 제 2 차체 연결부(52)에 의해 차체(2)에 연결되며, 상기 중륜 주축암(50)과 차체 연결부(52) 사이에는 연결 조인트(51)가 설치된다.
상기 구형 조인트(11)와 차륜 중심축은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도 3 참조). 이는, 조향시 횡력에 의한 자가 조향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완충 스프링(40)의 하단은 스프링-주축암 연결부(41)에 의해 주축암(10)과 연결되고, 상단은 차체-스프링 연결부(42)에 의해 차체에 연결된다.
상기 완충 장치(20)는 구형 조인트(29)에 의해 상기 조향 링크(30)에 연결되며, 차체 고정부(27)에 의해 차체(2)에 고정된다.
도 4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 장치(20)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 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 지지판(22)과, 상기 하우징(21)의 일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21a) 내에서 가이드되어, 상기 조향 링크(30)와 연동하는 슬라이딩 가이드(23)와, 상기 지지판(22)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3) 사이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2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의 일측에는 장력 조절 나사(26)가 상기 지지판(22)을 통하여 상기 탄성 스프링(24)에 소정량의 프리로드(preload)를 인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력 조절 나사(26)는, 차량의 제자리 회전시 비교적 큰 종방향(차체 길이방향)의 구동력이 발생하는 경우 자가정렬 현가장치(1)의 완충장치(20)가 압축구동되어 조향 링크(30)를 통하여 차륜의 원활한 조향이 이루어지고, 평상시 직진주행시의 비교적 작은 종방향 구동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완충장치(2)가 압축 구동하지 않을 정도의 프리로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프리로드는 조절 나사(26)를 회전시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7)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판(22)과 반대측에 스토퍼(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3)가 상기 하우징(21)의 내측 단부와의 반복적인 충돌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충 기능이 있는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25)는 일정 시간 사용 후 교환가능하다.
상기 조향 링크(30)의 일단은 레볼루션 조인트(31)를 통하여 상기 완충 스프링(40)의 근방에서 상기 주축암(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형 조인트(29)를 통하여 상기 완충 장치(20)와 연결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제자리 회전(도면에서 좌회전)시 다축 인휠모터 차량의 차륜(4)에 인가되는 종방향으로의 구동력(102)에 의해 제자리 회전운동(101)이 발생된다. 이때, 차륜(4)과 지면의 마찰저항에 따라 발생되는 횡방향으로의 저항력(103)이 발생하고, 차륜(4)에 발생하는 종방향 구동력에 의해 차체 회전축 방향으로의 모멘트(104)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모멘트(104)에 의해 전륜측의 우측륜 및 후륜측의 좌측륜은 조향 링크의 완충장치의 압축 작용에 의하여 좌향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자리 회전시 전륜측의 우측륜이 토우인되고, 상기 토우인되는 전륜과 대각선으로 위치한 후륜측의 좌축륜이 토우아웃된다.
이때, 전륜측의 좌측륜 및 후륜측의 우측륜은 완충장치(20) 내부의 스토퍼(25) 및 하우징(21)에 의해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조향이 이루어지는 측의 차륜의 종방향으로의 구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자리 회전 모멘트 팔(107)은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은 차륜의 제자리 회전모멘트 팔(105)에 비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가 증가한다.
또한, 조향이 이루어지는 측 차륜의 횡방향으로의 저향력(103)에 의해 발생되는 제자리 회전에 대한 저항 모멘트 팔(108)은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측 차륜의 제자리 회전에 대한 저항 모멘트 팔(106)에 비하여 감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원활한 제자리 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항 모멘트가 작아짐에 따라 차륜과 노면 사이의 마찰이 그만큼 감소하고, 그에 따라 차륜의 미끄러짐에 의한 차륜의 마멸 및 마찰음이 저감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를 차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인휠 모터 차량의 자가 정렬 현가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자가 정렬 현가장치의 차륜 중심축과 주축암의 차체 연결 조인트가 동일 축선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그것의 평면도이고, (b)는 (a)의 A-A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그것의 사시도이고, (b)는 (a)의 B-B 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제자리 회전시 발생되는 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 인휠 모터 차량의 자가 정렬 현가장치의 제자리 회전시 자가 정렬 토우인/아웃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자가 정렬 현가 장치 10: 주축암
11: 구형 조인트 12: 제 1 차체 연결부
20: 완충 장치 21: 하우징
21a: 가이드 슬릿(21a) 22: 지지판
23: 슬라이딩 가이드 24: 스프링
25: 스토퍼 26: 장력 조절 나사
27: 차체 고정부 28: 연결 링크
29: 구형 조인트 30: 조향 링크
31: 레볼루션 조인트 40: 완충 스프링
41: 스프링-주축암 연결부 42: 차체-스프링 연결부
52: 제 2 차체 연결부

Claims (4)

  1.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로서,
    차체의 상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완충 스프링이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휠과 차체를 연결하는 주축암과,
    일단이 상기 완충 스프링의 근방에서 상기 주축암에 연결되는 조향 링크와,
    상기 조향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제자리 회전시 전륜의 일측이 토우인되고, 상기 토우인되는 전륜과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후륜이 토우아웃되도록 압축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 지지판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 내에서 가이드되어, 상기 조향 링크와 연동하는 슬라이딩 가이드와,
    상기 지지판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사이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탄성 스프링에 인가되는 프리로드(preload)를 설정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암의 차체 연결 조인트와 차륜 중심축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KR1020090029234A 2009-04-06 2009-04-06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KR10102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234A KR101028058B1 (ko) 2009-04-06 2009-04-06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234A KR101028058B1 (ko) 2009-04-06 2009-04-06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946A true KR20100110946A (ko) 2010-10-14
KR101028058B1 KR101028058B1 (ko) 2011-04-08

Family

ID=4313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234A KR101028058B1 (ko) 2009-04-06 2009-04-06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0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5903A1 (ko) * 2011-07-07 2013-01-10 주식회사 유디엠텍 인휠 모터 구동 전기자동차의 피치운동 제어장치
CN109624630A (zh) * 2019-02-21 2019-04-16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悬挂系统及具有该悬挂系统的托盘车
KR20220102283A (ko) 2021-01-13 2022-07-20 현대위아 주식회사 인휠 시스템
KR20220117744A (ko) 2021-02-17 2022-08-24 현대위아 주식회사 독립 조향이 가능한 서스펜션
KR20230057159A (ko) * 2021-10-21 2023-04-28 김기범 이중댐퍼가 적용된 무인 운반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7378A1 (fr) 2000-04-10 2001-10-12 Conception & Dev Michelin Sa Vehicule comportant une suspension a une variation de carrossage et suspension verticale dans le plan de la roue
JP4133186B2 (ja) * 2002-10-02 2008-08-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操舵輪用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JP4305429B2 (ja) 2005-08-18 2009-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KR100881087B1 (ko) * 2007-09-17 2009-01-30 현대로템 주식회사 차량 자세 안정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5903A1 (ko) * 2011-07-07 2013-01-10 주식회사 유디엠텍 인휠 모터 구동 전기자동차의 피치운동 제어장치
CN109624630A (zh) * 2019-02-21 2019-04-16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悬挂系统及具有该悬挂系统的托盘车
KR20220102283A (ko) 2021-01-13 2022-07-20 현대위아 주식회사 인휠 시스템
KR20220117744A (ko) 2021-02-17 2022-08-24 현대위아 주식회사 독립 조향이 가능한 서스펜션
KR20230057159A (ko) * 2021-10-21 2023-04-28 김기범 이중댐퍼가 적용된 무인 운반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058B1 (ko) 201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1788B2 (ja) アクティブロール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198800B1 (ko)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US7891683B2 (en) Torsion-beam rear axle of a vehicle
JP6091791B2 (ja) アクティブロール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028058B1 (ko)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KR102617278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WO2022134087A1 (zh) 一种悬架结构、角模块系统及汽车
KR101283593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20210049288A (ko) 자동차용 휠 일체형 서스펜션 및 스티어링 장치
KR20160145871A (ko) 시트판 회전을 통한 스프링의 하중축 조절이 가능한 능동형 서스펜션 시스템
KR20160145870A (ko) 스프링의 하중축 조절이 가능한 능동형 서스펜션 시스템
CN110997356B (zh) 具有布置在中央的驱动单元的车轴
JP3284494B2 (ja)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KR20120062272A (ko) 자동차의 후륜 조향장치
KR20220068550A (ko) 독립 현가 시스템
KR20230060000A (ko) 독립 코너모듈
KR102542943B1 (ko) 차량의 롤 강성 가변 장치
KR100857361B1 (ko) 자동차의 지오메트리 제어장치
KR101317374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098608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40033578A (ko) 횡강성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후륜현가장치
KR102413236B1 (ko) 조향장치
KR10144879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70048266A (ko) 스프링의 하중축 조절이 가능한 능동형 서스펜션 시스템
KR20080011606A (ko) 자동차의 토션 비임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