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161A -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161A
KR20100110161A KR1020090028596A KR20090028596A KR20100110161A KR 20100110161 A KR20100110161 A KR 20100110161A KR 1020090028596 A KR1020090028596 A KR 1020090028596A KR 20090028596 A KR20090028596 A KR 20090028596A KR 20100110161 A KR20100110161 A KR 20100110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heel
shoes
functional
withdrawa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733B1 (ko
Inventor
강봉석
Original Assignee
강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봉석 filed Critical 강봉석
Priority to KR102009002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73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8Attachable overshoes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85Attachable overshoes for sporting purposes with a sole covering spikes or clea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 이 기능성 신발은 신발 착용자의 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된 신발몸체와, 이 신발몸체의 바닥부에 부착되어 신발의 바닥을 이룸과 동시에 그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신발굽 수용공간이 형성된 신발밑창과, 이 신발밑창의 신발굽 수용공간에 인출가능한 상태로 내장되어 회전에 의해 인출되는 앞굽과 뒷굽으로 이루어진 신발굽 및, 상기 신발밑창의 일측부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신발굽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 신발굽을 회전시켜 신발굽이 인출되도록 하는 일자홈이 형성된 신발굽 인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신발의 앞굽 또는 뒷굽을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산행시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고, 인출가능한 신발의 앞굽 또는 뒷굽이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길 등에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산행시 별도의 아이젠을 휴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등산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고, 신발의 기능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구매력과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발, 등산화, 신발굽

Description

기능성 신발{A functional shoes}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기능이 부여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의 앞굽 또는 뒷굽이 필요에 따라 인출됨으로써 산행의 편의를 도모함과 아울러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길 등에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과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수많은 종류의 신발이 제조되고 있으며, 또한 각 기능에 따른 특수신발 역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신발은 단순히 발을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서 점차 벗어나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한 하나의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일례를 들어 특수작업자들을 위한 안전화, 뒷굽이 없는 다이어트 슈즈 및 당뇨환자용 신발 등은 각 용도에 맞게 그 기능성을 부각시킨 신발로써, 점차 이러한 기능성 신발들의 생산량이 증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신발의 출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며, 특히 운동화나 등산화를 신고 습기에 젖은 바위를 밟거나, 겨울철 눈 덮인 산을 오르다보면 미끄러지지 않기 위하여 신발의 바닥면에 다양한 형상의 미끄럼방지 구조를 형성하거나 아이젠과 같은 별도의 미끄럼방지구를 착용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아이젠은 별도로 운동화나 등산화에 부착하여 눈길에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사용하고 있지만 그 부피와 무게로 인해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끈이나 벨트 등에 의한 묶음 구조이기 때문에 장착과정이 번거로우며, 장시간 사용시 쉽게 풀려버리거나 등산용으로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등산화의 경우 그 밑창 구조가 단순히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기 때문에 산행시 산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등산화 착용자에게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기에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등산화 또는 미끄럼방지용 신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발의 앞굽 또는 뒷굽이 필요에 따라 인출됨으로써 산행의 편의를 도모함과 아울러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길 등에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기능성 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 착용자의 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된 신발몸체와, 이 신발몸체의 바닥부에 부착되어 신발의 바닥을 이룸과 동시에 그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신발굽 수용공간이 형성된 신발밑창과, 이 신발 밑창의 신발굽 수용공간에 인출가능한 상태로 내장되어 회전에 의해 인출되는 앞굽과 뒷굽으로 이루어진 신발굽 및, 상기 신발밑창의 일측부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신발굽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 신발굽을 회전시켜 신발굽이 인출되도록 하는 일자홈이 형성된 신발굽 인출버튼을 포함하여 기능성 신발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신발굽은 그 경사면을 따라 다수의 미끄럼방지 홈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신발굽의 선단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미끄럼방지 핀이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신발굽의 선단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은 그 외주면에 레칫기어가 형성되어 신발굽 인출버튼의 역방향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인출된 신발굽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은 그 외주면에 숫기어가 형성됨과 아울러 암기어가 형성된 링이 신발굽 인출버튼의 외측에 삽입되어 링의 외측에 형성된 스톱퍼로 고정됨으로써 인출된 신발굽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신발의 앞굽 또는 뒷굽을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산행시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고, 인출가능한 신발의 앞굽 또는 뒷굽이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길 등에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산행시 별도의 아이젠을 휴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등산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고, 신발의 기능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구매력과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구조를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기능성 신발(1)은 크게 신발몸체(10)와 신발밑창(20), 신발굽(30,30') 및 신발굽 인출버튼(40)으로 이루어져 신발굽(30,30')을 신발밑창(20)으로부터 인출가능하게 함으로써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길 등에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기능성 신발(1)의 신발몸체(10)는 신발 착용자의 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발밑창(20)은 신발몸체(10)의 바닥부에 부착되어 신발의 바닥을 이룸과 동시에 그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신발굽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발굽(30,30')은 신발밑창(20)의 신발굽 수용공간에 인출가능한 상태로 내장되어 회전에 의해 인출되는 것으로 앞굽(30)과 뒷굽(3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은 신발밑창(20)의 일측부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신발굽(30,30')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 신발굽(30,30')을 회전시켜 신발굽(30,30')이 인출되도록 하는 일자홈(41)이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신발밑창(20)에 형성된 신발굽 수용공간은 상기 신발굽(30,3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과 깊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발굽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신발굽(30,30')의 경우 삼각형상의 단면 뿐만 아니라 반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앞굽(30) 또는 뒷굽(3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은 상기 신발밑창(20)의 일측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이 억지끼움에 의한 강한 마찰력을 가지도록 상기 신발밑창(20)에 설치됨으로써 그 회전이 어려운데 특징이 있고, 그 이유는 회전되어 인출된 상기 앞굽(30) 또는 뒷굽(3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능성 신발(1)의 신발굽(30,30')이 인출되는 상태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특히 산행시나 길이 미끄러운 경우 상기 기능성 신발(1)의 신발굽(30,30')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우선 상기 신발밑창(20)에 내장된 앞굽(30) 또는 뒷굽(30') 모두를 인출할 것인지 아니면 둘중 어느 하나를 인출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신발굽(30,30')의 신발굽 인출버튼(40)을 조작하게 된다.
즉,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에 형성된 일자홈(41)에 일자 드라이버나 동전을 삽입하여 180°회전하게 되면,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과 연결된 앞굽(30) 또는 뒷굽(30')이 역시 180°회전하면서 상기 신발밑창(20)의 신발굽 수용공간(21)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앞굽(30) 또는 뒷굽(30')은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되는 바, 산행시 산을 올라갈 경우 신발의 뒷굽(30')에 가해지는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기능성 신발(1)의 뒷굽(30')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반대로 산을 내려올 경우 신발의 앞굽(30)에 가해지는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기능성 신발(1)의 앞굽(30)을 인출하여 사용하며, 또한 눈길이나 빙판길 보행시에는 상기 앞굽(30)과 뒷굽(30') 모두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어 유용하다.
한편, 상기 앞굽(30)과 뒷굽(30')을 포함하는 신발굽(30,3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신발굽(30,30')은 그 경사면을 따라 다수의 미끄럼방지 홈(3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기능성 신발(1)의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상기 신발굽(30,30')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럼방지 홈(31)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신발굽(30,30')에 다양한 형상의 홈을 성형하여 미끄럼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기능성 신발(1)의 보다 확실한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신발굽(30,3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발굽(30,30')의 선단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미끄럼방지 핀(32)이 설치된 것이다.
즉, 상기 앞굽(30) 또는 뒷굽(30')의 선단면에 스파이크와 같은 미끄럼방지 핀(32)이 설치되어 등산용 아이젠을 대신함으로써 눈길이나 빙판길을 미끄러지지 않고 산행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도 6은 상기 미끄럼방지 핀(32)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신발굽 (30,30')의 선단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33)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앞굽(30) 또는 뒷굽(30')의 선단면에 아이젠과 같은 미끄럼방지 돌기(33)가 설치되어 눈길이나 빙판길을 미끄러지지 않고 산행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신발(1)에 설치된 신발굽 인출버튼(40)의 또 다른 구조를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은 그 외주면에 레칫기어(42)가 형성되어 신발굽 인출버튼(40)의 역방향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인출된 신발굽(30,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레칫기어(42)가 형성된 신발굽 인출버튼(40)을 180°회전하여 상기 앞굽(30) 또는 뒷굽(30')을 인출하게 되면, 상기 레칫기어(42)에 의해 신발굽 인출버튼(40)이 역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인출된 신발굽(30,30')이 고정되고, 다시 상기 인출버튼(40)을 동일한 방향으로 180°회전시키게 되면 인출된 신발굽(30,30')이 회전하면서 상기 신발밑창(20)으로 수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은 그 외주면에 숫기어(43)가 형성됨과 아울러 암기어(51)가 형성된 링(50)이 신발굽 인출버튼(40)의 외측에 삽입되어 링(50)의 외측에 형성된 스톱퍼(52)로 고정됨으로써 인출된 신발굽(30,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앞굽(30) 또는 뒷굽(30')의 인출시 해당 신발굽 인출버튼(40)에 설치된 상기 링(50)을 우선 뽑아내고, 이 상태에서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을 180°회전시켜 신발굽(30,30')을 인출한 다음, 다시 상기 링(50)을 신발굽 인출버튼(40)의 외주면에 삽입하여 회전된 인출버튼(40)을 고정함으로써 인출된 상기 신발 굽(30,30')을 그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인출된 신발굽(30,30')을 내장시킬 경우에도 우선 상기 링(50)을 뽑아낸 상태에서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을 회전시켜 신발굽(30,30')을 내장한 후, 상기 링(50)을 다시 삽입하여 신발굽 인출버튼(40)을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기어(43)와 상기 링(5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기어(51)의 결합으로 신발굽 인출버튼(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상기 링(50)의 외측에 형성된 스톱퍼(52)를 이용하여 링(50)이 회전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기능성 신발(1)의 신발굽(30,30')을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산행시 산을 오를 때나 내려올 때에도 상기 기능성 신발(1)의 신발굽(30,30')을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산행을 편하게 할 수 있으며,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도 별도의 아이젠 없이 신발굽(30,30')을 인출하여 미끄럼을 방지함으로써 보행의 편의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신발밑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앞굽 또는 뒷굽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압굽 또는 뒷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신발굽에 미끄럼방지 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신발굽에 미끄럼방지 돌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신발굽 인출버튼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굽 인출버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능성 신발 10 : 신발몸체
20 : 신발밑창 21 : 신발굽 수용공간
30,30' : 신발굽 30 : 앞굽
30' : 뒷굽 31 : 미끄럼방지 홈
32 : 미끄럼방지 핀 33 : 미끄럼방지 돌기
40 : 신발굽 인출버튼 41 : 일자홈
42 : 레칫기어 43 : 숫기어
50 : 링 51 : 암기어
52 : 스톱퍼

Claims (6)

  1. 신발 착용자의 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된 신발몸체(10)와,
    상기 신발몸체(10)의 바닥부에 부착되어 신발의 바닥을 이룸과 동시에 그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신발굽 수용공간(21)이 형성된 신발밑창(20)과,
    상기 신발밑창(20)의 신발굽 수용공간(21)에 인출가능한 상태로 내장되어 회전에 의해 인출되는 앞굽(30)과 뒷굽(30')으로 이루어진 신발굽(30,30') 및,
    상기 신발밑창(20)의 일측부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신발굽(30,30')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 신발굽(30,30')을 회전시켜 신발굽(30,30')이 인출되도록 하는 일자홈(41)이 형성된 신발굽 인출버튼(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기능성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굽(30,30')은 그 경사면을 따라 다수의 미끄럼방지 홈(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굽(30,30')의 선단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미끄럼방지 핀(3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굽(30,30')의 선단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3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은 그 외주면에 레칫기어(42)가 형성되어 신발굽 인출버튼(40)의 역방향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인출된 신발굽(30,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굽 인출버튼(40)은 그 외주면에 숫기어(43)가 형성됨과 아울러 암기어(51)가 형성된 링(50)이 신발굽 인출버튼(40)의 외측에 삽입되어 링(50)의 외측에 형성된 스톱퍼(52)로 고정됨으로써 인출된 신발굽(30,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KR1020090028596A 2009-04-02 2009-04-02 기능성 신발 KR101095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596A KR101095733B1 (ko) 2009-04-02 2009-04-02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596A KR101095733B1 (ko) 2009-04-02 2009-04-02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161A true KR20100110161A (ko) 2010-10-12
KR101095733B1 KR101095733B1 (ko) 2011-12-21

Family

ID=4313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596A KR101095733B1 (ko) 2009-04-02 2009-04-02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7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803A1 (ko) * 2011-12-20 2013-06-27 Kang Bong-Seok 기능성 건강 신발
KR101397254B1 (ko) * 2013-04-19 2014-05-20 정명순 아이젠 내장용 신발 밑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174Y1 (ko) 2003-09-02 2003-12-03 이주원 신발의 미끄럼 방지구조
KR200416423Y1 (ko) 2006-02-16 2006-05-16 유호문 사용이 간편한 아이젠이 구비된 미끄럼 방지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803A1 (ko) * 2011-12-20 2013-06-27 Kang Bong-Seok 기능성 건강 신발
KR101397254B1 (ko) * 2013-04-19 2014-05-20 정명순 아이젠 내장용 신발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733B1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719B (zh) 可适配鞋具
US10485300B2 (en) Safety women's high heel shoe
KR101184110B1 (ko) 기능성 건강 신발
KR101095733B1 (ko) 기능성 신발
US851671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KR200467045Y1 (ko) 미끄럼방지 덧신
KR200355557Y1 (ko) 아이젠을 구비한 미끄럼 방지화
KR200437535Y1 (ko) 미끄럼방지용 신발굽
RU8642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хранения обуви от скольжения
KR101188670B1 (ko) 아이젠이 장착된 신발밑창
KR20130019121A (ko) 미끄럼 방지 기능의 교체형 신발
KR101478206B1 (ko) 슬리퍼로 활용이 가능한 운동화
KR200206131Y1 (ko)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
CN207355571U (zh) 一种方便穿脱且安全的儿童鞋
CN103767229A (zh) 防滑鞋套
KR200340757Y1 (ko) 미끄럼방지 신발
KR200326990Y1 (ko) 아이젠을 구비한 미끄럼 방지화
KR200351261Y1 (ko) 신발의 미끄럼방지장치
KR200229821Y1 (ko) 휴대가 가능한 덧신
ITFI20100038U1 (it) Dispositivo antiscivolo retrattile, suola predisposta con tale dispositivo e calzatura realizzata con tale suola
WO2019103651A1 (ru) Съемная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ая накладка для подошвы, имеющей подковообразную выемку
JP3114325U (ja) 使い捨て携帯滑り止め靴カバー
KR20120119147A (ko) 아이젠을 구비한 스노보드 부츠
KR20120124790A (ko) 다기능 신발
KR20160142685A (ko) 미끄럼 방지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