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705A - 투명얼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투명얼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705A
KR20100108705A KR1020090026842A KR20090026842A KR20100108705A KR 20100108705 A KR20100108705 A KR 20100108705A KR 1020090026842 A KR1020090026842 A KR 1020090026842A KR 20090026842 A KR20090026842 A KR 20090026842A KR 20100108705 A KR20100108705 A KR 20100108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ice
transparent ice
wav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주
박정철
정진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8705A/ko
Publication of KR20100108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얼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는 장치본체(B)에 구비되는 냉각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 상기 얼음생성부재(200)의 아래에 위치하며 물이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이부재(300); 및 상기 트레이부재(300)의 내부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된 파동발생판(410)을 포함하며 상기 파동발생판(410)을 주기적으로 선회시켜 상기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에 파동을 발생시키는 파동발생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투명얼음을 만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투명얼음을 만들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투명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얼음, 투명얼음, 투명얼음 제조

Description

투명얼음 제조장치{APPRATUS FOR MAKING TRANSPARENT ICE}
본 발명은 투명얼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투명얼음 제조장치는 투명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러한 투명얼음 제조장치는 냉장고 또는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얼음이 생성되면서 얼음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층이 성장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얼음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층이 성장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얼음이 생성되기 전이나 얼음이 생성되는 동안에, 얼음으로 상태변화될 물에 파동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물에 파동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초음파 발진기 등과 같은 파동발생원을 투명얼음 제조기에 구비하여 물에 직접 파동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물이 담겨진 트레이부재를 진동시켜서 물에 간접적으로 파동을 발생시키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투명얼음을 만들기 위해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하고 그 구조도 복잡하기 때문에, 투명얼음의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투명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로 구비되는 장치가 민감하거나 사용되는 구동모터 등의 내구연한 등에 의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투명얼음 제조장치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투명얼음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투명얼음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반영구적으로 투명얼음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투명얼음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투명얼음을 만들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트레이부재에 파동발생판을 구비하고 파동발생판을 주기적으로 선회시킴으로써, 트레이부재에 수용된 물에 파동을 발생시켜서, 얼음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층이 성장하지 않도록 하여 투명얼음을 만드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는 장치본체에 구비되는 냉각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 얼음생성부재의 아래에 위치하며 물이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이부재; 및 트레이부 재의 내부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된 파동발생판을 포함하며 파동발생판을 주기적으로 선회시켜 트레이부재에 수용된 물에 파동을 발생시키는 파동발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는 상기 파동발생부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동발생부는 파동발생판을 자력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파동발생부는 파동발생판; 파동발생판의 일측에 부착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 자력발생부재; 및 파동발생판의 자력이 미치는 위치에 구비되며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제2 자력발생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자력발생부재는 제1 자력발생부재와의 사이에서 인력과 척력이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의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자력발생부재는 파동발생판의 위치에 대응되는 장치본체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자력발생부재에는 일측 단부가 장치본체를 통과하여 트레이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자력전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자력발생부재는 제1 자력발생부재와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할 수 있는 방향의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자력발생부재는 영구자석이고, 상기 제2 자력발생부재는 솔 레노이드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투명얼음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투명얼음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영구적으로 투명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투명얼음 제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투명얼음을 만들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트레이부재에 파동발생판을 구비하고 파동발생판을 주기적으로 선회시킴으로써, 트레이부재에 수용된 물에 파동을 발생시켜서, 얼음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층이 성장하지 않도록 하여 투명얼음을 만드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와 트레이부재(300) 및 파동발생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B)에 구비되는 냉각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E)와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즉, 냉각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와 응축기(도시되지 않음) 및 모세관(도시되지 않음)을 거친 저온의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온의 냉매가 증발기(E)와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에서 유동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W)에 잠긴 경우에는, 각 얼음생성부재(200)의 둘레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냉동시스템의 압축기만을 거친 고온의 냉매가 탈빙라인(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증발기(E)와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를 유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의 둘레에 형성된 얼음(I)이 고온의 냉매에 의해서 각 얼음생성부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트레이부재(300)는 도1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트레이부재(30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부재(300)에는 물이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장치본체(B)에는 트레이부재(3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유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급유로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100)가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경우라면, 물공급원은 얼음정수기에 구비될 수 있는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부재(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B)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트레이부재(3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축(3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회축(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구동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구동부(500)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트레이부재(300)를 선회시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W)에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잠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고온의 냉매에 의해서 각 얼음생성부재(200)로부터 분리된 얼음(I)이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에 낙하할 수 있도록 트레이부재(300)를 선회시켜서, 얼음(I)을 얼음저장고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파동발생부(4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파동발생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파동발생판(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동발생부(400)는 이러한 파동발생판(410)을 주기적으로 선회시켜서,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W)에 파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생성부재(200) 둘레에 얼음이 생성될 때 얼음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층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1개의 파동발생부(400)만을 구비할 수 있다. 도1의 실시예에서 파동발생부(400)는 도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만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파동발생부(400)의 위치는 도1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W)에 파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도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이나 전측 또는 후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10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파동발생부(4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2의 실시예에서 파동발생부(400)는 도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파동발생부(400)의 개수나 위치는 도2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W)에 파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2개 이상도 가능하며 도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 또는 후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파동발생부(4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파동발생판(410)을 자력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파동발생부(400)는 전술된 파동발생판(410)과 제1 자력발생부재(420) 및 제2 자력발생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력발생부재(4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파동발생 판(4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자력발생부재(430)는 파동발생판(410)의 자력이 미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자력발생부재(430)는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의 한 실시예로서, 제2 자력발생부재(430)는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의 사이에서 인력과 척력이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의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의 사이에서 인력이 발생하는 자력을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서 발생시키면, 파동발생판(410)은 제2 자력발생부재(430)를 향하여 선회한다. 그리고,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하는 자력을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서 발생시키면, 파동발생판(410)은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에 따라, 파동발생판(4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서 주기적으로 선회하며,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W)에 파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 자력발생부재(430)는 파동발생판(4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장치본체(B)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자력발생부재(430)의 위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파동발생판(410)의 위치에 대응되는 트레이부재(300)의 위치 등 파동발생판(410)의 자력이 미치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자력발생부재(430)가 장치본체(B)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는 일측 단부가 장치본체(B)를 통과하여 트레이부재(30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자력전달부재(43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 고, 이러한 자력전달부재(431)의 예로는 철심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자력전달부재(431)는 철심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서 발생한 자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자력발생부재(430)는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할 수 있는 방향의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자력발생부재(430)에서 자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 제1 자력발생부재(420)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서 파동발생판(410)은 철심으로 이루어진 자력전달부재(431)를 향하여 선회한다. 그리고,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서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할 수 있는 방향의 자력을 발생시키면, 파동발생판(410)은 자력전달부재(4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에 따라, 파동발생판(4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서 주기적으로 선회하며,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W)에 파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제1 자력발생부재(420)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자력발생부재(430)는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 제1 자력발생부재(420)가 이와 같이 영구자석이면, 제1 자력발생부재(420)에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자력이 발생한다. 이 경우, 솔레노인드인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 교류를 인가하면,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자력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 제2 자력발생부재(430)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동발생판(410)이 트레이부재(300)에서 주기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인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할 수 있는 방향의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자력발생부재(420)의 자력에 의해서 파동발생판(410)이 자력전달부재(431)를 향하여 선회한다. 그리고,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는 파동발생판(410)은 자력전달부재(4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따라서, 파동발생판(410)이 트레이부재(300)에서 주기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하, 도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선회구동부(500)를 이용하여 트레이부재(300)를 선회시킨다. 그리고,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공급유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트레이부재(300)에 물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트레이부재(300)에 물을 공급하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는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W)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기게 된다.
이후, 냉각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구동시켜서, 증발기(E)와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에 저온의 냉매가 흐르게 한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 드로 된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 교류를 인가하거나, 솔레노이드로 된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할 수 있는 방향의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동발생판(410)이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서 주기적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W)에 파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W)에 파동을 발생시키면, 얼음생성부재(200) 둘레에 얼음이 생성될 때 얼음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층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얼음생성부재(200)의 둘레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얼음(I)이 생성된다.
각 얼음생성부재(200)의 둘레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얼음(I)이 완전히 생성되면, 선회구동부(500)를 작동시켜서 트레이부재(300)를 탈빙위치로 선회시킨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증발기(E)와 각 얼음생성부재(200)에 압축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유동된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서, 각 얼음생성부재(200)의 둘레에 형성된 투명얼음(I)이 각 얼음생성부재(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얼음생성부재(200)로부터 분리된 투명얼음(I)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장고 또는 얼음정수기에 구비된 얼음저장고에 낙하하여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100)를 사용하면,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투명얼음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투명얼음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반영구적으로 투명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얼음 제조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투명얼음 제조장치 200 : 얼음생성부재
300 : 트레이부재 310 : 선회축
400 : 파동발생부 410 : 파동발생판
420 : 제1 자력발생부재 430 : 제2 자력발생부재
431 : 자력전달부재 500 : 선회구동부
B : 장치본체 E : 증발기
I : 얼음, 투명얼음 W : 물

Claims (9)

  1. 장치본체(B)에 구비되는 냉각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
    상기 얼음생성부재(200)의 아래에 위치하며 물이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이부재(300); 및
    상기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된 파동발생판(410)을 포함하며 상기 파동발생판(410)을 주기적으로 선회시켜 상기 트레이부재(300)에 수용된 물에 파동을 발생시키는 파동발생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투명얼음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발생부(400)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얼음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발생부(400)는 상기 파동발생판(410)을 자력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얼음 제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발생부(400)는
    상기 파동발생판(410);
    상기 파동발생판(4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 자력발생부재(420); 및
    상기 파동발생판(410)의 자력이 미치는 위치에 구비되며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제2 자력발생부재(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얼음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력발생부재(430)는 상기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의 사이에서 인력과 척력이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의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얼음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력발생부재(430)는 상기 파동발생판(4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장치본체(B)의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얼음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력발생부재(430)에는 일측 단부가 상기 장치본체(B)를 통과하여 상기 트레이부재(30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자력전달부재(4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얼음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력발생부재(430)는 상기 제1 자력발생부재(420)와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할 수 있는 방향의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얼음 제조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발생부재(420)는 영구자석이고,
    상기 제2 자력발생부재(430)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얼음 제조장치.
KR1020090026842A 2009-03-30 2009-03-30 투명얼음 제조장치 KR20100108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842A KR20100108705A (ko) 2009-03-30 2009-03-30 투명얼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842A KR20100108705A (ko) 2009-03-30 2009-03-30 투명얼음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410A Division KR20110138200A (ko) 2011-11-09 2011-11-09 투명얼음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05A true KR20100108705A (ko) 2010-10-08

Family

ID=4312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842A KR20100108705A (ko) 2009-03-30 2009-03-30 투명얼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87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026A (ko) * 2010-12-08 2012-06-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사용한 얼음제조방법
KR20220117557A (ko) * 2021-02-17 2022-08-2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투명 얼음 제조 장치
KR102530539B1 (ko) 2023-01-12 2023-05-16 주식회사 탑그린테크 투명도를 낮춘 백색 얼음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026A (ko) * 2010-12-08 2012-06-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사용한 얼음제조방법
KR20220117557A (ko) * 2021-02-17 2022-08-2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투명 얼음 제조 장치
KR102530539B1 (ko) 2023-01-12 2023-05-16 주식회사 탑그린테크 투명도를 낮춘 백색 얼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8663B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ducing clear ice, and refrigerator featuring such a device
KR101502120B1 (ko) 제빙기
JP3574011B2 (ja) 製氷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冷蔵庫
KR101264618B1 (ko) 얼음제조방법
KR102010969B1 (ko) 제빙기 및 이를 사용한 얼음제조방법
KR20100108705A (ko) 투명얼음 제조장치
US10047982B2 (en) Ice storage apparatus and ice ma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EP2585772B1 (en) Ice making method
KR20110138200A (ko) 투명얼음 제조장치
KR100998198B1 (ko) 순환식 투명얼음 제빙장치
KR100846890B1 (ko) 제빙 시스템 및 제빙 방법
KR102186818B1 (ko) 제빙기
KR101826872B1 (ko) 제빙기
KR20120062498A (ko) 제빙기
KR101488112B1 (ko) 제빙과 냉동보관이 이원화된 제빙기
KR20110109087A (ko) 제빙기
KR20180013726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70023277A (ko) 제빙기
US9568231B2 (en) Integrated ice maker pump
KR102226421B1 (ko) 제빙기
KR20120033742A (ko) 투명얼음 제조장치
KR102449342B1 (ko) 투명얼음 제조용 제빙기
KR20200113340A (ko) 커피 및 맥주 빙수 생성장치
KR102517239B1 (ko) 솔레노이드로 구동되는 패들 구조물을 포함하는 투명 얼음 제조 장치
KR20220054968A (ko) 투명얼음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010

Effective date: 201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