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318A - 복강경 수술에 이용되는 수술시 기구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짧은 트로카를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 - Google Patents

복강경 수술에 이용되는 수술시 기구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짧은 트로카를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318A
KR20100108318A KR1020100091315A KR20100091315A KR20100108318A KR 20100108318 A KR20100108318 A KR 20100108318A KR 1020100091315 A KR1020100091315 A KR 1020100091315A KR 20100091315 A KR20100091315 A KR 20100091315A KR 20100108318 A KR20100108318 A KR 20100108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car
short
laparoscopic
laparoscopic surgical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삼
Original Assignee
이정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삼 filed Critical 이정삼
Priority to KR102010009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8318A/ko
Publication of KR20100108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318A/ko
Priority to KR1020110007001A priority patent/KR101064695B1/ko
Priority to PCT/KR2011/004621 priority patent/WO2012036375A2/ko
Priority to US13/824,468 priority patent/US2013017888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9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ring member to support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3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catheter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9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medical instruments into the body, e.g. endoscope, surgical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현재 복강경 수술은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고 여전히 발전하고 있는 분야로, 최근에는 배꼽을 통한 복강경 수술로의 발전이 이러한 발전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배꼽을 통한 수술 시 현재의 기술은 기다란 트로카를 이용하여 수술하거나, 상품으로 나온 여러 정형화된 상처 견인기를 이용하여 배꼽을 통한 절개 창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하는 기다란 트로카는 휘어진 복강경 기구의 삽입이 불가능하고, 기구 자체가 부피가 커서 수술시 자꾸 기구 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수술이 방해가 되며, 현재 사용되는 정형화된 상처 견인기는 고정된 상태의 수술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여 기구의 조작에 제한이 가해지며, 제품 자체가 복잡하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트로카의 길이를 현저히 짧게 만들고, 부피도 현저히 줄여 기구의 삽입과 복강 내의 공기의 유지만을 위한 구조물로 제한을 두고, 현재 자주 사용하는 기존의 수술용 장갑에 기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고안하였다. 짧은 트로카의 사용으로 인해 배꼽을 통한 수술시 수술기구간의 충돌을 예방하여 수술시간이 짧아지고, 휘어진 기구의 사용이 좀더 보편화 될 것이고, 단일통로를 통한 수술이 좀더 쉬워져 적극적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기존의 수술용 장갑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수술시 들어가는 기구에 의한 비용이 절감될 것이다.

Description

복강경 수술에 이용되는 수술시 기구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짧은 트로카를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WOUND SEALING INSTRUMENT INCLUDING NON-FIGHTING SHORT TROCA USED IN THE LAPAROSCOPIC SERGERY}
복강경 수술 중 복강경 수술기구의 삽입 및 유지를 위한 장치
현재 복강경 수술은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고 여전히 발전하고 있는 분야로, 최근에는 배꼽을 통한 복강경 수술로의 발전이 이러한 발전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배꼽을 통한 수술 시 현재의 기술은 기다란 트로카를 이용하여 수술하거나, 상품으로 나온 여러 정형화된 상처 견인기를 이용하여 배꼽을 통한 절개 창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하는 기다란 트로카는 휘어진 복강경 기구의 삽입이 불가능하고, 기구 자체가 부피가 커서 수술시 자꾸 기구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수술이 방해가 되며, 현재 사용되는 정형화된 상처 견인기는 고정된 상태의 수술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여 기구의 조작에 제한이 가해지며, 제품 자체가 복잡하다.
트로카의 길이를 현저히 짧게 만들고, 부피도 현저히 줄여 기구의 삽입과 복강 내의 공기의 유지만을 위한 구조물로 제한을 두고, 현재 자주 사용하는 기존의 수술용 장갑에 기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고안하였다.
짧은 트로카의 사용으로 인해 배꼽을 통한 수술시 수술기구간의 충돌을 예방하여 수술시간이 짧아지고, 휘어진 기구의 사용이 좀더 보편화 될 것이고, 단일 통로를 통한 수술이 좀더 쉬워져 적극적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기존의 수술용 장갑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수술시 들어가는 기구에 의한 비용이 절감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평면도로 여러 종류의 짧은 트로카와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구조도
도 3 내지 도 4는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정면도로 여러 종류의 짧은 트로카와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구조도
도 5 내지 도 11은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 짧은 트로카의 한 종류의 구조도
도 12 내지 도 14는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 짧은 트로카의 다른 한 종류의 구조도
도 15 내지 도 16은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 짧은 트로카의 또 다른 한 종류의 구조도
도 5는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 짧은 트로카의 한 종류의 구조도 중 닫힌 형태로 두 가지 기본모형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
도 6은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 짧은 트로카의 한 종류의 구조도 중 닫힌 형태로 두 가지 기본모형을 결합하여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
도 7은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 짧은 트로카의 한 종류의 구조도 중 열린 형태로 두 가지 기본모형을 결합하여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
도 8은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 짧은 트로카의 한 종류의 구조도 중 닫힌 형태로 두 가지 기본모형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9는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 짧은 트로카의 한 종류의 구조도 중 닫힌 형태로 두 가지 기본모형을 결합하여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0은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 짧은 트로카의 한 종류의 구조도 중 열린 형태로 두 가지 기본모형을 결합하여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1은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의 짧은 트로카 주변을 확대한 구조도로 수술 중 복강경 기구가 삽입되어 열린 형태로 두 가지 기본모형이 결합된 측면 사시도
도 12는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의 다른 종류의 짧은 트로카의 한 종류의 구조도 중 닫힌 형태의 측면 사시도
도 13은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의 다른 종류의 짧은 트로카의 한 종류의 구조도 중 열린 형태의 측면 사시도
도 14는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의 다른 종류의 짧은 트로카 주변을 확대한 구조도로 수술 중 복강경 기구가 삽입되어 열린 형태의 측면 사시도
도 15는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 중의 또 다른 종류의 짧은 트로카의 한 종류의 구조도 중 닫힌 형태의 사시도
도 16은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구조물의 또 다른 종류의 짧은 트로카 주변을 확대한 구조도로 수술 중 복강경 기구가 삽입되어 열린 형태의 사시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꼽을 통한 복강경 수술시 배꼽을 수직으로 1.5~3cm정도 절개한 후 일반적인 상처 견인기를 배꼽에 장착한 후 짧은 트로카를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도(도 1 내지 도 4)의 구조물 중 일반적인 상처 견인기의 상부 링보다 약 1~2 cm 정도 지름이 짧아 일반적인 상처 견인기의 상부 링에 씌워서 결합하고 푸는 것이 용이하도록 해주는 탄성이 강한 재질로 된 링(1)을 상처 견인기의 상부 링에 씌워 고정한 이후, 수술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공기 통로(7,8)를 이용하여 복강 내 양압을 유지한 후, 여러 종류의 짧은 트로카(3,4,5,6) 중 첫째 종류(도 5 내지 도 11)에서는 도 6과 도 9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탄성이 높은 물질로 만든 구조물(28)을 눌러서 덮게 부분(23~26)이 열리도록 한 후 3번을 통해 광원을 포함한 카메라를 삽입하여 복강 내의 수술 시야를 확보한 후, 4,5,6번을 통해 심하게 구부러진 기구를 포함하는 복강경에 필요한 기구를 삽입할 수 있다. 복강경 수술 기구를 짧은 트로카에서 뺐을 때 또는 28번 구조물을 누르지 않을 시에는 원상태로 되돌아 가려하는 성질로 인해 덮게 부분(23~26)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짧은 트로카(4,5,6) 중 둘째 종류(도 12 내지 도 14)에서는,도 12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탄성이 높은 물질로 만든 구조물(120)을 눌러서 복강 쪽 덮게 부분(116,117)이 열리도록 한 후 3번을 통해 광원을 포함한 카메라를 삽입하여 복강 내의 수술 시야를 확보한 후, 4,5,6번을 통해 심하게 구부러진 기구를 포함하는 복강경에 필요한 기구를 삽입할 수 있다. 복강경 수술 기구를 짧은 트로카에서 뺐을 때 또는 120번 구조물을 누르지 않을 시에는 원상태로 되돌아 가려하는 성질로 인해 복강 쪽 덮게 부분(116,117)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짧은 트로카(4,5,6) 중 셋째 종류(도 15 내지 도 160)에서는, 도 16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3번의 짧은 트로카 중 탄성이 높은 물질로 만들어져 복강경 수술 기구를 삽입시 갈라졌다가 복강경 수술 기구를 빼면 다시 오므라드는 구조물(210~217)을 통해 광원을 포함한 카메라를 삽입하여 복강 내의 수술 시야를 확보한 후, 4,5,6번을 통해 심하게 구부러진 기구를 포함하는 복강경에 필요한 기구를 삽입할 수 있다. 복강경 수술 기구를 짧은 트로카에서 뺐을 때에는 원상태로 되돌아 가려하는 성질로 인해 210~217부분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기존의 수술장갑에 짧은 트로카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술장갑의 손가락 부분을 절반 정도 자른 후 노출된 장갑의 끝 부분을 트로카 둘레를 두르는 홈(16,102,204)에 실(30,123,218)을 이용하여 강력히 고정시켜 주고 일부에서는 공기 통로의 확보를 위해 3 WAY 나 2 WAY의 구조물을 수술장갑의 손가락 부분을 절반 정도 자른 후 노출된 장갑의 끝 부분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배꼽을 통한 복강경 수술시 일반적인 상처 견인기에 씌워서 장착하는 짧은 트로카를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도(도 1 내지 도 4)의 구조물 중 일반적인 상처 견인기의 상부 링보다 약 1~2 cm 정도 지름이 짧아 일반적인 상처 견인기의 상부 링에 씌워서 결합하고 푸는 것이 용이하도록 해주는 탄성이 강한 재질로 된 링(1)과 여러 종류의 짧은 트로카(3,4,5,6), 공기 통로(7,8)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조물들을 연결해 주고 복강 안밖의 공간을 격리시켜주는 신축성과 탄성이 강한 막(2)을 포함한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종류의 짧은 트로카(3,4,5,6)를 복강 안밖의 공간을 격리시켜주는 막(2)과 연결되어 있는 트로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막(31~33,124~128,219~223)에 강력히 고정시켜 주는 실(30,123,218)을 적용시키는 트로카 둘레를 두르는 홈(16,102,204)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조물 중의 핵심요소인 여러 종류의 짧은 트로카(3,4,5,6) 중 첫째 종류의 구조도(도 5 내지 도 11)를 살펴보면 복강경 수술 기구(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눌러서 열리도록 고안된 탄성이 높은 물질로 만든 구조물(28)을 트로카 벽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해주는 부분(29) 및 이 두 부분이 덮게 부분(23~26)에 연결되도록 해주는 부분(27)이 존재하며, 연결부분(27)이 지나가고 고정되도록 하는 작은 홈(21)이 있으며, 눌러서 열리도록 고안된 구조물은 누르지 않을 시에는 원상태로 되돌아 가려하는 성질로 인해 복강경 수술 기구(100)를 뺐을 때에는 덮게 부분(23~26)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트로카의 중앙부분(11~21) 중 복강경 수술 기구(100)가 닿는 면(11,19)이 있고 공기가 세어 나가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며, 덮게 부분(23~26)에 밀착될 수 있는 부위(11,12)와 복강 쪽에 위치하는 부위(18,19)는 매끈하면서 적당히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며, 이 두 부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짧은 원통 모양의 구조물(13~17) 중 일부는 트로카를 트로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막(31~33)에 강력히 고정시켜 주는 실(30)을 적용시키는 트로카 둘레를 두르는 홈(16)이 존재한다.
짧은 트로카(3,4,5,6) 중 둘째 종류의 구조도(도 12 내지 도 14)를 살펴보면, 복강경 수술 기구(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눌러서 열리도록 고안된 탄성이 높은 물질로 만든 구조물(120)을 트로카 벽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해주는 부분(119), 위쪽 부분(121)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구조물(122), 이 세 부분이 복강 쪽 덮게 부분(116,117)에 연결되도록 해주는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부분(118)이 존재하며, 트로카 벽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해주는 부분(119)이 지나가고 고정되도록 하는 링(109)이 있으며, 눌러서 열리도록 고안된 구조물은 누르지 않을 시에는 원상태로 되돌아 가려하는 성질로 인해 복강경 수술 기구(100)를 뺐을 때에는 복강 쪽 덮게 부분(116,117)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트로카의 중앙부분(101~108,110~115) 중 복강경 수술 기구(100)가 닿는 면(105,115)이 있고 공기가 세어 나가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며, 복강 쪽 덮게 부분(116,117)에 밀착될 수 있는 부위(114,115)와 바깥 쪽에 위치하는 부위(104,105)는 매끈하면서 적당히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며, 이 두 부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짧은 원통 모양의 구조물(106~108,110~113)의 일부는 한 쪽(111)은 길고, 다른 쪽(112)은 짧아 비스듬한 각도를 유지하며, 이들 구조물들 위로 트로카를 트로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막(124~128)에 강력히 고정시켜 주는 실(123)을 적용시키는 트로카 둘레를 두르는 홈(102)를 포함한 부분(101~103)이 존재한다.
짧은 트로카(3,4,5,6) 중 셋째 종류의 구조도(도 15 내지 도 160)를 살펴보면, 복강경 수술 기구(100)가 밀고 들어가는 압력에 의해 열리도록 고안된 탄성이 높은 물질로 만들어져 복강경 수술 기구를 삽입시 갈라졌다가 복강경 수술 기구를 빼면 다시 오므라드는 구조물(210~217)이 존재하며, 이 부분들은 복강경 수술 기구(100)가 닿는 면(201,209) 중 복강 쪽 부분(209)에 연속선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공기가 세어 나가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며,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위(201,202)와 복강 쪽에 위치하는 부위(208,209)는 매끈하면서 적당히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며, 이 두 부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짧은 원통 모양의 구조물(203~207) 중 일부는 트로카를 트로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막(219~223)에 강력히 고정시켜 주는 실(218)을 적용시키는 트로카 둘레를 두르는 홈(204)이 존재한다.

Claims (4)

  1. 배꼽을 통한 복강경 수술시 일반적인 상처 견인기의 상부 링보다 약 1~2 cm 정도 지름이 짧아 일반적인 상처 견인기의 상부 링에 씌워서 결합하고 푸는 것이 용이하도록 해주는 탄성이 강한 재질로 된 링, 여러 종류의 짧은 트로카, 공기 통로, 이러한 구조물들을 연결해 주고 복강 안밖의 공간을 격리시켜주는 신축성과 탄성이 강한 막을 포함한 구조물, 복강 안밖의 공간을 격리시켜주는 막과 연결되어 있는 트로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막을 짧은 트로카의 둘레를 두르고 있는 홈에 강력히 고정시켜 주는 실을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짧은 트로카 중 복강경 수술 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눌러서 열리도록 고안된 탄성이 높은 물질로 만든 구조물을 트로카 벽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해주는 부분, 이 두 부분이 덮게 부분에 연결되도록 해주는 부분이 존재하며, 연결부분이 지나가고 고정되도록 하는 작은 홈이 있으며, 눌러서 열리도록 고안된 구조물은 누르지 않을 시에는 원상태로 되돌아 가려하는 성질로 인해 복강경 수술 기구를 뺐을 때에는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덮게 부분, 트로카의 중앙부분 중 복강경 수술 기구가 닿는 면이 있고 공기가 세어 나가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며, 덮게 부분에 밀착될 수 있는 부위와 복강 쪽에 위치하는 부위는 매끈하면서 적당히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며, 이 두 부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짧은 원통 모양의 구조물 중 일부는 트로카를 트로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막에 강력히 고정시켜 주는 실을 적용시키는 트로카 둘레를 두르고 있는 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짧은 트로카
  3. 제 1 항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짧은 트로카 중 복강경 수술 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눌러서 열리도록 고안된 탄성이 높은 물질로 만든 구조물을 트로카 벽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해주는 부분, 위쪽 부분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구조물, 이 세 부분이 복강 쪽 덮게 부분에 연결되도록 해주는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며, 트로카 벽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해주는 부분이 지나가고 고정되도록 하는 링이 있으며, 눌러서 열리도록 고안된 구조물은 누르지 않을 시에는 원상태로 되돌아 가려하는 성질로 인해 복강경 수술 기구를 뺐을 때에는 복강 쪽 덮게 부분이 자동으로 닫히게 되며, 트로카의 중앙부분 중 복강경 수술 기구가 닿는 면이 있고 공기가 세어 나가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며, 복강 쪽 덮게 부분에 밀착될 수 있는 부위와 바깥 쪽에 위치하는 부위는 매끈하면서 적당히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며, 이 두 부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짧은 원통 모양의 구조물의 일부는 한쪽은 길고, 다른 쪽(112)은 짧아 비스듬한 각도를 유지하며, 이들 구조물들 위로 트로카를 트로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막에 강력히 고정시켜 주는 실을 적용시키는 트로카 둘레를 두르는 홈를 포함한 부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짧은 트로카
  4. 제 1 항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짧은 트로카 중 복강경 수술 기구가 밀고 들어가는 압력에 의해 열리도록 고안된 탄성이 높은 물질로 만들어져 복강경 수술기구를 삽입시 갈라졌다가 복강경 수술 기구를 빼면 다시 오므라드는 구조물이 존재하며, 이 부분들은 복강경 수술 기구가 닿는 면 중 복강 쪽 부분에 연속선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공기가 세어 나가지 않도록 밀봉상태를 유지하며,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위와 복강 쪽에 위치하는 부위는 매끈하면서 적당히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며, 이 두 부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짧은 원통 모양의 구조물 중 일부는 트로카를 트로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막에 강력히 고정시켜 주는 실을 적용시키는 트로카 둘레를 두르는 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짧은 트로카
KR1020100091315A 2010-09-17 2010-09-17 복강경 수술에 이용되는 수술시 기구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짧은 트로카를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 KR20100108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315A KR20100108318A (ko) 2010-09-17 2010-09-17 복강경 수술에 이용되는 수술시 기구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짧은 트로카를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
KR1020110007001A KR101064695B1 (ko) 2010-09-17 2011-01-24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시스템
PCT/KR2011/004621 WO2012036375A2 (ko) 2010-09-17 2011-06-24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시스템
US13/824,468 US20130178885A1 (en) 2010-09-17 2011-06-24 Trocar system for use in laparoscopic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315A KR20100108318A (ko) 2010-09-17 2010-09-17 복강경 수술에 이용되는 수술시 기구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짧은 트로카를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318A true KR20100108318A (ko) 2010-10-06

Family

ID=431298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315A KR20100108318A (ko) 2010-09-17 2010-09-17 복강경 수술에 이용되는 수술시 기구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짧은 트로카를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
KR1020110007001A KR101064695B1 (ko) 2010-09-17 2011-01-24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001A KR101064695B1 (ko) 2010-09-17 2011-01-24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78885A1 (ko)
KR (2) KR20100108318A (ko)
WO (1) WO201203637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3509A3 (en) * 2011-02-08 2012-09-27 European Institute Of Surgical Research And Innovation Limited Surgica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762B1 (ko) * 2011-02-18 2011-11-10 이정삼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구 시스템
KR200465473Y1 (ko) 2012-04-06 2013-02-20 김철우 흉강용 트로카
US9888941B2 (en) 2013-03-15 2018-02-13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ealing multiple surgical instruments
US10292730B2 (en) 2013-03-15 2019-05-2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ealing multiple surgical instruments
EP3520853B1 (en) * 2013-03-15 2023-08-09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ealing multiple surgical instruments
US10492825B2 (en) 2013-03-15 2019-12-03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ealing multiple surgical instruments
CA2843679C (en) * 2014-02-24 2015-01-13 M.D. F.R.C.S.(C) Inc. Bradley J. Amson Instrument docking ports for trans-endoscopic and laparoscopic surgery access ports
US10966752B2 (en) 2017-03-08 2021-04-06 Conmed Corporation Single lumen gas sealed trocar for maintaining stable cavity pressure without allowing instrument access therethrough during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s
US10869691B2 (en) 2017-03-08 2020-12-22 Conmed Corporation Flexible single lumen gas sealed access port for use during robotically assisted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s
CN106821510B (zh) * 2017-03-08 2019-06-18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三附属医院 经肛门腔镜直肠癌根治术用平台
US11020260B2 (en) 2017-07-07 2021-06-01 Pamela Thornton Navel retainer and related techniques
KR102372912B1 (ko) 2020-04-03 2022-03-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소아용 복강경 기구
US11547412B2 (en) * 2020-07-22 2023-01-10 Covidien Lp 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3467A1 (en) 2004-03-15 2005-09-15 O'heeron Peter T. Trocar seal
JP5963127B2 (ja) * 2009-01-09 2016-08-03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リーツ状トロカールシールド
KR100936926B1 (ko) * 2009-03-31 2010-01-18 주식회사 래보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KR100975030B1 (ko) 2010-04-14 2010-08-11 이승욱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3509A3 (en) * 2011-02-08 2012-09-27 European Institute Of Surgical Research And Innovation Limited Surgical device
US10201371B2 (en) 2011-02-08 2019-02-12 European Institute Of Surgical Research And Innovation Limited Surg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78885A1 (en) 2013-07-11
WO2012036375A2 (ko) 2012-03-22
WO2012036375A3 (ko) 2012-05-10
KR101064695B1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8318A (ko) 복강경 수술에 이용되는 수술시 기구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짧은 트로카를 포함하는 상처 유지기구
US8979747B2 (en) Endoscopic ports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CA2574276C (en) Introducer assembly with suspended seal
EP2797519B1 (en) Suture passer guides and related kits
CA2540999C (en)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US20120130191A1 (en) Expandable access assembly including an internal thread mechanism
CA2702419A1 (en) Flexible access assembly with reinforced lumen
JP2010259802A (ja) 複数のポートを有する柔軟なアクセス用アセンブリ
KR102196662B1 (ko) 투관침 수술용 시일
WO2005034766A3 (en) A surgical sealing device
CA2666886A1 (en) Iris seal for single incision surgery
AU2010201009A1 (en) Surgical portal apparatus including movable housing
JP2009261970A (ja) イントロデューサー密閉アセンブリ
CN101999912A (zh) 多腔单孔手术通道
AU2011223989A1 (en) Expandable segmented and sectioned access assembly
US10278731B2 (en) Trocar set
US10918815B2 (en) Insufflation retention device with balloon
US20120016394A1 (en) Method of Performing a Surgical Procedure
KR20130051198A (ko) 수술용 싱글포트
EP2455021A2 (en) Access apparatus including desufflation control mechanism
KR101446257B1 (ko) 복강경 수술용 싱글 포트 트로카
US20100174143A1 (en) Dual seal with bellows
EP3621510B1 (en) Insufflation retention device
CN208573764U (zh) 带密封功能的腔镜手术单孔多通道路入装置
US9585690B2 (en) Surgical access device including universal seal mechanism associated with bell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