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777A -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777A
KR20100106777A KR1020090024948A KR20090024948A KR20100106777A KR 20100106777 A KR20100106777 A KR 20100106777A KR 1020090024948 A KR1020090024948 A KR 1020090024948A KR 20090024948 A KR20090024948 A KR 20090024948A KR 20100106777 A KR20100106777 A KR 20100106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ider
sliding device
return spring
mov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국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090024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6777A/ko
Publication of KR2010010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부재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제 1 프레임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 2 부재에 설치되는 제 2 프레임과, 일단은 제 1 프레임에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제 2 프레임에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여,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일 평면 상에서 전 방향으로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슬라이딩 장치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는 일 평면 상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장치를 갖춘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장치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설정된 거리만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근래 이러한 슬라이딩 장치는 핸드폰이나 휴대용 게임기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사용된다.
종래의 전자기기에 적용된 슬라이딩 장치는 제 1 부재에 설치되는 제 1 슬라이더와, 제 2 부재에 설치되며 제 1 슬라이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제 1 슬라이더 및 제 2 슬라이더를 통해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슬라이더의 양측에는 제 2 슬라이더를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레일부가 오목 형성되고 제 2 슬라이더의 양측에는 제 1 레일부 내에 삽입되는 제 2 레일부가 볼록 형성되어 제 1 레일부을 따라 제 2 레일부가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 1 슬라이더와 제 2 슬라이더가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에 따라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일 방향으로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슬라이더와 제 2 슬라이더는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일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부재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부재에 설치되는 제 2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에 마련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로드의 일단이 설치되는 제 1 가이드슬롯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로드의 타단이 설치되는 제 2 가이드슬롯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귀스프링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복귀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과 인접한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의 일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 1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 2 지지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기준 위치가 설정되도록 하는 탄지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지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제 1 프레임을 향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구름부재와, 상기 이동 구름부재를 상기 제 1 프레임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 1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구름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름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 설치를 위한 가이드홀과 상기 구름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 1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덮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탄지장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에 환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장치는 상기 제 1 부재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부재에 설치되는 제 2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른 하나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구름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다른 하나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립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는 슬라이더가 일 평면 상에서 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 가이드에 설치되므로, 슬라이딩 장치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는 다양한 방향으로 상 대 이동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는 제 2 부재를 일 평면 상에서 전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센서 등을 통해 제 2 부재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 2 부재를 방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와,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장치(30)를 포함한다.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용이하게 상대 이동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 중 어느 하나에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가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회전 구름부재(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구름부재(12)는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져 제 1 부재(10)에 설치되며, 제 1 부재(10)에는 회전 구름부재(12)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11)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또한, 회전 구름부재(12)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제 1 부재(10)의 네 모서리와 대응하도록 4개가 구비되며, 설치홈(11)은 4개가 제 1 부재의 네 모서리 인접부에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딩 장치(30)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장치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부재(10)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31)과,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프레임(31)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 2 부재(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프레임(32)와, 일단은 제 1 프레임(31)에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제 2 프레임(32)에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33)를 포함한다.
제 1 프레임(31)에는 가이드로드(33)가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방향으로 제 1 가이드슬롯(31b)이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프레임(32)에는 가이드로드(33)가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2 방향으로 제 2 가이드슬롯(32b)이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로드(33)는 그 양단이 제 1 가이드슬롯(31b) 및 제 2 가이드슬롯(32b)을 관통한 후 리벳팅되어 제 1 프레임(31)과 제 2 프레임(32)이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프레임(31) 및 제 2 프레임(32)은 각각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로드(33)는 제 1 프레임(31) 및 제 2 프레임(32)의 모서리와 대응하도록 총 4개가 구비되며, 제 1 가이드슬롯(31b) 및 제 2 가이드슬롯(32b)은 가이드로드(33)와 대응하도록 각각 4개씩 마련된다.
따라서, 가이드로드(33)를 통해 제 1 프레임(3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프레임(32)은 가이드로드(33)가 제 1 가이드슬롯(31b)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가이드로드(33)가 제 2 가이드슬롯(32b)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 2 프레임(32)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이 이루는 일 평면 상에서 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전자기기 내에 슬라이더(32) 또는 제 2 부재(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배치하여 센서를 통해 제 2 부재(20)의 위치가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제 2 부재(20)를 방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에는 슬라이딩 장치(30)를 통해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대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 상태의 전자기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슬라이딩 장치(30)를 통해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 상태의 전자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30)는 외력에 의해 이동한 제 2 프레임(32)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장치(30)는 그 일단은 제 1 프레임(3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단은 제 2 프레임(32)에 설치되는 슬라이더(34)와, 일단은 제 1 프레임(31)에 설치되고 타단은 슬라이더(34)에 설치되어 슬라이더(34)가 제 1 프레임(31)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35)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귀스프링(35)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개가 슬라이더(34)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귀스프링(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34)가 제 1 프레임(31)의 중앙측으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외력이 해제된 후 제 2 프레임(32)이 제 1 프레임(31)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복 귀스프링(35)의 설치를 위해 제 1 프레임(31)에는 복귀스프링(35)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제 1 지지부(31a)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슬라이더(34)의 외면에는 복귀스프링(35)의 타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제 2 지지부(34a)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다.
또한, 제 1 프레임(31)에는 슬라이더(34)의 외측에 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더(34)의 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제 1 프레임(31)과 제 2 프레임(32)의 상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31d)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 2 프레임(32)의 중앙측에는 슬라이더(34)의 타단이 설치되는 설치공(32a)이 마련되어 슬라이더(34)의 외주면이 설치공(32a)이 끼워져 슬라이더(34)가 제 2 프레임(32)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34)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4)의 기준 위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지장치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지장치는 제 1 프레임(31)을 향하여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구름부재(343)와 일단이 이동 구름부재(343)에 지지되어 이동 구름부재(343)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44)를 포함하며, 제 1 프레임(31)의 중앙측에는 오목 형성되어 이동 구름부재(343)의 일부가 걸리는 걸림홈(31c)가 형성된다.
이동 구름부재(343) 및 탄성부재(344)의 설치를 위해 슬라이더(34)는 제 1 프레임(31)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베이스(341)와, 베이스(341)의 상측을 덮는 덮개(342)로 이루어지며, 베이스(341)의 중앙에는 이동 구름부재(343)가 탄성부재(344)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홀(341a)과, 이동 구름부 재(343)의 일부가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341b)이 마련된다. 따라서, 베이스(341)의 가이드홀(341a) 내에 이동 구름부재(343) 및 탄성부재(344)를 설치한 후, 베이스(341)의 상측에 덮개(342)를 덮어 덮개(342)에 의해 탄성부재(344)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구름부재(343)가 탄성부재(344)를 통해 가이드홀(341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341b)을 통해 돌출된 이동 구름부재(343)의 일부가 제 1 프레임(31)에 마련된 걸림홈(31c)에 걸려 슬라이더(34)가 제 1 프레임(31)의 중앙측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이 가해져 슬라이더(34)가 이동하면 이동 구름부재(343)가 관통공(341b) 내로 이동한다. 또한, 외력이 해제된 후에는 복귀스프링(35)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34)가 제 1 프레임(31)의 중앙측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34)의 관통공(341b)이 걸림홈(31c)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부재(3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 구름부재(343)의 일부가 관통공(341b)을 통해 돌출되어 다시 걸림홈(31c)에 걸리게 되므로 슬라이더(34)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전달되기 이전까지 제 1 프레임(31)의 중앙측에 위치한 상태를 다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귀스프링(35)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스프링(35')의 양단과 인접한 부위에 복귀스프링(35')의 전체적인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걸림부(35a)를 형성하여, 걸림부(35a)를 통해 복귀스프링(35')의 양단이 제 1 지지부(31a) 및 제 2 지지부(34a)에 각각 걸리도록 함으로써 복귀스프링(34)의 양단이 보다 안정적으로 제 1 프레임(31)과 슬라이더(34)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로드(33)는 제 1 프레임(31) 및 제 2 프레임(32)의 모서리와 대응하도록 4개가 마련되어 있으나, 가이드로드(33)가 2개일 경우에도 제 1 프레임(31)과 제 2 프레임(32)이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로드(33)가 두 개 또는 그 이상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 구름부재(12)가 설치되어 회전 구름부재(12)를 통해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서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 중 어느 하나에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테프론 등의 재질로 형성된 판 형상의 슬립부재(14)를 설치하여 슬립부재(14)를 통해 상기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 구름부재(12)는 제 1 부재(10)에 설치되어 제 2 부재(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회전 구름부재가 제 2 부재(20)에 설치되어 제 1 부재(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탄지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구름부재(343)와, 이동 구름부재(343)를 제 1 프레임(31)를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36)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탄지장치가 판 스프링으로 형성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적용된 슬라이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적용된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적용된 슬라이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적용된 슬라이딩 장치의 동작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적용된 복귀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 1 부재 11: 설치홈
12: 회전 구름부재 20: 제 2 부재
30: 슬라이딩 장치 31: 제 1 프레임
32: 제 2 프레임 33: 가이드로드
34: 슬라이더 35: 복귀스프링

Claims (15)

  1.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부재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부재에 설치되는 제 2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에 마련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로드의 일단이 설치되는 제 1 가이드슬롯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로드의 타단이 설치되는 제 2 가이드슬롯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스프링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과 인접한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의 일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 1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 2 지지부가 마련되는 슬라이딩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기준 위치가 설정되도록 하는 탄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제 1 프레임을 향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구름부재와, 상기 이동 구름부재를 상기 제 1 프레임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 1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구름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름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 설치를 위한 가이드홀과 상기 구름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 1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덮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장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에 환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장치.
  12.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장치는 상기 제 1 부재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부재에 설치되는 제 2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제 1 방향과 직각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른 하나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구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다른 하나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립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090024948A 2009-03-24 2009-03-24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KR20100106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48A KR20100106777A (ko) 2009-03-24 2009-03-24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48A KR20100106777A (ko) 2009-03-24 2009-03-24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77A true KR20100106777A (ko) 2010-10-04

Family

ID=4312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948A KR20100106777A (ko) 2009-03-24 2009-03-24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67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094B1 (ko) * 2018-02-09 2018-08-14 손성민 수배전반 내진용 면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094B1 (ko) * 2018-02-09 2018-08-14 손성민 수배전반 내진용 면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9981B2 (en) Positioning device
US9088138B2 (en) Mounting device for securing electronic component
JP5385165B2 (ja) 入力装置
US8534782B2 (en) Slide rail assembly
US10452101B2 (en) Alignment structure
JP2017040366A (ja) 上下免震装置
US7808795B2 (en) Positioning assembly between computer-related assembly and hub
US9714737B2 (en) Kinematic support structure
EP2687662A1 (en) Assist device for mobile body, and housing
US20120075730A1 (en) Lens driving device
US9042090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US2018016485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se assembl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N102667498A (zh) 用于扫描探针传感器组件的支架,扫描探针传感器组件,扫描探针显微镜以及安装或拆卸扫描探针传感器组件的方法
US8227745B2 (en)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projector having same
US20140002544A1 (en) Height-adjusting apparatus for printer
KR20100106777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US907556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input device
EP2869678A1 (en) Electrical device mounting structure
US20170146564A1 (en) Method of positioning a carrier on a flat surface, and assembly of a carrier and a positioning member
US9897247B2 (en) Positioning device
KR101051414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US9447800B2 (en) Mounting apparatus
US8113493B2 (en) Resilient device
US11055446B2 (en) Server
KR200480237Y1 (ko) 길이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