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37Y1 - 길이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길이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37Y1
KR200480237Y1 KR2020140007759U KR20140007759U KR200480237Y1 KR 200480237 Y1 KR200480237 Y1 KR 200480237Y1 KR 2020140007759 U KR2020140007759 U KR 2020140007759U KR 20140007759 U KR20140007759 U KR 20140007759U KR 200480237 Y1 KR200480237 Y1 KR 200480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rface
reference point
tape measure
bas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진휘
김호정
박중구
양진혁
원석희
이정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61Means for displaying or assisting reading of length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길이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측정장치는 기준점과 목표점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준점이 위치하는 지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지지면에 수직한 회전축(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의 정렬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체크부;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준점과 상기 목표점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길이측정장치{Length measuring apparatus}
본 고안은 길이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체를 제작하는 과정 중 주판의 치수를 측정할 때 보편적으로 줄자를 사용하고 있다. 설계 도면에 제작된 주판이 생산되면, 실제 주판이 설계 도면과 같이 제작되었는지 줄자를 이용하여 주판의 치수를 측정한다.
이러한 치수 측정에 앞서 주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십자 마크 형태로 마킹점을 표기하는 작업이 선행 된다. 작업자는 줄자를 사용하여 표기된 마킹점들 사이의 폭, 길이, 대각선의 치수를 측정하고 오차 값을 주판 상면에 표기한다.
줄자를 사용하여 치수를 측정 할 때는 1인 또는 2인이 작업을 수행한다.
예컨대 1인이 측정 할 경우 작업자는 줄자(170)의 시작 부분을 임의의 한 마킹점(기준점)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자석 등으로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줄자를 풀면서 다른 마킹점(목표점) 측으로 이동한 후 기준점과 목표점 사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측정이 끝나면 작업자는 다시 줄자를 감아서 되돌아 온 후 줄자의 시작 부분이 다른 마킹점을 향하도록 위치 조정한 후 해당 마킹점 측으로 이동하여 기준점과 다른 목표점 사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러한 작업은 반복되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조작이 용이한 길이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준점과 목표점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기준점이 위치하는 지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지지면에 수직한 회전축(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의 정렬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체크부;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준점과 상기 목표점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를 포함하는, 길이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과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는 마그네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지지면을 향하여 연장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이웃하여 상기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줄자는 상기 가이드와 상기 지지면 사이를 지나 상기 지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줄자는 상기 관통홀를 관통하는 고정 볼트에 의해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줄자가 상기 지지면 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회전부의 결합체에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부는, 광투과성 재질을 가지고 상기 중공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줄자의 타단에는 상기 손잡이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줄자의 일단이 고정되는 회전부가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줄자의 연장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용이한 길이측정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측정장치가 대상물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줄자가 제거된 길이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길이측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길이측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길이측정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부를 나타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시예에 따른 처짐방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측정장치가 대상물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줄자가 제거된 길이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길이측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길이측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길이측정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측정장치(100)는 베이스부(110)와, 회전부(130)와, 체크부(150)와, 줄자(170)를 포함하고, 기준점(10)과 목표점(21, 22, 23) 사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베이스부(110)는 지지면(30)에 지지된다. 지지면(30)에는 기준점(10)이 위치한다. 기준점(10)은 지지면(30)에 마킹될 수 있다.
일례로, 기준점(10)과 목표점(21, 22, 23)은 치수 측정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4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110)가 지지되고 기준점(10)이 위치하는 지지면(30)은 대상물(40)의 일면을 구성한다. 대상물(40)은 선박 등을 구성하는 주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때, 길이측정장치(100)는 대상물(40)의 일면에 위치하는 기준점(10)과 목표점(21, 22, 23) 사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다른례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준점과 목표점은 거리 측정의 대상이 되는 제1대상물의 일면과 제2대상물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110)가 지지되고 기준점이 위치하는 지지면은 제1대상물의 일면을 구성하고, 목표점이 위치하는 제2대상물의 일면에 위치한다. 이때, 길이측정장치는 기준점과 목표점 사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지지면(30)과 마주보는 베이스부(110)의 일면에는 마그네트(120)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면(30)이 스틸 재질을 가지는 경우 베이스부(110)는 자력에 의해 지지면(30)에 부착된 상태로 지지면(30)에 지지된다.
마그네트(120)에 의해 베이스부(110)가 스틸 재질의 지지면(30)에 부착되어 지지되면, 길이 측정 과정에서 지지면(30)에 대한 베이스부(110)의 움직임이 차단되어 정확한 길이 측정이 가능하다.
베이스부(110)에는 회전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부(130)는 지지면(30)에 수직한 회전축(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베이스부(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10)와 회전부(130) 사이에는 베어링(141)이 개재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외측면에는 베이스부(110)에 대한 회전부(130)의 회전각도를 식별할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와 회전부(130)의 결합체에는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부(110)와 회전부(130)는 중공형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10)와 회전부(130)는 베어링(141)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142)를 형성한다.
체크부(150)는 기준점(10)에 대한 베이스부(110)의 정렬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제공된다. 작업자는 체크부(150)를 통해 베이스부(110)가 기준점(10)에 대해 정렬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일례로, 체크부(150)는 커버부재(151)와 핀(15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51)는 광투과성 재질을 가지고 중공부(142)를 커버한다. 커버부재(151)는 회전부(130)에 볼트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핀(153)은 커버부재(151)에 지지되어 지지면(30)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작업자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커버부재(151)를 통해 핀(153)의 끝단이 기준점(10)과 오버랩되는지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베이스부(110)의 기준점(10)에 대한 정렬 상태를 체크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핀(153)의 동작을 설명한다.
일례로, 핀(153)은 커버부재(151)에 탄성 지지되고, 핀(153)의 끝단이 베이스부(110)와 회전부(130)의 결합체에 형성된 중공부(142) 내부에 감춰진 초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렬 상태 체크 시 지지면(30) 측으로 눌려 지지면(30)과 접촉한다. 이후 핀(153)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핀(153)은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핀(153)의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커버부재(151)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핀(153)에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다. 관통홀에서 돌출된 제1결합부는 핀헤드(155)와 결합될 수 있다.
핀헤드(155)에는 제1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된다. 핀헤드(155)와 커버부재(151) 사이에는 탄성부재(157)가 개재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57)는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2결합부는 탄성부재(157)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157)는 핀헤드(155)를 커버부재(151)에 대해 지지면(3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어 핀(153)의 끝단이 베이스부(110)와 회전부(130)의 결합체에 형성된 중공부(142) 내부에 감춰진 초기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후, 작업자가 핀헤드(155)를 누르면 핀헤드(155)와 연결된 핀(153)의 끝단이 지지면(30)에 접촉한다. 이후, 작업자가 핀헤드(155)에서 손을 떼면 핀(153)은 탄성부재(157)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핀(153)의 동작으로 인해 작업자가 길이측정장치(100)를 다루는 과정에서 핀(153)의 끝단에 찔려 부상 당하는 일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체크부(150')는 도 8과 같이 커버부재(151)와 십자 마크(159)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부를 나타는 도면이다. 커버부재(151)는 광투과성 재질을 가지고 중공부(도 3의 142)를 커버한다. 커버부재(151)는 상부 투사부(151a)와 하부 투사부(151b)를 포함한다. 상부 투사부(151a)는 중공부의 대직경부를 커버하고 하부 투사부(151b)는 중공부(도 3의 142)의 소직경부를 커버한다. 십자 마크(159)는 하부 투사부(151b)의 지지면(도1의 30)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커버부재(151)를 통해 십자 마크(159)의 중심점이 기준점(10)과 오버랩되는지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베이스부(110)의 기준점(10)에 대한 정렬 상태를 체크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부(130)에는 줄자(170)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줄자(170)는 기준점(10)과 목표점(21, 22, 23)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줄자(170)는 회전부(130)에 고정된 상태로 목표점(21, 22, 23)을 향하여 당겨져 연장된다.
줄자(170)가 고정되는 회전부(130)는 베이스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이 경우, 베이스부(110)가 지지면(30)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더라도 기준점(10)으로부터 임의의 방향에 위치하는 목표점(21, 22, 23)으로 줄자(170)가 연장되도록 회전부(130)가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는 베이스부(110)를 지지면(30)에 부착시킨 후 줄자(170)를 잡고 목표점(21, 22, 23) 측으로 이동하여 기준점(10)과 목표점(21) 사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후, 작업자는 줄자(170)를 잡고 다른 목표점(22, 2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30)가 베이스부(110)에 대해 회전하여 줄자(170)의 연장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길이측정 작업이 용이해진다.
회전부(130)에는 가이드(131)와 관통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31)는 지지면(30)을 향해 연장되고, 관통홀(133)은 지지면(30)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줄자(170)는 가이드(131)와 지지면(30) 사이를 지나 대상물(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관통홀(133)을 관통하여 회전부(130)에 고정된다.
이 경우, 줄자(170)는 관통홀(133)을 관통하는 고정 볼트(134)에 의해 관통홀(133)의 내측면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볼트(134)의 회전방향에 따라 줄자(170)는 관통홀(133)의 내측면에 압착되거나 관통홀(133)의 내측면에서 분리된다.
한편, 가이드(131)는 베이스부(110)가 지지면(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줄자(170)를 지지면(30)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131)와 지지면(30) 사이 공간의 높이는 줄자(17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131)가 줄자(170)를 지지면(30)에 밀착시키는 경우, 정확한 길이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131)가 줄자(170)를 지지면(30)에 밀착시킬 정도의 길이를 갖지 못하는 경우 가이드(131)에는 줄자(170)가 지지면(30) 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재(135)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시예에 따른 처짐방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이다. 일례로, 처짐방지부재(135) U자 단면을 가질 수 있고, 가이드(1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짐방지부재(135)는 회전부(130)가 베이스부(110)에 대해 회전할 때 줄자(170)가 지지면(30)으로 처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회전부(130)에는 손잡이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36)에 의해 길이측정장치(100)의 이동성 및 휴대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줄자(170)의 타단에는 손잡이부(도 3의 136)에 걸리는 걸림부(173)가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걸림부(173)는 줄자(170)의 타단부를 손잡이부(도 3의 136)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베이스부
130 : 회전부
150 : 체크부
170 : 줄자

Claims (7)

  1. 기준점과 목표점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기준점이 위치하는 지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지지면에 수직한 회전축(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의 정렬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체크부;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준점과 상기 목표점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회전부의 결합체에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부는,
    광투과성 재질을 가지고 상기 중공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을 포함하고,
    작업자가 상기 커버부재를 통해 상기 핀의 끝단이 상기 기준점과 오버랩되는지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의 정렬 상태를 체크하는, 길이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커버부재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핀의 끝단이 상기 중공부 내부에 감춰진 초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렬 상태 체크 시 상기 지지면 측으로 눌려 상기 지지면과 접촉하는, 길이측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과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는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길이측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지지면을 향하여 연장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이웃하여 상기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줄자는 상기 가이드와 상기 지지면 사이를 지나 상기 지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는, 길이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줄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고정 볼트에 의해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길이측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줄자가 상기 지지면 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길이측정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줄자의 타단에는 상기 손잡이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길이측정장치.
KR2020140007759U 2014-10-24 2014-10-24 길이측정장치 KR200480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759U KR200480237Y1 (ko) 2014-10-24 2014-10-24 길이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759U KR200480237Y1 (ko) 2014-10-24 2014-10-24 길이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37Y1 true KR200480237Y1 (ko) 2016-04-28

Family

ID=5591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759U KR200480237Y1 (ko) 2014-10-24 2014-10-24 길이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600B1 (ko) 2019-12-19 2020-04-22 송용제 길이 측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397B2 (ja) * 1994-06-14 2000-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の記録所要時間呈示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記録所要時間呈示方法
KR100780110B1 (ko) * 2006-09-21 2007-11-30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유량측정용 측선위치 결정 줄자
KR100926883B1 (ko) * 2009-07-24 2009-11-16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 모듈러 유닛 측정용 줄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397B2 (ja) * 1994-06-14 2000-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の記録所要時間呈示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記録所要時間呈示方法
KR100780110B1 (ko) * 2006-09-21 2007-11-30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유량측정용 측선위치 결정 줄자
KR100926883B1 (ko) * 2009-07-24 2009-11-16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 모듈러 유닛 측정용 줄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600B1 (ko) 2019-12-19 2020-04-22 송용제 길이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715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JP2015227816A (ja) 多関節アーム形測定機
US9212884B2 (en) Measuring device
US10928279B2 (en) Rotation drum alignment ascertaining device
TW201608210A (zh) 測量裝置
KR200480237Y1 (ko) 길이측정장치
JP6603076B2 (ja) 可動式ポンチ
CN203792984U (zh) 一种数学教学用圆规
KR102130269B1 (ko) 지그 장치
KR200465534Y1 (ko) 마킹판 지지 장치
KR101377365B1 (ko) 육각 구조체의 치수 측정장치
KR200342888Y1 (ko) 균열 간이측정기
BRPI0314638B1 (pt) equipamento de medição para medir dentaduras e diâmetros em componentes dinamicamente balançados
KR101119010B1 (ko) 경도 측정 장치용 지그
KR200481125Y1 (ko) 다용도 플렉시블 공극 측정장치
KR20140014933A (ko) 지그 장치
KR101568815B1 (ko) 골판 절곡장치용 이동거리 측정부재
KR101215535B1 (ko) 부재 센터링 장치
CN106052517A (zh) 小型弯管形位公差检具
RU26571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зазора
KR102670978B1 (ko) 구조물의 균열 진행여부 측정이 용이한 균열폭 측정 장치
KR101172425B1 (ko) 눈금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
CN215177622U (zh) 一种多功能测量仪
KR101371150B1 (ko) 작동기 변위 측정 장치
KR100448374B1 (ko) 다이얼 게이지용 회전 손잡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