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008A - 정보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입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6008A KR20100106008A KR1020090024425A KR20090024425A KR20100106008A KR 20100106008 A KR20100106008 A KR 20100106008A KR 1020090024425 A KR1020090024425 A KR 1020090024425A KR 20090024425 A KR20090024425 A KR 20090024425A KR 20100106008 A KR20100106008 A KR 20100106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hall sensor
- information input
- input device
- support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Landscapes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Hall/Mr Element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전자 기기용 정보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기판에 사각편 또는 호형상의 마그네트와 홀센서를 반경방향으로 대항되게 설치하고, 기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커버측의 부위에 의하여 마그네트와 홀센서를 연통 및 차단시킨다. 그리하여, 회전커버측의 정역회전에 따라 홀센서가 감지하는 마그네트의 자속량으로 회전커버의 회전방향을 감지한다. 따라서, 마그네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백요크가 필요 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마그네트가 반경방향으로 설치되고, 축방향으로 설치된 백요크가 필요 없으므로, 박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기기용 정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 통신 기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 타입 정보 입력 장치 또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휠 타입 정보 입력 장치 등이 설치된다.
종래의 휠 타입 정보 입력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에 기판(13)이 결합된다. 기판(13)의 상측에는 링형상의 홀더(15)가 고정되고, 홀더(15)에는 지지프레임(21) 및 지지부재(23)를 매개로 링형상의 회전커버(2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재(23)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교호하는 복수의 극을 가진 링형상의 마그네트(31)가 결합되어, 회전커버(25)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마그네트(31)와 지지부재(23) 사이에는 마그네트(31)의 자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백요크(33)가 개재된다.
기판(13)에는 회전커버(25)와 함께 회전하는 마그네트(31)의 자속 변화를 감 지하여 회전커버(25)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한쌍의 홀센서(13a,13b)가 설치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홀센서(13a)와 다른 하나의 홀센서(13b)는 마그네트(31)의 N극 또는 S극를 기준으로 위상차를 가지면서 배치되어, 회전커버(25)에 회전방항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는 마그네트(31)가 링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대적으로 재료가 많이 소요되고, 백요크(33)가 별도로 필요하다. 따라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그네트(31)와 백요크(33)가 축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형화할 수 있는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감지하는 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홀센서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감지 및 미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기판에 사각편 또는 호형상의 마그네트와 홀센서를 반경방향으로 대항되게 설치하고, 기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커버측의 부위에 의하여 마그네트와 홀센서를 연통 및 차단시킨다. 그리하여, 회전커버측의 정역회전에 따라 홀센서가 감지하는 마그네트의 자속량으로 회전커버의 회전방향을 감지한다. 따라서, 마그네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백요크가 필요 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마그네트가 반경방향으로 설치되고, 축방향으로 설치된 백요크가 필요 없으므로, 박형화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기판(110)과 베이스(120)와 홀더(130)를 가지는 고정부가 마련된다.
이하, 기판(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방향 및 면을 지칭함에 있어서, 기판(110)의 수직방향 상측을 향하는 방향 및 면을 '상측 및 상면', 하측을 향하는 방향 및 면을 '하측 및 하면'이라 한다.
기판(110)의 하면에는 베이스(120)가 결합되고, 베이스(120)에는 복수의 꺾 쇠(121)가 형성되어 기판(110)의 상면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꺾쇠(121)는 가상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홀더(13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상의 수직 중심선과 동심을 이루며, 기판(110)의 상면측에 고정된다. 홀더(130)는 외주면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131)가 꺾쇠(121)에 삽입 걸리므로 인하여 기판(110)측에 고정된다.
홀더(130)의 상면측에는 홀더(130)와 동심을 이루는 링형상의 회전커버(140), 자성을 가진 링형상의 지지프레임(150) 및 링형상의 지지부재(160)를 가지는 회전부가 정역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커버(140)의 하면 내주면측에는 지지프레임(150)이 결합되고, 회전커버(140)와 지지프레임(150)은 사출되는 지지부재(160)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50)의 외주면측이 홀더(130)의 내주면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커버(140)가 홀더(13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기판(110)의 상면에는 사각편 형상의 마그네트(112)와 마그네트(112)의 자속을 감지하는 홀센서(115)가 설치된다. 홀센서(115)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마그네트(112)의 자속을 감지 및 미감지하는데, 이를 설명한다.
지지프레임(150)의 외주면에는 하측인 기판(110)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그네트(112)와 홀센서(115)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테(152)가 형성되고, 구획테(152)에는 복수의 연통공(15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기판(110)에 설치된 마그네트(112)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가지는 동일형상 및 동일구조의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2 마그네트(112b)를 가지고, 기 판(110)에 설치된 홀센서(115)는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는 제 1 홀센서(115a)와 제 2 홀센서(115b)를 가진다.
이때,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는 동일반경방향에 설치되어 간격을 가지고,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는 동일반경방향에 설치되어 간격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 및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는 연통공(152a)에 의하여 각각 상호 연통 및 차단된다.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 및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가 각각 상호 연통되면, 제 1 및 제 2 홀센서(115a,115b)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12a,112b)의 자속을 감지하고,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 및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가 각각 상호 비연통되면, 제 1 및 제 2 홀센서(115a,115b)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12a,112b)의 자속을 미감지한다.
구획테(152)를 기준으로 마그네트(112)가 내측에 위치되고 홀센서(115)가 외측에 위치될 수 도 있고, 마그네트(112)가 외측에 위치되고 홀센서(115)가 내측에 위치될 수 도 있다.
미설명부호 180은 투명창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제 1 및 제 2 홀센서(115a,115b)에서 각각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12a,112b)의 자속으로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을 감지한다.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 감지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동작을 보인 것으로, 도 2의 "A-A"선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의 정역회전에 따라 홀센서에서 감지한 마그네트의 자속량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2 마그네트(112b)는 지지프레임(150)의 연통공(152a)에 대하여 위상차를 가진다. 즉, 제 1 마그네트(112a)가 어느 하나의 연통공(152a)과 완전히 대향하거나 완전히 비대향하면, 제 2 마그네트(112b)는 다른 하나의 연통공(152a)과 일부만 대향한다.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커버(140)(도 3참조)를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프레임(1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은 점점 증가하고,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은 점점 증가하다가 감소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프레임(150)의 회전에 의하여, 도 4a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공(152a)을 통하여 대향하는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이 대략 1/2 정도로 감소될때 까지는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이 점점 증가하고,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이 대략 1/2 이상이 되는 순간부터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이 점점 감소한다.
제 1 마그네트(112a)가 연통공(152a)과 완전히 대향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50)를 정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은 점점 감소하고,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은 점점 감소하다가 증가한다. 이 또한,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이 대략 1/2 정도 될때 까지는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이 점점 감소하고,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이 대략 1/2 이상이 되는 순간부터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이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5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 및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이 전술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변한다. 그러면, 제 1 및 제 2 홀센서(115a,115b)에 각각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12a,112b)의 자속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과 같은 형태로 변하면서 출력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5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은 점점 증가하고,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은 점점 감소하다가 증가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프레임(150)의 회전에 의하여, 도 4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공(152a)을 통하여 대향하는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이 대략 1/2 정도로 감소될때 까지는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이 점점 감소하고,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이 대략 1/2 이상이 되는 순간부터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이 점점 증가한다.
제 1 마그네트(112a)가 연통공(152a)과 완전히 대향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50)를 정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은 점점 감소하고,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은 점점 증가하다가 감소한다. 이 또한,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이 대략 1/2 정도 될때 까지는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이 점점 증가하고,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이 대략 1/2 이상이 되는 순간부터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이 점점 감소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마그네트(112a)와 제 1 홀센서(115a)의 대향면적 및 제 2 마그네트(112b)와 제 2 홀센서(115b)의 대향면적이 전술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변한다. 그러면, 제 1 및 제 2 홀센서(115a,115b)에 각각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12a,112b)의 자속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과 같은 형태로 변하면서 출력된다.
즉, 지지프레임(150)의 정방향 회전시 제 1 및 제 2 홀센서(115a,115b)에서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12a,112b)의 자속량의 변화 및 지지프레임(150)의 역방향 회전시 제 1 및 제 2 홀센서(115a,115b)에서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12a,112b)의 자속량의 변화가 상호 상이하므로, 이를 통하여 지지프레임(150)의 회전방향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마그네트(11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백요크가 필요 없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마그네트(112)와 홀센 서(115)가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므로, 박형화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회전커버(140)에 의하여 지지프레임(150)이 회전하면, 제 1 및 제 2 홀센서(115a,115b)에서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12a,112b)의 자속량이 변한다. 그러면, 제품의 제어회로에서 제 1 및 제 2 홀센서(115a,115b)에서 감지한 자속량에 따라 회전커버(14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 등을 검출하고, 회전커버(14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상기 제품의 표시부에서 스크롤 바가 이동하여 소망하는 그림이나 기호를 명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평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212)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1개 설치된다. 이때, 제 1 홀센서(215a)는 마그네트(212)의 일단부측과 동일반경방향에 설치되고, 제 2 홀센서(215b)는 마그네트(212)의 타단부측과 동일반경방향에 설치된다.
그리고, 마그네트(212)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은 연통공(252a)에 대하여 위상차를 가진다. 즉, 마그네트(212)의 일단부측이 어느 하나의 연통공(252a)과 완전히 대향하거나 완전히 비대향하면 타단부측은 다른 하나의 연통공(252a)과 일부만 대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는 링형상의 회전커버(340), 회전커버(340)에 결합되며 홀더(330)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형상의 지지프레임(350), 회전커버(340) 및 지지프레임(350)을 일체로 결합하는 지지부재(360), 지지프레임(350)에 결합된 자성을 가진 링형상의 개폐부재(370)를 가진다.
개폐부재(370)는 기판(310)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그네트(312)와 홀센서(315) 사이를 구획하며, 복수의 연통공(37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동작을 보인 것으로, 도 2의 "A-A"선 평단면도.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의 정역회전에 따라 홀센서에서 감지한 마그네트의 자속량을 보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기판 120 : 베이스
130 : 홀더 140 : 회전커버
150 : 지지프레임 270 : 개폐부재
Claims (23)
- 고정부;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를 포함하며,상기 고정부에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감지하는 홀센서가 설치되고,상기 홀센서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의 자속을 감지 및 미감지하는 정보 입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홀센서는 동일반경방향에 배치된 정보 입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홀센서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결합된 홀더를 가지는 정보 입력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부는 상기 홀더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홀센서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를 연통 및 차단하는 링형상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링형상의 회전커버, 상기 회전커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일체로 결합하는 지지 부재를 가지는 정보 입력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기판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홀센서 사이에 위치되는 구획테가 형성된 정보 입력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프레임은 자성체인 정보 입력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부는 상기 홀더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형상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링형상의 회전커버, 상기 회전커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일체로 결합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홀센서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홀센서와 상기 마그네트를 연통 및 차단하는 개폐부재를 가지는 정보 입력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재는 자성체인 정보 입력 장치.
-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홀센서의 내측에 위치된 정보 입력 장치.
-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홀센서의 외측에 위치된 정보 입력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구획테에는 상기 홀센서와 상기 마그네트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된 정보 입력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재에는 상기 홀센서와 상기 마그네트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된 정보 입력 장치.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연통공은 등간격으로 형성된 정보 입력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마그네트는 1개 설치된 정보 입력 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마그네트는 호형상인 정보 입력 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홀센서는 상기 마그네트의 일단부측과 동일반경방향에 설치된 제 1 홀센서와 상기 마그네트의 타단부측과 동일반경방향에 설치된 제 2 홀센서를 가지는 정보 입력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마그네트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은 상기 연통공에 대하여 위상차를 가지는 정보 입력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마그네트의 일단부측이 어느 하나의 상기 연통공과 완전히 대향하거나 완전히 비대향하면 타단부측은 다른 하나의 상기 연통공과 일부만 대향하는 정보 입력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마그네트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가지는 제 1 마그네트와 제 2 마그네트를 가지는 정보 입력 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마그네트는 사각편 형상인 정보 입력 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홀센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마그네트와 동일반경방향에 각각 설치된 제 1 및 제 2 홀센서를 가지는 정보 입력 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마그네트와 상기 제 2 마그네트는 상기 연통공에 대하여 위상차를 가지는 정보 입력 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마그네트가 어느 하나의 상기 연통공과 완전히 대향하거나 완전히 비대향하면 상기 제 2 마그네트는 다른 하나의 상기 연통공과 일부만 대향하는 정보 입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4425A KR101602322B1 (ko) | 2009-03-23 | 2009-03-23 | 정보 입력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4425A KR101602322B1 (ko) | 2009-03-23 | 2009-03-23 | 정보 입력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6008A true KR20100106008A (ko) | 2010-10-01 |
KR101602322B1 KR101602322B1 (ko) | 2016-03-14 |
Family
ID=4312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4425A KR101602322B1 (ko) | 2009-03-23 | 2009-03-23 | 정보 입력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32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2436Y1 (ko) * | 1993-09-28 | 1996-03-25 |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 회전체의 회전속도 감지 장치 |
KR20060087586A (ko) * | 2003-09-26 | 2006-08-02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정보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
-
2009
- 2009-03-23 KR KR1020090024425A patent/KR1016023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2436Y1 (ko) * | 1993-09-28 | 1996-03-25 |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 회전체의 회전속도 감지 장치 |
KR20060087586A (ko) * | 2003-09-26 | 2006-08-02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정보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2322B1 (ko) | 2016-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7882B1 (ko) | 커버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
US9063182B2 (en) | Detecting three different open ranges in a flip device | |
JP5098944B2 (ja) | 入力装置 | |
KR100655878B1 (ko) | 회전식 입력장치 | |
US11476027B2 (en) | Rotation operation device using magnetic for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is | |
JP2010286486A (ja) | 傾斜センサー | |
JP2001304805A (ja) | 回転角度検出装置 | |
KR20100106008A (ko) | 정보 입력 장치 | |
KR101551632B1 (ko) | 정보 입력 장치 | |
JP2009047426A (ja) | 非接触式回転角度検出センサ | |
JP2008210637A (ja) | 傾斜センサ | |
JP2006242915A (ja) | ポテンショメータ | |
KR100692891B1 (ko) | 회전식 입력장치 | |
CN114174769B (zh) | 旋转角度检测传感器 | |
KR20100036003A (ko) | 정보 입력 장치 | |
JP5344006B2 (ja) | 電子機器 | |
KR20100038911A (ko) | 정보 입력 장치 | |
JP2019124553A (ja) | 入力装置 | |
JP2013069163A (ja) | 電子装置 | |
CN108575104A (zh) | 用于检测转子位置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电动机 | |
KR20090023867A (ko) | 정보 입력 장치 | |
KR20090023866A (ko) | 정보 입력 장치 | |
KR100867030B1 (ko) | 회전식 입력장치 | |
KR20090035847A (ko) | 정보 입력 장치 | |
KR20090012815U (ko) | 정보 입력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