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608A - Plant-cultivating structure, and laying assembly using the structure - Google Patents

Plant-cultivating structure, and laying assembly using th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608A
KR20100105608A KR1020107013404A KR20107013404A KR20100105608A KR 20100105608 A KR20100105608 A KR 20100105608A KR 1020107013404 A KR1020107013404 A KR 1020107013404A KR 20107013404 A KR20107013404 A KR 20107013404A KR 20100105608 A KR20100105608 A KR 20100105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illar
board
planting structur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데오 다케우치
마사히로 후카자와
Original Assignee
에바타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바타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바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7Grids for supporting sever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잔디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여, 시공 효율을 향상하고, 시판의 잔디재와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제 1 부재는, 제 1 기판부와, 관통구멍과, 기둥부를 갖고 있다. 관통구멍은, 제 1 기판부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에 관통되어 있다. 기둥부는, 제 1 기판부의 타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 2 부재는, 제 2 기판부를 갖고, 제 2 기판부의 일면이, 제 1 기판부의 타면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기둥부의 선단부분을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는, 식물재와 조합되어, 부설체를 구성한다. 식물재는, 시트형상 또는 매트형상으로서, 제 1 기판부의 타면과, 제 2 기판부의 일면과의 사이에서, 제 1 기판부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잎끝을 노출 가능한 방향으로 수납된다.Provided is a planting structure that can protect grass from external forces, improve construction efficiency, and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grass material, and a laying body using the same. The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The first member has a first substrate portion, a through hole, and a pillar portion. The through hole penetrates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to the other surface. The pillar portion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The 2nd member has a 2nd board | substrate part, One surface of the 2nd board | substrate part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other surface of a 1st board | substrate part, and is supporting the front-end | tip part of a pillar part. The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plant material to form a laying body. The plant material is sheet-like or mat-shap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direction which can expose a leaf tip from the through-hole of a 1st board | substrate part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a 1st board | substrate part, and one surface of a 2nd board | substrate part.

Figure P1020107013404
Figure P1020107013404

Description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PLANT-CULTIVATING STRUCTURE, AND LAYING ASSEMBLY USING THE STRUCTURE}Planting structure, and an attachment body using the same {PLANT-CULTIVATING STRUCTURE, AND LAYING ASSEMBLY USING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식재(植栽)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ing structure and an laying body using the same.

최근, 도시지역의 열섬 현상 대책, 및, 신록이 풍부한 생활환경을 형성하는 시책으로서, 건물의 부지나 옥상, 공원, 주차장 등의 녹화(綠化)가 추진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a measure to develop heat islands in urban areas and to create a living environment rich in fresh green, greening of site, rooftop, park, parking lot, etc. of buildings has been promoted.

이 종류의 녹화 기술로서는, 폭 치수가 300mm, 길이 치수가 350mm 정도의 매트 형상으로 성형된 잔디재를 지표면에 부설하는 공법이 널리 알려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가로세로로 연속 배치한 잔디재에 박아 넣고, 이것을 지표면에 직접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꼬챙이에 관한 것이다. 한편, 공원이나 운동장 등 부설 면적이 넓어지면, 잔디재로서 반물(反物)형상처럼 감겨진 감은 잔디가 이용된다.As this kind of greening technique, a method of laying a grass material molded into a mat shape having a width dimension of about 300 mm and a length dimension of about 350 mm on a ground surface is widely known. For example, the invention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relates to a skewer that is used to drive a grass material continuously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to fix it directly to the ground surf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tallation area such as a park or a sports ground is widened, the wound grass wound like a half object shape is used as the grass material.

그런데, 주차장의 녹화 기술에 대해서는, 열섬 현상 대책, 생활환경 시책이라고 하는 의의 외에, 하나 더, 법률상의 규제를 클리어한다고 하는 의의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광대한 공업용 부지를 갖고 있는 회사에는, 공장 입지법에 의해 부지면적에 대해서 일정한 비율로 녹지 면적을 확보해야 할 취지의 규제가 더해지고 있다.By the way, about greening technology of parking lot, in addition to heat island phenomenon measures, meaning of living environment measure, we have meaning to clear legal regulation one more. For example, a company having a vast industrial site is regulated by the Factory Location Act in order to secure a green area at a fixed rate relative to the site area.

공장 입지법상의 녹지 규제에 의하면, 다수의 운송 트럭을 보유하고, 또한, 부지내에 운송 트럭을 위한 주차장을 갖는 운송회사 등은, 시설 확장의 필요성이 생겼다고 해도, 녹지면적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계획을 단념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상황이 생기고 있다. 따라서, 최근, 상술한 녹지 면적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도 주차장의 녹화 기술에 대한 시장의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According to the green area regulation in the factory location law, a transport company that has a large number of transport trucks and has a parking lot for transport trucks on the site, even if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facility, The situation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give up the plan is occurring.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market demand for the greening technology of the parking lot is increasing as a means of securing the above-mentioned green space area.

주차장의 녹화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해결해야 할 특유의 문제의 하나로서, 자동차의 중량에 의해서 잔디재가 눌러 굳어져 버리거나, 타이어의 회전력에 의해서 잔디재가 지면으로부터 벗겨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As a specific problem to be solved in realizing greening of a parking l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ass material is pressed and hardened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or the grass material is peeled off the groun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ire.

상술한 문제에 대해, 특허문헌 1에서는, 자동차의 중량이나 타이어의 회전력으로부터 잔디재를 보호할 수 없다. 또한, 광대한 부지면적이 되는 주차장에 대한 시공을 상정한 경우, 감은 잔디의 배치 작업이나, 꼬챙이 박기 작업 등 현장 작업 공정수가 많아져, 공사기간의 장기화, 시공비용 상승을 초래한다.Regarding the above problem, in Patent Document 1, the grass material cannot be protected from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ir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f a parking lot that is a vast land area, the number of on-site work processes such as the placement of the rolled grass and the skewering work increases, resulting in a prolonged construction period and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다른 한편, 주차장의 녹화에 특유의 문제 해결을 도모하는 종래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및 3 등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답압(踏壓) 저항 돌기를 설치한 격자형상의 수지제의 식물 생육 보호반이 개시되어 있고, 이 식물 생육 보호반을 잔디재상에 배치하여, 답압 저항 돌기로 사람이나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the prior art which aims at solving the problem peculiar to the greening of a parking lot, patent documents 2, 3,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plant growth protection panel made of a lattice resin provided with a depression resistance projection, and the plant growth protection panel is disposed on a grass material, and a stepping resistance projection is used for To support the load.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다수의 통을 네트형상으로 연결하고, 각 통의 내부에 객토(客土)와 잔디를 수납하는 잔디 수납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잔디 보호 팔레트가 개시되어 있고, 상술한 각 통내에서 잔디를 육성하고, 또는, 각 통내에 작게 자른 잔디 조각을 배치한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grass protection pallet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ylinders in a net shape, and providing a law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oil and grass in the interior of each cylinder. Grow grass or place small pieces of grass in each bin.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2 및 3에 기재된 발명에서도, 특허문헌 1과 같이, 주차장의 녹화에 특유의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 나타난 식물 생육 보호반의 구조에서는, 트럭 등의 대형차량의 큰 중량에 견딜 수 있을 만큼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게다가, 식물 생육 보호반을 배치하는 공정에 앞서, 지표면에 잔디재나 감은 잔디를 부설하는 공정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현장 작업 공정수가 많아져, 공사기간의 장기화, 시공비용 상승을 초래한다.However, in the invention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2 and 3 described above, like Patent Document 1, it cannot be said that the problem peculiar to the greening of the parking lot is solved sufficiently. In the structure of the plant growth protection board shown in patent document 2, the mechanical strength enough to endure the large weight of large vehicles, such as a truck, cannot be ensured. In addition, prior to the step of arranging the plant growth protection team, a step of laying grass material and winded grass on the ground surface is required,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field work steps, resulting in a prolonged construction period and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잔디 보호 팔레트에서는, 잔디의 육성 공정이나, 잔디재의 절단작업이 번거롭다. 특히, 광대한 부지면적이 되는 주차장에 대한 시공을 상정한 경우, 공사기간의 장기화, 시공비용 상승을 초래한다.Moreover, in the lawn protection pallet of patent document 3, the grass growth process and the cutting work of a lawn material are cumbersome.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a parking lot with a large land area is expected to lead to a prolonged construction period and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 08-089081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08-089081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08-130993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8-130993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017175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017175

본 발명의 과제는, 식물, 전형적으로는 잔디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ing structure capable of protecting a plant, typically grass, from an external force, and an laying body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시공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ing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construction efficiency, and a laying body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시판의 잔디재와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ing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turfwood material, and a laying body using the sam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제 1 부재는, 제 1 기판부와, 관통구멍과, 기둥부를 갖고 있다. 관통구멍은, 제 1 기판부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에 관통되어 있다. 기둥부는, 제 1 기판부의 타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 2 부재는, 제 2 기판부를 갖고, 제 2 기판부의 일면이, 제 1 기판부의 타면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기둥부의 선단부분을 지지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mentioned above, the planting structur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ontains a 1st member and a 2nd member. The first member has a first substrate portion, a through hole, and a pillar portion. The through hole penetrates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to the other surface. The pillar portion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The 2nd member has a 2nd board | substrate part, One surface of the 2nd board | substrate part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other surface of a 1st board | substrate part, and is supporting the front-end | tip part of a pillar part.

본 발명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는, 식물재(植物材)와 조합되어, 부설체를 구성한다. 식물재는, 시트 형상 또는 매트 형상으로서, 제 1 기판부의 타면과, 제 2 기판부의 일면과의 사이에서, 제 1 기판부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잎 끝을 노출 가능한 방향으로 수납된다.The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plant material to form a laying body. The plant material is sheet-like or mat-shaped and is accommod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af tip can be exposed from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여기서, 부설체를 구성하는 식재용 구조체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제 2 부재는, 제 2 기판부의 일면이, 제 1 기판부의 타면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기둥부의 선단부분을 지지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와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기둥부의 돌출높이에 따른 간격을 갖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수납공간에 식물재를 수납함으로써,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에 의해 식물재를 끼워 지지할 수 있다.Here, the planting structure constituting the laying body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and in the second member,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and the pillar portion It supports the tip.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torage space which has a space | interval according to the protrusion height of a pillar part is formed between the surface which mutually faces with a 1st member and a 2nd member. Therefore, by storing a plant material in this storage space, a plant material can be clamped by a 1st member and a 2nd member.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와의 간격은, 기둥부의 돌출높이에 따라 규제되기 때문에, 기둥부의 돌출높이를 미리 조절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두께 치수를 갖는 식물재를,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와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Since the space | interval of a 1st member and a 2nd member is regulated according to the protrusion height of a pillar part, by adjusting the protrusion height of a pillar part beforehand, the plant material which has a various thickness dimension is made into the 1st member and the 2nd member, and It becomes possible to sandwich between.

기둥부는, 제 1 기판부의 타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고, 기둥부의 선단부분은, 제 2 기판부의 일면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만일 제 1 기판부의 일면에 하중이 가해졌다고 해도, 이 하중을 기둥부에 의해서 지지하여,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와의 사이의 간격이 축소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판부의 일면에 자동차의 중량이 가해졌다고 해도,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와의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어, 자동차의 중량에 의해서 식물재가 눌러 굳어져 버리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Since the pillar portion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and the tip portion of the pillar portion is supported by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even if a load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the load is applied by the pillar portion. By supporting it, it is possible to avoid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reduced. Therefore, even if the weight of the vehicle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kept constant, and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plant material is pressed and hardened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

식재용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 1 부재는 관통구멍을 갖고 있고, 관통구멍은 제 1 기판부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구멍을 통해서 식물재의 잎 끝을 외부에 노출함으로써, 녹화된 경관이 연출된다. 게다가, 식물재는, 관통구멍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전체둘레가 제 1 기판부의 일면에 의해서 둘러싸여져 있기 때문에, 타이어로부터의 압력이 제 1 기판부의 일면에 의해서 받게 되고, 식물재의 표면이 타이어의 회전력으로부터 보호된다.Since the first member constituting the planting structure has a through hole, and the through hole penetrates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he planted landscape is exposed by exposing the leaf tip of the plant materi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Directed.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through hole is surrounded by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the plant material is subjected to pressure from the tire by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plant material is the tire. Is protected from rotational force.

또한, 제 1 부재는, 기둥부에 의해서 제 1 기판부와, 식물재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의 회전력이 제 1 기판부에 가해졌다고 해도, 제 1 부재, 및, 제 1 기판부에는, 식물재의 중량을 부가한 제동력이 작동한다. 이 때문에, 제 1 부재, 및, 제 1 기판부가, 식물재를 내버려두고, 옆으로 이동해 버리는 등의 부정 이동이 억제되어, 식물재를 계속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Moreover, since a 1st board | substrate part and a plant material are integrated by the column part, even if a rotational force of a tire is applied to the 1st board | substrate part, a 1st member has a plant in a 1st member and a 1st board | substrate part. The braking force with the weight of the ash is activated. For this reason, the 1st member and the 1st board | substrate part leave the plant material alone, and the irregular movement, such as moving sideways, is suppress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continue protecting a plant material.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기둥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잔디의 뿌리나, 빗물 등은 기둥부를 피하고, 수납공간내를 자유롭게 이동한다. 따라서, 부설체를 부설한 후의 식물의 육성비용, 유지관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Since the pillar part protrudes inside the storage space, the roots of the grass, rainwater, and the like avoid the pillar part and move freely in the storage space. Therefore, the growth cost and maintenance cost of a plant after laying an laying body can be reduced.

부설체는, 식물재가, 제 1, 제 2 부재에 의해 끼워 지지된 상태에서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식물재와, 식재용 구조체를 일체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장으로부터 시공 현장까지의 부설체의 운반작업, 시공현장에의 부설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부설체는, 시공 후에도 배열 교체가 자유롭게 때문에, 현장작업 공정수를 삭감하여, 공사기간의 효율화, 시공비용의 저감이 도모된다.Since the plant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in the state where the plant material was clamped by the 1st, 2nd member, it is possible to carry a plant material and a planting structure integrally. Therefore, the transportation work of the laying body from the factory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laying work to the construction site become easy. In addition, since the laying body is free to be replaced even after construction, the number of field work steps can be reduced, resulting in an efficient construction period and a reduction in construction cost.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1) 식물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를 제공할 수 있다.(1) The planting structure which can protect a plant from external force, and the laying body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2) 시공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2) It is providing the planting structure which can improve a construction efficiency, and the laying body using this.

(3) 시판의 잔디재와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를 제공할 수 있다.(3) The planting structure which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grass material, and the laying body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1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2에 도시한 제 1 부재에 대해 하면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도 3에 도시한 제 1 부재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 도 3에 도시한 제 1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 도 2에 도시한 제 2 부재에 대해 하면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도 2에 도시한 제 2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 도 1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9] 도 1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의 배면도이다.
[도 10] 도 1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11] 도 8의 11-11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 도 8의 12-12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부설체의 사시도이다.
[도 14] 도 12에 도시한 부설체의 평면도이다.
[도 15] 도 13의 15-15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 도 13의 16-16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부설체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도 17에 도시한 공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도 18에 도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공정 후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도 20에 도시한 공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도 14에 도시한 부설체의 사용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 도 14에 도시한 부설체의 사용형태에 대해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에 대해서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에 대해서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에 대해서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7]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28]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ructure of 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urfac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1st member shown in FIG.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first member shown in FIG. 3.
FIG. 5 is a plan view of the first member shown in FIG. 3.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urfac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2nd member shown in FIG.
FIG. 7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member shown in FIG. 2.
FIG. 8 is a plan view of 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FIG. 9 is a rear view of 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FIG. 10 is a left side view of 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1-11 line of FIG.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2-12 line of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aying body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14 is a plan view of the laying body shown in Fig. 12.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5-15 line of FIG.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6-16 line of FIG.
FIG. 17 is a view showing an assembling method of the laying body shown in FIGS. 13 to 16.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after the step shown in FIG. 17.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state shown in FI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after the steps shown in FIGS. 18 and 19.
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after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20.
Fig. 22 is a front view showing a usage form of the laying body shown in Fig. 14.
FIG. 23 is a front view of a portion of the laying body shown in FIG. 14 cut away. FIG.
It is a side view which expands and shows a part about planting structure which concerns on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5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larged manner.
FIG. 2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7 is a sectional view of a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s a sectional view of a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의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 1 부재에 대해 하면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 1 부재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 1 부재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제 2 부재에 대해 하면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제 2 부재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ructure of 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ember shown in FIG. 2 seen from the lower surface direction,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first member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plan view of the first member shown in FIG. 3. .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member shown in FIG. 2 seen from the lower surface direc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member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재용 구조체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를 포함한다. 제 1 부재(10)는, 상자 형상으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 (PP), 염화비닐수지(PVC)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체이다.1 and 2, the plant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member 10 and a second member 20. The 1st member 10 is a box shape and is a molded object whose main component is thermoplastic resin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a vinyl chloride resin (PVC).

제 1 부재(1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면, 제 1 부재(10)는, 제 1 기판부(11)와, 복수의 관통구멍(14)과, 개구부(15)와, 복수의 기둥부(16)와, 복수의 측벽부(17)를 갖고 있다. 제 1 기판부(11)는, 바닥이 있는 상자 형상의 개면부분로서, 판두께 방향{높이방향(T)}으로 일면(12)과 타면(13)이 마주보고 있다.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with respect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member 10, the first member 10 includes a first substrate portion 1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 and an opening portion ( 15), a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6, and a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17. The 1st board | substrate part 11 is a bottomed box-shaped open surface part, and the one surface 12 and the other surface 13 fac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height direction T).

관통구멍(14)은, 대략 정방형 형상의 개공부(開孔部)를 갖고, 제 1 기판부 (11)의 판면에 있어서, 높이방향(T)을 따라서, 일면(12)으로부터 타면(13)으로 관통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구멍(14)은, 제 1 기판부(11)의 판면에 있어서, 길이방향 (L), 및, 폭방향(W)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정렬 배치되고, 제 1 기판부(11)의 판면에 있어서 관통구멍(1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격자형상 부분이 되고, 제 1 기판부(11)의 판면이 전체적으로 격자형상 부분에 의해서 구획된 미닫이와 같은 면구조가 되어 있다.The through-hole 14 has a substantially square opening part, and in the plate surface of the 1st board | substrate part 11 along the height direction T from the other surface 12 to the other surface 13 Penetrated by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 are arranged in a matri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in the width direction W on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11, In the plate surface, a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14 is not formed becomes a lattice portion, and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11 has a surface structure similar to a sliding door divided by the lattice portion as a whole.

개구부(15)는, 바닥이 있는 상자 형상의 개구부분으로서, 타면(13)과 높이방향(T)에 마주보고 있다. 복수의 기둥부(16)는, 타면(13)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둥부(16)는, 타면(13)에 있어서 관통구멍(14)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피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격자형상 부분이 교차하는 부분(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원내영역)의 교점(P1)에 있어서, 타면(13)에 대해서 직교하는 높이방향(T)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기둥부(16)는, 기계적 강도의 확보, 및, 제조비용의 효율화의 관점으로부터, 타면(13)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part 15 is a bottomed box-shaped opening part facing the other surface 13 and the height direction T. As shown in FIG. The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6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13. In more detail, the pillar part 16 protrudes and avoids the part in which the through-hole 14 is provided in the other surface 13, Preferably the part which the grid | lattice-shaped part cross | intersects (with a dashed-dotted line). At the intersection point P1 of the inside area | region shown, it protrudes in the height direction T orthogonal to the other surface 13.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several pillar part 16 is integrally shape | molded by the other surface 13 from a viewpoint of ensuring mechanical strength and efficiency of manufacturing cost.

복수의 기둥부(16)의 각각은, 타면(13)으로부터 높이방향(T)을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게 되는 머리잘린 다각뿔 형상으로서, 선단부분이 평평한 선단면 (161)이 되어 있다. 즉, 기둥부(16)는, 둘레면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신장하는 4개의 리브(162)를 갖고 있다. 4개의 리브(162)는, 각각 직교하는 관계에서 십자형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기둥부(16)의 끝이 가는 형상을 따라서 높이방향 (T)으로 신장하는 것에 의해, 리브(162)의 선단면이 기둥부(16) 본체의 선단면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선단면(161)을 전체적으로 톱니바퀴 모양의 면형상으로 형태를 만들고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6 is a truncated polygonal pyramidal shape having a tapered tip as it faces the height direction T from the other surface 13, and has a flat tip surface 161 having a flat tip portion. That is, the pillar part 16 has four ribs 162 extended along a height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our ribs 162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a cross shape in a mutually orthogonal relationship, and the ribs 162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T along the shape in which the ends of the pillar portions 16 are thin. The distal end face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distal end face of the pillar 16 main body, and the distal end face 161 is formed into a cogwheel-shaped surface shape as a whole.

도 3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둥부(16)에는, 결합 기능을 갖는 것이 혼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결합 기능을 갖는 기둥부(16)는, 선단면(161)의 면내에 결합용 구멍(163)을 갖고 있다. 결합용 구멍(163)은, 그 내부에 제 2 부재 (20)를 열용착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를 강고하게 결합한다. 도 5에 있어서 결합용 구멍(163)은, 일점쇄선(S1)으로 표시되는 장방형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이것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3 or FIG. 5, it is understood that a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6 have a coupling function. The pillar portion 16 having a coupling function has a coupling hole 163 in the surface of the front end surface 161. The coupling hole 163 heat-bonds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20 by thermally welding the second member 20 therein. In FIG. 5, the coupling holes 163 are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represented by the dashed-dotted line S1, but this is only an example.

다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측벽부(17)는, 타면(13)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높이방향(T)으로 일어서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측벽부 (17)는, 타면(13)의 단가장자리 부분에서 인접하는 기둥부(16)의 사이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측벽부(17)가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상자형상의 측벽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측벽부(17)는, 기계적 강도의 확보, 및, 제조비용의 효율화의 관점으로부터, 타면(13), 및, 기둥부(16)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gain. The side wall portion 17 stands up in the height direction T from the edge of the other surface 13. In more detail, the side wall part 17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olumn part 16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edge part of the other surface 13 may be interrupted | blocked, and the some side wall part 17 may have a bottom overall. The box-shaped side wall part is comprised. The side wall portion 17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surface 13 and the pillar portion 16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mechanical strength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제 2 부재(20)는, 평판형상으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염화비닐수지(PVC)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체이다. 제 2 부재 (20)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2 부재(20)는, 제 2 기판부 (21)와, 복수의 배수부(24)와, 복수의 끼워맞춤용 오목부(25)를 갖고 있다.The second member 20 is a flat plate, and is a molded body mainly composed of thermoplastic resin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vinyl chloride resin (PVC). The second member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second member 20 includes a second substrate portion 21, a plurality of drainage portions 24, and a plurality of fittings. It has a recessed part 25 for it.

제 2 기판부(21)는, 식재용 구조체의 저면 부분으로서, 높이방향(T)에 일면 (22)과 타면(23)이 마주보고 있다.The 2nd board | substrate part 21 is a bottom part of a planting structure, and the one surface 22 and the other surface 23 face in the height direction T. As shown in FIG.

배수부(24)는, 이른바 바닥이 있는 구멍으로서, 일면(22)에 대략 정방형 형상의 트인 개공부를 갖고 있고, 높이방향(T)을 따라서, 일면(22)으로부터 타면(23)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복수의 배수부(24)는, 일면(22)에 있어서,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정렬 배치되어, 배수부(24)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이 격자형상 부분이 되어, 일면(22)이 전체적으로 격자형상 부분에 의해서 구획된 장지와 같은 면구조가 되어 있다.The drainage part 24 is a so-called bottomed hole, and has a substantially square open hole on one surface 22, and dents from one surface 22 to the other surface 23 along the height direction T. have. The some drain part 24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matrix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in one surface 22, and the part in which the drain part 24 is not provided is lattice-shaped. It becomes a part, and the one surface 22 has the surface structure like the jangji divided by the grid | lattice-shaped part as a whole.

배수부(24)는, 구조체 내부에 식물재가 수납된 경우에, 식물재를 통해 스며들어 오는 빗물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으로서 이용된다. 한편, 배수부(24)는, 높이방향(T)을 따라서, 일면(22)으로부터 타면(23)에 관통하는 관통구조이더라도 좋다. 배수부(24)가, 관통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불필요한 빗물 등을 지표면에 배출하여, 잔디의 뿌리 썩음 등을 방지하는 통수구멍으로서 이용된다.The drainage part 24 is used as a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rainwater and the like that penetrate through the plant material when the plant material is stored inside the structure. In addition, the drain part 24 may be a through structure which penetrates from the one surface 22 to the other surface 23 along the height direction T. As shown in FIG. The drainage part 24 is used as a water passage hole for discharging unnecessary rainwater and the like to the ground surface by preventing the root rot and the like of the grass by the penetrating structure.

끼워맞춤용 오목부(25)는, 이른바 바닥이 있는 구멍으로서, 일면(22)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제 2 부재(20)에 있어서, 끼워맞춤용 오목부(25)는, 배수부(24)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피하여, 배수부(24)에 의해서 판면에 형성되어 있는 격자형상 부분이 교차하는 부분(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원내영역)의 교점(P2)에 배치되어 있다.The fitting recess 25 is a so-called bottomed hole and is disposed on one surface 22. Specifically, in the second member 20 shown in FIGS. 6 and 7, the fitting recess 25 avoids the portion where the drain 24 is provided, and is plated by the drain 24.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P2 of the part (in-line area | region shown by a dashed-dotted line) which the lattice part formed in the cross | intersection crosses.

끼워맞춤용 오목부(25)는, 기둥부(16)의 선단면(161)과 조합되어 요철 끼워맞춤에 이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제 2 부재(20)는, 제 2 기판부(21)를 갖고 있다. 제 2 기판부(21)는, 일면(22)이, 타면(13), 및, 개구부(15)와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고, 또한, 일면(22)이 기둥부(16)의 선단면(16)을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끼워맞춤용 오목부(25)는, 선단면(161)의 면형상(톱니바퀴모양의 면형상)에 추종한 형상을 갖고 있다. 기둥부(16)는, 선단면(161)이 일면(22)에 대해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 1 부재(10)를 제 2 부재(20)상에 지지한다. 또한 기둥부(16)는, 선단면 (161)이 끼워맞춤용 오목부(25)에 대해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 1 부재(10)의 부정 이동을 규제하고, 제 1 부재(10)를 전체적으로 제 2 부재(20)에 고정한다.The fitting recess 25 is a component which is used for the uneven fitting in combination with the front end surface 161 of the pillar portion 16. In other words, the second member 20 has a second substrate portion 21. In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21, one surface 22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urface 13 and the opening 15, and the one surface 22 is a front end surface 16 of the pillar portion 16. ). Here, the fitting concave portion 25 has a shape that follows the surface shape (gear-shaped surface shape) of the front end surface 161. The pillar part 16 supports the 1st member 10 on the 2nd member 20 by the front end surface 161 contacting the one surface 22. As shown in FIG. Further, the columnar portion 16 is coupled to the recessed portion 25 for fitting by the distal end surface 161, thereby restricting the involuntary movement of the first member 10, the first member 10 as a whole It is fixed to the 2nd member 20.

끼워맞춤용 오목부(25)의 배치수, 및, 배치형태는, 기둥부(16)의 배치수, 및, 배치형태에 대응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끼워맞춤용 오목부(25)는, 바닥이 있는 구조이지만, 관통 구조이더라도 좋다.The arrangement | positioning number of the recessed part 25 for fitting,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form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number of the pillar part 16,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form. The fitting recess 25 shown in Figs. 6 and 7 has a bottomed structure, but may be a through structure.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의 평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의 배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의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8의 11-11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12-12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구성 부분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8 is a plan view of 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9 is a rear view of 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and FIG. 10 is a left side view of 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1-11 of FIG. 8,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2-12 of FIG. 8. In FIGS. 8-12,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s the component shown in FIGS.

우선,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부재(10)는, 숫형 연결부(18)으로 암형 연결부(19)를 갖는다. 숫형 연결부(18)는, 제 1 부재(10)의 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L) 또는 폭방향(W)을 향하여, V자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 형상을 갖고, 제 1 부재(10)의 측면을 높이방향(T)을 따라서 신장하고 있다. 다른 한편, 암형 연결부(19)는, 숫형 연결부(18)에 요철 끼워맞춤 가능한 V자형상의 오목형상을 갖고, 제 1 부재(10)의 측면을 높이방향(T)을 따라서 신장하고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8 to 10, the first member 10 has a female connecting portion 19 as a male connecting portion 18. The male connecting portion 18 has a protruding shape protruding in a V shap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0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r the width direction W,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0. It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T.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 19 has a V-shaped concave shape that can be unevenly fitted to the male connecting portion 18, and extends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0 along the height direction T. As shown in FIG.

제 2 부재(20)는, 제 2 기판부(21)를 갖고, 제 2 기판부(21)의 일면(22)이, 제 1 기판부(11)의 타면(13)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부재 (10)와, 제 2 부재(20)와의 결합구조에 대해서,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econd member 20 has a second substrate portion 21, and one surface 22 of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21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urface 13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11. have. Her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1st member 10 and the 2nd member 20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11 and FIG. 12 below.

제 2 부재(20)는, 일면(22)이, 제 1 부재(10)의 타면(13)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일면(22)에서 기둥부(16)의 선단면(161)을 지지하고 있다. 즉, 제 2 부재(20)는, 일면(22)에서, 기둥부(16)의 선단면(161)에 접촉하고, 제 1 부재(10) 전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One surface 22 of the second member 20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urface 13 of the first member 10 so as to support the front end surface 161 of the pillar portion 16 on one surface 22. Doing. That is, the 2nd member 2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surface 161 of the pillar part 16 in one surface 22, and supports the 1st member 10 whole from below.

또한, 복수의 기둥부(16)는, 제 2 부재(20)에 결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둥부(16)는, 선단면(161)이 제 2 부재(20)의 끼워맞춤용 오목부(25)에 요철 끼워맞춤되어 있다. 선단면(161)과, 끼워맞춤용 오목부(25)와의 요철 끼워맞춤은 자유롭게 탈착되더라도 좋고, 예를 들면, 접착제나 비스, 열용착 등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양자를 탈착 불가능하게 결합해도 좋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6 are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20. In more detail, as for the pillar part 16, the front end surface 161 is unevenly fitted to the fitting recessed part 25 of the 2nd member 20. As shown in FIG. The uneven fitting between the front end face 161 and the fitting recess 25 may be freely detachable, o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n unremovable manner by using, for example, an adhesive, a screw, a thermal welding, or the like.

상술한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와의 결합 관계에 의해, 식재용 구조체는, 제 1 부재(10)의 타면(13)과, 제 2 부재(20)의 일면(22)과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가, 기둥부(16)의 돌출높이(T16)에 따라서, 간격(T100)이 일정하게 규제되어 있고, 이 간격(T100)에 의해 제 1, 제 2 기판부(11,21)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적인 확대가, 수납공간(100)으로서 이용된다. 즉, 기둥부(16)는, 지지기능, 및, 끼워맞춤기능을 갖는 동시에, 간격(T100)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에 의해, 수납공간(100)의 용적을 결정하고 있다.Due to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20 described above, the planting structure has the other surface 13 of the first member 10 and one surface 22 of the second member 20. The space | interval T100 is regulated uniformly between the surfaces which mutually face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otrusion height T16 of the pillar part 16, The 1st, 2nd board | substrate part 11 by this space | interval T100. The spatial enlargement formed between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of, 21 is used as the storage space 100. That is, the pillar part 16 has the support function and the fitting function, and also has the function to regulate the space | interval T100, and the volume of the storage space 100 is determined.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식재용 구조체는, 식물재와 조합되어, 부설체를 구성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부설체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부설체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3 의 15-15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16-16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The planting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is combined with a plant material to form an laying body.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y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lan view of the laying body shown in FIG. 12. 15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5-15 line of FIG.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6-16 of FIG. 13. 13-16,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s the component shown in FIGS. 1-12.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부설체는, 식재용 구조체(1)와, 식물재 (51,52)와 객토(6)와, 스페이서(7)와, 부직포(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3 to 16, the laying body includes a planting structure 1, plant materials 51 and 52, a field soil 6, a spacer 7, and a nonwoven fabric 8.

식물재(51,52)는, 시트형상 또는 매트형상으로서, 제 1 부재(10)의 타면(13)과, 제 2 부재(20)의 일면(22)과의 사이에서, 관통구멍(14)으로부터 잎 끝을 노출 가능한 방향으로 수납된다. 식물재(51,52)로서는, 주지의 잔디 매트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식물재(51,52)를 구성하는 식물은, 반드시 잔디에 한정되지 않고, 잔디와 유사한 저배성의 식물이나, 이른바 이끼 등이더라도 좋다.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are sheet-like or mat-shaped, and have a through hole 14 between the other surface 13 of the first member 10 and one surface 22 of the second member 20. It is stored in the direction which can expose a leaf tip from. As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well-known grass mats can be used. On the other hand, the plants constituting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grass, but may be plants of low germination similar to grass, or so-called moss.

잔디 매트는, 전국에서 거의 공통의 유통 규격으로서 장방형 형상이 되고 있고, 길이 치수 360mm, 폭 치수 300mm의 것과 길이 치수 350mm, 폭 치수 250mm의 것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식재용 구조체(1)의 판면의 폭 치수(W1)를 미리 식물재(51,52)의 길이 치수(L5)에 일치(예를 들면, 350mm)시켜, 식재용 구조체(1)의 판면의 길이 치수(L1)를 식물재(51,52)의 폭 치수(W5)의 2배(예를 들면, 500mm)로 하는 것에 의해, 2개의 식물재(51,52)를 1조로 하여 일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grass mat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distribution standard common in the whole country, and there are a length of 360 mm, a width of 300 mm, a length of 350 mm, and a width of 250 mm.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4, the width dimension W1 of the plate surface of the planting structure 1 is previously matched (for example, 350 mm) to the length dimension L5 of the plant material 51, 52, for planting. Two plant materials 51 and 52 by making the length dimension L1 of the plate surface of the structure 1 into twice (for example, 500 mm) the width dimension W5 of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It can be maintained as a set in one piece.

다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객토(6)는, 식물재(51,52)의 뿌리를 안정되게 뿌리내리게 하는 목적으로 수납공간(100)에 충전되는 배양토이다. 복수의 기둥부(16)는, 객토(6)를 높이방향(T)으로 관통되어 있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6 again. The loam 6 is cultured soil filled in the storage space 100 for the purpose of stably rooting the roots of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The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6 penetrate the objective soil 6 in the height direction T. As shown in FIG.

스페이서(7)는, 투수성(透水性), 및, 탄력성을 갖는 다공질 구조(스펀지 구조)의 우레탄 수지를 얇은 판자형상, 시트형상, 또는, 매트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객토(6)와, 부직포(8)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7)는, 객토(6)의 체적이 습도나 기온에 의해서 팽창, 수축을 반복하는 것을 상정하여, 그 팽창, 수축에 의해서 식물재(51,52)와, 제 1 기판부(11)의 타면(13)과의 사이에 빈틈이 생기는 불량을 회피하기 위한 바닥올림에 이용되는 것이다.The spacer 7 is formed by forming a water-repellent and elastic porous structure (sponge structure) urethane resin in a thin board shape, sheet shape, or mat shape. It is arrange | positioned with the nonwoven fabric 8. The spacer 7 assumes that the volume of the pit 6 repeats expansion and contraction by humidity and temperature, and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and the first substrate portion 11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hereof. It is used to raise the floor to avoid the defect that the gap between the other surface 13 of the.

부직포(8)는, 제 2 부재(20)와, 스페이서(7)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배수부(24)에 객토(6)나 진애 등이 퇴적하는 불량을 방지하는 필터로서 이용된다. 또한, 부직포(8)를 포함한 구성에 의하면, 배수부(24)가 관통구조인 경우, 여분의 빗물 등을 수납공간(100)으로부터 배출할 때나, 부설체를 운반할 때 등에, 객토(6)가 배수부(24)로부터 부정 누출되는 불량이 방지된다. 한편, 스페이서(7)가 투수성을 갖는 경우, 스페이서(7)의 두께치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부직포(8)를 생략할 수도 있다.The nonwoven fabric 8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2nd member 20 and the spacer 7, and is used as a filter which prevents the defect which the soil 6, dust, etc. deposit in the drain part 24.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8, when the drainage part 24 is a through structure, when the excess rain water etc. are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storage space 100, when carrying a laying body, etc. The defect which the negative leaks from the drain part 24 is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acer 7 has water permeability, the nonwoven fabric 8 can be omitt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spacer 7.

식재용 구조체(1)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고, 제 1 부재 (10)와, 제 2 부재(20)와, 수납공간(100)을 갖고 있다. 제 2 부재(20)는, 판면의 일면(22)이, 제 1 부재(10)의 타면(13)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끼워맞춤 오목부(25)로 기둥부(16)의 선단면(161)을 지지하고 있다. 수납공간(100)은, 제 1 부재(10)의 타면(13)과, 제 2 부재(20)의 일면(22)과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형성되고, 기둥부(16)의 돌출높이(T16)에 따라서 간격(T100)이 규제되어 있다.The planting structure 1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and has a first member 10, a second member 20, and a storage space 100. As for the 2nd member 20, the one surface 22 of the board surface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other surface 13 of the 1st member 10 may mutually face, and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illar part 16 is a fitting recessed part 25. As shown in FIG. 161 is supported. The storage space 100 is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13 of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with the one surface 22 of the second member 20, and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illar portion 16. The interval T100 is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T16.

또한, 복수의 기둥부(16)는, 식물재(51,52), 객토(6), 스페이서(7), 부직포 (8)를, 상술한 순서로 높이방향(T)에 관통하고, 선단면(161)이 제 2 부재(20)의 일면(22)에 접촉하고 있다.Moreover, the several pillar part 16 penetrates the plant material 51, 52, the soil 6, the spacer 7, and the nonwoven fabric 8 in the height direction T in the above-mentioned order, and is a front end surface. 161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22 of the second member 20.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부설체의 이점에 대해서, 조립방법의 관점으로부터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1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부설체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2 및 도 23은, 도 14에 도시한 부설체의 사용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3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Advantages of the laying body shown in Figs. 13 to 16 will be described from the viewpoint of the assembling method. 17-21 is a figure which shows the assembling method of the laying body shown in FIGS. 13-16. 22 and 23 are diagrams showing a usage mode of the laying body shown in FIG. 14. 17-23,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s the component shown in FIGS. 1-16.

우선, 도 17에 도시한 공정을 참조하면, 제 1 부재(10)를, 타면(13)이 위로 되도록 공작대나 지표면상에 배치하고, 또한 타면(13)에 대해서, 식물재(51,52)를 상하 반전하고, 관통구멍(14)으로부터 잎 끝을 노출 가능한 방향으로 안내하여, 타면(13)에 돌출 설치된 기둥부(16)를 식물재(51,52)의 높이방향(T)에 관통시킨다. 복수의 기둥부(16)의 각각은 끝이 가는 형상이 되어 있어, 식물재(51,52)를 용이하게 관통한다.First, referring to the process shown in FIG. 17, the 1st member 10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work surface or the ground surface so that the other surface 13 may face up, and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with respect to the other surface 13 Is vertically inverted to guide the tip of the leaf from the through hole 14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af tip can be exposed to penetrate the pillar portion 16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13 in the height direction T of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 Each of the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6 has a thin shape, and easily penetrates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도 18에 도시한 공정은 도 17에 도시한 공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타면(13)에 돌출 설치된 기둥부(16)는, 식물재(51,52)를 높이방향(T)에 관통하고, 식물재(51,52)의 뿌리면상에 선단면(161)이 노출되는 것에 의해, 마치 침봉에 꽃을 고정시키는 것과 같이, 식물재(51,52)가 타면(13)에 고정된다. 식물재 (51,52)는, 식물(예를 들면 잔디)의 육성 단계에 따라서, 잎끝이 관통구멍(14)을 통해서 타면(13)으로부터 일면(12)에 도출된다.The process shown in FIG. 18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after the process shown in FIG. 17, and FIG. 19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state shown in FIG. 18 and 19, the pillar portion 16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13 penetrates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in the height direction T and is formed on the root surface of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By exposing the distal end surface 161,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are fixed to the other surface 13 as if the flower is fixed to the needle bar.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are drawn out from the other surface 13 to the one surface 12 through the through-hole 14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stage of the plant (for example, grass).

도 20에 도시한 공정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공정 후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식물재(51,52)의 뿌리면상에 객토(6)를 투입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7), 및, 부직포(8)로, 객토(6)의 일면을 가린 상태로, 제 2 부재(20)에 의해 끼워 지지한다. 객토(6)의 투입량이나, 스페이서(7), 및, 부직포(8)의 두께 치수는, 기둥부(16)의 돌출높이(T16)의 범위내에서 미리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 shown in FIG. 20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rocess after the process shown in FIG. 18 and FIG. 19, The objective soil 6 is thrown in on the root surface of the plant material 51, 52, More preferably, the spacer 7 is carried out. ) And the nonwoven fabric 8 are sandwiched by the second member 20 in a state where one surface of the object soil 6 is covered. The input amount of the grained soil 6, the thickness of the spacer 7, and the nonwoven fabric 8 can be determined in advance within the range of the projected height T16 of the pillar portion 16.

도 21에 도시한 공정은, 도 20에 도시한 공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식물재(51,52), 객토(6), 스페이서(7), 및, 부직포(8)를 상술한 순서로, 제 1 부재(10)의 타면(13)에 투입하여,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를 결합한 후, 제 1 부재(10)의 일면(12)이 위로 되도록 상하 반전한다.The process shown in FIG. 21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after the process shown in FIG. 20, Comprising: The plant material 51, 52, the soil 6, the spacer 7, and the nonwoven fabric 8 were mentioned in order. And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20 are joined to the other surface 13 of the first member 10, and then upside down so that one surface 12 of the first member 10 is upward. do.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설체의 조립방법에 의해, 공장 등에서 시공면적에 대해서 필요 매수의 부설체를 조립한 후, 시공 현장으로 반송하고,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공조건에 맞추어 지표면(4) 상에 가로세로로 배치한다. 이 때, 인접한 부설체(1a∼1c)의 숫형 연결부(18) 및 암형 연결부(19)에 대해서, 시공에 관한 부설체(1d)를 위치 결정하고, 숫형 연결부(18) 및 암형 연결부(19)를 높이방향(T)으로부터 떨어뜨려 넣는 등 해서 서로 끼워맞춤시킨다.According to the assembly method of the laying bod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21, after laying the required number of laying bodies with respect to a construction area in a factory etc., it is conveyed to a construction site, and it shows in the construction conditions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t arrange | positions on a ground surface 4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t this time, with respect to the male connecting portion 18 and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 19 of the adjacent laying bodies 1a to 1c, the laying body 1d for construction is positioned, and the male connecting portion 18 and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 19 are positioned. Are fitted away from the height direction T, for example.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식재용 구조체의 구조, 및, 도 13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설체의 구조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lanting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and the structure of the laying bod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22,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우선, 식재용 구조체(1)에 있어서, 제 1 부재(10)를 구성하는 제 1 기판부 (11)의 타면(13)과, 제 2 부재(20)를 구성하는 제 2 기판부(21)의 일면(22)과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기둥부(16)의 돌출높이(T16)에 따른 간격(T100)을 갖는 수납공간(100)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제 2 기판부(11,21)의 판면 형상을 미리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납공간(100)에 여러가지 평면 형상의 식물재(51,52)를 끼워 지지할 수 있다.First, in the planting structure 1, the other surface 13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11 constituting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21 constituting the second member 20. Betwee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with one surface 22 of, the storage space 100 having a space (T10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T16) of the pillar portion 16 is formed. Therefore, by adjusting the plate shape of the 1st, 2nd board | substrate part 11 and 21 in advance, the various planar plant materials 51 and 52 can be clamped in the storage space 100.

게다가, 수납공간(100)에 있어서의 제 1, 제 2 기판부(11,21)의 간격(T100)은, 기둥부(16)의 돌출높이(T16)에 따라 규제되기 때문에, 기둥부(16)의 돌출높이 (T16)를 미리 조절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두께 치수를 갖는 식물재(51,52)를, 제 1, 제 2 기판부(11,21)의 사이에서 일체적으로 끼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식물재(51,52)로서, 시판의 잔디 매트를 직접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ace | interval T100 of the 1st, 2nd board | substrate part 11 and 21 in the storage space 100 is regulated according to the protrusion height T16 of the pillar part 16, the pillar part 16 By adjusting the protrusion height T16 in advance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integrally hold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having various thickness dimens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portions 11 and 21. It becomes possible. Therefore, as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commercial grass mats can be used directly.

기둥부(16)는, 선단면(161)이 제 2 기판부(21)의 일면(22)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제 1 기판부(11)의 일면(12)에 하중이 가해졌다고 해도, 이 하중을 기둥부(16)에 의해서 지지하고, 간격(T100)이 축소하는 불량을 회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부(11)의 일면(12)에 자동차의 중량(G1)이 가해졌다고 해도, 간격(T100)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어, 자동차의 중량(G1)에 의해서 식물재(51,52)가 눌러 굳어져 버리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The pillar portion 16 has a tip end surface 161 in contact with one surface 22 of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21, even if a load is applied to one surface 12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11. This load can be supported by the pillar portion 16, and a defect that the gap T100 is reduced can be avoid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3, even if the weight G1 of the vehicle is applied to one surface 12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11, the interval T100 is kept constant so that the weight of the vehicle ( The problem that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are pressed and hardened by G1) does not arise.

게다가, 제 1 부재(10)는 복수의 기둥부(16)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일면(12)에 가해진 하중을, 복수의 기둥부(16)로 분산하여 지지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중량(G1)에 의해서 식물재(51,52)가 눌러 굳어져 버리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member 10 has a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6,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is ensured by dispersing and supporting the load applied to one surface 12 to the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6. can do. Therefore, the problem that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are pressed and hardened by the weight G1 of an automobile does not arise.

식재용 구조체(1)를 구성하는 제 1 부재(10)는 관통구멍(14)을 갖고 있고, 관통구멍(14)은 일면(12)으로부터 타면(13)에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구멍(14)을 통해서 식물재(51,52)의 잎 끝을 외부로 노출하여, 녹화된 경관이 연출된다. 한편, 관통구멍(14)의 배열수나, 배열형태는, 노출하는 잔디에 의해 형성되는 도안, 모양 등의 디자인적인 관점,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 및, 빗물 등의 침투 효율의 관점으로부터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member 10 constituting the planting structure 1 has a through hole 14, the through hole 14 penetrates from one surface 12 to the other surface 13, and thus the through hole 14. By exposing the leaf ends of the plant material (51, 52) to the outside, the recorded landscape is produced.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arrays and the arrangement of the through holes 14 are arbitrarily determined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pattern, etc. formed by the grass to be exposed, the viewpoint of securing mechanical strength, and the efficiency of penetration such as rainwater. Can be.

식물재(51,52)의 잎끝면은, 그 주위가 제 1 기판부(11)의 일면(1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9)가 주로 일면(12)에 의해서 받게 되어, 식물재(51,52)의 잎끝면을 타이어(9)의 회전력(G2)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부설체에 있어서, 기둥부(16)가, 식물재(51,52)를 관통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제 1 부재(10), 및, 제 1 기판부(11)가 기둥부(16)에 의해서, 식물재(51,52)와 일체화 된다. 이것에 의해, 타이어(9)의 회전력(G2)이, 제 1 기판부 (11)에 가해진 경우, 제 1 기판부(11)에는 식물재(51,52)의 중량에 의한 제동력이 작동한다. 따라서, 제 1 부재(10)가, 식물재(51,52)를 내버려두고, 옆으로 이동해 버리는 등의 부정 이동이 억제되어, 제 1 부재(10), 및, 제 1 기판부(11)에 의한 식물재(51,52)의 보호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Since the leaf edges of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are surrounded by the one surface 12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11, the tire 9 mainly has one surface 12 as shown in FIG. 23. ), The leaf end surfaces of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can be protected from the rotational force G2 of the tire 9. Moreover, in the laying body, since the pillar part 16 penetrates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the 1st member 10 and the 1st board | substrate part 11 are attached to the pillar part 16. In addition, in FIG. By this, it is integrated with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Thereby, when the rotational force G2 of the tire 9 is applied to the 1st board | substrate part 11, the braking force by the weight of the plant material 51 and 52 acts on the 1st board | substrate part 1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1st member 10 is restrained from illegal movements, such as leaving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to move sideways, and to the 1st member 10 and the 1st board | substrate part 11, for example. By the protection of the plant material (51, 52) is maintained well.

수납공간(100)의 내부에는, 기둥부(16)가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식물재(51,52)의 뿌리나, 빗물 등은 기둥부(16)를 피하고, 수납공간(100)의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한다. 따라서, 부설체를 부설한 후의 식물의 육성비용, 유지관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Since the pillar part 16 protrudes in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100, for example, the roots of plant materials 51 and 52, rainwater, etc. avoid the pillar part 16, and receive the storage space 100, for example. Freely move inside). Therefore, the growth cost and maintenance cost of a plant after laying an laying body can be reduced.

식물재(51,52)는, 제 1, 제 2 부재(10,20)에 의해 끼워 지지된 상태로 수납공간(100)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부재(10)는 측벽부(17)를 갖고, 측벽부 (17)는, 타면(13)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기둥부(16)의 돌출높이(T16)에 따라 일어서 있기 때문에, 식재용 구조체의 측면은, 측벽부(17)로 덮여져 있게 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식물재(51,52)를 식재용 구조체와 일체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조공장으로부터 시공현장까지의 부설체의 운반작업, 시공현장에 있어서의 부설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현장작업 공정수를 삭감하여, 공사기간의 효율화, 시공비용의 저감이 도모된다.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ar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00 in a state of being sandwiched by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0 and 20. Here, since the 1st member 10 has the side wall part 17, and the side wall part 17 stands along the protrusion height T16 of the pillar part 16 from the peripheral edge of the other surface 13, it is planted The side surface of the molten structure is covered with the side wall portion 17.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can be conveyed integrally with the planting structure, and the transport work of the laying bodies from the manufacturing plant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laying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are facilitated. Therefore, the number of field work steps can be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improv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또한, 식재용 구조체의 측면은, 측벽부(17)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수납공간 (100)내의 토사 등이 외부에 부정 누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조공장으로부터 시공현장까지의 부설체의 운반작업, 시공현장에 있어서의 부설작업이 용이하게 된다.Moreover,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planting structure is covered with the side wall part 17, the earth and sand etc. in the storage space 100 do not leak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transportation work of the laying body from the manufacturing plant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laying oper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become easy.

또한, 식재용 구조체의 측면은, 측벽부(17)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식재용 구조체를 가로세로로 연결하여 배치했다고 해도, 인접하는 식재용 구조체내의 식물재(51,52)의 뿌리의 왕래가 측벽부(17)에 의해서 저해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부설공사로부터 장기간 경과한 후에, 식재용 구조체 내부의 잔디가 고사되는 등의 이유로, 일부의 식재용 구조체를 교환하는 경우에, 잔디의 뿌리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이하게 배열 교체를 행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planting structure is covered by the side wall part 17, even if the planting structur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raffic of the roots of the plant material 51 and 52 in the adjacent planting structure is arrange | positioned. Is impeded by the side wall portion 17. Therefore, for example, when a part of the planting structures is replaced, for example, because the grass inside the planting structure dies after a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laying work, the arrangement is easily replaced without damaging the roots of the grasses. Can be done.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식재용 구조체(1),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와는 달리, 종래의 잔디 매트에 꼬챙이를 박아 넣어 지표면에 고정하는 공법(특허문헌 1 참조)에서는, 잔디 매트의 표면에 대해서 아무런 보호 기능을 갖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의 중량이나, 타이어의 회전력에 의해서 잔디가 손상된다고 하는 주차장의 잔디화에 특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광대한 부지 표면적이 되는 주차장에 대한 시공을 상정한 경우, 감은 잔디의 배치작업이나, 꼬챙이 박아 넣기 작업 등 현장 작업 공정수가 많아져, 공사기간의 장기화, 시공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Unlike the planting structure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3, and a laying body using the same, in the method of embedding a skewer into a conventional grass mat and fixing the ground surface (see Patent Document 1), the grass mat Since it does not have any protection against the surface of the car, it is not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peculiar to the turf of a parking lot that the grass is damaged by the weight of the car o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ir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f a parking lot having a large site surface area, the number of field work processes such as the placement of the rolled grass and the skewering work is increased, resulting in a prolonged construction period and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또한, 답압 저항 돌기를 설치한 격자형상의 수지제의 식물 생육 보호반(특허문헌 2 참조)에서는, 트럭 등의 대형차량의 큰 하중에 견딜 수 있을 만큼의 기계적 강도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데다가, 식물 생육 보호반을 배열하는 공정에 앞서, 시공면인 지표면에 잔디를 육성하는 공정, 혹은, 잔디 매트를 지표면에 부설하는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장작업 공정수가 많아져, 공사기간의 장기화, 시공비용 상승을 초래한다.In addition, in the grid-shaped resin plant growth protection panel (see Patent Literature 2) provided with a stepping-resistance protrusion, the mechanical strength sufficient to withstand the large load of a large vehicle such as a truck is not secured. Prior to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growth protection team, the process of growing grass on the ground surface, which is the construction surface, or the process of laying the grass mat on the ground surface, requires a large number of field work processes, resulting in longer construction periods and construction costs. Causes rise.

또한, 다수의 통을 네트형상으로 연결함으로써 각 통의 내부에 흙과 잔디를 수납하는 잔디 수납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잔디 보호 팔레트(특허문헌 3 참조)에서는, 잔디 매트를 가늘게 잘라 절단하고, 각 셀에 배치하는 작업이 번거롭다. 특히, 광대한 부지 표면적이 되는 주차장에 대한 시공을 상정한 경우, 비용 상승이 된다.In addition, in the grass protection pallet (refer patent document 3) which provides the grass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soil and grass in each inside of a cylinder by connecting many cylinders in net shape, the grass mat is cut | disconnected and cut into each cell, Deploying is cumbersome. In particular, when a construction for a parking lot having a large site surface area is assumed, the cost is increased.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에 대해서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3에 도시한 구성 부분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24 to 26 are enlarged side views of a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24-26,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s the component shown in FIGS.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한 실시형태는,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복수의 부설체를 가로세로로 배치하는 경우, 그 운반시에 객토 등이 외부에 부정 누출되는 불량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치 후에 인접하는 식재용 구조체내의 식물재 (51,52)의 뿌리나, 빗물 등의 유동을 촉진으로 하는 관점으로부터, 측벽부(17)에 관통부(170)를 갖는 점에 특징이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4 to 26,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2, when the plurality of laying bodie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the arrangement is made at the same time as preventing the defect that the land and the like are leaked to the outside during the transportation. Thereafter, the side wall portion 17 has a penetrating portion 170 from the viewpoint of promoting flow of roots of the plant materials 51 and 52 and adjacent rainwater in the adjacent planting structure.

즉, 도 24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관통부(170)는, 측벽부(17)의 면내에서, 외부로부터 수납공간에 통하는 관통구멍이고, 도 25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관통부 (170)는, 측벽부(17)의 면내에서, 높이방향(T)에 평행한 복수의 빈틈이다. 도 24 내지 도 25에 도시한 구조에 의하면, 운반시에 토사 등이 외부에 부정 누출되는 불량을 측벽부(17)에서 회피하고, 또한, 관통부(170)를 통해서 식물재(51,52)의 뿌리나, 빗물 등의 유동을 촉진할 수 있다.That is, the through part 17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4 is a through hole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from the outside in the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17, and the through part 17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In th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17, there are a plurality of gaps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T. FIG. According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S. 24-25, the defect which the earth and the like leaks to the outside at the time of conveyance is avoided by the side wall part 17, and the plant material 51 and 52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170. FIG. It can promote the flow of roots and rainwater.

다른 한편, 도 26에 도시한 실시형태는, 측벽부(17) 그 자체를 메쉬 구조로 한 것이다. 도 26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운반시에 토사 등이 외부에 부정 누출되는 불량을 방지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식재용 구조체내의 빗물 등의 유동을 촉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6, the side wall part 17 itself has a me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6,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ects in which earth and sand are leaked to the outside during transportation, and to promote the flow of rainwater and the like in adjacent planting structures.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6에 도시한 구성 부분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27 and 2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lanting structures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7 and FIG. 28,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s the component shown in FIGS.

본 발명에 관한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에 있어서의 특징의 하나는, 제 1 기판부(11)의 타면(13)과, 제 2 기판부(21)의 일면(22)과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기둥부(16)의 돌출높이(T16)에 따른 수납공간(100)을 확보하는 점에 있다. 이 기둥부(16)의 간격 규제 기능을 중시하면, 제 1 부재(10)의 측에 더하여, 제 2 부재(20)의 측에도 기둥부를 돌출 설치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제 2 부재(20)의 측에도 기둥부를 갖는 식재용 구조체의 실시형태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One of the features of the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aying body using the same is that the other surface 13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11 and the one surface 22 of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21. It exists in the point which ensures the storage space 100 according to the protrusion height T16 of the pillar part 16 between the surfaces which mutually face. If the space regulation function of this pillar part 16 is made much of importance, in addition to the side of the 1st member 10, a pillar part can also be protruded also in the side of the 2nd member 20. As shown in FIG. FIG. 27: and FIG. 28 are embodiment of the planting structure which has a pillar part also in the side of the 2nd member 20. FIG. Hereinafter, the difference with the embodiment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1-26 is demonstrated.

우선, 도 27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제 2 부재(20)는, 기둥부(26)를 갖고 있다. 기둥부(26)는, 제 2 기판부(21)의 일면(22)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First, about the embodiment of 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27, the second member 20 has a pillar portion 26. The pillar portion 26 protrudes from one surface 22 of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21.

제 1 부재(10)는, 제 1 기판부(11)의 타면(13)이, 제 2 기판부(21)의 일면 (22)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기둥부(16)의 선단면(161)이 일면(2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선단면(161)은, 끼워맞춤용 오목부(25)에 요철 끼워맞춤 되어 있다.As for the 1st member 10, the other surface 13 of the 1st board | substrate part 11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mutually face the one surface 22 of the 2nd board | substrate part 21, and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illar part 16 ( 161 is supported by one surface 22. In addition, the front end surface 161 is unevenly fitted to the fitting recess 25.

제 2 부재(20)는, 제 2 기판부(21)의 일면(22)이, 제 1 기판부(11)의 타면 (13)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타면(13)을 기둥부(26)의 선단면(261)에 의해서 지지하고 있다.As for the 2nd member 20, the one surface 22 of the 2nd board | substrate part 21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other surface 13 of the 1st board | substrate part 11, and the other surface 13 is the pillar part 26. Is supported by a tip end surface 261.

도 27에서는 반드시 분명하지 않지만, 제 1 부재(10)는, 타면(13)에 있어서 선단면(261)이 접촉 하는 개소에, 끼워맞춤용 오목부(25)에 대응하는 오목부(도시는 생략)를 갖고 있고, 선단면(261)은, 이 오목부에 요철 끼워맞춤 되어 있다.Although it is not necessarily clear in FIG. 27, the 1st member 10 is the recessed part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recessed part 25 in the place where the front end surface 261 contacts on the other surface 13 (illustration omitted). ), And the distal end surface 261 is fitted with the concave-convex portion.

도 27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는, 제 1, 제 2 부재(10,20)와의 결합 관계에 의해, 제 1, 제 2 기판부(11,21)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수납공간(100)을 갖고 있다. 수납공간(100)은, 기둥부(16)의 돌출높이(T16)와, 이 돌출높이(T16)에 동일한 기둥부(26)의 돌출높이(T26)에 따른 간격(T100)을 갖고, 간격(T100)이 기둥부 (16,26)에 의해 일정하게 규제되어 있다. 식물재는, 수납공간(100)에 있어서, 기둥부(16,26)에 의해서 높이방향(T)의 양측에서 엇갈리게 관통된다(도시는 생략).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27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between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portions 11 and 21 facing each other by a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0 and 20. 100). The storage space 100 has a protrusion height T16 of the pillar portion 16 and an interval T100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height T26 of the pillar portion 26 that is the same as the protrusion height T16. T100 is constantly regulated by the column portions 16 and 26. The plant material is penetrated alternately in both sides of the height direction T by the pillar parts 16 and 26 in the storage space 100 (illustra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해서,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점을 전부 갖는 식재용 구조체(1),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7, the planting structure 1 having all the advantag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6, and a laying body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다른 한편, 도 28은, 도 27과 같이 제 1, 제 2 부재(10,20)가 각각 기둥부 (16,26)를 갖는 구성에 있어서, 기둥부(16,26) 상호의 접합형태에 특징이 있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7에 도시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 2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0, 20 have pillar portions 16, 26,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7, in which the pillar portions 16, 26 are joined to each other. An embodiment with this is shown. Hereinafter, the difference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27 is demonstrated.

도 28을 참조하면, 제 2 부재(20)는, 제 2 기판부(21)의 일면(22)이, 제 1 기판부(11)의 타면(13)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고, 기둥부(26)의 선단면(261)으로, 기둥부(16)의 선단면(161)을 지지하고 있다. 선단면(161,261)과의 접촉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탈착 불가능하게 면접합된다.Referring to FIG. 28, the second member 20 is arranged such that one surface 22 of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21 faces the other surface 13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11, and has a pillar portion ( The front end face 261 of 26 supports the front end face 161 of the column 16. The contact portions with the front end surfaces 161 and 261 are preferably face-bonded in a non-removable manner.

도 28에 도시한 식재용 구조체는, 제 1, 제 2 부재(10,20)와의 결합관계에 의해, 제 1, 제 2 기판부(11,21)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수납공간(100)을 갖고 있다. 수납공간(100)은, 기둥부(16)의 돌출높이(T16)와, 기둥부(26)의 돌출높이 (T26)를 더한 치수치가 되는 간격(T100)을 갖고, 간격(T100)이 기둥부(16,26)에 의해 일정하게 규제되어 있다. 식물재는, 수납공간(100)에 있어서, 기둥부(16,26)에 의해서 높이방향(T)의 양측으로부터 같은 위치에서 관통된다(도시는 생략).The planting structure shown in FIG. 28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between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portions 11 and 21 facing each other by a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0 and 20. 100). The storage space 100 has an interval T100 that is a dimension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protrusion height T16 of the pillar portion 16 and the protrusion height T26 of the pillar portion 26, and the interval T100 is the pillar portion. It is regulated regularly by (16, 26). The plant material penetrates in the storage space 100 at the same position from both sides of the height direction T by the pillar portions 16 and 26 (not shown).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도 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점을 전부 갖는 식재용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부설체를 제공할 수 있다.Even with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8, the planting structure which has all the advantage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1-27, and the laying body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사상 및 교시에 기초하여,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 변형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Although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ased on the basic technical spirit and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식재용 구조체
10 : 제 1 부재
11 : 제 1 기판부
12, 13 : 일면, 타면
14 : 관통구멍
16 : 기둥부
16 : 선단면
20 : 제 2 부재
21 : 제 2 기판부
22, 23 : 일면, 타면
51, 52 : 식물재
1: planting structure
10: first member
11: first substrate portion
12, 13: one side, another side
14: through hole
16: column
16: cross section
20: second member
21: second substrate portion
22, 23: one side, the other side
51, 52: Plant material

Claims (2)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포함한 식재용 구조체로서,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기판부와, 관통구멍과, 기둥부를 갖고 있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제 1 기판부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타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부재는, 제 2 기판부를 갖고, 상기 제 2 기판부의 일면이, 상기 제 1 기판부의 상기 타면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선단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식재용 구조체.
As a planting structure containing a 1st member and a 2nd member,
The first member has a first substrate portion, a through hole, and a pillar portion,
The through hole penetrates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to the other surface,
The pillar portion is protruded to the other surface,
The said 2nd member has a 2nd board | substrate part, The one surface of the said 2nd board | substrate par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mutually face the said other surface of the said 1st board | substrate part, The plan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tip part of the said pillar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용 구조체와, 식물재를 포함한 부설체로서,
상기 식재용 구조체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기판부와, 관통구멍과, 기둥부를 갖고 있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제 1 기판부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타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부재는, 제 2 기판부를 갖고, 상기 제 2 기판부의 일면이, 상기 제 1 기판부의 상기 타면과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선단부분을 지지하고 있고,
상기 식물재는, 시트 형상 또는 매트 형상으로서, 상기 제 1 기판부의 타면과, 상기 제 2 기판부의 일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잎 끝을 노출 가능한 방향으로 수납되는 부설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nting structure and the laying body containing the plant material,
The plant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The first member has a first substrate portion, a through hole, and a pillar portion,
The through hole penetrates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to the other surface,
The pillar portion is protruded to the other surface,
The said 2nd member has a 2nd board | substrate part, One surface of the said 2nd board | substrate part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aid 1st board | substrate part, and supports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said pillar part,
The plant material is a sheet shape or a mat shape, and is plac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portion, and plac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af tip can be exposed from the through hole.
KR1020107013404A 2007-12-18 2008-12-01 Plant-cultivating structure, and laying assembly using the structure KR2010010560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5975A JP2009142250A (en) 2007-12-18 2007-12-18 Structure for planting, and laying body using the same
JPJP-P-2007-325975 2007-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08A true KR20100105608A (en) 2010-09-29

Family

ID=4079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404A KR20100105608A (en) 2007-12-18 2008-12-01 Plant-cultivating structure, and laying assembly using the structu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142250A (en)
KR (1) KR20100105608A (en)
WO (1) WO2009078131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84B1 (en) * 2019-07-24 2020-11-20 손결 Supporting mat for grass area
KR102181287B1 (en) * 2019-07-26 2020-11-20 손결 Double-layered mat for protecting grass
KR102181286B1 (en) * 2019-07-24 2020-11-20 손결 Grass protecting mat for being placed on supporting mat
KR102181285B1 (en) * 2019-07-24 2020-11-20 손결 Supporting mat for grass area
KR102275539B1 (en) * 2020-11-16 2021-07-08 손결 Double-layered mat for protecting gra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3735A (en) * 2010-03-17 2011-10-06 Sankosha:Kk Lawn laying structure in greening parking area, moss laying structure, and structure of greening parking area
JP5211127B2 (en) * 2010-09-30 2013-06-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Greening parking lot, planting unit protective material and greening parking lot component material unit
WO2013150161A1 (en) * 2012-04-03 2013-10-10 Prosojard, S.L. Planar biofiltration system
KR200465986Y1 (en) 2012-12-20 2013-03-26 (주)봉황씨원 Vegetation pallet for brick installation
KR101452408B1 (en) * 2013-05-08 2014-10-22 (주)봉황씨원 Block fixing box possible draining and vegetation
GB2518657A (en) * 2013-09-27 2015-04-01 Greenblue Urban Ltd Panel for prevention of soil compaction
JP6290588B2 (en) * 2013-10-23 2018-03-07 株式会社シミズオクト Turf curing cover
WO2016125197A1 (en) * 2015-02-06 2016-08-11 Green Safe Srl Structural elements for naturalization of horizontal and inclined sealed surfaces
KR101779336B1 (en) * 2015-10-13 2017-09-19 주식회사 제이앤에스 Vegetation block and pallet for installing vegetation block using the same
US10349647B2 (en) * 2016-10-24 2019-07-16 Dainihon Jochugiku Co., Ltd.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ntaining volatile chemical
IT201800006834A1 (en) * 2018-06-29 2019-12-29 PRODUCT FOR FLOORING, ESPECIALLY FOR DRIVE-ON FLOORING
CN111021191B (en) * 2019-12-28 2021-08-10 诚通凯胜生态建设有限公司 Method for paving stone pla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2828Y2 (en) * 1974-04-02 1976-10-18
JPH0523061A (en) * 1991-07-19 1993-02-02 Isao Hayashi Protection material for creeping plant
JPH1175576A (en) * 1997-09-01 1999-03-23 Kureatera:Kk Protector for lawn mat
JP2005048472A (en) * 2003-07-29 2005-02-24 Aida Engineering Co Ltd Parking device and parking lot using the same
JP2006187243A (en) * 2005-01-06 2006-07-20 F One N:Kk Planting support structur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84B1 (en) * 2019-07-24 2020-11-20 손결 Supporting mat for grass area
KR102181286B1 (en) * 2019-07-24 2020-11-20 손결 Grass protecting mat for being placed on supporting mat
KR102181285B1 (en) * 2019-07-24 2020-11-20 손결 Supporting mat for grass area
KR102181287B1 (en) * 2019-07-26 2020-11-20 손결 Double-layered mat for protecting grass
KR102275539B1 (en) * 2020-11-16 2021-07-08 손결 Double-layered mat for protecting gr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42250A (en) 2009-07-02
WO2009078131A1 (en)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5608A (en) Plant-cultivating structure, and laying assembly using the structure
US7210876B2 (en) Rollable load bearing mat for turf areas
JP5172688B2 (en) A plurality of containers used as a rooftop greening system and a rooftop greening system using the containers
CA2771773C (en) Modular support for plants
EP2331768A1 (en) Roof with modular plant covering
JP3813934B2 (en) Green body
JP4780761B2 (en) Greening facilities and base materials
JP2009077687A (en) Greened parking space
JP2006204291A (en) Panel to be built for greening rooftop, and building system for greening rooftop by using the panel to be built for greening rooftop
KR101996068B1 (en) Board structure for modular green roof system using turf grass and modular green roof system including the same
CA2852106C (en) Interlocking modular planting system for roof applications
JP5130470B2 (en) Energy-saving greening system
JP6811447B2 (en) Parking lot greening structure
JP5975381B2 (en) Planting base, planting base construction method, greening area border structure
JP2012010671A (en) Greening panel and rooftop greening structure
JP5108744B2 (en) Greening road surface forming block and greening road surface on which the block is laid
JP2008017850A (en) Panel for executing rooftop greening and execution system for rooftop greening using the panel
EP4063581B1 (en) Modular unit for a green roof
JP5011199B2 (en) Rooftop greening construction panel and rooftop greening construction system using the rooftop greening construction panel
JP4174410B2 (en) Assembled planter
KR200477335Y1 (en) Panel of for artificial ground tree-planting use
JP3780188B2 (en) Greening frame, block body including the greening frame, and greening structure including the greening frame
JP2004293175A (en) Baseplate for seeding and planting road surface and seeding and planting road surface forming method using this baseplate
KR100886952B1 (en) Vegetation block unit
JP2011000023A (en) Planting structure, laying body, and greening method using the laying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