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375A -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5375A KR20100105375A KR1020100016171A KR20100016171A KR20100105375A KR 20100105375 A KR20100105375 A KR 20100105375A KR 1020100016171 A KR1020100016171 A KR 1020100016171A KR 20100016171 A KR20100016171 A KR 20100016171A KR 20100105375 A KR20100105375 A KR 201001053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lider
- gear
- fixed
- inter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400)는 도어 프레임(F) 내에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가 중첩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D1)가 상기 도어 프레임(F)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D1), 상기 제3 도어(D3)가 순차적으로 개폐되는 연동식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F)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저 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을 갖는 가이드 레일(411)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410); 상기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제1,제2,제3슬라이더(421)(422)(423); 상기 제1,제2,제3 슬라이더(421)(422)(423)의 하면에 각각 볼트(B) 고정되며,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피봇(P)으로 상기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1)(432)(433); 상기 제2 도어 지지 브래킷(432)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대 기어(440); 상기 대 기어(44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대 기어(44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 기어(450); 상기 대 기어(440)의 센터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피니언 기어(460); 상기 피니언 기어(460)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1)(433)의 내측 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제2 래크(471)(472); 상기 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3)에 고정되는 연결 브래킷(480); 및 상기 연결 브래킷(480)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순차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410)에 설치되는 구동수단(49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연동 구조가 간단하고 도어의 개폐가 원활한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동 도어 장치는 개구부에 복수 개의 도어, 예를 들어 3개의 도어가 연동하여 개폐(開閉)되는 것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장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연동식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연동 도어 장치(10)는 센터 도어(1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 도어(12)와 후면 도어(1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센터 도어(11)의 상부에는 연동장치(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장치(20)의 베이스 판(21) 양쪽에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구동 풀리(22)와, 벨트(23)에 의해 상기 구동 풀리(22)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동 풀리(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23)에는 제1슬라이더(25)와 제2슬라이더(27)가 고정되는데, 제1슬라이더(25)와 제2슬라이더(27)는 가이드 레일(R)(R')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슬라이더(25)의 브래킷(26)는 상기 전면 도어(12)의 피봇(12a)이 삽입 연결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27)의 브래킷(29)에는 상기 후면 도어(13)의 피봇(13a)이 삽입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연동식 도어 장치는 도어의 하중이 커질 경우, 구동 풀리와 벨트 사이에서 슬립(Slip)이 발생하여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통상 연동 도어 장치는 설계조건에 따라 3단 구조뿐만 아니라 2단, 또는 6단 등으로 변경 설치할 수 있는바, 종래 연동 도어 장치는 제1,2 슬라이더의 브래킷 체결 홀 안에 피봇이 쉽게 결합/분리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단수를 2단, 3단 또는 6단으로 변경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매우 힘들다.
또, 종래 연동 도어 장치는 제1,제2 슬라이더가 가이드 레일에 의해서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인 도어 연동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동 작동이 원활하며,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센터 도어와, 상기 센터 도어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상기 센터 도어의 배면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도어와,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연동시켜 슬라이드 개폐시키도록 상기 센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연동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도어 연동유닛은 상기 센터 도어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쪽에 각각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한쪽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쪽에 상기 제1 도어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랙 부가 형성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다른 쪽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쪽에 상기 제2 도어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랙 부가 형성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동일 직경을 가지며,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피동 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 기어가 동일 회전수를 갖도록 상기 피동 기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계기어; 상기 랙 부와 치합되도록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 기어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피니언; 및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센터 도어의 상면 양쪽에는 피봇이 설치되고, 상기 피봇은 상기 베이스의 양쪽에 형성된 삽입 홀에 삽입된다. 상기 피봇의 상부에는 리미트 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연결부의 삽입 홀에는 상기 제1 도어에 고정된 피봇이 삽입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연결부의 삽입 홀에는 상기 제2 도어에 고정된 피봇이 삽입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감속 기어 부와, 상기 센터 도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속 기어 부와 연결되는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는 도어 프레임 내에 제1 도어, 제2 도어, 제3 도어가 중첩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 상기 제3 도어가 순차적으로 개폐되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저 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들을 갖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가이드 홈들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홈들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제1,제2,제3슬라이더; 상기 제1,제2,제3 슬라이더의 하면에 각각 볼트 고정되며,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상기 제3 도어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피봇으로 상기 제1 도어, 제2 도어, 제3 도어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 상기 제2 도어 지지 브래킷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대 기어; 상기 대 기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대 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 기어; 상기 대 기어의 센터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제3 도어 지지 브래킷의 내측 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제2 래크; 상기 제3 도어 지지 브래킷에 고정되는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연결 브래킷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2 도어, 제3 도어를 순차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인 도어 연동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동작동이 원활하며,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피봇을 제1,제2 슬라이더의 연결부에 쉽게 결합/분리 가능하여 도어를 2단 또는 6단 구조로 변경 설치하는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니언 기어와 그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는 래크 구조를 채택하여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연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도어 연동 유닛의 위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2의 도어 연동 유닛을 구동하여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2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2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3은 도 1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4는 도 1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7은 도 15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8은 도 15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도어 연동 유닛의 위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2의 도어 연동 유닛을 구동하여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2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2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3은 도 1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4는 도 1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7은 도 15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8은 도 15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도어 연동 유닛의 위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2의 도어 연동 유닛을 구동하여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2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2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우선,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100)는 개구부(100a)에 설치되는 센터 도어(110)와, 상기 센터 도어(110)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100a)를 개폐하는 제1 도어(120)와, 상기 센터 도어(110)의 배면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100a)를 개폐하는 제2 도어(130)와, 상기 제1 도어(120)와 상기 제2 도어(130)를 연동시켜 슬라이드 개폐시키도록 상기 센터 도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연동유닛(도어 연동 수단)(140)을 구비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F)의 측면에는 상기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130)를 개폐시키는 개폐 버튼(B1)과 작동을 정지하는 정지버튼(B2)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100)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구부(100a)의 상부에는 지지판(101)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101)의 내측 면에는 슬라이드 홈(미 도시)을 갖는 3개의 가이드 레일, 즉 센터 가이드 레일(101a), 제1 가이드 레일(101b), 그리고 제2 가이드 레일(101c)이 상기 지지판(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센터 가이드 레일(101a)과 상응하여 상기 센터 도어(110)의 상부 양쪽에는 피봇(111)(112)이 설치되고, 제1 가이드 레일(101b)과 상응하여 상기 제1 도어(120)의 상부 양쪽에는 피봇(121)(122)이 설치되며, 제2 가이드 레일(101c)과 상응하여 상기 제2 도어(130)의 상부 양쪽에는 피봇(131)(132)이 설치된다.
상기 센터 도어(110), 상기 제1 도어(120), 상기 제2 도어(130)가 슬라이드 하면서 상기 개구부(10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피봇축들(111)(112), (121)(122),(131)(132)은 모두 상기 가이드레일들(101a)(101b)(101c)의 각 슬라이드 홈(101a-101c)에 탄력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상기 센터 도어(110)의 피봇(111)(112)에는 후술하는 상기 도어 연동유닛(140)의 베이스(141)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도어(120)의 일 측 피봇(121)은 상기 제1 슬라이더(143)의 연결부(143a)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도어(130)의 일 측 피봇(131)은 상기 제2슬라이더(144)의 연결부(144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43a)(144a)는 절개 홈 구조로 상기 피봇들(121)(131)을 간단하게 결합/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가 3개인 본 발명의 3단 구조에서 도어가 2개 설치된 2단 구조 또는 도어가 6개 설치되는 6단 구조로 변경할 때 변경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연동유닛(140)은 상기 센터 도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120)와 상기 제2 도어(130)를 연동시켜서 슬라이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 연동유닛(140)은 상기 센터 도어(1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41); 상기 베이스(141)의 양쪽에 각각 상기 베이스(14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42)(142'); 상기 한쪽의 가이드 레일(14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쪽에 상기 제1 도어(120)와 연결되는 연결부(143a)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랙 부(143b)가 형성되는 제1 슬라이더(143); 상기 제1 슬라이더(143)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다른 쪽의 가이드 레일(14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쪽에 상기 제2 도어(130)와 연결되는 연결부(144a)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랙 부(144b)가 형성되는 제2 슬라이더(144); 상기 베이스(14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145); 상기 구동기어(145)와 동일 직경 크기를 가지며,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14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피동 기어(146); 상기 구동기어(145)와 상기 피동 기어(146)가 동일 회전수를 갖도록 상기 피동 기어(14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계기어(147); 상기 랙 부(143b)(144b)와 치합(이맞물림)되도록 상기 구동기어(145)와 상기 피동 기어(146)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피니언(148); 및 상기 구동기어(145)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41)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유닛(149)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100)에 있어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로 상기 제2 도어(130)를 고정하면, 도어 연동 유닛(14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센터 도어(110)와 상기 제1 도어(120)가 도면상 오른쪽/왼쪽으로 연동하면서 개구부(100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도어 연동유닛(140)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베이스(141)가 상기 센터 도어(110)의 상면에 놓이고 그 양단부에 형성된 각 삽입 홀(H)에는 상기 센터 도어(110)의 상부 양쪽에 고정된 피봇(111)(112)이 삽입된다.
상기 피봇(111)(112)의 상부에는 리미트 부(115)가 설치된다. 상기 리미트 부(115)는 상기 센터 도어(110)의 피봇(111)(112)에 접촉되어 상기 센터 도어(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42)(142')은 상기 베이스(141)의 양쪽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는 데, 상기 베이스(14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가이드 홈(142a)이 형성된다.
한쪽의 가이드 레일(142)에는 제1 슬라이더(14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쪽의 가이드 레일(142')에는 제2 슬라이더(14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142)(142')과 상기 제1,제2 슬라이더(143)(144)는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마모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홈(142a)에 상응하여 상기 제1,제2 슬라이더(143)(144)에는 가이드 돌기(144c)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라이더(143)의 일 측에는 상기 제1 도어(120)의 상부에 고정된 피봇(121)이 삽입되는 삽입 홀(H)을 갖는 연결부(143a)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피니언(148)과 치합(齒合)되는 랙 부(143b)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라이더(144)의 일 측에는 상기 제2 도어(130)의 상부에 고정된 피봇(131)이 삽입되는 삽입 홀(H)을 갖는 연결부(144a)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피니언(148)과 치합되는 랙 부(144b)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145)는 상기 베이스(14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동 기어(146)는 상기 구동기어(145)를 중심으로 좌우 동일 수만큼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상기 구동기어(145)를 중심으로 좌우 6개의 피동 기어(146)가 배치된다.
상기 피동 기어(146)는 상기 구동기어(145)와 동일 직경 크기를 가지며,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14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중계기어(147)는 상기 구동기어(145)와 상기 피동 기어(146)가 동일 회전수를 갖도록 상기 구동기어(145)와 피동 기어(146) 사이 그리고 상기 피동 기어들(14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기어(145)와 상기 피동 기어(146)는 상기 제1,제2 슬라이더(143)(144)의 슬라이드 이동에 장애 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141)에 낮게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148)은 상기 구동기어(145)와 상기 피동 기어(146)의 상부 센터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바, 상기 랙 부(143b)(144b)와 치합(이맞물림)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유닛(149)은 상기 구동기어(145)를 적당한 속도로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141)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유닛(149)은 상기 베이스(14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145)와 연결되는 감속 기어 부(149a)와, 상기 센터 도어(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속 기어 부(149a)와 연결되는 구동모터(149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폐 버튼(B1)을 조작하여 구동유닛(195)을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구동모터(149b)의 회전력이 감속 기어 부(149a)에 전달되고, 상기 감속 기어 부(149a)는 적당한 속도로 구동기어(14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중계기어(147)에 의해서 피동기어들(148)이 동일 회전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피동기어(146)와 함께 피니언(148)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슬라이더(143)의 랙크 부(143b)와 상기 제2 슬라이더(144)의 랙크 부(144b)가 상기 피니언(148)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슬라이더(143)와 상기 제2 슬라이더(144)는 각 가이드 레일(142)(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라이더(143)의 연결부(143a)에는 제1 도어(120)의 피봇(11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슬라이더(144)의 연결부(144a)에는 제2 도어(130)의 피봇(13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슬라이더(143)와 상기 제2 슬라이더(144)는 가이드 레일(142)(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 결국 상기 센터 도어(110)와 상기 제1 도어(120)가 동시에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개구부(100a)를 폐쇄한다.
반대로, 개폐 버튼(B1)을 조작하여 구동유닛(195)을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구동모터(149b)의 회전력이 감속 기어 부(149a)에 전달되고, 상기 감속 기어 부(149a)는 적당한 속도로 구동기어(145)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중계기어(147)에 의해서 피동기어들(148)이 동일 회전수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피동기어(146)와 함께 피니언(148)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슬라이더(143)의 랙크 부(143b)와 상기 제2 슬라이더(144)의 랙크 부(144b)가 상기 피니언(148)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슬라이더(143)와 상기 제2 슬라이더(144)는 각 가이드 레일(142)(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라이더(143)의 연결부(143a)에는 제1 도어(120)의 피봇(11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슬라이더(144)의 연결부(144a)에는 제2 도어(130)의 피봇(13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슬라이더(143)와 상기 제2 슬라이더(144)가 가이드 레일(142)(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 결국 상기 센터 도어(110)와 상기 제1 도어(120)가 동시에 왼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개구부(100a)를 개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외에는 들어오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S)가 설치되고, 실내에는 도어 연동 장치(140)를 작동시키는 개폐버튼(B1) 및 정지버튼(B2)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버튼(B1) 및 정지버튼(B2)은 유아/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적당 높이에 설치됨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 긴급상황이나 필요에 의해서 연동 도어 장치(100)를 멈추고자 하는 경우, 정지버튼(B2)을 조작하여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100)를 정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200)는 베이스(241)가 센터 도어(미 도시)의 상면에 놓이고 그 양단부에 형성된 각 삽입 홀(H)에는 상기 센터 도어의 상부 양쪽에 고정된 피봇(211)(212)이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241)의 하부에는 리미트 부(215)가 설치된다. 상기 리미트 부(215)는 상기 제1,제2 슬라이더(143)(144)에 접촉되어 상기 도어들(미도시)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300)는 센터 도어(3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 도어(320)와 후면 도어(3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센터 도어(310)의 상부에는 연동장치(3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장치(340)의 베이스 판(341) 양쪽에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342)와, 타이밍 벨트(343)에 의해 상기 구동 풀리(342)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동기어(34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342)와 타이밍 벨트(343)는 치합(齒合)되므로,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타이밍 벨트(343)에는 제1슬라이더(343a)와 제2슬라이더(344a)가 고정되는데, 상기 제1슬라이더(343a)와 제2슬라이더(344a)는 가이드 레일(345)(34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더(343a)의 브래킷(B1)은 상기 전면 도어(320)의 피봇(320a)이 삽입 연결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344a)의 브래킷(B2)에는 상기 후면 도어(330)의 피봇(330a)이 삽입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300)는 구동기어(342)와, 타이밍 벨트(343)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구동모터의 동력이 모두 타이밍 벨트(343)에 전달되어, 도어의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도어들(310)(320)이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장치(400)는 도어 프레임(F:도 2 참조) 내에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가 중첩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D1)가 상기 도어 프레임(F)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D1), 상기 제3 도어(D3)가 순차적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F)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저 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을 갖는 가이드 레일(411)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410); 상기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제1,제2,제3슬라이더(421)(422)(423); 상기 제1,제2,제3 슬라이더(421)(422)(423)의 하면에 각각 볼트(B) 고정되며,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피봇(P)으로 상기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1)(432)(433); 상기 제2 도어 지지 브래킷(432)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대 기어(440); 상기 대 기어(44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대 기어(44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 기어(450); 상기 대 기어(440)의 센터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피니언 기어(460); 상기 피니언 기어(460)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1)(433)의 내측 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제2 래크(471)(472); 상기 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3)에 고정되는 연결 브래킷(480); 및 상기 연결 브래킷(480)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순차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410)에 설치되는 구동수단(490);을 구비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410)은 상기 도어 프레임(F)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바, 상기 상부 프레임(410)의 저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을 갖는 가이드 레일(41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에는 각각 제1,제2,제3슬라이더(421)(422)(42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제2,제3 슬라이더(421)(422)(423)의 하면에는 각각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1)(432)(433)이 볼트(B) 고정되어 있으며,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1)(432)(433)은 각각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 상부에 위치하고 피봇(P)으로 상기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상방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대 기어들(440)은 제2 도어 지지 브래킷(432)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 기어들(450)은 상기 대 기어(44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대 기어들(44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460)는 상기 대 기어(440)의 센터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460)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1)(433)의 내측 면에 제1,제2 래크(471)(472)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3)에는 볼트(미 도시)에 의해서 연결 브래킷(480)이 고정된다.
상기 구동수단(490)은 상기 상부 프레임(410)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491); 상기 마운팅 브래킷(491)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 풀리(492); 상기 마운팅 브래킷(491)의 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풀리(493); 상기 구동 풀리(492)와 상기 종동 풀리(493)를 연결하는 타이밍 밸트(494); 및 상기 구동 풀리(49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95);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410)의 전면 혹은 근처에는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S)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S)에 의해서 구동모터(495)를 구동시켜서 제1 도어(D1)와 상기 제2 도어(D2)를 순차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장치(4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S)에 의해서 구동모터(495)가 구동 풀리(492)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D2)와 제3 도어(D3)를 개방한 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하는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구동모터(495)가 구동 풀리(49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타이밍 밸트(494)에 연결된 연결 브래킷(480)을 화살표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이때 제3 슬라이더(423)가 가이드 홈(411c)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3 도어(D3)와 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3)과 제2 래크(472)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460)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제1 래크(471)와 제2 래크(472)가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니언 기어(460)가 회전하면, 제2 래크(472)가 고정된 제1 도어 지지 브래킷(431)과 제1 도어(D1)는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하지만, 상기 제1 도어(D1)가 도어 프레임(F)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슬라이더(422)가 가이드 홈(411b)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2 도어 지지 브래킷(432)과 제2 도어(D2)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3 도어(D3)와 제2 도어(D2)가 순차적으로 폐쇄된다.
상기 제3 도어(D3)와 제2 도어(D2)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는 동작은 센서(S)에 의해서 구동모터(495)가 구동풀리(492)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는바,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대 기어들(440) 사이에 위치한 소 기어들(450)은 대 기어(440)의 센터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들(460)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5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장치(500)는 도어 프레임(F:도 2 참조) 내에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가 중첩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D1)가 상기 도어 프레임(F)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가 순차적으로 개폐되는 구조로서, 상기 도어 프레임(F)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저 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들(511a)(511b)(511c)을 갖는 가이드 레일(511)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510)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홈들(511a)(511b)(511c)에 각각 제1,제2,제3슬라이더(521)(522)(523)가 삽입되며, 제1,제2,제3슬라이더(521)(522)(523)는 상기 가이드 홈들(511a)(511b)(511c)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제2,제3 슬라이더(521)(522)(523)의 하면에는 각각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531)(532)(533)이 볼트(B) 고정된다. 상기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531)(532)(533)은 각각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 상부에 위치하여 피봇(P)으로 상기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도어 지지 브래킷(532)의 상면에 피니언 기어(56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560)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제3 도어 지지 브래킷(531)(533)의 내측 면에는 제1,제2 래크(571)(572)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3 도어 지지 브래킷(533)에는 연결 브래킷(580)이 고정된다.
상기 연결 브래킷(580)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순차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510)에는 구동수단(59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수단(590)의 구성은 전술한 구동수단(49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장치(5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D2)와 제3 도어(D3)를 개방 상태(open)에서, 폐쇄상태(close)로 전환하는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구동수단(590)에 의해서 연결 브래킷(480)이 화살표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때 제3 슬라이더(523)가 가이드 홈(511c)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3 도어(D3)와 제3 도어 지지 브래킷(533)과 제2 래크(572)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560)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제1 래크(571)와 제2 래크(572)가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니언 기어(560)가 회전하면, 제2 래크(572)가 고정된 제1 도어 지지 브래킷(531)과 제1 도어(D1)는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하지만, 상기 제1 도어(D1)가 도어 프레임(F)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슬라이더(522)가 가이드 홈(511b)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2 도어 지지 브래킷(532)과 제2 도어(D2)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3 도어(D3)와 제2 도어(D2)가 순차적으로 폐쇄된다. 상기 제3 도어(D3)와 제2 도어(D2)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는 동작은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장치(600)는 고정벽체(W1)와 가변벽체(W2)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저 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들(미도시)을 갖는 가이드 레일(611)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610);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620); 상기 슬라이더(620)의 하면에 볼트(B) 고정되며, 상기 도어(D)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피봇(P)으로 상기 도어(D)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도어 지지 브래킷(630); 상기 도어 지지 브래킷(63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660); 상기 피니언 기어(660)에 치합되도록 상기 도어 지지 브래킷(630)의 내측 면에 고정 설치되는 래크(670); 상기 도어 지지 브래킷(630)에 고정되는 연결 브래킷(680); 및 상기 연결 브래킷(680)을 이동시켜서 상기 도어(D)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610)에 설치되는 구동수단(69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을 갖는 가이드 레일은 전술한 것과 동일형상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장치(600)는 도어 1개가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고정벽체(W1)와 가변벽체(W2) 사이의 개구부를 도어(D)가 슬라이딩 하면서 개폐한다. 이때 도어(D)는 가변벽체(W2) 안으로 내장되어 외관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인 도어 연동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동작동이 원활하며,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피봇을 제1,제2 슬라이더의 연결부에 쉽게 결합/분리 가능하여 도어를 2단 또는 6단 구조로 변경 설치하는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니언 기어와 그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는 래크 구조를 구성하여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1단 및 3단 도어를 설명하고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2단 또는 6단 구조로 변경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100a: 개구부
110: 센터 도어
120: 제1 도어
130: 제2 도어
140: 도어 연동유닛(도어 연동 수단)
B1: 개폐 버튼
B2: 정지버튼
B: 브래킷
101: 지지판
101a: 센터 가이드 레일
101b: 제1 가이드 레일
101c: 제2 가이드 레일
111,112: 센터 도어의 피봇
115: 리미트 부
121,122: 제1 도어의 피봇
131,132: 제2 도어의 피봇
140: 도어 연동유닛
141: 베이스
142,142': 가이드 레일
142a: 가이드 홈
143: 제1 슬라이더
143a: 제1 슬라이더의 연결부
143b: 제1 슬라이더의 랙 부
144: 제2 슬라이더
144a: 제2 슬라이더의 연결부
144b: 제2 슬라이더의 랙 부
144c: 가이드 돌기
145: 구동기어
146: 피동 기어
147: 중계기어
148: 피니언
149: 구동유닛
149: 구동유닛
149a: 감속 기어 부
149b: 구동모터
H: 삽입 홀
F: 도어 프레임
D1: 제1 도어
D2: 제2 도어
D3: 제3 도어
411a,411b,411c: 가이드 홈
411: 가이드 레일
410: 상부 프레임
421,422,423: 제1,제2,제3슬라이더
B: 볼트
P: 피봇
431,432,433: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
440: 대 기어
450: 소 기어
460: 피니언 기어
471,472:제1,제2 래크
480: 연결 브래킷
490: 구동수단
100a: 개구부
110: 센터 도어
120: 제1 도어
130: 제2 도어
140: 도어 연동유닛(도어 연동 수단)
B1: 개폐 버튼
B2: 정지버튼
B: 브래킷
101: 지지판
101a: 센터 가이드 레일
101b: 제1 가이드 레일
101c: 제2 가이드 레일
111,112: 센터 도어의 피봇
115: 리미트 부
121,122: 제1 도어의 피봇
131,132: 제2 도어의 피봇
140: 도어 연동유닛
141: 베이스
142,142': 가이드 레일
142a: 가이드 홈
143: 제1 슬라이더
143a: 제1 슬라이더의 연결부
143b: 제1 슬라이더의 랙 부
144: 제2 슬라이더
144a: 제2 슬라이더의 연결부
144b: 제2 슬라이더의 랙 부
144c: 가이드 돌기
145: 구동기어
146: 피동 기어
147: 중계기어
148: 피니언
149: 구동유닛
149: 구동유닛
149a: 감속 기어 부
149b: 구동모터
H: 삽입 홀
F: 도어 프레임
D1: 제1 도어
D2: 제2 도어
D3: 제3 도어
411a,411b,411c: 가이드 홈
411: 가이드 레일
410: 상부 프레임
421,422,423: 제1,제2,제3슬라이더
B: 볼트
P: 피봇
431,432,433: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
440: 대 기어
450: 소 기어
460: 피니언 기어
471,472:제1,제2 래크
480: 연결 브래킷
490: 구동수단
Claims (7)
- 개구부에 설치되는 센터 도어와, 상기 센터 도어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상기 센터 도어의 배면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도어와,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연동시켜 슬라이드 개폐시키도록 상기 센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연동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도어 연동유닛은
상기 센터 도어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쪽에 각각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한쪽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쪽에 상기 제1 도어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랙 부가 형성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다른 쪽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쪽에 상기 제2 도어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랙 부가 형성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동일 직경을 가지며,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피동 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 기어가 동일 회전수를 갖도록 상기 피동 기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계기어;
상기 랙 부들과 치합되도록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 기어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피니언; 및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도어의 상면 양쪽에는 피봇이 설치되고, 상기 피봇은 상기 베이스의 양쪽에 형성된 삽입 홀에 삽입되며, 상기 피봇의 상부에는 리미트 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연결부의 삽입 홀에는 상기 제1 도어에 고정된 피봇이 삽입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연결부의 삽입 홀에는 상기 제2 도어에 고정된 피봇이 삽입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감속 기어 부와; 상기 센터 도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속 기어 부와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판 양쪽에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피동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는 타이밍 벨트에 의해 연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에는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가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도어 프레임(F) 내에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가 중첩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D1)가 상기 도어 프레임(F)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D1), 상기 제3 도어(D3)가 순차적으로 개폐되는 연동식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F)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저 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을 갖는 가이드 레일(411)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410); 상기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홈들(411a)(411b)(411c)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제1,제2,제3슬라이더(421)(422)(423); 상기 제1,제2,제3 슬라이더(421)(422)(423)의 하면에 각각 볼트(B) 고정되며,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피봇(P)으로 상기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1)(432)(433); 상기 제2 도어 지지 브래킷(432)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대 기어(440); 상기 대 기어(44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대 기어(44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 기어(450); 상기 대 기어(440)의 센터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피니언 기어(460); 상기 피니언 기어(460)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1)(433)의 내측 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제2 래크(471)(472); 상기 제3 도어 지지 브래킷(433)에 고정되는 연결 브래킷(480); 및 상기 연결 브래킷(480)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순차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410)에 설치되는 구동수단(490);을 포함하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90)은
상기 상부 프레임(410)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491); 상기 마운팅 브래킷(491)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 풀리(492); 상기 마운팅 브래킷(491)의 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 풀리(493); 상기 구동 풀리(492)와 상기 종동 풀리(493)를 연결하는 타이밍 밸트(494); 및 상기 구동 풀리(49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95);를 포함하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도어 프레임(F) 내에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가 중첩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D1)가 상기 도어 프레임(F)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가 순차적으로 개폐되는 연동식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F)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저 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들(511a)(511b)(511c)을 갖는 가이드 레일(511)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510);
상기 가이드 홈들(511a)(511b)(511c)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홈들(511a)(511b)(511c)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제1,제2,제3슬라이더(521)(522)(523);
상기 제1,제2,제3 슬라이더(521)(522)(523)의 하면에 각각 볼트(B) 고정되며,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피봇(P)으로 상기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제1,제2,제3 도어 지지 브래킷(531)(532)(533);
상기 제2 도어 지지 브래킷(53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560);
상기 피니언 기어(560)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제3 도어 지지 브래킷(531)(533)의 내측 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제2 래크(571)(572);
상기 제3 도어 지지 브래킷(533)에 고정되는 연결 브래킷(580); 및
상기 연결 브래킷(580)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2 도어(D2), 제3 도어(D3)를 순차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510)에 설치되는 구동수단(590);을 포함하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벽체(W)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저 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들(611a)(611b)(611c)을 갖는 가이드 레일(611)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610);
상기 가이드 홈(611a)(611b)(611c)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홈(611a)(611b)(611c)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620);
상기 슬라이더(620)의 하면에 볼트(B) 고정되며, 상기 도어(D)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피봇(P)으로 상기 도어(D)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도어 지지 브래킷(630);
상기 도어 지지 브래킷(63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660);
상기 피니언 기어(660)에 치합되도록 상기 도어 지지 브래킷(630)의 내측 면에 고정 설치되는 래크(670);
상기 도어 지지 브래킷(630)에 고정되는 연결 브래킷(680); 및
상기 연결 브래킷(680)을 이동시켜서 상기 도어(D)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610)에 설치되는 구동수단(690);을 포함하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03062 | 2009-03-17 | ||
KR2020090003062 | 2009-03-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5375A true KR20100105375A (ko) | 2010-09-29 |
Family
ID=4300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6171A KR20100105375A (ko) | 2009-03-17 | 2010-02-23 |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05375A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3838B1 (ko) * | 2011-11-03 | 2012-04-06 | 허숙희 | 도어의 연동 유닛 및 이를 갖는 연동 도어 장치 |
KR200465550Y1 (ko) * | 2012-08-29 | 2013-02-25 | 정준호 | 자동 미닫이 도어 |
KR101368140B1 (ko) * | 2012-07-13 | 2014-02-28 | 권영인 | 티그용접토치 자동 위빙장치 |
KR101649494B1 (ko) * | 2016-02-17 | 2016-08-19 | 한양종합방재 주식회사 | 비상문 자동 개폐형 도어 |
CN107100501A (zh) * | 2017-05-27 | 2017-08-29 |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 一种移门升降结构及具有移门升降结构的淋浴房 |
KR20190090937A (ko) * | 2018-01-26 | 2019-08-05 | 주식회사 현대자동문 | 슬라이딩 자동 도어 장치 |
CN110206463A (zh) * | 2019-07-10 | 2019-09-06 | 德屹智能科技(扬州)有限公司 | 一种双层自动升降门 |
CN111877911A (zh) * | 2020-07-27 | 2020-11-03 | 南通大学 | 一种j形活动轨道开窗器 |
CN113153129A (zh) * | 2021-03-19 | 2021-07-23 | 深圳市财门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悬浮门 |
CN113187341A (zh) * | 2021-03-19 | 2021-07-30 | 深圳市财门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直线门 |
CN116163637A (zh) * | 2023-01-20 | 2023-05-26 | 山东赛维环保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机械式隔热照明系统的防火门 |
-
2010
- 2010-02-23 KR KR1020100016171A patent/KR20100105375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3838B1 (ko) * | 2011-11-03 | 2012-04-06 | 허숙희 | 도어의 연동 유닛 및 이를 갖는 연동 도어 장치 |
KR101368140B1 (ko) * | 2012-07-13 | 2014-02-28 | 권영인 | 티그용접토치 자동 위빙장치 |
KR200465550Y1 (ko) * | 2012-08-29 | 2013-02-25 | 정준호 | 자동 미닫이 도어 |
KR101649494B1 (ko) * | 2016-02-17 | 2016-08-19 | 한양종합방재 주식회사 | 비상문 자동 개폐형 도어 |
CN107100501B (zh) * | 2017-05-27 | 2022-10-25 |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 一种移门升降结构及具有移门升降结构的淋浴房 |
CN107100501A (zh) * | 2017-05-27 | 2017-08-29 |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 一种移门升降结构及具有移门升降结构的淋浴房 |
KR20190090937A (ko) * | 2018-01-26 | 2019-08-05 | 주식회사 현대자동문 | 슬라이딩 자동 도어 장치 |
CN110206463A (zh) * | 2019-07-10 | 2019-09-06 | 德屹智能科技(扬州)有限公司 | 一种双层自动升降门 |
CN110206463B (zh) * | 2019-07-10 | 2024-04-09 | 德屹智能科技(扬州)有限公司 | 一种双层自动升降门 |
CN111877911A (zh) * | 2020-07-27 | 2020-11-03 | 南通大学 | 一种j形活动轨道开窗器 |
CN111877911B (zh) * | 2020-07-27 | 2021-12-03 | 南通大学 | 一种j形活动轨道开窗器 |
CN113153129A (zh) * | 2021-03-19 | 2021-07-23 | 深圳市财门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悬浮门 |
CN113153129B (zh) * | 2021-03-19 | 2023-03-07 | 深圳市财门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悬浮门 |
CN113187341A (zh) * | 2021-03-19 | 2021-07-30 | 深圳市财门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直线门 |
CN116163637A (zh) * | 2023-01-20 | 2023-05-26 | 山东赛维环保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机械式隔热照明系统的防火门 |
CN116163637B (zh) * | 2023-01-20 | 2023-12-26 | 浙江正合工贸有限公司 | 一种基于机械式隔热照明系统的防火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105375A (ko) |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
EP2032791B1 (en) | Cabinet or similar article of furniture with a sliding foldaway door | |
EP2861517B1 (en) | Lift cage door provided with an improved blocking/releasing device of the mechanism | |
EP1710380B1 (en) | Movable body driving device and automatic drawing device | |
US20090301821A1 (en) | Elevator entrance apparatus | |
CA1228377A (en) | Apparatus for opening aligned sliding doors of furniture | |
JP2015531836A (ja) | 電動クロージャアセンブリキット | |
US20070194674A1 (en) | Lifting and Barrier Mechanism | |
US4984387A (en) | Door drive mechanism adapter unit | |
US5172742A (en) | Panel shutter device | |
KR19990029094A (ko) | 슬라이딩 벽 | |
US20240122340A1 (en) | Powered Carousel Shelf System For Cabinets | |
TW201708685A (zh) | 分割門構造 | |
KR20120069910A (ko) | 행거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
US20060175027A1 (en) | Sectional door | |
CN101235695A (zh) | 一种客车门机系统 | |
JP2016130128A (ja) | 2段伸縮ホームドア装置 | |
KR20150081376A (ko) | 3연동 슬라이딩 도어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 |
US5918418A (en) | Overhead door operator | |
EP3634899B1 (en) | Device for actuating elevator doors | |
JP3696940B2 (ja) | 自動開閉装置を備えた横開きシャッター | |
JP7510043B2 (ja) | 扉構造 | |
KR200446454Y1 (ko) |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
JP2008285296A (ja) |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及びその開閉装置 | |
KR101055680B1 (ko) |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