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933A -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933A
KR20100104933A KR1020090023671A KR20090023671A KR20100104933A KR 20100104933 A KR20100104933 A KR 20100104933A KR 1020090023671 A KR1020090023671 A KR 1020090023671A KR 20090023671 A KR20090023671 A KR 20090023671A KR 20100104933 A KR20100104933 A KR 20100104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ser
unit
decorative material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074B1 (ko
Inventor
최만휴
김영묵
길도현
강구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07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은, 장식용 패턴을 포함하며 빛 투과성을 갖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의 상기 장식용 패턴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발광특성을 갖는 복수개의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백라이트부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와; 상기 사용자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접근 상태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장식재, 필름, 조명, 백라이트

Description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DECORATING MATERIAL WITH BACKLIGH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실시예는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식재는 생활공간을 아름답게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가구, 가전제품, 전자제품 등의 외장 혹은 내장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해, 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 장식재가 널리 사용되었다.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장식재는 합성수지 시트, 필름, 패널 등에 패턴을 평면 인쇄하고 색상효과를 부여한 후 투명한 표면층을 코팅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합성수지 장식재는, 평면 패턴의 단순 반복 및 패턴 색상의 단순성 등으로 인해, 소비자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이를 개선한 것으로, 표면에 입체패턴을 형성하거나, 입체패턴 상에 투명층을 접착하여 평평한 표면을 가지면서 내부에 구비된 입체무늬로 인해 입체효과를 갖는 장식재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장식재는 섬세한 패턴을 형성하거나 다양한 입체감과 색상 등을 부여하는 데에 기술적 한계가 있으며, 특히, 조도가 낮은 곳에서는 전혀 장식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입체감과 그라데이션 등의 심미적 효과가 우수하고 조도가 낮은 장소에서도 뛰어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력효율이 우수한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의한 발광형 장식재는, 장식용 패턴을 포함하며 빛 투과성을 갖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의 상기 장식용 패턴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발광특성을 갖는 복수개의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백라이트부와; 상기 백라이트부의 구동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구동정보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한 발광형 장식재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접근 상태에 따라, 장식용 패턴을 포함하며 투광부에 공급되는 조명광의 점멸상태와,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입체감과 그라데이션 등의 심미적 효과가 우수하고 조도가 낮은 장소에서도 뛰어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력효율과 내구성이 우수한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플레이트, 막, 부재, 마스크 또는 층 등이 각 플레이트, 부재, 막, 마스크 또는 층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의 사용 상태도로서, 발광형 장식재(15)를 냉장고 케이스에 부착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0)를 포함한다.
도어(10)는 냉장실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11) 및 냉동실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12)로 나누어지며, 냉장실 도어(11) 및 냉동실 도어(12)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냉장고의 도어(10)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핸들(21)을 포함한다. 또한, 냉동실 도어(12)에는 냉장고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 플레이부(41)와 냉장고 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4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은 항상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으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발광형 장식재(15)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광형 장식재(15)의 구성과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15)는,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백라이트부(200)와, 사용자 설정을 위한 입력부(500)와, 백라이트부(2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사용자 설정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400)와,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600)와, 사용자 감지부(600)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과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백라이트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장식용 요철패턴을 포함하며 백라이트부(200)로부터 조명광을 제공받는 투광부(100)를 포함한다.
투광부(100)는 백라이트부(200)가 제공하는 조명광을 투과시켜, 백라이트부(200)의 발광 색상 및 조도 등에 따라 발광형 장식재의 색상 및 조명효과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투광부(100)에는 장식용 패턴이 형성되며 필름이나 패널 등의 광 투과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투광부(100)에 형성된 장식용 패턴에는, 모양, 색상, 요철의 크기, 깊이, 피치(pitch) 등의 특성이 다양하게 부여될 수 있다.
백라이트부(200)는 투광부(100)에 형성된 장식 패턴의 특성에 따른 조명광을 제공한다. 백라이트부(200)는 조명광의 제공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반도체 레이저 등, 다양한 종류의 발 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하여 투광부(100)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기로 한다. 백라이트부(200)가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는 경우, 다양한 색상의 LED를 배열하여 백라이트부(200)의 색상이 변화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부(500)는 백라이트부(200)의 발광 색상이나, 조도, 점멸 주기,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이러한 입력부(500)는, 복수개의 버튼, 스위치, 터치패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42, 도 1참조)가 발광형 장식재의 구동설정을 위한 입력부(5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부(400)에는 백라이트부(200)의 제어를 위한 구동정보가 저장되며, 구동정보는 소정의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부(200)의 구동과 관련된 사용자 설정정보도 메모리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구동정보는 설계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해 새로운 구동정보를 설정하거나,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감지부(600)는 발광형 장식재(15)의 주변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부(600)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IR(Infrared)센서,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센서, 열 감지 센서, 광학 센서 등, 감지영역 내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부(600)에 적용된 센서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 유무뿐 아니라 사용자와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0)는 사용자 감지부(600)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에 따라 백라이트부(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300)는 평상시에 백라이트부(200)를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 감지부(600)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백라이트부(200)가 턴온(turn o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발광형 장식재(15)의 주변에 사용자가 접근 하는 경우에 한해 백라이트부(200)를 턴온시켜 조명광을 공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백라이트부(200)를 오프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전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부(2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어부(300)는 사용자 감지부(600)가 사용자의 이격거리(d)를 측정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와의 이격거리(d)에 따라 각기 상이한 조명광이 제공되도록 백라이트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소정 기준거리(k)보다 멀리 있는 경우와 가까이 있는 경우, 각기 다른 조도, 혹은, 색상의 조명광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사용자와의 이격거리(d)가 기준거리(k)보다 큰 경우, 즉, 사용자가 멀리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조도를 낮추고, 사용자와의 이격거리(d)가 기준거리(k)보다 작은 경우, 혹은, 접촉한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조도의 조명광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사용자와의 이격거리(d)가 기준거리(k)보다 큰 경우와 이격거리(d)가 기준거리(k)보다 작은 경우,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광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0)는 백라이트부(200)에 포함된 복수개의 LED가 소정 색깔 별로 점멸하도록 함으로써, 백라이트부(200)의 색상을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백라이트부(20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각 LED의 조도를 제 어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부(200)의 점멸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부(300)의 제어기능은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입력부(50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 혹은 해제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감지부(600)의 감지값은 전류의 크기의 형태로 출력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사용자 감지부(600)의 감지값과 백라이트부(200)의 구동전류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도 사용자 근접 여부에 따라 백라이트부(200)가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감지부(600)의 감지값인 센싱전류가 백라이트부(200)의 구동 칩의 GPIO로 연결되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는 사용자 감지부(600)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 유무를 감지하여 백라이트부(200)의 점멸상태, 조도, 색상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장식용 요철패턴이 형성된 투광부(100)의 장식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을 위한 전원을 절약하고 백라이트부(2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의 투광부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100)는, 자외선 경화수지(110)를 이용한 요철패턴이 형성된 고분자 필름(140)과, 요철패턴 면에 메탈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한 메탈층(120)과, 메탈층(120) 상에 형성된 보호층(130)과, 요철패턴이 형성되지 아니한 고분자 필름(140) 면에 형성된 접착층(150) 및 접착층(150)에 의해 접착된 투명층(160)를 포함한다.
자외선 경화수지(110)는 몰드를 이용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양각 혹은 음각의 섬세한 요철패턴을 가질 수 있다.
메탈층(120)은 메탈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PVD(Physical Vapor Deposition)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금, 메탈필름 라미네이트 방식 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탈층(120)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백라이트 조명광의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메탈층(120)의 두께에 따라 투명 혹은, 반투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호층(130)은 증착면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등의 복합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PTN인쇄, 필름 라미네이션, 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색상으로 착색된 보호층(130)을 형성하여 장식재의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접착층(150)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경화 후에도 투명성을 유지하여 양각 패턴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투명층(160)에 우수한 접착성을 제공할 수 있다.
투명층(160)은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패널이나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리는 일반유리, 강화유리, 접합유리 등의 통상의 유리 제품이 모두 사용될 수 있고, 또한 투명 플라스틱 패널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패널이나 유연성의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층(160)은 각각의 사용목적에 맞추어 다양한 두께의 투명판이 사용 될 수 있으며, 하부의 요철패턴 및 메탈층(120)으로부터 현출되는 문양을 나타내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투광부(100)는 입체적인 요철패턴을 갖는 동시에, 백라이트부(200)에서 제공하는 조명광을 외부로 투광시킬 수 있다. 백라이트부(200)는 투광부(100)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부(200)가 "A"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투광부(100)의 투명층(160)을 통해 조명광이 발광하고, 백라이트부(200)가 "B"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양각 패턴 및 보호층(130)을 통해 조명광이 발광한다. 여기서 설명한 투광부(10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 투광부(100)는 백라이트부(200)의 조명광을 통과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의 구동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형 장식재는, 요철패턴이 형성된 투광부(100)와 투광부(100)에 조명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부(200)를 포함하며, 투광부(100)와 백라이트부(20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존재한다.
투광부(100)는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제1영역(a'), 제2영역(b'), 제3영역(c')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영역(a', b', c')은 홈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해당 영역에 따라 홈 패턴의 깊이, 폭, 피치(pitch) 등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패턴의 깊이, 폭, 피치 등을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 홈 패턴 자체로도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백라이트부(200)는 투광부(100)의 요철패턴에 조명광을 제공하여, 투광 부(100)에 형성된 홈 패턴의 입체감을 향상시키고 홈 패턴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백라이트부(200)는 조명광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부(200)는, 투광부(100)에 형성된 패턴의 모양, 크기, 홈 패턴의 깊이, 폭, 피치 등에 따라 각기 상이한 색상, 조도, 크기 등을 갖는 LED를 다양한 형태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영역(a')을 조명하는 제1백라이트(a)와, 제2영역(b')을 조명하는 제2백라이트(b)와, 제3영역(c')을 조명하는 제3백라이트(c)의 색상을 각기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백라이트(a), 제2백라이트(b), 제3백라이트(c)의 조도를 각기 다르게 설정하여, 투광부(100)의 요철패턴에 입체감과 그라데이션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설정정보에 따라, 투광부(100)에 공급되는 조명의 조도와 색상 및 점멸 상태가 제어되도록, 백라이트부(200)에 포함된 각 LED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투광부(100)와 백라이트부(200)를 소정 이격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요철패턴이 자연스럽게 투영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광부(100)와 백라이트부(200) 간의 이격 간격은, 발광형 장식재의 설치 조건과 투광부(100)의 투광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발광형 장식재를 냉장고 케이스에 장착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투광부(100)를 사용하는 경우, 장식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투광부(100)와 백라이트부(200) 간의 이격 간격을 1mm~50mm 정도 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입력부(500)를 통해 사용자 접근 여부에 따라 조명이 제어되는 자동조명 제어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100).
자동조명 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300)는 사용자 감지부(600)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S120).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지 아니한 경우, 제어부(300)는 백라이트부(200)가 오프(off)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130).
사용자 감지부(600)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300)는 사용자와의 거리(d)를 산출한다(S140). 여기서, 사용자 감지부(600)가 거리 산출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와의 거리(d)는 사용자 감지부(600)에서 산출되어 제어부(30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사용자와의 거리(d)에 따라 조명기능을 제어한다(S150). 제어부(300)는 기 설정된 기준값(k)과 사용자와의 거리(d)를 비교하여 백라이트부(200)의 조도 혹은 색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기준값(k)보다 사용자가 멀리 있는 경우(d>=k)와 가까이 있는 경우(d<k), 혹은, 사용자가 접촉한 경우(d=0)에 따라 각기 다른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가 사용자의 접근 유무에 따라, 백라이트부(200)의 단순 온/오프 기능만을 제공하는 경우, S140단계 및 S150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는, 투광부(100)에 형성된 요철 패턴에 백라이트부(200)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 및 조도를 갖는 조명광을 공급하여, 요철패턴의 입체감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며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는 사용자의 접근에 따라 조명광을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조명기능 제공을 위한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백라이트부(2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광형 장식재는, 냉장고, 에어컨, 공기 청정기, 정수기 등의 가전제품이나, 장롱, 서랍장, 싱크대 등의 가구 및 벽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의 투광부의 구성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의 구동 상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장식재의 제어 흐름도.

Claims (9)

  1. 장식용 패턴을 포함하며 빛 투과성을 갖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의 상기 장식용 패턴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발광특성을 갖는 복수개의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백라이트부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와;
    상기 사용자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접근 상태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광형 장식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지부는, IR(Infrared)센서, 초음파 센서, 열 감지 센서, 광학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형 장식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부는,
    색상, 조도, 크기, 배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상호 상이한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발광형 장식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부의 점멸상태와, 상기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발광형 장식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층은,
    자외선 경화수지로 형성된 요철패턴을 갖는 고분자필름을 포함하는 발광형 장식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층은,
    상기 요철패턴 면에 코팅된 메탈층과;
    상기 메탈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과;
    상기 요철패턴이 형성되지 아니한 고분자 필름 면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에 의해 접착된 투명층을 포함하는 발광형 장식재.
  7.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접근 상태에 따라, 장식용 패턴을 포함하며 투광부에 공급되는 조명광의 점멸상태와,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형 장식재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접근 상태에 따라, 장식용 패턴을 포함하며 투광부에 공급되는 조명광의 점멸상태와,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조명광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형 장식재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접근 상태에 따라, 장식용 패턴을 포함하며 투광부에 공급되는 조명광의 점멸상태와,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명광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형 장식재의 제어방법.
KR1020090023671A 2009-03-19 2009-03-19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 KR101567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671A KR101567074B1 (ko) 2009-03-19 2009-03-19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671A KR101567074B1 (ko) 2009-03-19 2009-03-19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933A true KR20100104933A (ko) 2010-09-29
KR101567074B1 KR101567074B1 (ko) 2015-11-13

Family

ID=4300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671A KR101567074B1 (ko) 2009-03-19 2009-03-19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0107A (zh) * 2022-01-24 2022-04-12 江苏超能新材料科技有限公司 具有装饰拉手的通顶柜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982B2 (ja) 1996-05-13 2001-01-09 株式会社山武 流量測定装置
KR200296222Y1 (ko) 2002-08-20 2002-11-23 주식회사 윈스텍 거울 겸용 이미지 디스플레이장치
KR100834869B1 (ko) 2007-01-24 2008-06-03 박의석 증착을 이용한 메탈릭,펄 질감이 표출되는 장식판재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0107A (zh) * 2022-01-24 2022-04-12 江苏超能新材料科技有限公司 具有装饰拉手的通顶柜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074B1 (ko) 2015-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374B2 (en) Refrigerator and door thereof
US8668292B2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KR102011019B1 (ko) 냉장고
KR101628364B1 (ko) 발광형 장식재
JP2018138865A (ja) 冷蔵庫
KR20140127589A (ko) 냉장고
WO2012041765A1 (en) A display unit for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s
TW201804185A (zh) 顯示裝置及具備其之冰箱
KR101567074B1 (ko) 발광형 장식재 및 그 제어방법
KR101198094B1 (ko)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스위치
KR20100092607A (ko) 발광형 장식재
JP2017009131A (ja) 冷蔵庫
JP4403551B2 (ja) 発光表示式検知装置
CN103792986A (zh) 一种车用旋钮按键结构
CN208702307U (zh) 一种家电产品及其门体
KR100760281B1 (ko) 차량용 도어 스커프에 부착되는 조명장치
KR101963017B1 (ko) 엘이디 무드 시계
CN213601062U (zh) 设置有控制面板的家具
JP2001262955A (ja) キャビネットの照明構造
CN205991650U (zh) 家用器具
AU2022271422B2 (en) Home Appliance
US20110013378A1 (en) Backlit apparatuses and methods therefor
CN219776060U (zh) 冰箱
US11852402B2 (en) Home appliance and refrigerator
CN210772964U (zh) 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