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831A - 커리어 관리를 지원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커리어 관리를 지원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831A
KR20100104831A KR1020090023490A KR20090023490A KR20100104831A KR 20100104831 A KR20100104831 A KR 20100104831A KR 1020090023490 A KR1020090023490 A KR 1020090023490A KR 20090023490 A KR20090023490 A KR 20090023490A KR 20100104831 A KR20100104831 A KR 2010010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career
site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만진
Original Assignee
권만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만진 filed Critical 권만진
Priority to KR102009002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4831A/ko
Publication of KR2010010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하여 회원에게 구인·구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직자 회원에게 하나 이상의 직업과 함께 상기 직업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를 모듈화시킨 커리어 모듈을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구직자 회원이 자신의 커리어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커리어 정보를 소정의 등급으로 환산하여 상기 커리어 모듈상에 현재 등급으로서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현재 등급이 해당 직업에서 요구되는 소정의 커리어 달성 등급을 만족시키는 정도를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인자나 구직자가 네크워크상에서 구인·구직 사이트를 통해 구인·구직에 필요한 커리어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능동적인 구인·구직 활동이 가능하다.
구인, 구직, 직업, 커리어, 커리어 모듈

Description

커리어 관리를 지원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JOB-OFFERING AND JOB-SEEKING SERVICE USING JOB-OFFERING AND JOB-SEEKING SITE CAPABLE OF SUPPORTING CAREER MANAGEMENT}
본 발명은 커리어 관리를 지원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인자나 구직자가 구인·구직을 위해 필요한 커리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능동적인 구인·구직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인터넷이나 이동통신을 비롯한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PDA 등과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개인용 단말기로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고 컨텐츠 검색, 교육, 쇼핑, 구인·구직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활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 활동 중에서도 구인·구직 활동을 지원하는 이른바 취업 사이트의 이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취업 사이트와 관련된 다양한 비지니스 모델이 제공되고 있는바, 그 일례로 한국특허 제477553호(이하, "선행문헌1")를 들 수 있다.
선행문헌1은 멀티디바이스 통합형 구인·구직 정보 제공 및 중계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행문헌1에 따른 시스템은 구인자가 제공하는 구인 정보를 접수하고 접수한 구인 정보를 데이터 가공하여 구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구인 정보 접수 수단; 구직자가 제공하는 구직 정보를 접수하고 접수한 구직 정보를 데이터 가공하여 구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구직 정보 접수 수단; 상기 구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인 정보와 구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직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 조건을 만족하는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매칭 모듈; 및 상기 추출된 매칭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직자 및/또는 구인자에게 맞춤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맞춤 정보가 제공될 구직자와 구인자를 중계하는 맞춤 정보 유통 및 중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인 정보 접수 수단과 구직 정보 접수 수단 중 최소한 어느 하나는, 인터넷 웹 페이지를 통해 정보를 접수하는 웹 서버, 전자우편을 통해 정보를 접수하는 메일 서버,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접수하고 통신 기호를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며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IVR 서버, 단문 메시지를 통해 정보를 접수하는 SMS 서버, 팩스를 통해 정보를 접수하는 FMS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 정보 유통 및 중계 수단은 상기 메일 서버, IVR 서버, SMS 서버, FMS 서버를 통한 정보 제공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매칭 모듈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구인 정보 접수 수단과 구직 정보 접수 수단에 의해 가공된 근무지역 데이터, 직종 데이터, 성별 데이터를 기초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매칭 데이터로 하며, 상기 데이터 매칭 모듈은 구인 정보 접수 수단과 구직 정보 접수 수단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 중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우선 필드에 저장하고 우선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에는 다른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보다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데이터 매칭 모듈은 구인 정보 접수 수단과 구직 정보 접수 수단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 중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희생 필드에 저장하고 희생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에는 다른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보다 더 낮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취업 사이트와 관련된 또 다른 비지니스 모델로는 실시간 구인 구직 자동 매칭 직업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한국공개특허 제2008-3515호(이하, "선행문헌2")를 들 수 있다.
선행문헌2는 직업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구인자 또는 구직자가 요구하는 채용조건과 구직조건이 일치하고 상호간에 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문헌2에 따른 직업정보 제공 방법은 구인자와 구직자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인터넷 웹서버 또는 무선 모바일을 통하여 DB 서버에 접속하고 채용조건을 등록받는 단계와 구직자의 구직조건을 등록받는 단계; 수집된 구인자의 채용정보와 구직자의 구직정보를 자동 매칭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구직자의 무선 모바일에 구인자의 정보를 단문자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인자와 구직자 상호간에 1회 이상 매칭검색이 수행된 정보와는 신규 정보만을 매칭 검색하고, 매칭된 공급자의 정보를 수요자의 무선 모바일에 SMS문자로 전달하기 위하여 한번 매칭되어 처리된 공급자 정보와 수요자 정보는 제외하여 정보의 중복성을 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고 있다.
이와 같이, 선행문헌1,2는 ⅰ) 중앙 서버 내지 시스템으로 구성된 구인·구직 사이트가 구인자의 구인 정보와 구직자의 구직 정보를 인터넷, 무선 모바일, FAX, SMS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수한 후, ⅱ) 구인 정보와 구직 정보의 관계를 매칭시켜서, ⅲ) 매칭된 결과물을 구인자 내지 구직자(즉, 구인·구직 서비스 가입자 내지 구인·구직 사이트의 회원)에게 네트워크로 전송해 준다는 점에서 공통된다고 볼 수 있다. 이 외에 선행문헌1은 ⅳ) 구인자 혹은 구직자가 설정할 수 있는 + 가중치 혹은 - 가중치 개념을 도입하여 구인·구직에 관한 매칭 동작을 수행하는 아이디어를 추가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선행문헌2는 ⅴ) 중복된 구인·구직 매칭을 피하기 위해서 1회 이상 매칭 검색이 수행된 정보를 제외한 구인·구직 매칭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하는 아이디어를 추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1,2에 의하면 오프라인 상에서 수행되어 오던 구인·구직 활동이 온라인 상에서도 가능하게 되며, 특히 수집된 구인 정보와 구직 정보를 바탕으로 구인·구직의 매칭 관계를 자동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네트워크상에서의 구인·구직 활동을 어느 정도 활성화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선행문헌1,2를 비롯한 종래의 구인·구직에 관한 비지니스 모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구인·구직 서비스는 구직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요건과 구인자가 취업하려는 자에게 요구하는 요건을 기계적으로 매칭시키는 기술에 불과하기 때문에, 구직자나 구인자는 현재 구직자 자신이 보유한 능력 수준만 필요로 하는 구인자를, 혹은 구인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능력을 갖춘 구직자만을 매칭 데이터로서 제공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구인·구직 사이트의 회원들이 취업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입력한 뒤 수동적으로 직업 매칭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 이외에 종래의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구인·구직 서비스는 거의 전무한 수준이었다.
다시 말해, 종래의 구인·구직 사이트는 "구인자나 구직자로부터 받은 정보를 얼마나 잘 매칭시킬 것인가"에만 초점을 맞추어서 구인·구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ⅰ) 구직자의 입장에서 보면, 현재로서는 구직자 A가 구인자 B의 특정 구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였지만 자신이 어느 정도의 구직 가능성에 근접해 있는지 혹은 구직에 성공하기 위해 어떠한 점들을 어느 정도나 보완해야 하는지를 확인하거나 이를 관리할 길이 없으며, ⅱ) 구인자의 입장에서 보면, 예컨대 구직자 A가 구인자 B의 요구 수준에 도달하지는 못하였지만, 구직자 A가 어떤 점들을 어느 정도까지 보완할 경우에 구인자 B 자신이 요구하는 구인 수준을 만족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인자나 구직자가 구인·구직을 위해 필요한 커리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능동적인 구인·구직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인·구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하여 회원에게 구인·구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직자 회원에게 하나 이상의 직업과 함께 상기 직업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를 모듈화시킨 커리어 모듈을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구직자 회원이 자신의 커리어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커리어 정보를 소정의 등급으로 환산하여 상기 커리어 모듈상에 현재 등급으로서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현재 등급이 해당 직업에서 요구되는 소정의 커리어 달성 등급을 만족시키는 정도를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단순히 구인·구직 사이트의 회원이 직업 매칭의 용도로만 제공하였던 구인 정보나 구직 정보를 "커리어"라는 개념으로 설정하고, 이 커리어를 단순한 텍스트 정보가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 내에서 커리어의 관리를 위해 하나 이상의 독립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즉, 커리어 모듈)로서 구성한다.
그리고, 일종의 독립된 기능 블록으로서 구현된 커리어 모듈은 구인·구직 사이트나 구인자의 설정에 의해, 특정 직업에 요구되는 커리어로서 포함되어 구인·구직 사이트의 회원에게 제공된다. 예컨대 반도체 연구직 근로자를 구하고 있는 기업 C가 대졸 학위와 교수 추천 및 연구 실적의 3가지 커리어를 요구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는 대졸 학위, 교수 추천 및 연구 실적에 대한 구직 지원자의 커리어 상황을 파악하고 각각 관리할 수 있는 3가지의 커리어 모듈을 생 성하게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가 일반적으로 반도체 연구직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커리어를 조사하여 이를 사이트 내에 디폴트 커리어 모듈로서 미리 반영해 놓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직업별로 하나 이상의 커리어 모듈을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구직자 회원으로부터 자신이 현재 가지고 있는 커리어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등급 내지 점수로 환산하고, 이 환산된 등급 내지 점수를 "현재 등급"으로서 개념 설정하고 이를 커리어 모듈마다 적당한 방법(예컨대, 막대그래프, 백분율 등)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구직자 회원이 원하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 모듈에는 미리 구인·구직 사이트나 구인자 회원에 의해 "커리어 달성 등급"이 설정되어 있으며, 커리어 모듈은 구직자 회원이 입력한 커리어 정보에 기초한 현재 등급이 이 커리어 달성 등급을 어느 정도나 만족한 상태인지를 적당한 방법(예컨대, 막대그래프, 백분율 등)으로 표시한다. 부언하자면, 커리어 달성 등급은 다른 직업인 경우에는 물론이고 같은 직업이라도 채용하려는 구인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단순히 구인자나 구직자가 입력하는 일종의 텍스트 정보에 불과했던 구인·구직 정보라는 개념 대신에 커리어 모듈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통해 구인자로서는 자신에게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 회원들이 어느 정도의 커리어를 쌓고서 지원했는지를 손쉽게 파악 및 관리할 수 있고, 구직자로서는 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구인자가 원하는 커리어 중 미달된 커리 어는 무엇이고 얼마나 미달되었는지를 손쉽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인·구직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매칭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던 종래의 구인·구직 사이트에 비해 훨씬 능동적으로 자신의 커리어를 관리하고 구인·구직 활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리어 모듈은 상기 구직자 회원이 해당 커리어에 대한 자신의 현재 등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직자 회원이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자신의 커리어를 개선 및 관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커리어 모듈은 구직자 회원이 현재 가지고 있는 커리어를 등급으로 환산하여 표시하고 그것이 해당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수준 대비 어느 정도인지를 표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신의 부족한 커리어 부분에 대한 등급을 개선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가 직접 혹은 타 사이트와 연계하여 상기 구직자 회원에게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 온라인 실습 프로그램, 온라인 추천 프로그램 및 온라인 학위 이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이 상기 타 사이트와 연계하여 제공되고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 및 상기 온라인 학위 이수 프로그램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커리어 모듈에 포함된 상기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이나 상기 온라인 학위 이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상기 구직자 회원에 대해서 는 소정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온라인 강의나 온라인 학위 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증권회사에 취업하려는 구직자에게 통상적으로 온라인 모의 투자에서의 성적이 중요한 커리어로서 취급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모듈 중에서 증권업에 포함된 커리어 모듈 내에 온라인으로 모의 투자를 실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시키고, 구직자 회원이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투자 성적을 낼 경우 그 결과를 커리어 모듈에 반영하여 현재 등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는 단순히 구인·구직 정보를 입력받아 직업 매칭하는 수준에서 벗어나서, 구직자에게는 자신이 원하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중 부족한 커리어를 보완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인자에게는 구인·구직 사이트에 의해 공인된 프로그램에 의한 커리어 평가 결과물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관심 있는 구직자 후보들의 현재 커리어 관리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인·구직 사이트로서는 구직자 회원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대하여 소정의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연계되는 타 사이트로부터 소정의 수수료를 징수함으로써 구인·구직 사이트의 수입원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회원이 원하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중 상기 커리어 달성 등급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커리어는 상기 구직자 회원이 앞으로 달성해야 할 투두리스트(TO-DO-LIST)로서 상기 구직자 회원에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투두리스트는 직업별로 요구 되는 커리어 중 구직자 회원이 아직 소정의 커리어 달성 등급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향후 보완이 필요한 커리어 항목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회원이 커리어별로 보유하고 있는 평가 결과의 점수를 합산하여 직업별 커리어 총합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직업별 커리어 총합에 따라 직업별로 구직자 회원의 순위를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구직자 회원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현재의 커리어가 동일한 직업을 희망하는 다른 구직자 회원들의 커리어에 비해 어느 정도의 수준인지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리어를 개선하려는 동기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는 비공개를 비롯한 공개 등급의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구직자 회원끼리 친구 관계를 설정한 경우, 상기 친구 관계가 설정된 구직자 회원은 상호 간에 설정된 공개 등급에 따라 개인 정보를 열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리어 모듈은 상기 구직자 회원이 해당 커리어에 대한 자신의 현재 등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구직자 회원이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자신의 커리어를 개선 및 관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친구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구직자 회원은 상기 제 4 단계를 공동으로 수행하도록 스터디 그룹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에 있어서는 개인 정보의 공개 등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회원 간의 친구 관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친구 관계가 설정된 회원끼리는 소정의 정보, 특히 커리어별로 회원들이 보유한 평가 결과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구직자 회원 간의 경쟁 의식을 자극하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또한, 친구 관계인 구직자 회원들은 본 발명의 커리어 모듈에 포함된 커리어 개선용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구직자 회원들이 현재의 커리어 등급을 개선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리어 달성 등급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에 기초하여 전자 이력서를 자동 생성하여 구인자 회원 혹은 구직자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전자 이력서의 경력 사항이나 학력 사항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의 커리어 모듈이 연산한 커리어의 현재 등급이 반영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인자 회원이 자신에게 취업을 지원한 구직자 회원의 커리어 상황과 커리어에 관한 현재 등급의 총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하여 회원에게 구인·구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직업과 함께 상기 직업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를 모듈화시킨 커리어 모듈로서, 구직자 회원이 해당 커리어에 대한 자신의 현재 등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커리어 모듈을, 상기 구직자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구직자 회원 이 자신의 커리어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커리어 정보를 소정의 등급으로 환산하여 상기 커리어 모듈상에 현재 등급으로서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구직자 회원이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커리어에 관한 상기 현재 등급을 관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주로 구직자 회원에 초점이 맞추어진 구인·구직 서비스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하여 구직자 회원이 커리어 모듈 내의 커리어 개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의 커리어를 관리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커리어 모듈은, 상기 구직자 회원이 현재 보유한 커리어 정보를 입력받는 커리어 입력 서브 모듈과, 상기 구직자 회원이 원하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중에서 상기 커리어 입력 서브 모듈에 의해 입력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커리어를 상기 구직자 회원에게 제공하는 커리어 출력 서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커리어 입력 서브 모듈에 의해 입력된 커리어 정보를 상기 구직자 회원에게 확인시켜주는 커리어 보여주기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인자나 구직자가 네크워크상에서 구인·구직 사이트를 통해 구인·구직에 필요한 커리어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능동적인 구인·구직 활동이 가능하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네트워크 사이트를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는 크게 Ⅰ.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 Ⅱ. 직업의 분류 및 제공, Ⅲ. 커리어 관리 및 Ⅳ. 직업 매칭의 4가지 영역으로 설명이 가능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들 4가지 영역을 관련 도면과 함께 순서대로 설명한다.
Ⅰ.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사이트를 이용하는 구인·구직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협력 사이트(300), 구직자(400) 및 구인자(500)와 접속 가능하다.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110)로 구성되고, 개인 정보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유료 회원의 결제를 위한 결제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지만,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네트워크 결제를 위한 전용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다른 결제 사이트(미도시)와 연동하여 결제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네트워크(200)는 유무선 인터넷, 유선 전화망, 무선 이동통신망 혹은 LAN을 비롯한 공지의 어떠한 네트워크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직자(400)와 구인자(500)가 이용하는 단말기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휴대전화 등 공지의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수단을 갖는 어떠한 형태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협력 사이트(300) 역시 구인·구직 사이트(100)와 마찬가지로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구직자(400)에게 커리어 개선을 위해 제공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로, 협력 사이트(300)는 구인·구직 사이트(100)와 별개의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동일한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거나 물리적으로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등을 공유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Ⅱ. 직업의 분류 및 제공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1) 직업을 분류하고 2) 이를 구직자(400)나 구인자(500) 회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우선,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직업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분류 대상이 되는 직업군과 세부 직업이 데이터베이스(120)에 마련되어 있어야 하는데, 직업군(예컨대, 의료업)이나 세부 직업(예컨대, 간호사, 정형외과의사 등)을 생성하는 것은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디폴트(Default)의 직업군과 세부 직업으로서 미리 생성해 놓을 수도 있지만, 구인자(500)의 기호에 맞게 커스터마이즈(Customize)된 직업군과 세부 직업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후자의 경우는 구인자(500)가 원하는 직업이 구인·구직 사이트(100)에 미리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정해 놓은 직업군이나 세부 직업의 분류 기준이 구인자(500)가 사용하는 분류 기준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직업 분류에 대한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직업군 분류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a는 특정 직업군에서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커리어가 무엇인지를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기본형, 관리형, 연구형 등으로 직업군(130)을 예시적으로 분류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분류된 직업군(130)에는 해당 직업군이 일반적으로 요구하는 커리어(140)가 함께 표시될 수 있는데, 이 커리어(140)는 그 각각이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구현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도 2b는 구인자(500)별로 특히 요구하는 커리어가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구인자별 직업군(131)과 그에 따라 요구되는 커리어(141)를 예시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2b에 도시한 커리어(141)는 구인자(5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인·구직 사이트(100)의 회원이 직업군(130, 131)을 클릭할 경우 해당 직업군(130, 131)에 따른 세부적인 직업이나 잡 포지션(Job-Position, 예컨대 사무직 중에서도 총무팀이나 인사팀 등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분류된 업무의 포지션) 및 이에 따라 요구되는 커리어 등이 추가적으로 회원에게 제공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업군과 그에 속하는 세부 직업 및 각 직업에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가 설정 및 분류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이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 및 관리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구인·구직 사이트(100)에 접속한 구직자(400)나 구인자(500)에게 그 내용을 제공한다.
구인·구직 사이트(100)의 구직자(400) 회원은 도 2a나 도 2b와 같이 제공되 는 직업군이나 세부 직업(미도시), 잡 포지션(미도시) 중 하나 이상을 관심 직업으로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직자(400) 회원에게 제공되는 개인 정보 화면인 마이페이지(My-Page) 상에서 관심 직업으로서 등록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직자(400)에게 직업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구직자(400)에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에 관한 설문(150)을 해당 설문(150)에 대한 간단한 설명(151)과 함께 제공하고, 구직자(400)가 설문에 대한 클릭박스(152)를 마우스나 휴대폰 키보드 등으로 선택하고 완료 버튼(154)을 누를 경우, 그 결과를 도 3b의 추천 직업창(160)으로 추천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도 3b와 같이 직업을 추천하는 기능을 회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직업을 생성 및 분류하는 과정에서 해당 직업을 설문(150)과 연계시킬 수 있는 소정의 관계 테이블을 미리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추천 직업창(160)에 표시된 직업명을 클릭할 경우 해당 직업에 관련된 각종 정보(연봉, 향후 전망, 업무 환경 등)를 구직자(400)나 구인자(500) 회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a의 설문을 수행한 뒤 추천 직업창(160)에 의해 직업을 추천을 하는 방식으로 직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보유하고 있는 직업 데이터베이스를 구직자나 구인자 회원(400 혹은 500)이 도 3b에서와 같은 형태의 검색창(170)으로 검색할 경우에 해당 검색 결과를 구인·구직 사이트(100)의 회원에게 제공하는 형태로도 구인자나 구직자 회원(400 혹 은 500)에게 직업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Ⅲ. 커리어 관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에 있어서 직업(직업군 혹은 세부 직업 포함)은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디폴트로 미리 설정하거나 구인자(500)에 의해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 모듈(140, 141)을 포함하게 된다. 예컨대 학위, 자격증, 외국어 실력, 봉사 활동 경력 유무 등의 커리어는 취업을 성사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인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취업과 관련된 요소들을 "커리어 모듈"로서 구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ⅰ) 취업을 위해 구직자가 갖추어야 할 혹은 구인자가 찾고 있는 능력을 "커리어"라는 개념으로 규정하고, ⅱ) 이러한 커리어마다 다양한 독립적인 기능들(서브 모듈 내지 서브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됨, 후술함)을 부여하여 모듈화해 놓음으로써, 구인·구직 사이트(100)의 구직자나 구인자 회원들(400 혹은 500)이 취업과 관련된 커리어를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구인자(500)가 구인·구직 사이트(100)에 ○○병원 성형외과 전문의를 등록하였다고 가정하고, 이 구인자(500)에게 취업하고자 하는 구직자(400)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관리 방식을 설명한다.
우선, 현재 서울소재 대학교를 졸업한 후 의과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2학년으로 재학중인 구직자(400)가 구인·구직 사이트(100)에 가입할 경우, 구직자(400)는 자신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최종학력, 현재 의과전문대학원에서의 학년 등을 비롯한 각종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이러한 개인 정보는 구인·구직 사이트(100)의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저장, 갱신 및 관리된다.
구직자(400) 회원의 개인 정보 중에서, 예컨대 구인자(500)에 의해 "학력"이 커리어로서 설정되어 있다면, 구직자(400)가 입력하는 개인 정보 중에서 학력 정보는 단순한 텍스트 정보가 아니라 본 발명의 "커리어 정보"로서 취급된다. 즉, 구직자(400)가 구인·구직 사이트(100)에서 입력하는 개인 정보들 중에서, 구인·구직 사이트(100)나 구인자(500)에 의해 커리어로서 규정된 것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한다면, 이 정보는 예컨대 해당 구직자(400)의 "학력"에 관한 커리어 모듈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물론, 구인·구직 사이트(100) 내에서 "학력"이 커리어로서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구직자(400) 회원이 입력하는 학력에 관한 개인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정보가 아니라 단순한 텍스트 정보로서 취급될 것이다.
다음으로, 구직자(400)가 구인자(500)가 구인·구직 사이트(100)에 공고해 놓은 ○○병원의 성형외과 전문의 직장을 검색하고 이를 관심 직업으로 등록할 경우, 구직자(400)의 마이페이지에는 해당 직업을 얻기 위해 구인자(500)가 요구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 모듈, 예컨대 4년제 대졸이라는 제 1 학력 커리어 모듈, 의과전문대학원 졸업이라는 제 2 학력 커리어 모듈, 인턴 수료라는 제 1 실무 커리어 모듈, 레지던트 수료라는 제 2 실무 커리어 모듈, 군복무 완료라는 기타활동 커리어 모듈 등이 제공된다. 이때, 구직자(400)가 미리 입력해 놓은 커리어 중에서 4년제 대졸 커리어 모듈에 부합하는 학력에 관한 개인 정보는 4년제 대졸에 관한 제 1 학력 커리어 모듈에 자동적으로 반영되어 100% 혹은 "달성" 등의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의과전문대학원 졸업에 관한 제 2 학력 커리어 모듈은, 예컨대 구직자(400)가 입력한 「현재 의과전문대학원 2학년생에 학점이 평점 3.5」라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직자(400)가 의과전문대학원 커리어에 대해 가진 현재 등급을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의과전문대학원 졸업이라는 제 2 학력 커리어 모듈을 설정하면서 구인자(500)가 학년당 20점을 부여하되 졸업하지 않은 경우 감점 50점을 하고 평점이 3.5인 경우 20점을 부여하도록 했다면, 이 구직자(400)는 의과전문대학원 커리어 모듈에 관해 10점(20*2 - 50 + 20)의 현재 등급을 받게 되고, 만약 구인자(500)가 총 100점의 커리어 등급을 요구했다면, 구직자(400)에게는 10%의 커리어 성취율이 숫자 혹은 그래프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구인자(500)가 요구하고 있는 인턴 수료나 레지던트 수료에 관한 실무 커리어 및 군복무 완료라는 기타활동 커리어의 경우에는 여기서 예를 들고 있는 구직자(400)가 입력한 정보와 매칭되는 사항이 없기 때문에, 이들 커리어와 관련된 커리어 모듈은 0% 혹은 미달성이라는 표시를 하고, 100% 달성이 되지 못한 커리어 모듈들은 구직자(400)의 구인·구직 관리 페이지인 마이페이지 내에서 앞으로 성취해야 할 커리어 목표인 "투두리스트"로서 표시되고, 이를 통해 구직자(400)는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얻기 위해 부족한 커리어가 무엇이고 그것이 어느 정도의 성취율을 달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자신의 커리어 관리에 대한 필요성과 동기를 더욱 절실하게 느낄 수 있다.
부언하자면, 휴대폰을 이용한 모바일 웹페이지 화면이나 랩탑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화면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마이페이지에는 구직자(400)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직업과 해당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모듈 및 투두리스트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구직자(400)가 손쉽게 구인·구직 활동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회원(400, 500)이 입력하는 정보 중 취업과 연관된 정보로서 소정의 커리어 모듈에 대응 가능한 정보에 대해서는, 회원의 개인 정보를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커리어 모듈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단순히 구인·구직 사이트의 회원들이 입력하는 일종의 텍스트 정보에 불과했던 정보들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독립된 기능 블록으로서 취급되는 커리어 모듈에 편입되어 구직자(400) 및 구인자(500)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구인자(500)에게 커리어 모듈의 세부적인 사항들을 커스터마이즈할 여지를 더 많이 주면 줄수록 구인자(500)의 구인 의도에 더욱 부합하는 구직자 평가 기능까지 구현할 수도 있게 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커리어 모듈이라는 개념은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한데, 그러한 응용예 중 하나로서 커리어 개선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예를 다시 들면, 구직자(400)가 현재 재학 중인 의학전문대학원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와 협력 관계를 맺어서 도 1의 협력 사이트(300)로서 등록될 경 우,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의학전문대학원 커리어 모듈에서 10점의 현재 등급을 받은 구직자(400)가 일일이 자신의 학점이나 학년을 업데이트하지 않더라도 협력 사이트(300)인 해당 의학전문대학원 사이트로부터 구직자(400)의 학점과 학년 등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구직자(400)의 커리어 모듈을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구직자(400)의 의학전문대학원 커리어 모듈에 의해 산정되는 등급은 구직자(400) 회원이 수강을 하고 학기를 이수함에 따라 조금씩 변동될 것이다.
나아가, 예컨대 의학전문대학원이 일부 과목에 대해 인터넷 수강을 허용하는 경우, 이 인터넷 수강이 가능한 과목들을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를 통해 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구직자(400)의 커리어 관리 상황에 관한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취득 및 관리하여 구인·구직 사이트(100)의 데이터베이스(120)에 실시간으로 반영할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구인·구직 사이트(100) 내에서 구직자(400) 회원이 수행하는 커리어 모듈 내 수강 프로그램의 이용 현황을 협력 사이트(300)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구직자(400)의 관심 직업이 토익 점수 800점을 어학 커리어로서 요구하고 있고, 토익을 주관하는 소정의 사이트가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와 협력 사이트(300)의 관계를 맺은 경우에는,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협력 사이트(300)인 소정의 토익 주관 사이트로부터 어학 평가 프로그램을 제공받아서 해당 구직자(400)의 어학 커리어 모듈에 설치해 놓고, 이후 구직자(400)가 자신의 마이페이지 상에서 투두리스트로서 제공되는 어학 커리어 모듈에 포함된 상기 어학 평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어학 점수를 취득하고,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이 어학 평가 결과를 곧바로 구직자(400)의 어학 커리어 모듈의 현재 등급에 반영함과 동시에 토익을 주관하는 협력 사이트(300)로 그 결과를 통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이 제안하는 커리어 모듈을 이용한 커리어의 개선 방식은 온라인 시험이나 온라인 학점 관리 외에 온라인 추천 등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4년제 대졸 커리어 모듈에 추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소정의 추천 자격 요건을 갖춘 회원(예컨대, 교수)이 특정 구직자(400)의 4년제 대졸 커리어 모듈상에 존재하는 추천 버튼을 클릭할 경우에 4년제 대졸 커리어 모듈에 의해 산정되는 현재 등급이 올라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예컨대, 4년제 대졸을 100점으로 설정하고 교수 추천을 받은 대졸자에 대해서는 20점을 가산하여 120점을 만점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 다른 예로서 학원 사이트가 협력 사이트(300)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해당 학원 사이트로부터 소정의 동영상 강의 수강 프로그램을 수강 커리어 모듈에 설치하고, 이 수강 커리어를 필요로 하는 직업에 취업하려는 구직자(400)에게는 상기 동영상 강의 수강 프로그램을 소정의 할인율 혜택을 받으면서 수강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인·구직 사이트(100)가 상기 학원 사이트로부터 소정의 수수료를 징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학원업을 운영하는 협력 사이트(300)는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구직자(400) 회원은 협력 사이트(300)를 직접 이용하여 수강하는 경우보다 수강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구인·구직 사이트(100)로서는 할인율이 적용되는 수강료 중 일부를 광고 수수료의 형태로 징수하여 사이트 운영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동일한 직업을 구하고자 하는 복수의 구직자(400) 회원이 구인·구직 사이트(100) 내에서 서로 친구 관계 내지 스터디 관계를 맺을 경우, 친구 관계가 설정된 구직자(400)들이 공통적으로 미달한 커리어의 현재 등급을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는 미달된 커리어에 관한 개선 프로그램이 이들 친구 관계를 맺은 구직자(400) 회원들 전원이 수행할 경우에 한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자(400) 회원들의 커리어 개선을 간접적으로 강제하고 커리어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구인·구직 사이트(100)의 회원은 자신의 커리어 정보를 비롯한 개인 정보의 공개 등급을 비공개, 전체 공개, 일부 공개 등으로 공개 등급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위 친구 관계를 맺는 회원들 간에는 친구 관계를 맺기 전에 열람할 수 없었던 개인 정보를 상호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개인 정보 중에 커리어 정보와 그에 따른 커리어 모듈을 포함시켜서 커리어의 현재 등급 상황이나 커리어의 개선 프로그램 이용 상황 등을 친구 관계를 맺은 회원들 간에 공유할 수 있게 되는 일종의 스터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성형외과 의사라는 직업을 지원하려는 구직자(400)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구직자(400)에게 GUI로 구현된 커리어맵을 제공하여 구직자(400)가 한눈에 자신의 커리어 상황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커리어맵은, 예컨대 구직자(400)가 희망하는 성형외과 의사라는 직업이 5가지 커리어를 요구할 경우, 이 5가지 커리어의 현재 등급을 5각형의 도형 내에서 한꺼번에 표시함으로써 구직자(400)가 마이페이지 상에서 한눈에 자신의 커리어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한편, 구직자(400)가 원하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 모듈이 구직자(400)의 이력서를 자동 생성하여 이를 해당 직업을 제공하는 구인자(500)에게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종의 이력서 자동 생성 기능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취업에 필요한 개인 정보는 단순한 텍스트 정보가 아니라 독립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커리어 모듈로서 구현되기 때문에, 구인자(500)가 설정해 놓은 포맷에 맞는 전자 이력서에 커리어 모듈이 구직자(400)의 커리어 상황을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끝으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모듈이 동작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관리 방식을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커리어 모듈이 동작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커리어 모듈은 예컨대 증권업을 관심 직업으로 설정한 구직자 회원(400)에게 제공될 수 있는 화면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모듈은 구인·구직 사이트(100)의 회원으로부터 커리어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서브 모듈(181)을 포함한다. 이 입력 서브 모듈(181)은, 예컨대 자격증을 커리어로 하는 커리어 모듈인 경우 해당 증권업에서 요구하는 자격증 중에서 구직자 회원(400)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혹은 최근에 보유하게 된 자격증을 입력받는 모듈로서, 참조번호 181을 클릭할 경우 참조번호 182와 같은 구체적인 커리어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직자 회원(400)에게 제공된다. 이 자격증에 관한 커리어 입력 인터페이스(182)는 자격증명을 직접 입력하거나 검색해서 입력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며, 자격증의 유효 기간과 이를 손쉽게 입력하기 위한 달력, 자격증을 수여하는 기관, 기타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사항들을 입력하는 공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자격증을 복수개 보유한 경우에는 자격증 추가를 할 수도 있다.
자격증에 관한 커리어 입력 인터페이스(182)를 통해 자격증에 관련된 커리어 정보를 입력하고 나면, 증권업과 관련하여 구직자 회원(400)이 입력한 자격증의 보유 현황을 한눈에 출력해 주는 커리어 보여주기 서브 모듈(183)이 활성화된다. 물론, 자신의 자격증 보유 현황을 타인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경우 커리어 입력 서브 모듈(181) 자체를 참조번호 185로 표시된 온/오프 기능을 통해 오프시켜서 타 회원이 자신의 자격증 보유 현황을 열람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증권업을 관심 직업으로 설정한 구직자 회원(400)이 해당 직업에서 요구되는 자격증 커리어를 모두 다 보유하고 있다면 이것을 기초로 하여 해당 구직자 회원(400)의 자격증에 관한 커리어 모듈은 구직자 회원(400)의 자격증에 관한 커리어 등급을 100% 등의 비율이나 점수 등으로 표시하면 된다.
그러나, 구직자 회원(400)이 자격증에 관한 커리어를 모두 달성한 상태가 아니라면, 참조번호 184로 표시된 커리어 출력 서브 모듈(184)이 활성화된다. 이 커리어 출력 서브 모듈(184)은 해당 직업에서 요구되는 자격증에 관한 커리어 중 미 달된 자격증들을 자동으로 추출 및 정렬하여 회원에게 출력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참조번호 184를 클릭할 경우 해당 자격증을 취득할 경우에 구직자 회원(400)이 얻을 수 있는 소정의 경험치 내지 점수(혹은 등급)가 참조번호 187과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물론, 구직자 회원은 온/오프 기능(185)을 통해 커리어 출력 서브 모듈(184)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구직자 회원(400)은 커리어 출력 서브 모듈(184)을 클릭함으로써 보여지는 개개의 자격증에 관한 정보들을 열람한 뒤 참조번호 188을 클릭하여 이를 투두리스트에 담아서 향후 자신의 커리어 관리 페이지인 마이페이지 상에서 언제나 커리어의 관리 상황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구직자 회원(400)에게 제공되는 마이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직자 회원(400)의 마이페이지(190) 상에는 앞서 설명한 친구 관계나 스터디 관계를 맺은 타 회원들의 목록(191)이 표시된다. 그리고, 구직자 회원(400)이 보유하고 있는 커리어를 커리어 모듈별로 볼 수 있는 아이콘(192)과, 이것을 다각형의 커리어맵으로 볼 수 있는 아이콘(193)이 제공된다. 이 중 커리어맵 보기에 관한 아이콘(193)을 클릭하면, 참조번호 194로 예시적으로 표시된 커리어맵이 제공된다.
참조번호 194에 있어서, 오각형의 중심은 원점이고, 5개의 꼭지점은 예컨대 증권업이라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학력, 자격증, 학원 수강 경험, 모의 투자 경험, 공모전 경험 등의 5가지 커리어를 나타내고, 이러한 오각형으로의 그래픽적인 커리 어맵의 출력은 이들 5가지 커리어에 관한 커리어 모듈의 상호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구직자 회원(400)이 커리어 1을 80% 성취하였고, 커리어 2를 70%, 커리어 3을 10%, 커리어 4를 10%, 그리고 커리어 5를 50% 성취하였기 때문에, 약간 찌그러진 형태의 오각형이 표시되게 된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195는 자격증, 공모전, 학원 수강 등과 같은 미성취 커리어들을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커리어 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 및 개선하는 동작을 활성화하는 키이며, 참조번호 196은 구직자 회원(400)이 예컨대 더 이상 관리할 필요가 없거나 더 이상 보유하지 않게 된 자격증들을 삭제하거나, 혹은 새롭게 취득한 학위 따위의 커리어를 추가 및 삭제하는 부분이다.
참조번호 197은 앞서 도 4에서 참조번호 188을 클릭하여 투두리스트에 담은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며, 참조번호 198은 구직자 회원(400)이 예컨대 증권업이라는 직업을 얻는데 요구되는 모든 커리어들의 현재 등급의 총합을 동일한 직업을 희망하는 다른 모든 구직자 회원(400)들과 비교하여 현재의 상태를 막대그래프(혹은 표준편차 분포곡선 등을 포함)로 표시하는 부분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이페이지(190) 상에는 구직자 회원(400)의 주소,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커리어와 무관한 일반 개인 정보들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커리어 정보를 비롯한 이들 개인 정보들의 공개 수준을 비공개, 전체 공개, 일부 공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199)도 제공된다.
Ⅳ. 직업 매칭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직업 분류 및 커리어 관리 방식을 토대로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구직자(400)가 찾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구인자(500)를 구직자(400)에게 소개해 주거나, 구인자(500)가 찾는 커리어를 갖춘 구직자(400)를 구인자(500)에게 소개해 주는 직업 매칭 동작도 수행한다.
직업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네트워크상에서 구인자와 구직자의 구인·구직 활동을 중계하는 것은 선행문헌1,2를 비롯한 종래기술에 따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구직자(400)나 구인자(500)가 지역, 나이, 성별 등에 + 가중치나 - 가중치를 설정하여 해당 직업군에서 가장 높은 매칭 점수를 갖는 구인자나 구직자를 소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100)는 커리어 모듈이라는 독특한 구성요소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직업을 매칭하는데 있어서 이 커리어 모듈을 활용하는 다양한 기법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인 혹은 구직 조건에 + 혹은 - 가중치를 두어서 매칭 점수를 매기되, 특정 커리어의 달성률이 소정의 %를 넘는 구직자만을 구인자(500)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커리어 모듈에 알림 기능을 포함시킴으로써, 구인자(500)가 특정 구직자(400)를 관심 있는 구인자로 등록을 해 놓고, 해당 구직자가 과거 미흡했던 커리어를 구인·구직 사이트(100)의 커리어 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개선한 경우에 해당 커리어의 알림 기능에 따라 구인자(500)가 해당 구직자(400)의 커리어 달성 사실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구직자(400)와 구인자(500) 간의 직업 매칭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와 첨부도면에 제시된 기술적 사상을 이용하여 첨부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나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사이트를 이용하는 구인·구직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직업군을 분류하고 해당 직업군별로 요구되는 커리어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구직자에게 직업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커리어 모듈이 동작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구직자 회원에게 제공되는 마이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구인·구직 사이트
110 서버
120 데이터베이스
200 네트워크
300 협력 사이트
400 구직자 회원
500 구인자 회원

Claims (14)

  1.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하여 회원에게 구인·구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직자 회원에게 하나 이상의 직업과 함께 상기 직업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를 모듈화시킨 커리어 모듈을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구직자 회원이 자신의 커리어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커리어 정보를 소정의 등급으로 환산하여 상기 커리어 모듈상에 현재 등급으로서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현재 등급이 해당 직업에서 요구되는 소정의 커리어 달성 등급을 만족시키는 정도를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하여 회원에게 구인·구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직업과 함께 상기 직업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를 모듈화시킨 커리어 모듈로서, 구직자 회원이 해당 커리어에 대한 자신의 현재 등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커리어 모듈을, 상기 구직자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구직자 회원이 자신의 커리어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커리어 정 보를 소정의 등급으로 환산하여 상기 커리어 모듈상에 현재 등급으로서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구직자 회원이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커리어에 관한 상기 현재 등급을 관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가 직접 혹은 타 사이트와 연계하여 상기 구직자 회원에게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 온라인 실습 프로그램, 온라인 추천 프로그램 및 온라인 학위 이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이 상기 타 사이트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경우로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이 상기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이나 상기 온라인 학위 이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커리어 모듈에 포함된 상기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이나 상기 온라인 학위 이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상기 구직자 회원에 대해서는 상기 타 사이트를 별도로 이용하는 경우보다 저렴한 금액을 지불하도록 소정의 할인율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업의 분류나 직업별로 요구되는 상기 커리어의 종류나 상기 커리어 달성 등급의 정도는,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에 의해 혹은 구인자 회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등급 및 상기 커리어 달성 등급은 점수로서 회원에게 제공되며,
    상기 커리어의 평가 결과는, 해당 커리어에 요구되는 상기 커리어 달성 등급 대비 상기 구직자 회원이 보유하고 있는 상기 현재 등급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회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회원이 원하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중 상기 커리어 달성 등급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커리어는, 상기 구직자 회원이 향후 관리해야 할 투두리스트(TO-DO-LIST)로서 상기 구직자 회원의 마이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회원이 보유하고 있는 커리어별 혹은 직업별 평가 결과의 총합에 기초하여 커리어별 혹은 직업별로 구직자 회원의 랭킹을 구인자 회원을 포함하는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회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어 정보 및 상기 커리어의 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는 비공개, 전체 공개 및 일부 공개를 포함하는 공개 등급의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는,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 내에서 회원 간에 상기 비공개 등급의 개인 정보를 상호 열람할 수 있는 친구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어 모듈은 상기 구직자 회원이 해당 커리어에 대한 자신의 현재 등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구직자 회원이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자신의 커리어를 개선 및 관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친구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구직자 회원이 스터디 그룹을 설정한 경우, 상기 제 4 단계에 따라 커리어를 개선 및 관리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스터디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구직자 회원에 의해 공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회원이 원하는 직업을 등록한 구인자 회원에게, 상기 커리어 달성 등급이 만족된 하나 이상의 커리어와 상기 구직자 회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인자 회원에 응모하는 전자 이력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어 모듈은, 상기 구직자 회원이 현재 보유한 커리어 정보를 입력받는 커리어 입력 서브 모듈과, 상기 구직자 회원이 원하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중에서 상기 커리어 입력 서브 모듈에 의해 입력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커리어를 상기 구직자 회원에게 제공하는 커리어 출력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어 모듈은, 상기 커리어 입력 서브 모듈에 의해 입력된 커리어 정보를 상기 구직자 회원에게 확인시켜주는 커리어 보여주기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하여 회원에게 구인·구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직자 회원에게 하나 이상의 직업과 함께 상기 직업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커리어를 모듈화시킨 커리어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리어 모듈은, 상기 구직자 회원이 현재 보유한 커리어 정보를 입력받 는 커리어 입력 서브 모듈과, 상기 구직자 회원이 원하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커리어 중에서 상기 커리어 입력 서브 모듈에 의해 입력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커리어를 상기 구직자 회원에게 제공하는 커리어 출력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023490A 2009-03-19 2009-03-19 커리어 관리를 지원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104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490A KR20100104831A (ko) 2009-03-19 2009-03-19 커리어 관리를 지원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490A KR20100104831A (ko) 2009-03-19 2009-03-19 커리어 관리를 지원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831A true KR20100104831A (ko) 2010-09-29

Family

ID=4300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490A KR20100104831A (ko) 2009-03-19 2009-03-19 커리어 관리를 지원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483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5475A1 (en) * 2015-07-23 2017-01-26 Linkedin Corporation Providing recommendations based on job change indications
US20200387943A1 (en) * 2019-06-07 2020-12-10 Mitel Networks Corporation Job-specific contact center generation
KR102211677B1 (ko) * 2020-02-17 2021-02-03 (주)이음길에이치알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직지원 관리서버 및 전직지원 관리방법
CN113610506A (zh) * 2021-08-18 2021-11-05 深圳标普云科技有限公司 一种用工分配服务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2045844A1 (ko) * 2020-08-28 2022-03-03 한화생명보험 (주) 파이낸셜 플래너 모집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20220090042A (ko) * 2020-12-22 2022-06-29 (주)스마트소셜 클러스터링 기반의 구인 구직 매칭 관리 서버
KR102461843B1 (ko) * 2021-12-30 2022-11-01 주식회사헤이컬렉티브 텍스트 및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력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5475A1 (en) * 2015-07-23 2017-01-26 Linkedin Corporation Providing recommendations based on job change indications
US20200387943A1 (en) * 2019-06-07 2020-12-10 Mitel Networks Corporation Job-specific contact center generation
US11574348B2 (en) * 2019-06-07 2023-02-07 Mitel Networks Corporation Job-specific contact center generation
KR102211677B1 (ko) * 2020-02-17 2021-02-03 (주)이음길에이치알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직지원 관리서버 및 전직지원 관리방법
WO2022045844A1 (ko) * 2020-08-28 2022-03-03 한화생명보험 (주) 파이낸셜 플래너 모집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20220090042A (ko) * 2020-12-22 2022-06-29 (주)스마트소셜 클러스터링 기반의 구인 구직 매칭 관리 서버
CN113610506A (zh) * 2021-08-18 2021-11-05 深圳标普云科技有限公司 一种用工分配服务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610506B (zh) * 2021-08-18 2024-02-27 深圳标普云科技有限公司 一种用工分配服务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61843B1 (ko) * 2021-12-30 2022-11-01 주식회사헤이컬렉티브 텍스트 및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력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Vries et al. A stakeholder perspective on public sector innovation: why position matters
Viswanath et al. Occupational practices and the making of health news: A national survey of US health and medical science journalists
CN100485668C (zh) 具有用于递送与税务或其他表单相关的规划信息以及咨询材料、研究以及顺应性信息的交互式图形接口的系统
US20120011015A1 (en) System for Managing Relationships with Constituents on Social Networks using CRM (Constituent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s
Bennion et al. The benefits of part‐time undergraduate study and UK higher education policy: A literature review
KR20100104831A (ko) 커리어 관리를 지원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한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70943A (ko) 투자 매칭 중개 플랫폼 시스템
JP2019101720A (ja) 人材採用支援システム及び人材採用支援方法
Pullon et al. Interprofessional postgraduate education in primary health care: is it making a difference?
Fisk et al. Developing and defining diversity
Levin et al. Agency advocacy and organisational development: A feasible policy practice alliance
Miller et al. Conceptualizing adoptive parent support groups: A mixed-method process
Sebastian et al. E-governance readiness: challenges for India
Doyle et al. Achieving and measuring diversity: An organizational change approach
Jefferis Selection for specialist training: what can we learn from other countries?
KR20210058162A (ko)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Rasheli Action research in procurement management; evidence from selected lower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in Tanzania
Foster et al. Child welfare workers' adoption of decision support technology
Islam Developing accountability mechanisms in NGOs in providing health services
Bridgwood et al. International exchanges in primary care—learning from thy neighbour
Chiware Business information needs, seeking patterns and information services in the small medium and micro enterprises sector (SMME) in Namibia
Adekoya et al. Academic library leadership in Nigeria and ICT adoption
Yakaboski et al. Understanding Chinese students’ college choice to increase Chinese student recruitment: A focus on music majors
JP2020077084A (ja) マッチングシステム及び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
Loutfi et al. Health planning for Indigenous populations: a rapid evidence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