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999A -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 Google Patents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999A
KR20100103999A KR1020090022120A KR20090022120A KR20100103999A KR 20100103999 A KR20100103999 A KR 20100103999A KR 1020090022120 A KR1020090022120 A KR 1020090022120A KR 20090022120 A KR20090022120 A KR 20090022120A KR 20100103999 A KR20100103999 A KR 20100103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treatment
chronic obstructive
composition
experi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866B1 (ko
Inventor
배현수
김재윤
김영은
이나연
Original Assignee
퓨리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리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퓨리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86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5Asparagus, e.g. garden asparagus or asparagus f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성폐쇄성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숙지황 14 내지 18 중량부, 천문동 7 내지 9중량부, 오미자 7 내지 9 중량부, 목단피 7 내지 9 중량부, 황금 5 내지 7 중량부, 행인 5 내지 7 중량부, 백부 3 내지 5 중량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숙지황 등을 포함한 7가지 한약조성물이 기관지 폐포 중 호중구를 감소시키고, 염증전구물질인 TNF-α, IL-6의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며, 조직상에서의 폐기종을 감소시킴으로써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한약조성물, TNF-α, IL-6

Description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본 발명은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숙지황 등을 포함한 7가지 한약조성물이 기관지 폐포 중 호중구를 감소시키고, 염증전구물질인 TNF-α, IL-6의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며, 조직상에서의 폐기종을 감소시킴으로써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성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의 원인은 매우 복잡하며, 반복되는 감염, 공업용 가스나 흡연에 의한 독성 물질의 흡입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경우 호중구의 수가 증가하며, GM-CSF, TNF-α, IL-8, MIP-2와 같은 사이토카인이 분비된다. 기도에 염증이 생기고, 근육벽이 두꺼워지며, 점액 분비가 증가하여 기관지 폐쇄가 나타난다. 기관지가 폐쇄되면 폐포는 확장되고 손상되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능력이 손상을 받게 되고, 호흡부전발생이 높아진다.
이미 국내 45세 이상인 성인의 8%가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일 정도이지만 폐암에만 관심이 치우쳐 있고, 일반적인 치료제로 기관지 확장제가 있지만, 천연물의 생약 성분에 의한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예방 및 치료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제공된 바 없어, 이러한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한약조성물의 개발에 대한 당업계의 높은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숙지황 등을 포함한 7가지 한약조성물을 혼합함으로써 기관지 폐포 중 호중구를 감소시키고, 염증전구물질인 TNF-α, IL-6의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며, 조직상에서의 폐기종을 감소시켜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숙지황 14 내지 18 중량부, 천문동 7 내지 9중량부, 오미자 7 내지 9 중량부, 목단피 7 내지 9 중량부, 황금 5 내지 7 중량부, 행인 5 내지 7 중량부, 백부 3 내지 5 중량부의 7종 복합 생약 분말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7종 복합 생약 분말을 물로서 열수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은 10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7종 복합 생약 분말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추출은 70% 에탄올을 넣고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혼합되는 재료들은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데, 문 헌(Pharmacognosy,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동명사, 2007)에 소개된 이들 재료들의 약리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숙지황(熟地黃, Root of Rehmannia glutinosa)은 목구멍이 마르고, 기침, 가래를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천문동(天門冬, Root of Asparagus cochinchinensis)은 목안이 붓고 아픈 증상, 기침을 하면서 가래침이 나오는 증상에 많이 사용된다.
오미자(五味子, Fruit of schizandra chinensis)는 호흡 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수와 호흡강도를 높인다. 진해, 거담작용이 있으며, 오미자의 성분 중 하나인 gomisin C는 호중구의 산화적 파괴현상을 억제한다.
목단피(牧丹皮, Cortex of Paeonia Suffruticosa)는 항염증 작용과 항알러지 작용을 하며, 진통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주성분인 paeonol이 히스타민과 TNF-α의 유리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황금(黃芩, Root of Scutellaria baicalensis)의 유효 성분인 baicalin은 alveolar type Ⅱ에서 분비되는 폐의 계면활성제(pulmonary surfactant)인 surfactant protein A gene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켜 호흡기 질환개선작용을 하며, 항알러지 작용을 한다.
행인(杏仁, Seed of Prunus armeniaca)은 기침을 그치게 하고, 가슴이 더부룩 하여 가래가 많거나 기침을 할 때, 숨이 가쁜 증상에 사용된다. 호흡중추에 작용하여 호흡운동을 안정시켜 진해, 평천 작용을 나타낸다.
백부(百部, Root of Stemona sessilifolia)는 폐렴균의 성장을 억제하며, 백 부의 성분인 alkaloid는 동물의 호흡중추의 흥분성을 감퇴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재료들의 효능은 각각 다르나, 상기 재료들의 적절한 조성비율로 혼합한 후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유발시킨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숙지황 등을 포함한 7가지 한약조성물을 혼합 사용하여 기관지 폐포 중 호중구를 감소시키고, 염증전구물질인 TNF-α, IL-6의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며, 조직상에서의 폐기종을 감소시킴으로써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7종의 한약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한약재는 분쇄기로 분말이 될 때까지 분쇄한다. 중량을 기준으로 숙지황 16, 천문동 8, 오미자 8, 목단피 8, 황금 6, 행인 6, 백부 4의 비율로 혼합하여 준비하고, 이를 증류수가 담긴 플라스크에 넣고 100 ℃에서 1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그 후 거즈로 여과한 여액을 감압여과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7종의 한약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한약재를 상기 분량에 맞게 섞은 다음 70% 에탄올을 넣고 1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필터한 후,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예방
1.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동물은 Balb/c 수컷 6주령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오리엔트 바이오에서 구매하였다. 마우스는 각 군당 6마리로 하였으며, 병원체가 없는 환경에서 실험하는 동안 먹이와 물은 자유롭게 먹게 하였다.
2. COPD 질병 유발
실험군 1 - COPD 유발시키지 않고 코로 단지 식염수로만 자극함.
실험군 2 - COPD 유발물질인 Lipopolysaccaride(Calbiochem, Germany)(이하 'LPS' 라 칭함)를 0.9%식염수에 녹여 0.5mg/kg body wt의 농도로 코를 통해 자극함.
실험군 3 - 실험군 2와 같은 방법으로 COPD를 유발하며 LPS로 자극하기 2시간 전에 COPD 치료제인 Dexamethasone 10mg/kg을 복강투여함.
실험군 4 - 실험군 2와 같은 방법으로 COPD를 유발하며 LPS로 자극하기 2시간 전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0mg/kg wt을 경구투여함.
실험군 5 - 실험군 2와 같은 방법으로 COPD를 유발하며 LPS로 자극하기 2시간 전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300mg/kg wt을 경구투여함.
실험군 6 - 실험군 2와 같은 방법으로 COPD를 유발하며 LPS로 자극하기 2시간 전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560mg/kg wt을 경구투여함.
상기 각각의 실험군은 LPS 자극 후, 3일과 7일에 희생시켰다.
3. 개별 약재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숙지황, 천문동, 오미자, 목단피, 황금, 행인, 백부의 7가지 약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약재를 개별로 사용하는 것과 7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비교하기 위해 개별약재실험을 하여 도 1과 도 2에 나타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별로 사용한 것과 7가지 혼합하여 사용한 것의 호중구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별로 사용한 것과 7가지 혼합하여 사용한 것의 총세포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과 도 2에 표시된 C는 상기 실험군 1과 동일하며, L은 상기 실험군 2와 동일하며, D는 상기 실험군 3과 동일하며, M은 Dexamethasone 대신에 Methylprednisolone을 사용하였으며, 백은 LPS로 자극하기 2시간 전에 백부를 300mg/kg 경구투여한 것이며, 천은 천문동을 300mg/kg 경구투여한 것이며, 황은 황금을 300mg/kg을 경구투여한 것이며, 오는 오미자를 300mg/kg 경구투여한 것이며, 목은 목단피를 300mg/kg 경구투여한 것이며, 숙은 숙지황을 300mg/kg 경구투여한 것이며, 행은 행인을 300mg/kg 경구투여한 것이며, mix는 상기 실험군 5와 동일한 것이다.
도 1과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개별로 사용한 경우보다 7가지를 혼합 사용한 경우에 호중구나 총세포수가 현저히 감소함을 볼 수 있다. 따라 서, 7가지 약재를 개별사용하는 것보다 7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만성폐쇄성 폐질환에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4. BAL cell의 분석
쥐의 기도에 캐뉼러를 넣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폐까지 넣었다가 다시 빨아들인다. 이렇게 얻은 폐포세척액의 일부를 hemacytometer에 놓고 총세포수를 측정한다. 반면, 각각의 면역세포들의 측정은 세척액의 일부를 cytocentrifuge 를 이용하여 slide glass에 붙인 뒤, Diff-quick 염색을 하여 500개의 면역세포를 센다. 세포를 제거한 BALF(bronchoalveolar lavage fluids)는 -80℃에 넣어 보관한다. 그 결과는 도 3과 도 4에 나타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총세포수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LPS 처리후 3일의 경우 총세포수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 4, 실험군 5, 실험군 6이 COPD가 유발된 실험군 2에 비해 유의적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호중구수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LPS 처리후 3일의 결과를 보면, COPD가 유발된 실험군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 4, 실험군 5, 실험군 6에 비해 호중구수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고, LPS 노출후 7일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고농도(560mg/kg wt)로 섭취한 실험군 6에서 호중구의 침윤을 막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염증세포의 침윤을 막아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ELISA를 이용하여 BALF 내의 IL-6, TNF-α cytokine 측정
IL-6, TNF-α cytokine 은 ELISA (enzyme-linked immunoassay kit(BD, USA))방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microtiter plate(Coster, USA)에 각각의 IL-6, TNF-α monoclonal antibody를 코팅버퍼와 혼합하여 4℃에서 overnight한다. Plate를 0.05% Tween-20(sigma, USA)이 포함된 PBS로 세척한다. 그런 뒤, 5% FBS(Fetal Bovine Serum)가 들어있는 PBS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blocking을 한다. 그 다음, BALF 100㎕를 각각의 well에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incubation한다. 세척 후, 2차 antibody(Biotinylated Anti-mouse Ⅱ-6, Biotinylated Anti-mouse TNF-α) 를 붙인다. 2차 antibody는 biotin이 label되어 있으며 5%FBS 가 들어있는 PBS에 섞어 각 well에 넣은 뒤, 1시간 동안 incubation한다. 마지막으로 TMB substrate(Tetramethylbenzidine)를 넣고 30분 동안 발색반응을 시킨 뒤, 2N 황산을 이용하여 반응을 멈추게 한다. mocroplate reader(SOFT max PRO, USA)을 이용해 450nm 파장에서 plate를 측정하여 값을 정하고, 그 결과는 도 5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TNF-α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IL-6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 4, 5, 6은 dexamethasone으로 치료한 실험군 3과 마찬가지로 TNF-α의 수준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또한, IL-6 수치 역시 COPD가 유발된 실험군 2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 4 ~ 6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LPS 처리 후 7일의 IL-6의 수치를 보 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고농도(560mg/kg wt)로 섭취한 실험군 6에서 현저히 감소함을 볼 수 있다.
결국, 상기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TNF-α와 IL-6와 같은 염증전구물질의 유도를 막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폐 조직의 염증 정도와 변형
쥐에서 적출한 폐 조직을 4% paraformaldehye에 고정시킨다. 그 뒤, 탈수과정을 거쳐 paraffin을 조직 안으로 들어가게 만든다. paraffin조직을 만든 것은 4㎛의 두께로 section하여 slide glass에 붙인다. Slide glass에 있는 paraffin조직을 60℃ warmer에서 남아있는 paraffin을 제거한다. 제거 후, 수세과정을 거쳐 hematoxylin(Youngdong Pharmacetical Co., Korea)과 eosin(amresco, USA)이 염색되게 하여 조직의 전체적인 형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조직의 변형을 알아보기 위해 PAS(Periodic acid schiff staining )을 section 하여 slide glass에 붙인 조직을 60℃ warmer에서 paraffin을 녹인 후, xylen 에 incubation시켜 다시 한번 paraffin을 녹인다. 수세 과정을 거쳐 washing한 후, 0.5% Periodic acid solution에서 10분 동안 당단백질을 산화시킨다. 그 후, schiff reagent로 산화된 부분을 염색을 시키고, washing한 후, 핵염색을 진행하여 확인한다. 조직의 염증 정도와 변형을 퍼센트에 맞춰 숫자로 index를 정하였으며,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LPS 처리 3일 후 hematoxyline 과 eosine으로 염색한 폐조직의 염증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LPS 처리 3일 후 hematoxyline 과 eosine으로 염색하여 폐기종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LPS 처리 7일 후 hematoxyline 과 eosine으로 염색한 폐조직의 염증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LPS 처리 3일 후 배상세포수(goblet cells)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도 9를 참조하면, LPS 처리 후 3일의 경우 COPD가 유발된 실험군 2에서 염증세포의 침윤이 상당히 많은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 4 ~6은 염증세포의 수가 적음을 볼 수 있다. 또한, LPS 처리 후 3일에 폐기종의 반정량적 값(semiquantitative values)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 4 ~6에서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LPS 처리 후 7일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 4 ~6에서 면역세포의 유입이 저해되었음을 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LPS 처리 3일 후 배상세포(goblet cells)의 농도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 4 ~6이 COPD가 유발된 실험군 2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폐점액의 변질형성(lung mucus metaplasia)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7. 면역조직화학염색법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은 호중구와 증식세포(proliferating cell nuclear)를 확인하기 위해 염색을 하였다. 4㎛로 section한 조직을 0.3% H2O2-methanol을 넣고 30 분 동안 내생적인 과산화효소를 blocking시킨다. 그런 뒤, 각각의 1차 antibody(anti-NE goat polyclonal antibody(1:50 dilution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anti-PCNA rabbit polyclonak antibody(1:50 dilution Santa Cruz Biotechnology, USA))를 붙여 4℃에서 overnight한다. 1차 antibody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2차 antibody(anti-goat IgG, anti-rabbit IgG) 를 붙인 뒤, avidin-biotin이 label되어 있는 complex를 처리한다. 3,3’-diaminobenzidine tetrachloride (DAB)를 처리하여 발색을 시킨다. 발색 후에 핵 염색을 위해 hematoxylin염색으로 마무리 한 뒤, 세척하여 balsam으로 고정한다. 그 결과는 도 11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에 의한 호중구 엘라스타제(Neutrophil elastease)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에 의한 증식세포핵항원(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호중구 엘라스타제(NE)와 증식세포핵항원(PCNA)은 COPD가 유발된 실험군 2에서 현저히 발현되었으며,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 4 ~ 6의 NE와 PCNA의 발현 수준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실험예 2-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치료
1.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실험예 1과 동일하다.
2. COPD 질병 유발
치료실험군 1 - COPD 유발시키지 않고 코로 단지 식염수로만 자극함.
치료실험군 2 - COPD 유발물질인 Lipopolysaccaride(Calbiochem, Germany)(이하 'LPS' 라 칭함)를 0.9%식염수에 녹여 0.5mg/kg body wt의 농도로 코를 통해 자극함.
치료실험군 3 - 치료실험군 2와 같은 방법으로 COPD를 유발하며 LPS로 자극 후 6시간 뒤에 COPD 치료제인 Dexamethasone 10mg/kg을 복강으로 1일, 2일, 3일동안투여함.
치료실험군 4 - 치료실험군 2와 같은 방법으로 COPD를 유발하며 LPS로 자극 후 6시간 뒤에 COPD 치료제인 Methylprednisolone 2mg/kg을 경구로 1일, 2일, 3일동안 투여함.
치료실험군 5 - 치료실험군 2와 같은 방법으로 COPD를 유발하며 LPS로 자극 후 6시간 뒤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300mg/kg wt을 경구로 1일, 2일, 3일동안 투여함.
상기 각각의 치료실험군은 LPS 자극 후, 3일에 희생시켰다.
3. BAL cell의 분석
실험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도 13과 도 14에 나타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총세포수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총세포수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실험군 5는 COPD가 유발된 치료실험군 2에 비해 유의적으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COPD 치 료제로 처리한 치료실험군 3과 4와 비슷한 치료효과를 보였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호중구수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실험군 5는 COPD가 유발된 치료실험군 2에 비해 호중구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치료하는 경우 염증세포의 침윤을 막아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ELISA를 이용하여 BALF 내의 IL-6, TNF-α cytokine 측정
실험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도 15과 도 16에 나타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TNF-α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IL-6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실험군 5는 dexamethasone으로 치료한 실험군 3이나 Methylprednisolone으로 치료한 실험군 4와 마찬가지로 TNF-α의 수준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그러나, IL-6 수치는 COPD가 유발된 치료실험군 2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실험군 5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1일, 2일, 3일 간격으로 투여할 경우 TNF-α와 같은 염증전구물질의 유도를 막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폐 조직의 염증 정도와 변형
실험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나타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LPS 처리 3일 후 hematoxyline 과 eosine으로 염색한 폐조직의 염증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LPS 처리 3일 후 hematoxyline 과 eosine으로 염색하여 폐기종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LPS 처리 3일 후 배상세포수(goblet cells)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와 도 18를 참조하면, COPD가 유발된 치료실험군 2에서 염증세포의 침윤이 상당히 많은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실험군 5는 염증세포의 수가 적음을 볼 수 있다. 또한, 폐기종의 반정량적 값(semiquantitative values)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실험군 5에서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도 19을 참조하면, LPS 처리 3일 후 배상세포(goblet cells)의 농도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실험군 5가 COPD가 유발된 치료실험군 2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볼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1일, 2일, 3일 동안 투여한 결과 폐점액의 변질형성(lung mucus metaplasia)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6. 면역조직화학염색법
실험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도 20에 나타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에 의한 호중구 엘라스타제(Neutrophil elastease)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호중구 엘라스타제(NE)는 COPD가 유발된 치료실험군 2에 서 현저히 발현되었으며,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실험군 5의 NE의 발현 수준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모두 종합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개별로 투별하는 것보다 7가지 약재를 혼합 투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예방실험결과를 종합하면, COPD가 유발된 실험군 2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 4 ~ 6에서 호중구수와 총세포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TNF-α 및IL-6의 수치도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조직학적 실험결과들도 LPS로 유도된 폐의 염증을 감소시킴을 보여 주었다.
또한, 치료실험예를 보면, COPD가 유발된 치료실험군 2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실험군 5에서 호중구수와 총세포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TNF-α의 수치도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폐의 염증을 감소시킴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조성물은 LPS로 유도된 만성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로서 한약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8.통계분석
통계는 SPSS 10.0 을 사용하였으며 Mann-Whitney U test 를 이용하여 그룹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도면에서 사용된 * P<0.05와 ** P<0.01은 COPD가 유발된 실험군 2 또는 치료실험군 2와 비교하여 유의있게 다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별로 사용한 것과 7가지 혼합하여 사용한 것의 호중구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별로 사용한 것과 7가지 혼합하여 사용한 것의 총세포수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총세포수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호중구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TNF-α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IL-6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LPS 처리 3일 후 hematoxyline 과 eosine으로 염색한 폐조직의 염증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LPS 처리 3일 후 H&E으로 염색하여 폐기종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LPS 처리 7일 후 hematoxyline 과 eosine으로 염색한 폐조직의 염증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LPS 처리 3일 후 배상세포수(goblet cells)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에 의한 호중구 엘라스타재(Neutrophil elastease)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예방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에 의한 증식세포핵항원(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총세포수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호중구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TNF-α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IL-6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폐조직의 염증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폐기종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배상세포 수(goblet cells)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질병 치료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에 의한 호중구 엘라스타제(Neutrophil elastease)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숙지황 14 내지 18 중량부, 천문동 7 내지 9 중량부, 오미자 7 내지 9 중량부, 목단피 7 내지 9 중량부, 황금 5 내지 7 중량부, 행인 5 내지 7 중량부, 백부 3 내지 5 중량부의 7종 복합 생약 분말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7종 복합 생약 분말을 물로서 열수 추출하여 제조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은 10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7종 복합 생약 분말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추출은 70% 에탄올을 넣고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제조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90022120A 2009-03-16 2009-03-16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KR10101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120A KR101018866B1 (ko) 2009-03-16 2009-03-16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120A KR101018866B1 (ko) 2009-03-16 2009-03-16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999A true KR20100103999A (ko) 2010-09-29
KR101018866B1 KR101018866B1 (ko) 2011-03-04

Family

ID=4300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120A KR101018866B1 (ko) 2009-03-16 2009-03-16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8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536A1 (ko) * 2012-07-03 2014-01-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WO2014007537A1 (ko) * 2012-07-03 2014-01-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부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KR102172571B1 (ko) * 2020-06-18 2020-11-0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유발 호흡기 염증 및 민감성 개선용 복합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1457A (zh) * 2011-12-13 2012-08-15 中国人民解放军海军总医院 一种降低肺动脉压力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27290B1 (ko) 2012-03-22 2014-08-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죽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81310B1 (ko) 2016-12-26 2017-09-2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성폐쇄성 폐질환 개선용 복합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560B1 (ko) * 2000-02-29 2003-03-10 문혜연 도라지추출물 함유 기관지 질환 치료용 식품조성물
DE60119989T2 (de) 2001-04-02 2007-02-08 Li, Hongfen Pharmazeutisches asthmapräparat
CN1135111C (zh) 2003-06-13 2004-01-21 胡馨元 抗非典型性肺炎汤
KR100787959B1 (ko) * 2006-05-09 2007-12-24 김성진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대사질환, 산화적 스트레스에의한 질환, 염증성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536A1 (ko) * 2012-07-03 2014-01-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WO2014007537A1 (ko) * 2012-07-03 2014-01-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부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KR101379111B1 (ko) * 2012-07-03 2014-03-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KR101393825B1 (ko) * 2012-07-03 2014-05-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부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US9895421B2 (en) 2012-07-03 2018-02-20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preventative or treatment effect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US10543248B2 (en) 2012-07-03 2020-01-28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preventative or treatment effect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comprising stemonae radix extract
KR102172571B1 (ko) * 2020-06-18 2020-11-0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유발 호흡기 염증 및 민감성 개선용 복합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866B1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866B1 (ko)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CN110870402A (zh) 一种治疗新型冠状病毒感染的肺炎的方剂及其应用
WO2021203933A1 (zh) 一种宣肺败毒的中药
Jin et al. CD4+ CD25+ Foxp3+ T cells contribute to the antiasthmatic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 in a rat model of asthma
CN101530493A (zh) 治疗呼吸系统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Xue et al. Panax notoginseng saponin R1 modulates TNF-α/NF-κB signaling and attenuates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CN107582585B (zh) 治疗慢性阻塞性肺疾病肺肾气虚证的中药组分方及其应用
KR20030007243A (ko) 의이인, 상백피, 어성초, 길경, 생지황, 금은화, 삼백초, 생강, 진피, 적작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102188416B1 (ko) 미세먼지로 유발된 호흡기 염증 개선용 복합제제
KR20210112435A (ko) 바이러스감염에 의한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9044502B2 (en) Chinese medicinal formulation f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the preparation thereof
Wu et al. Protective Effect of the Abelmoschus manihot Flower Extract on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Mice
CN109646562A (zh) 一种防治copd的蛞蝓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US8747925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es
CN108355124B (zh) 一种治疗气道粘液高分泌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101781310B1 (ko) 만성폐쇄성 폐질환 개선용 복합 제제
CN112826887B (zh) 一种中药组合物在制备咳嗽防治药物中的用途
EP1498130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4 herb extract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115804816B (zh) 防治鼻咽癌放射反应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
CN117159661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剂和应用
CN115845021B (zh) 一种用于预防和治疗肺纤维化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101331B (zh) 一种百里香药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089689B (zh) 一种治疗痉挛性咳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
US6958162B2 (en) Herbal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ic disorder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12386671B (zh) 一种治疗间质性肺疾病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