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341A - 신발의 회내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의 회내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341A
KR20100103341A KR1020097024812A KR20097024812A KR20100103341A KR 20100103341 A KR20100103341 A KR 20100103341A KR 1020097024812 A KR1020097024812 A KR 1020097024812A KR 20097024812 A KR20097024812 A KR 20097024812A KR 20100103341 A KR20100103341 A KR 2010010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ehavior
shoes
evaluating
sports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0210B1 (ko
Inventor
토마스 밀라니
토르스텐 스테르징
스테판 오덴발트
랄프 되르프러
Original Assignee
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루돌프 다쓸러 슈포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루돌프 다쓸러 슈포르트 filed Critical 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루돌프 다쓸러 슈포르트
Publication of KR2010010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7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에서 a) 회내 운동의 거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φ,dφ/dt)가 측정되며, b) 측정된 상기 변수(φ,dφ/dt)가 제어 유닛(3)으로 안내되며, c) 상기 제어 유닛(3)이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한 작동 신호(S)를 작동기(4)로 출력하며, d) 상기 작동기(4)가 회내 운동의 거동과 관련된 신발(1)의 특성을 변경하며, 상기 a) 단계에 따라 측정된 변수(φ,dφ/dt)의 데이터 처리가 시간 기준점(tK)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시간 기준점은 신발(1)과 지면의 접촉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의 회내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METHOD FOR INFLUENCING THE PRONATION BEHAVIOUR OF A SHOE}
본 발명은 a) 회내 운동(pronation)의 거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가 측정되며, b) 측정된 변수가 제어 유닛으로 안내되며, c) 제어 유닛이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한 작동 신호를 작동기로 출력하며, d) 작동자가 회내 운동의 거동과 관련된 신발의 특성을 변경하는; 신발,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에서 신발, 특히 스포츠 신발과 결합되어 그 신발의 특성이 회내 운동에 영향을 끼치도록 적극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은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작동된다. 예를 들어, 신발의 스프링 거동과 댐핑(damping) 거동은 별개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신발의 어떤 운동 조건이 측정되며 신발의 각각 스프링 거동과 댐핑 거동이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된다. 그러한 종류의 해결책이 예를 들어, US 5,813,142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서, 챔버가 신발 밑창과 결합되어 있고 유체로 충전되어 있는, 챔버 내의 압력을 평가하기 위한 센서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어 장치는 측정된 압 력에 따라서 유체 챔버 내측으로의 매체의 공급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신발의 회내 운동의 제어 결과는 (매우 바람직하게)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회내 운동은 발의 외부 에지가 들어 올려지고 발의 내부 에지가 하강하는 발목 관절(ankle joint) 축 주위에서의 발의 회전 운동이다. 회내 운동은 또한 내부 회전(inner rotation) 또는 내부 에징(inner edging)으로도 지칭된다.
발의 정상적인 회내 운동은 자연스런 감쇄 기구이며 발의 지면 접촉 중의 내측으로의 자연스런 운동이다. 그러나, 발의 에지는 소위 과도한 회내 운동의 경우에 내측으로 강하게 굽혀져서 인대, 힘줄 및 관절을 압박한다. 이러한 과도한 회내 운동은 예를 들어, 발 위치의 결함, 과체중 또는 상상한 마모와 같은 상이한 이유를 가진다. 또한, 과도한 회내 운동은 발의 지지 장치가 아직 충분히 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운동 초보자의 경우에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신발의 중앙 영역에서 상당한 마모를 볼 수 있다.
회내 운동의 반대 운동(소위 외전 운동)은 런닝 중에는 좀처럼 발생하지 않는다. 외전 운동의 경우에 하중이 반대 방향으로 향한다. 이는 측면 영역(즉, 외측)에서의 높은 마모에 의한 런닝화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현대 스포츠화의 목적은 밑창 내에 결합되며 전술한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시스템엣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회내 운동 지지범위를 초과하는 회내 운동의 적극적인 영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공지의 시스템들은 필요시 스위칭되며 필요한 한, 즉 신발의 전체 사용 기간 중에 연속적으로 작동한다. 결과적으로, 전체 스위칭-온 기간 중에 데이터가 측정되며 프로세서 내에서 처리되며 작동기가 작동된다. 따라서, 시스템도 달리는 중에 발이 지면과 전혀 접촉하지 않을 때에도 작동한다.
그에 따라, 회내 운동의 영향과 실제로 관련되고 그에 의해 회내 운동이 효율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관련 데이터를 측정 또는 결정하는 것이 하나의 문제점이다. 이들 데이터는 주행 동력학을 달리 결정하는 변수들로부터 간단한 방식으로 격리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내운동의 측정을 위한 관련 데이터를 개선되고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방법을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회내운동의 데이터와 영향에 대한 결정이 보다 양호한 기준이 되어 회내운동에 대한 제어를 개선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이는 특히 용이한 방법으로 가능해진다.
이러한 목적의 해결책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a) 단계에 따라 측정된 변수에 대한 데이터의 처리가 시간 기준점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시간 기준점은 신발이 지면에 첩촉하는 것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시간 기준점은 신발이 스스로 지면에 접촉하는 지점의 시간이거나 그에 종속적인 시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신발과 지면의 접촉은 신발 내측에 결합되어 지면과의 접촉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유닛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신발 착용자의 발에 의해 신발의 밑창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힘을 각각 측정하는 압력 또는 힘 센서가 본 발명의 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신발과 지면의 접촉 중에 신발의 가속 또는 감속을 각각 측정하는 가속 센서가 본 발명의 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대체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센서는 신발과 지면의 접촉 중에 신발의 변형을 측정함으로써 지면과의 접촉 시작을 검출하는 영역 센서(range sensor)일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신발의 뒤꿈치 영역 내에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또한, 센서는 밑창의 지면 접촉 영역과 착용자의 발의 바닥 측 사이의 밑창 내에 배열될 수도 있다. 특히, 센서는 신발의 외측 밑창과 중창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a) 단계에 따라 측정된 변수 데이터의 처리 결과는 지면으로부터 신발이 떨어졌음이 검출될 때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신발이 지면과 접촉된 기간 중에 이용되기 시작한다.
이와는 달리, 전술한 a) 단계에 따라 측정된 변수 데이터의 처리 결과는 시간 기준점으로부터의 예정된 시간이 종료될 때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내용 중에 데이터의 이용은 지면과 신발의 접촉 시간으로부터 250 ms 동안 발생되며 그 후에 데이터의 처리가 종료될 수도 있다.
전술한 a) 단계에 따라 측정된 변수 데이터의 처리가 종료된 이후에 작동기는 기준 위치 또는 제로 위치로 구동되거나 일반적으로 적합한 또는 계산된 위치로 각각 구동될 수 있다.
측정된 값의 처리가 본 발명에 따라 영구적으로 발생되지 않는다면, 전술한 a) 단계에 따라 회내운동의 거동과 관련된 변수의 측정이 특히, 신발과 지면 사이에 접촉이 발생하지 않는 동안에도 영구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단지 특정 시간 간격으로 영구적으로 등록된 측정값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에 따라서, 제어 유닛은 제어 신호를 신발과 지면이 접촉하기 이전의 한정된 기간 내에서 이미 측정된 변수들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결합하는 작동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된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수집된다면, 예를 들어 신발이 지면과 접촉하기 이전의 10 ms의 시간 주기 내에 이미 측정된 회내 운동의 제어를 위해 측정된 데이터가 결합될 수도 있다.
회내운동과 관련된 변수는 예정된 축선에 대한 신발의 각도 또는 각속도일 수 있다.
축선에 대한 신발의 각도 또는 각속도의 측정은 신발에 또는 신발 내에 배열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면 영역에 대한 축선은 신발의 종축선에 대해 0°내지 45°범위의 각도, 특히 0° 내지 10°범위의 각도를 이룬다. 한편, 종축선의 방향으로 본 상기 축선은 지면 영역에 대해 0°내지 70°, 특히 0° 내지 10°범위의 각도를 이룬다.
신발의 회내운동 거동과 관련한 특성은 신발의 종축선을 횡단하는 신발의 폭의 규정 영역 내에 있는 신발의 지면과의 접촉 영역과 착용자의 발의 바닥 측 사이의 신발의 두께일 수 있다. 그러나, 신발의 회내운동 거동과 관련한 특성은 신발의 종축선을 횡단하는 신발의 폭의 규정 영역 내에 있는 밑창의 스프링 강도일 수도 있다. 게다가, 신발의 회내운동 거동과 관련한 특성은 밑창의 상부 측과 바닥 측 사이의 각도 위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회내 운동의 영향과 특히 관련된 측정된 데이터가 개선된 방식으로 이용되는 회내운동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과 밑창에 대한 제안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된다. 이의 기본은 신발과 지면 사이의 접촉이 주어지는 시간 기준점이며, 변수 값이 지면 접촉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측정된 규정된 시간 기간에 대한 회내운동의 제어에 이용된다.
게다가, 외내운동의 제어가 도보 사이클 중의 특정 단계에서만 발생할 때 에너지 절약 작동이 존재한다.
따라서, 신발과 지면의 접촉 시간 기준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내 운동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트리거(trigger)로서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접촉 신호는 회내 운동 제어 시스템을 활성화할 있으나, 변수의 측정은 영구적으로 발생한다.
도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밑창이 지면에 닿기 직전에 밑창을 갖춘 런닝화의 레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a는 시간에 대한 밑창과 지면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측정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b는 관련 활동도, 즉 시간에 대한 회내 운동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신발을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의 다리의 저면도이다. 각각의 도보 중 그리고 도보 사이클 중 신발(1)은 일정한 시간 동안 공중에 있게 된다. 그 후 신발은 지면에 접촉되고 다시 지면에서 떨어지기 이전에 지면에서 이동하게 된다. 신발(1)은 지면과의 접촉 영역(8)을 갖는 밑창(7)을 가진다. 도시된 것은 신발(1)이 지면(5)에 접촉한 직후 상황, 즉 이때 신발(1)은 여전히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이다.
신발(1)은 신발(1) 착용자의 발의 회내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2,3,4,1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첫째로, 회내 운동과 관련한 변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2)를 포함한다. 현재, 각도(φ)로부터 유도된 신발의 각속도(dφ/dt)가 관련 변수로서 적용된다. 각속도(dφ/dt)는 신발(1)의 종축선(L)뿐만 아니라 수평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축선(9)에 대해 측정된다. 각속도에 비례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센서(2)로서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ic sensor)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신호(측정값)는 상기 센서(2)로부터, 제어 및 피이드-백 제어 알고리즘이 각각 저장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춘 제어 유닛(3)으로 송신된다. 결정된 측정값에 따라서 제어 유닛(3)은 작동 신호(S)의 출력을 저장된 알고리즘에 기초한 작동기(4)에 대해, 즉 회내 운동이 선택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회내 운동과 관련된 신발(1)의 변수를 변경할 수 있는 작동기에 대해 초기화한다.
그에 따라, 특히, 신발(7)의 측면 영역 내의 지면 접촉 영역(8)과 신발의 발 접촉 영역 사이의 신발(7)의 유효 두께를 변경할 수 있는 작동기(4)가 제안되었다. 따라서, 발은 지면과의 접촉 중에, 그리고 신발(1)의 종축선(L)에 대해 각각 다소간으로 지면 상에서 발이 이동하는 동안에 기울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신발의 스프링 또는 댐핑 특성에 영향을 주는 작동기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작동기(4)는 각각의 작동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에너지를 배터리(10)로부터 수용한다.
변수(φ,dφ/dt)에 대한 데이터 처리는 시간 기준점(tK)(도 2b 참조)으로부터 각각 수행되며, 이러한 시간 기준점은 신발(1)과 지면의 접촉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간 기준점(tK)을 결정하기 위해 센서(6)는 신발(1), 즉 밑창(7) 내에, 바람직하게 밑창과 중창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센서는 착용자의 발과 지면(5)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F, 또는 압력(p)]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와 힘 센서일 수 있다.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신발과 지면(5) 사이의 접촉은 존재하지 않아서 센서(6)에 의해서 측정된 힘은 실질적으로 제로이다. 한편, 떠 있는 상태의 종료 후에 신발과 지면(5)의 접촉은 센서(6)에 의해 값으로 등록된다.
센서(6)의 측정값은 접촉 신호(SK)로서 제어 유닛(3)으로 전달된다. 임계 값(S0) 위에 있는 신호값이 검출되자마자 센서(2)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가 시스템(2,3,4,10)에 의해 회내 운동의 영향을 능동적으로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서, 센서(6)의 측정값이 시간에 대한 함수로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좌표에서 센서 신호의 (정량적)크기가 도시된다. 측정된 힘과 측정된 압력이 각각 임계값(S0)을 초과하자마자 측정된 데이터가 이용되기 시작한다. 데이터의 자체 측정은 영구적으로 수행된다.
이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시간 기준점(tK)에서 임계값(S0)의 초과가 주어지면, 측정된 데이터의 이용이 시작된다(도 2b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이용은 빗금친 영역). 센서 값이 다시 보다 작은 예정된 값으로 떨어지면(떠 있는 상태의 시작), 이는 또한 제어 유닛(3)에 의해 등록되며, 이 때 측정된 데이터의 이용이 종료된다.
한편, 회내 운동 제어 시스템의 작동 운동은 대개 신발이 떠 있는 상태 동안에 발생한다. 이러한 시간 중에 측정된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유닛에 의해 모두 이용된다.
회내 운동과 관련된 변수의 평가를 위한 센서(2)는 축선(9)에 대한 각속도(dφ/dt)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측정 시스템으로서 디자인된다. 축선(9)은 착용자의 발과 신발의 회내 운동을 각각 결정하는데 특히 중요한 신발 내의 특정 위치에 배열된다. 지면 프로젝션(ground projection)은 신발(1)의 종축선(L)에 대한 각도, 즉 대략 0°내지 10°로 배열된다. 축선(9)이 종축선(L)의 방향으로 관 련되어 있다면, 0°내지 10°범위인 수평에 대한 각도를 포함한다. 센서(2)는 신발(1)의 측면 영역, 즉 신발 상부의 하부 영역 내에 배열된다.
센서(6)는 바람직하게,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신발(1)의 밑창과 중창 사이, 즉 신발의 바로 후방 에지(즉, 후방 에지 영역 내)에 배열된다.
추가의 센서(2)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수평 방향 및 종축선(L)의 횡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일 수 있는, 예를 들어 중족골 브릿지(metatarsal bridge) 후방의 뒤꿈치 영역 내에 위치되는 센서가 제안된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는 중간측 방향으로의 수평 가속도를 검출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정도 및 이동 속도를 평가하기 위해, 즉 회내 운동의 정도와 속도를 평가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은 신발 뒤꿈치 영역에 특히 적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6)에 의해 신발(1)의 초기 지면 접촉이 검출된다. [도 2에서 시간(tK)에서의]센서 신호의 검출은 신발, 특히 뒤꿈치의 지면 접촉이 시작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2에서 시간 기준점(tF)에서의]측정된 값의 압력 하락은 지면(5)으로부터 신발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뒤꿈치 운동의 회전 속도를 얻기 위한 각속도(dφ/dt)의 측정을 위한 자이로스코프 측정 시스템(2)이 사용된다. 검출된 최대값은 최대 회내운동 속도에 대응한다.
자이로스코프 센서(2)에 의해 측정된 각속도(dφ/dt) 신호의 적분에 의해 회내운동의 각도 범위가 결정된다. 따라서, 시간에 대한 각속도의 신호를 적분함으 로써 (회내운동)의 각도 값이 결정된다.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는 회내운동의 범위를 제공한다.
시간 기준점(tK) 이후의 예정 기간 동안, 예를 들어 250 ms 동안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의 수집이 영구적으로 수행되는 한, 시간 기준점(tK) 이전에 이미 놓인, 예를 들어 시간 기준점(tK) 이전의 10 ms 기간 내에 놓인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로의 접근도 가능하다.
게다가, 그러한 방식으로 도보 숫자에 대해 수집된 측정 값을 모으고 회내 운동을 수집하기 위한 평균값으로 이들을 합치는 것도 가능하다.
제안된 방법은 신발과 결합되어 회내운동 거동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에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예를 들어 (런닝머신 상의)착용자의 주행 성능의 분석을 위한 정적 및 동적 측정에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일반적으로 가능하다.
* 도면 참조 부호 *
1 : 신발
2 : 센서(자이로스코프 센서)
3 : 제어 유닛
4 : 작동기
5 : 지면
6 : 센서
7 : 밑창
8 : 지면 접촉 영역
9 : 축선
10 : 에너지 소오스(배터리)
S : 작동 신호
S0 : 임계치
SK : 신발과 지면의 접촉 신호
F : 힘
L : 신발의 종축선
φ,dφ/dt : 변수
φ : 각도
dφ/dt : 각속도
tK : 시간 기준점

Claims (18)

  1. a) 회내 운동의 거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φ,dφ/dt)가 측정되며,
    b) 측정된 상기 변수(φ,dφ/dt)가 제어 유닛(3)으로 안내되며,
    c) 상기 제어 유닛(3)이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한 작동 신호(S)를 작동기(4)로 출력하며,
    d) 상기 작동기(4)가 회내 운동의 거동과 관련된 신발(1)의 특성을 변경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따라 측정된 변수(φ,dφ/dt)의 데이터 처리가 시간 기준점(tK)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시간 기준점은 신발(1)과 지면의 접촉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1)과 지면의 접촉은 신발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SK)를 상기 제어 유닛(3)으로 출력하는 센서(6)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1)의 착용자 발에 의해 상기 신발(1)의 밑창(7)에 가해지는 압력(P) 또는 힘(F)을 측정하는 상기 센서(6)로서 압력 또는 힘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1)과 지면의 접촉 중에 상기 신발(1)의 가속 또는 감속을 각각 측정할 수 있는 상기 센서(6)로서 가속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6)는 상기 신발(1)의 뒤꿈치 영역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6)는 상기 밑창(7)의 지면 접촉 영역(8)과 상기 착용자의 발의 바닥 측 사이의 상기 밑창(7)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6)는 상기 신발(1)의 외측 밑창과 중창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항의 a) 단계에 따라 측정된 변수(φ,dφ/dt)의 데이터 처리는 상기 지면(5)으로부터 상기 신발(1)이 떨어졌음이 검출되었을 때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항의 a) 단계에 따라 측정된 변수(φ,dφ/dt)의 데이터 처리는 상기 시간 기준점(tK)으로부터 예정된 시간이 경과된 때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항의 a) 단계에 따라 측정된 변수(φ,dφ/dt)의 데이터 처리의 종료 이후에 상기 작동기(4)는 규정된 위치로 구동되거나 기준 위치 또는 제로 위치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항의 a) 단계에 따른 회내운동의 거동과 관련된 변수(φ,dφ/dt)의 측정은 특히 상기 신발과 지면 사이의 접촉이 없는 기간 중에도 영구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3)은 상기 신발(1)과 지면과의 접촉 이전의 규정 기간 내에 이미 측정된 변수(φ,dφ/dt)에 대한 측정된 데이터를 통합하는 상기 작동기(4)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내운동의 거동과 관련된 상기 변수는 예정된 축선(9)에 대한 상기 신발(1)의 각도(φ) 또는 각속도(dφ/d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축선(9)에 대한 상기 신발(1)의 각도(φ) 또는 각속도(dφ/dt)의 측정은 상기 신발에 또는 상기 신발 내에 배열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2)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영역에 대한 상기 축선(9)의 투시는 상기 신발(1)의 종축선에 대해 0°내지 45°범위의 각도, 특히 0°내지 10°범위의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L)의 방향으로 본 상기 축선(9)은 상기 지면 영역에 대해 0°내지 70°범위의 각도, 특히 0°내지 10°범위의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1)의 회내 운동의 거동과 관련한 특성은 상기 신발(1)의 종축선(L)을 횡단하는 상기 신발(1)의 폭의 규정 영역 내에 있는 상기 밑창(7)의 지면 접촉 영역(8)과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의 바닥 측 사이의 밑창(7)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1)의 회내 운동의 거동과 관련한 특성은 상기 신발(1)의 종축선(L)을 횡단하는 상기 신발(1)의 폭의 규정 영역 내에 있는 상기 밑창(7)의 스프링 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특히 스포츠화의 회내 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KR1020097024812A 2007-12-29 2008-12-08 신발의 회내운동의 거동을 조절하는 방법 KR101540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63160.1 2007-12-29
DE102007063160A DE102007063160A1 (de) 2007-12-29 2007-12-29 Verfahren zum Beeinflussen des Pronationsverhaltens eines Schuh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341A true KR20100103341A (ko) 2010-09-27
KR101540210B1 KR101540210B1 (ko) 2015-08-06

Family

ID=4037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812A KR101540210B1 (ko) 2007-12-29 2008-12-08 신발의 회내운동의 거동을 조절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198111A1 (ko)
EP (1) EP2229066B1 (ko)
JP (1) JP2011507644A (ko)
KR (1) KR101540210B1 (ko)
CN (1) CN101677647B (ko)
DE (1) DE102007063160A1 (ko)
ES (1) ES2601863T3 (ko)
WO (1) WO200908309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386B1 (ko) * 2013-08-07 2014-11-05 주식회사 코너스톤스마트 신발을 이용한 자전거 케이던스 측정 시스템
KR102192077B1 (ko) 2019-09-23 2020-12-16 정민호 하체운동 보조기구
KR102192078B1 (ko) 2019-09-23 2020-12-16 정민호 운동화를 이용한 상·하체운동 보조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135A (ko) * 2011-07-14 2014-07-16 엠씨10, 인크 발 또는 신발류 위의 힘의 검출
JP5845747B2 (ja) * 2011-09-10 2016-01-20 株式会社デンソー 履物
US9504407B2 (en) * 2013-05-21 2016-11-29 Chin Keong Lam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runner data
DE102013107803A1 (de) * 2013-07-22 2015-01-22 Visiotex GmbH Elastischer Schuh
US9609904B2 (en) 2015-04-23 2017-04-04 Adidas Ag Shoes for ball sports
CN108697204B (zh) * 2016-02-19 2022-08-09 彪马欧洲股份公司 用于生产鞋、尤其是运动鞋的方法
US10213134B2 (en) * 2016-08-18 2019-02-26 Timothy W. Markison Wireless in-shoe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implementation
US11219389B2 (en) * 2016-11-15 2022-01-11 Jacob Benford Gait analysis and aler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42297B (it) * 1975-09-04 1980-01-30 Pedotti A Apparecchiatura particolarmente per la valutazione dell efficienza funzionale dell apparato locomotore umano
US4745930A (en) * 1986-10-16 1988-05-24 Chattanooga Corporation Force sensing insole for electro-goniometer
US5437289A (en) * 1992-04-02 1995-08-01 Liverance; Howard L. Interactive sports equipment teaching device
US5813142A (en) 1996-02-09 1998-09-29 Demon; Ronald S. Shoe sole with an adjustable support pattern
US6876947B1 (en) * 1997-10-02 2005-04-05 Fitsense Technology, Inc. Monitoring activity of a user in locomotion on foot
US6301964B1 (en) 1997-10-14 2001-10-16 Dyhastream Innovations Inc. Motion analysis system
JP4286328B2 (ja) * 1998-02-25 2009-06-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運動中の性能を測定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と、このシステムにおいて使用する運動靴
US7334350B2 (en) * 1999-03-16 2008-02-26 Anatomic Research, Inc Removable rounded midsole structures and chambers with computer processor-controlled variable pressure
WO2000064293A1 (en) * 1999-04-26 2000-11-02 Anatomic Res Inc Shoe sole orthotic structures and computer controlled compartments
NL1014658C2 (nl) * 2000-03-16 2001-09-19 Xsens Sports Technologies B V Snelheidsmeter.
US6430843B1 (en) * 2000-04-18 2002-08-13 Nike, Inc. Dynamically-controlle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30009308A1 (en) * 2000-06-24 2003-01-09 Chris Kirtley Instrumented insole
US6836744B1 (en) * 2000-08-18 2004-12-28 Fareid A. Asphahani Portable system for analyzing human gait
US6549845B2 (en) * 2001-01-10 2003-04-15 Westinghouse Savannah River Company Dead reckoning pedometer
US8109890B2 (en) * 2002-02-07 2012-02-07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Service Des Relations Industrielles Body movement monitoring device
WO2003086235A2 (en) * 2002-04-12 2003-10-23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Sensory prosthetic for improved balance control
US7069665B1 (en) * 2002-07-19 2006-07-04 Biocorrect L.L.C. Correcting foot alignment
DE10240530A1 (de) * 2002-09-03 2004-03-11 Völkl Tennis GmbH Schuh bzw. Sportschuh
US7225565B2 (en) * 2003-03-10 2007-06-0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US7631382B2 (en) * 2003-03-10 2009-12-1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US7188439B2 (en) * 2003-03-10 2007-03-13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US6983555B2 (en) * 2003-03-24 2006-01-10 Reebok International Ltd. Stable footwear that accommodates shear forces
FR2853119B1 (fr) * 2003-03-25 2007-06-29 Aphycare Technologies Dispositif de mesure d'au moins une information physiologique a membrane souple, module capt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s
JP4504043B2 (ja) * 2004-02-19 2010-07-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歩行速度算出装置及び歩行速度算出方法
US7355519B2 (en) * 2004-02-24 2008-04-08 Kevin Grold Body force alarming apparatus and method
TWI235425B (en) * 2004-05-26 2005-07-01 Promos Technologies Inc Etching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tching solution thereof
WO2006016369A2 (en) * 2004-08-11 2006-02-16 Andante Medical Devices Ltd. Sports shoe with sensing and control
US8291618B2 (en) * 2004-11-22 2012-10-23 Frampton E. Ellis Devices with internal flexibility sipes, including siped chambers for footwear
US20060248750A1 (en) * 2005-05-06 2006-11-09 Outland Research, Llc Variable support footwear using electrorheological or magnetorheological fluids
US20070006489A1 (en) * 2005-07-11 2007-01-11 Nike, Inc. Control systems and foot-receiving device products containing such systems
US20070173903A1 (en) * 2005-08-30 2007-07-26 Bioq, Inc. Medical device for restoration of neurological function impaired by peripheral neuropathy
US20070073514A1 (en) * 2005-09-26 2007-03-2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Walking analyzer
US7917981B1 (en) * 2005-11-30 2011-04-05 Nikola Lakic Methods of making adjustable air cushion insoles and resulting products
JP4856427B2 (ja) * 2006-01-13 2012-01-18 株式会社ジャパーナ 運動靴又はランニングシューズ選定システム及び提示システム
US7827000B2 (en) * 2006-03-03 2010-11-02 Garmin Switzer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motion parameter
US8583272B2 (en) * 2006-04-21 2013-11-12 Donald Spector Orthopods and equipment to generate orthopedic supports from computerized data inputs
US7552021B2 (en) * 2006-12-07 2009-06-23 Step Of Mind Ltd.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human motor function
FR2926971B1 (fr) * 2008-02-04 2011-02-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analyse de la marche
EP2977067B1 (en) * 2008-03-13 2020-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o a tissue site on a foot
WO2010076313A1 (fr) * 2009-01-05 2010-07-08 Movea S.A Dispositif et methode de caracterisation de mouvements
DE202009007220U1 (de) * 2009-05-19 2010-09-23 Puma Ag Rudolf Dassler Sport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KR20120070846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행 패턴 분석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386B1 (ko) * 2013-08-07 2014-11-05 주식회사 코너스톤스마트 신발을 이용한 자전거 케이던스 측정 시스템
KR102192077B1 (ko) 2019-09-23 2020-12-16 정민호 하체운동 보조기구
KR102192078B1 (ko) 2019-09-23 2020-12-16 정민호 운동화를 이용한 상·하체운동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7647A (zh) 2010-03-24
DE102007063160A1 (de) 2009-07-09
US20100198111A1 (en) 2010-08-05
CN101677647B (zh) 2014-04-02
WO2009083099A1 (de) 2009-07-09
JP2011507644A (ja) 2011-03-10
EP2229066A1 (de) 2010-09-22
ES2601863T3 (es) 2017-02-16
EP2229066B1 (de) 2016-08-10
KR101540210B1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3341A (ko) 신발의 회내운동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US20200234604A1 (en) Mobility aid
US201701356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gait and providing real-time feedback on gait asymmetry
KR101648270B1 (ko) 보행 단계 판정을 위한 발모듈, 이를 이용한 보행 단계 판정 방법, 보행 분석 시스템 및 능동형 보행 보조 장치
CN103648380B (zh) 体动检测装置及体动检测装置的控制方法
CN108095729A (zh) 一种冻结步态识别方法和装置
RU2007132169A (ru) Носимое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йствующее двигательной активности, и управляющая программа
US11051717B2 (en) Load determination method
CN110944582A (zh) 足底压测定器、信息提供装置和信息提供方法
CN113367439B (zh) 一种可识别鞋打滑的智能鞋及识别方法
CN105640557B (zh) 负荷检测装置和步行辅助装置
KR101173951B1 (ko) 신발의 미끄러짐 저항 측정장치
US11097158B2 (en) Gait training machin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357259B1 (ko) 보행패턴의 균일성 및 대칭성의 직관적 인지가 가능한 보행패턴 분석시스템
CN109688923B (zh) 乳酸性作业阈值推测装置以及乳酸性作业阈值推测方法
KR101774810B1 (ko) 보행 보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5139B1 (ko) 로봇의 보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05816A (ko) 착용로봇의 보행의도감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51104B1 (ko) 착용형 보행 분석 장치
KR102177647B1 (ko) 개인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보행패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107423658B (zh) 步态识别方法及装置
TWI615128B (zh) 用於鞋類之動態氣壓感測系統
CN214283619U (zh) 一种基于量化数据的儿童正步鞋垫
KR102601031B1 (ko) 인간형 테스트 로봇 유니트, 이를 구비하는 착용 로봇 테스트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04728A (ko) 센서 장착형 스포츠 스타킹 기반 부상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