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164A - 패키징 유닛 - Google Patents

패키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164A
KR20100102164A KR1020107015907A KR20107015907A KR20100102164A KR 20100102164 A KR20100102164 A KR 20100102164A KR 1020107015907 A KR1020107015907 A KR 1020107015907A KR 20107015907 A KR20107015907 A KR 20107015907A KR 20100102164 A KR20100102164 A KR 20100102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unit
rear wall
line
wall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찰스 도허티
Original Assignee
더 질레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질레트 컴퍼니 filed Critical 더 질레트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00102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1Both sheets being recessed
    • B65D75/322Both sheets being recess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6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r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 B65D2575/361Details
    • B65D2575/362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 B65D2575/366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through a preformed opening in the recessed sheet, e.g. the opening being defined by weakened l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패키징 유닛은 주변부 조인트(14)에서 함께 밀봉되는 전방 벽(11)과 후방 벽(12)을 갖는다. 전방 벽과 후방 벽은 반-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전방 벽과 후방 벽(11, 12)은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물품-수용 영역을 형성한다. 취약선(15)이 후방 벽 내에 형성된다. 취약선(15)은 후방 벽의 잔여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개방 플랩(20)을 형성한다. 상승된 개방 탭이 취약선을 따라 개방 플랩(20) 상에 위치되며, 개방 플랩으로부터 멀리 연장한다. 취약선(15)은 물품-수용 영역에 접근하기 위해 개방 플랩을 취약선(15)을 따라 후방 벽의 잔여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도록 손에 의한 힘을 개방 탭에 가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파열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 특징부를 구비한 물품용 패키징 유닛{PACKAGING UNIT FOR ARTICLES WITH OPENING FEATURE}
본 발명은 면도기, 개인 사용 물품 등과 같은 물품을 위한 반-강성 패키징 유닛(semi-rigid packaging unit)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위한 종래의 패키징 유닛은 서로 고정된 2개의 벽으로부터 제조된다. 이 벽들은 주변 에지를 따르는 또는 실제로 전체 주변부를 둘러싸는 열 밀봉 용접부를 가져 비교적 강성이다. 이들 패키징 유닛의 예는 알트하우스(Althau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429,241호 및 그랑지(Grang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407,066호에 도시되어 있다.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은 플라스틱 블리스터 전면 및 플라스틱 전면이 접착되는 판지(cardboard) 후방 벽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2개의 절반부를 서로로부터 멀리 박리시킬 때 또는 판지 후방 벽 상의 천공된 플랩 또는 패널을 뒤로 당길 때 개방된다. 이들 팩의 예는 이텐(Ite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095,691호; 이텐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972,417호; 이텐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970,194호; 및 뮬렌(Mulle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933,245호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공지된 팩의 여러 단점은, 이들이 종종 개방하기 어렵거나, 대개 가위 또는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거나, 내부의 물품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허용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하다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은 패키징 유닛을 포함한다. 패키징 유닛은 주변부 조인트(peripheral joint)에서 함께 밀봉되는 전방 벽과 후방 벽을 포함한다. 전방 벽과 후방 벽은 반-강성 재료로 형성되며,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물품-수용 영역을 형성한다. 취약선(line of weakness)이 후방 벽 내에 형성된다. 취약선은 후방 벽의 잔여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개방 플랩(opening flap)을 형성한다. 상승된 개방 탭(opening tab)이 취약선을 따라 개방 플랩 상에 위치된다. 상승된 개방 탭은 개방 플랩으로부터 멀리 연장한다. 취약선은 물품-수용 영역에 접근하기 위해 개방 플랩을 취약선을 따라 후방 벽의 잔여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도록 손에 의한 힘을 개방 탭에 가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파열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벽은 플라스틱 또는 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취약선은 천공부를 포함한다.
주변부 조인트는 열-밀봉된 시임(heat-sealed seam), 고주파 밀봉된 시임(radio frequency sealed seam), 초음파 밀봉된 시임(ultrasonic sealed seam), 또는 접착제 밀봉된 시임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징 유닛은 후방 벽으로부터의 개방 플랩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후방 벽 내에 힌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개방 플랩은 상기 후방 벽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요지를 특별히 지적하고 명확하게 청구하는 특허청구범위로 끝맺고 있지만,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후속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키징 유닛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패키징 유닛의 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패키징 유닛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패키징 유닛의 저면도,
도 5는 개방 플랩이 후방 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 상태의 도 1의 패키징 유닛의 후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패키징 유닛의 배면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물품을 위한 패키징 유닛(10)이 도시되어 있다. 패키징 유닛(10)은 2개의 이격된 벽, 즉 전방 벽(11)과 후방 벽(12)으로 구성되며, 이 벽들은 블리스터, 파우치, 포켓 또는 공동으로 통상 지칭되는 물품-수용 영역(13)을 그들 사이에 한정하도록 형성되었다. 벽은 시트, 포일(foil) 또는 패널로 지칭될 수 있다. 물품-수용 파우치 형상은 하나의 벽 및 평평한 다른 하나의 벽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전방 벽(11)과 후방 벽(12) 둘 모두가 물품-수용 파우치의 부분들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키징 유닛(10)은 정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을 비롯한 복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전방 벽(11)과 후방 벽(12)은 일반적으로 형성된 형상, 예컨대 블리스터 형상을 유지하고 비교적 강성의 반-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벽(11)과 후방 벽(12)은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구매에 앞서 내부에 포함된 물품을 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다른 불투명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반-강성 플라스틱 재료의 벽(11, 12)은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재료로부터 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는 또한 비제한적으로 PVC, PET G(엑스트라 글리콜 폴리에스테르(extra glycol polyester)), PET, PETGAG 및 PP를 포함한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벽(11, 12)의 경우, 적합한 형성 기술은 진공 성형(vacuum forming) 및 딥 드로잉(deep drawing)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재료의 시트는 형성될 물품-수용 영역(13)에 형상이 대응하는 알루미늄 공구 위에서 압력을 보조로 하여 연신되고(drawn down), 이어서 냉각 및 경화된다. 대안적으로, 현재 덜 바람직하지만, 하나의 벽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다른 벽은 판지 또는 보드지로 제조될 수 있다. 전부가 플라스틱인(all-plastic) 패키징 유닛의 사용은, 그것이 상이한 재료들을 분리할 필요 없이 재활용가능할 수 있고, 강하며, 포함된 물품을 볼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재료는 내부에 패키징될 물품의 중량, 패키지 충돌 또는 변형에 대한 요구되는 저항성, 재료 비용, 및 상이한 재료들보다는 균질한 재료로 제조된 패키지의 재활용의 용이성과 같은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패키징 유닛(10)은 주변부 조인트(14)를 따라 밀봉된다. 패키징 유닛(10)은 전체 주변부 에지 둘레로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된 패키징 유닛(10)은 내부에 포함된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충분한 정도의 강성을 갖고 우발적인 개방에 저항하는 반-강성 조립체를 형성한다.
주변부 조인트(14)는 접착제, 초음파, 열-밀봉, RF(radio-frequency) 밀봉(HF("high frequency") 밀봉으로도 지칭됨), 또는 견고한 기계식 맞물림(firm mechanical interlock)과 같은 편리한 기술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조인트는 쉽게 박리되어 떨어지지 않도록(즉, 층 분리에 저항하도록) 하기에 충분하게 강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소비자가 조인트 자체의 층들을 분리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선택되는 조인트의 유형은 당업계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벽(11, 12)이 제조되는 재료에 좌우된다. 열 밀봉 또는 RF 밀봉이, 블리스터 팩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당업계에서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은 바람직한 플라스틱의 부류에서 견고한 "용접된" 조인트를 형성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이해된다. 적합한 RF 밀봉은 평면도로 볼 때 약 2.5㎜의 폭이다. 아이소시아네이트 유형의 접착제가 또한 이들 종류의 플라스틱을 "용접"시킬 것이지만, 고무계 접착제는 이들이 박리 개방에 대한 저항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대안적으로, 하나의 벽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다른 벽이 판지로 제조된 경우, 적합한 접착제가 당업계에서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주연부 조인트(14)를 따라 그리고 내향으로, 취약선 또는 약화 영역(weakened region)(15)이 후방 벽(12) 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취약선(15)은 주변부 조인트(14)의 부분과 대체로 평행하고 동연적이며, 천공부(16)에 의해 형성된다. 취약선(15)은 개방 플랩(20)을 형성한다. 상승된 개방 탭(24)이 취약선(15)을 따라 개방 플랩(20) 상에 위치된다. 상승된 개방 탭(24)은 개방 플랩(20)으로부터 멀리 연장한다. 개방 플랩(20)으로부터 멀리 연장함으로써, 상승된 탭(24)은 패키징 유닛(10)을 개방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편리한 위치를 제공한다. 개방 팁(24)에 대해 약 1 ㎏ (약 2 파운드)의 범위로 다소간의 적절한 손에 의한 힘을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취약선(15)의 천공부(16)의 파열 시에, 개방 플랩(20)은 후방 벽(12)의 잔여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서, 물품-수용 영역(13)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허용한다. 개방 플랩(20)은 힌지(26)를 중심으로 피봇됨으로써 후방 벽(12)의 잔여부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사용자가 패키징 유닛(10)을 개방하기 위해 개방 탭(24)을 파지해야 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따라서 넓은 범위를 차지하는 개방 사용설명서가 패키지 상에 인쇄될 필요성을 제거하며, 이는 패키지의 제한된 표면적 중 더 넓은 면적이 물품을 볼 수 있게 하는 데에 이용가능하도록 하고 판매되는 물품 자체에 대한 중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천공부(16)는 기계식 다이 컷팅 또는 슬릿팅(slitting)에 의해 형성된 임의의 편리한 약화 및/또는 응력-집중 특징부일 수 있다. 천공부(16)는 다이 컷팅 또는 슬릿팅에 의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벽(12)을 통과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재료에 따라, 당업계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100 퍼센트 절단부(두께의 100%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슬릿부)이면 충분할 수 있다. 천공부(16)는, 현재 바람직한 바와 같이, 재료의 두께를 완전하게 통과하여 절단하는 것과 같이, 후방 벽(12)을 완전하게 통과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약 0.4㎜ 두께의 PVC, PET G, PET, PETGAG 또는 PP 시트를 사용할 때, 슬릿부들 사이에 1㎜의 비-슬릿 부분("랜드(land)")을 갖는 10㎜ 길이로 연장하는 슬릿부로서 천공부를 형성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하며, 치수의 선택은 벽 재료의 두께 및 강성에 비추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것으로 이해된다. 천공부(16)는 플라스틱 재료의 후방 벽(12)의 형성에 후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천공부(16)는 전방 및 후방 벽(11, 12)이 함께 열-용접되기 전에 후방 벽(12)을 위한 블랭크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에 따라 벽 형성 단계가 하나의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며, 이와 다르게, 천공부(16)가 벽이 열-용접된 후에 형성된다면, 이는 추가의 처리 단계를 필요로 할 것이다.
패키징 유닛(10) 내의 물품은 개인 사용 물품, 예컨대 면도기, 면도기 면도날 유닛, 면도 유닛, 면도 헤드, 칫솔, 배터리, 전기 또는 가스 구동식 전기기구를 위한 전지(energy cell) 또는 기타 연료 전지(fuel cell) 등일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패키징 유닛(110)이 도시되어 있다. 패키징 유닛(110)은 도 1 내지 도 5의 패키징 유닛(10)과 동일하지만, 한 가지 차이점이 있다. 한 가지 차이점은 취약선(115)이 개방 플랩(120)을 후방 벽(112)의 잔여부로부터 완전하게 제거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취약선(115)은 개방 플랩(120)을 형성한다. 상승된 개방 탭(124)이 취약선(115)을 따라 개방 플랩(120) 상에 위치된다. 상승된 개방 탭(124)은 개방 플랩(120)으로부터 멀리 연장한다. 개방 플랩(120)으로부터 멀리 연장함으로써, 상승된 탭(124)은 패키징 유닛(110)을 개방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편리한 위치를 제공한다. 개방 탭(124)에 대해 적절한 손에 의한 힘을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취약선(115)의 천공부(116)의 파열 시에, 개방 플랩(120)은 후방 벽(112)의 잔여부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어서, 물품-수용 영역(113)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인용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격히 제한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각각의 이러한 치수는 인용된 값 및 그 값 부근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범위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40㎜"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며, 어떠한 문헌의 인용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 인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포함된 문헌의 동일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의 그 용어에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8)

  1. 패키징 유닛으로서,
    주변부 조인트(peripheral joint)에서 함께 밀봉되며, 반-강성 재료로 형성되고,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물품-수용 영역을 형성하는 전방 벽과 후방 벽;
    상기 후방 벽 내에 형성되며, 상기 후방 벽의 잔여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개방 플랩(opening flap)을 형성하는 취약선;
    상기 취약선을 따라 상기 개방 플랩 상에 위치되며, 상기 개방 플랩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상승된 개방 탭(opening tab)을 포함하며,
    상기 취약선은 상기 물품-수용 영역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개방 플랩을 상기 취약선을 따라 상기 후방 벽의 잔여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도록 손에 의한 힘을 상기 개방 탭에 가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파열될 수 있는
    패키징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과 후방 벽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패키징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과 후방 벽은 판지로 형성되는
    패키징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선은 천공부를 포함하는
    패키징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 조인트는 열-밀봉된 시임(heat-sealed seam)을 포함하는
    패키징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 조인트는 고주파 밀봉된 시임(radio frequency sealed seam)을 포함하는
    패키징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벽으로부터의 상기 개방 플랩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후방 벽 내에 힌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패키징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선은 상기 후방 벽의 잔여부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는 개방 플랩을 형성하는
    패키징 유닛.
KR1020107015907A 2008-01-18 2009-01-07 패키징 유닛 KR201001021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09,460 US20090184017A1 (en) 2008-01-18 2008-01-18 Packaging unit for articles with opening feature
US12/009,460 2008-0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164A true KR20100102164A (ko) 2010-09-20

Family

ID=4039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907A KR20100102164A (ko) 2008-01-18 2009-01-07 패키징 유닛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90184017A1 (ko)
EP (1) EP2234900A1 (ko)
KR (1) KR20100102164A (ko)
CN (1) CN101910020A (ko)
AU (1) AU2009205330A1 (ko)
BR (1) BRPI0906931A2 (ko)
CA (1) CA2712611A1 (ko)
MX (1) MX2010007838A (ko)
TW (1) TW200951037A (ko)
WO (1) WO2009090574A1 (ko)
ZA (1) ZA2010050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089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8781A1 (en) * 2008-06-12 2009-12-17 Gerald Joseph Le Clair Blister Pack With Opener
US20100176020A1 (en) * 2009-01-13 2010-07-15 Tek Packaging LLC Packaging with perforated opening strip
USD656008S1 (en) * 2010-06-24 2012-03-20 The Gillette Company Packaging for combination shaving and trimming device
RU2560915C2 (ru) 2010-12-13 2015-08-20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Удобно открывающаяся демонстрационная упаковка для товара
MX2014004129A (es) 2011-10-05 2014-07-22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del cuidado bucal empacado y empaque.
USD751379S1 (en) * 2014-01-28 2016-03-15 Bosch Automotive Service Solutions Inc. Scan tool package
USD745823S1 (en) * 2014-09-29 2015-12-22 Yi-feng Liu Bits box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3245A (en) * 1973-07-09 1976-01-20 Mullen Patrick E Article holding and dispensing container
US3970194A (en) * 1975-01-08 1976-07-20 Philip Morris Incorporated Razor blade cartridge and display article
US3972417A (en) * 1975-04-01 1976-08-03 Philip Morris Incorporated Cutting blade package
US4095691A (en) * 1976-06-10 1978-06-20 American Safety Razor Company Package for releasable containment of razor blades and the like
GB2043020A (en) * 1979-02-27 1980-10-01 Gillette Co Blister pack for dispensing razor blades
US4300682A (en) * 1979-05-18 1981-11-17 American Can Company Blister package
US4569442A (en) * 1985-02-05 1986-02-11 Bushey Richard D Reclosable blister package
DE59107459D1 (de) * 1990-10-27 1996-04-04 Wilkinson Sword Gmbh Blister-Verpackung für Gegenstände
DE9300149U1 (de) * 1993-01-08 1994-05-19 Wilkinson Sword Gmbh Verpackung für Gegenstände
JPH0882897A (ja) * 1994-07-11 1996-03-26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製品の包装体
US6227369B1 (en) * 1999-10-29 2001-05-08 Sony Corporation Clamshell package including both permanent and resealable fastening structure
US6276529B1 (en) * 2000-02-16 2001-08-21 The Gillette Company Packaging unit for articles with convenient opening strip
EP1564154A1 (en) * 2004-02-16 2005-08-17 Albaad Massuot Yitzhak Ltd. Closure unit, mold for producing same, and dispenser-container incorporating a closure unit
US9004761B2 (en) * 2006-05-01 2015-04-1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le chamber container with mistake proof administr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089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06931A2 (pt) 2015-07-21
EP2234900A1 (en) 2010-10-06
WO2009090574A1 (en) 2009-07-23
AU2009205330A1 (en) 2009-07-23
CN101910020A (zh) 2010-12-08
CA2712611A1 (en) 2009-07-23
US20090184017A1 (en) 2009-07-23
TW200951037A (en) 2009-12-16
ZA201005091B (en) 2011-03-30
MX2010007838A (es) 201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529B1 (en) Packaging unit for articles with convenient opening strip
KR20100102164A (ko) 패키징 유닛
EP1609737B1 (en) Easy-open package
EP1977978B1 (en) Packaging container
CN109311576B (zh) 能重新封闭的电池包装
CN101786523B (zh) 包装物
WO2006112448A1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の製造装置、製造方法
JP4957310B2 (ja) 易開封性ガセット袋
JP5846810B2 (ja) 分配包装体
US20090057185A1 (en) Blister pack with integral access tool
US20210163183A1 (en) Tamper-evident insulated bag
WO2005102863A1 (en) An improved sachet pouch
US20220242641A1 (en) Packaging made of cellulose material and opening method
RU2522091C2 (ru) Блистерная упаковка, имеющая отрываемую ослабленную область
GB2502325A (en) Pack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ackage
JP2002029548A (ja) 軟包装容器
JP3131745B2 (ja) ブリスターパック容器
EP1074481A1 (en) A flexible bag having a tear off band for easy opening
JPH02205572A (ja) 開封部を設けたシュリンク集合包装体
JP2585096B2 (ja) 包装袋
JP5211108B2 (ja) 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CA3075787A1 (en) Tamper-evident insulated bag
WO2018047233A1 (ja) 密封容器及び密封容器の製造方法
JP2019156461A (ja) 包装袋
WO2018063178A1 (en) Packaged personal care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