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941A - 낚시용 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1941A KR20100101941A KR1020090020392A KR20090020392A KR20100101941A KR 20100101941 A KR20100101941 A KR 20100101941A KR 1020090020392 A KR1020090020392 A KR 1020090020392A KR 20090020392 A KR20090020392 A KR 20090020392A KR 20100101941 A KR20100101941 A KR 201001019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light source
- fishing
- moving
- fishing bobb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찌는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낚시줄에 매달아 사용하는 낚시 채비용 도구이다. 종래의 낚시용 찌는 주로 수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낚시용 찌는 미세한 어신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며, 시인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용 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낚시용 찌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수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각도 이동 을 크게 하는 각도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각도 이동부는, 상기 본체의 무게 중심의 수직방향 축선의 일 영역으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함몰된 관 형상의 중공부와; 상기 본체의 각도 이동에 따라 상기 중공부에서 위치 이동하는 이동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는 상기 이동추의 이동방향을 따라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찌막대와; 상기 찌막대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보조 부력부와; 상기 찌막대 또는 상기 보조 부력부에 마련되어 낚시줄이 결합되는 낚시줄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무게 중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중심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추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점등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낚시줄 결합부는 상기 찌막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추는 전도체로 마련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찌막대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1 광원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본체가 수평상태를 벗어나 상기 이동추가 소정의 제1 발광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추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제1 광원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찌막대의 일단 또는 본체에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2 광원과; 상기 본체의 수평상태에서 상기 이동추의 위치인 제2 발광위치에서 상기 이동추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제2 광원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은 상호 다른 발광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 이동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찌막대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부력부는 상기 찌막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찌막대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전후영역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체는 상기 본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용 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밝은 낮에 사용하는 주간용 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본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면에 대한 본체의 각도 이동을 크게 하는 각도 이동부(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물에 뜨도록 부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며, 구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유선형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타원의 단면을 갖는 타원체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의 종단면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한다.
본체(110)에는 가로방향 즉, 수평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관통된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통공(111)은 수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관통공(111)은 본체(110)의 무게 중심(C)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111)은 본체(110)의 무게 중심(C)에 비하여 약간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공(111)에는 낚시줄이 통과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본체(110)의 무게 중심(C)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중심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심추(150)는 본체(110)의 부력에 대응하는 무게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본체(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면에 대한 본체(110)의 각도 이동을 크게 하는 각도 이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도 이동부(160)는 본체(110)의 무게 중심(C)의 수직방향 축선의 일 영역으로부터 관통공(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관 형상의 중공부(161)와, 본체(110)의 각도 이동에 따라 중공부(161)에서 위치 이동하는 이동추(163)를 포함한다.
중공부(161)는 본체(110)의 무게 중심(C) 하부영역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중공부(161)는 이동추(163)의 위치 이동시 통로를 제공한다. 중공부(161)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동추(163)의 이동방향을 따라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중공부(161)는 이동추(163)의 이동방향을 따라 부분 원호 형상을 갖는다.
이동추(163)는 구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동추(163)는 중공부(16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된다. 즉, 이동추(163)는 중공부(161)의 단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된다. 여기서, 이동추(163)는 본체(110)가 수평상태인 경우 본체(110)의 무게 중심(C) 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중공부(161)를 따라 이동하여 본체(110)의 각도 이동을 크게 한다. 이에,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에도 이동추(163)가 이동하여 본체(110)의 각 도 이동을 크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도 이동부(160)는 본체(1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110)는 하부의 일 영역이 함체상으로 함몰된 함몰부(113)를 가지며, 각도 이동부(160)는 본체(110)의 함몰부(113)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고 형상맞춤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각도 이동부(160)가 본체(1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본체(110)에 상황에 따라 무게가 다른 이동추(163)를 갖는 각도 이동부(16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10)와 각도 이동부(160)는 사이에는 이탈방지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70)는 각도 이동부(160)가 본체(110)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170)는 각도 이동부(160)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171)와, 본체(110)의 함몰부(113)의 내벽에 돌기부(171)가 끼움 결합되도록 함몰된 돌기수용부(173)를 포함한다. 그러나, 돌기부(171)가 본체(110)의 함몰부(113)에 마련되고 돌기수용부(173)가 각도 이동부(16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도 2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찌막대(120)와, 찌막대(120)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보조 부력부(130)와, 찌막대(120) 또는 보조 부력부(130)에 낚시줄(1)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낚시줄 결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공(111)에는 찌막대(120)가 결합된다.
찌막대(120)는 본체(110)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다. 찌막대(120)는 관통공(111)을 통과하여 본체(11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찌막대(120)는 평상시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찌막대(1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찌막대(120)를 슬라이딩시켜 본체(110)의 좌우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찌막대(120)의 양단에는 보조 부력부(13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보조 부력부(130)는 찌막대(120)의 양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수면에서 찌막대(12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찌막대(120)에 부력을 제공한다. 또한, 보조 부력부(130)는 본체(110)에 부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부력부(130)는 본체(110)에 비하여 작은 부력을 갖도록 마련된다. 보조 부력부(130)는 찌막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찌막대(120)에 결합되는 보조 부력부(130)의 부력에 따라 낚시용 찌(100)의 전체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보조 부력부(130)는 찌막대(120)의 일단(120a)에 결합되는 제2 보조 부력부(130b)와 찌막대(120)의 타단(120b)에 결합되는 제1 보조 부력부(130a)를 포함한다. 제1 보조 부력부(130a)와 제2 보조 부력부(130b)는 동일한 부력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낚시줄 결합부(140)는 찌막대(120) 또는 보조 부력부(130)에 마련되어 낚시줄(1)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낚시줄 결합부(140)는 낚시줄(1)이 통과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2 보조 부력부(130b)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낚시줄 결합부(140)를 중심으로 상부영역의 낚시줄(1)에는 찌고무(3)가 결합된다. 찌고무(3)는 낚시줄 결합부(140)를 중심으로 하부영역의 낚시줄(1)에도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낚시줄(1)이 찌고무(3)에 결합되어 있으며, 찌고무(3)가 낚시줄 결합부(140)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찌막대(120)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본체(110)의 전후영역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체(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체(180)는 본체(11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조체(180)는 그 무게 중심이 본체(110)의 무게 중심(C)의 전후방향 축선상에 대응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고부력을 원하는 경우 본체(110)에 부력이 큰 보조체(180)를 결합시키며, 저부력을 원하는 경우 본체(110)에 부력이 작은 보조체(180)를 결합시켜 본체(11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두운 상황에서 사용하는 야간용 낚시용 찌(200)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는 이동추(163)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점등되는 광원부(21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낚시줄 결합부(140)는 찌막대(120)의 일단(120a)에 배치되며, 이동추(163)는 전도체로 마련된다.
광원부(210)는 찌막대(120)의 타단(120b)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1 광원(211)과,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어 제1 광원(2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13)와, 본체(110)가 수평상태를 벗어나 이동추(163)가 소정의 제1 발광위치(A)로 이동하면 이동추(163)를 통하여 접속되어 제1 광원(211)에 배터리(213)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단자부(2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광원(211)은 LED로 마련된다. 그러나, 제1 광원(211)은 광을 발하는 다양한 조명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광원(211)은 찌막대(120)의 타단(120b)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보조 부력부(130a)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1 보조 부력부(130a)가 찌막대(12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제1 보조 부력부(130a)와 찌막대(120)의 접촉영역에 상호 접속되는 단자(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찌막대(120) 내부에는 배터리(213)와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되어 있다. 한편, 제1 광원(211)은 제1 보조 부력부(13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광원(211)은 어둠속에서 시인성이 좋은 흰색, 빨강색 또는 초록색 광을 발하는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213)는 본체(110)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제1 단자부(215)는 접속 및 차단 여부에 따라 제1 광원(211)에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한다. 즉, 이동추(163)가 후술하는 제2 발광위치(B) 즉,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1 단자부(215)는 차단되어 있으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1 광원(211)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이동추(163)가 위치 이동하여 제1 발광위치(A)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단자부(215)는 이동추(163)에 의하여 접속되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1 광원(211)으로 공급되며, 제1 광원(211)은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광원부(210)는 찌막대(120)의 일단(120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2 광원(217)과, 본체(110)의 수평상태에서 이동추(163)의 위치인 제2 발 광위치(B)에서 이동추(163)를 통하여 접속되어 제2 광원(217)에 배터리(213)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단자부(2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원(217)은 제1 광원(211)과 마찬가지로 LED로 마련된다. 그러나, 제2 광원(217)은 광을 발하는 다양한 조명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광원(217)은 찌막대(120)의 일단(120a)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보조 부력부(130b)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2 보조 부력부(130b)가 찌막대(12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제2 보조 부력부(130b)와 찌막대(120)의 접촉영역에 상호 접속되는 단자(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찌막대(120) 내부에는 배터리(213)와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되어 있다. 한편, 제2 광원(217)은 제2 보조 부력부(13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 광원(217)이 찌막대(120)의 일단(120a)에 인접하게 배치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영역에서 발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광원(217)은 어둠속에서 시인성이 좋은 흰색, 빨강색 또는 초록색 광을 발하는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광원(211)과 제2 광원(217)은 상호 다른 발광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광원(211)은 빨강색 광을 발하도록 마련되며, 제2 광원(217)은 초록색 광을 발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발광색의 변화에 따라 어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제2 단자부(219)는 접속 및 차단 여부에 따라 제2 광원(217)에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한다. 즉, 이동추가 제2 발광위치(B) 즉,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2 단자부(219)는 이동추(163)에 의하여 접속되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2 광원(217)으로 공급되어 발광하게 된다. 한편, 이동추(163)가 위치 이동하여 제1 발광위치(A)로 이동하는 경우 제2 단자부(219)는 차단되어 있으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2 광원(217)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다시 설명하면, 이동추(163)가 제2 발광위치(B) 즉,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2 단자부(219)가 이동추(163)에 의하여 접속되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2 광원(217)으로 공급되어 발광하며, 제1 광원(211)은 발광하지 않게 된다. 한편, 이동추(163)가 위치 이동하여 제1 발광위치(A)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단자부(215)가 이동추(163)에 의하여 접속되므로 배터리(213)의 전력은 제1 광원(211)으로 공급되어 발광하며, 제2 광원(217)은 발광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추(163)의 위치에 따라 제1 광원(211) 또는 제2 광원(217)이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단자부(215) 및 제2 단자부(219)와 연결된 전선은 각도 이동부(160)의 외부면에 마련된 단자(221)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터리(213)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은 본체(110)의 함몰부(113) 내면에 마련된 단자(223)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각도 이동부(160)의 외부면에 마련된 단자(221)와 본체(110)의 함몰부(113) 내면에 마련된 단자(223)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에 대한 각도 이동부의 착탈에 따라 상호 접속 및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의 본체(110)는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213)를 교체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 영역에는 방수 를 위한 고무패킹(230)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도 이동부(160)가 본체(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각도 이동부(160)의 외부면에 마련된 단자(221) 및 본체(110)의 함몰부(113) 내면에 마련된 단자(223)를 형성하였으나, 각도 이동부(160)가 본체(1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단자들(221, 223)은 생략된다.
이하,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1실시예의 작동과정은 본 실시예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도 3a 및 3b 참조).
먼저, 찌고무(3)를 이용하여 낚시줄 결합부(140)에 낚시줄(1)을 결합한다. 그리고, 낚시줄(1)에 결합되어 있는 봉돌(5)의 무게를 조절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의 부력과 영점을 맞춘다.
다음, 낚시 바늘(7)에 미끼를 매달고 수중으로 투척한다. 그러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는 수면에 뜬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추(163)는 본체(110)의 무게 중심(C)의 하부영역 즉, 제2 발광위치(B)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제2 단자부(219)가 접속되어 제2 광원(217)이 발광하게 된다.
다음, 물고기가 바늘을 물고 당기면 제2 보조 부력부(130b)가 물에 잠기면서 본체(110)가 각도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추(163)는 중공부(161)를 따라 위치 이동하며 본체(110)의 각도 이동을 더욱 크게 한다. 그러면, 본체(110)를 중심으로 찌막대(120)가 회전하며 제1 보조 부력부(130a)가 수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이 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00)는 미세한 어신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사용자는 어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동추(163)는 본체(110)의 기울어짐에 따라 제1 발광위치(A)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제1 단자부(215)가 접속되어 제1 광원(211)이 발광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게 어신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100, 2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찌막대(120)와, 찌막대(120)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보조 부력부(130)와, 찌막대(120) 또는 보조 부력부(130)에 마련되어 낚시줄(1)이 결합되는 낚시줄 결합부(140)를 포함함으로써, 미세한 어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변형예의 개략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변형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주요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각도 이동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낚시용 찌 110 : 본체
120 : 찌막대 130 : 보조 부력부
140 : 낚시줄 결합부 150 : 중심추
160 : 각도 이동부 161 : 중공부
163 : 이동추 170 : 이탈방지부
180 : 보조체 210 : 광원부
211 : 제1 광원 217 : 제2 광원
A : 제1 발광위치 B : 제2 발광위치
Claims (14)
- 낚시용 찌에 있어서,본체와;상기 본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각도 이동을 크게 하는 각도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도 이동부는,상기 본체의 무게 중심의 수직방향 축선의 일 영역으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함몰된 관 형상의 중공부와;상기 본체의 각도 이동에 따라 상기 중공부에서 위치 이동하는 이동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중공부는 상기 이동추의 이동방향을 따라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찌막대와;상기 찌막대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보조 부력부와;상기 찌막대 또는 상기 보조 부력부에 마련되어 낚시줄이 결합되는 낚시줄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무게 중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중심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이동추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점등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낚시줄 결합부는 상기 찌막대의 일단에 배치되며;상기 이동추는 전도체로 마련되며;상기 광원부는,상기 찌막대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1 광원과;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상기 본체가 수평상태를 벗어나 상기 이동추가 소정의 제1 발광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추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제1 광원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7항에 있어서,상기 광원부는,상기 찌막대의 일단 또는 본체에 배치되어 광을 발하는 제2 광원과;상기 본체의 수평상태에서 상기 이동추의 위치인 제2 발광위치에서 상기 이동추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제2 광원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은 상호 다른 발광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각도 이동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찌막대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보조 부력부는 상기 찌막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찌막대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전후영역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보조체는 상기 본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0392A KR101044897B1 (ko) | 2009-03-10 | 2009-03-10 | 낚시용 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0392A KR101044897B1 (ko) | 2009-03-10 | 2009-03-10 | 낚시용 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1941A true KR20100101941A (ko) | 2010-09-20 |
KR101044897B1 KR101044897B1 (ko) | 2011-06-28 |
Family
ID=4300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0392A KR101044897B1 (ko) | 2009-03-10 | 2009-03-10 | 낚시용 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48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4235B1 (ko) * | 2023-10-23 | 2024-04-02 | 허현성 | 여의봉 구조를 갖는 어신찌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7234B1 (ko) * | 2021-12-27 | 2022-06-10 | 김윤서 | 부유식 일체형 집어등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32009A (ja) * | 1995-06-07 | 1996-12-17 | Koichiro Ito | ウキ止め具 |
KR20030033513A (ko) * | 2001-10-23 | 2003-05-01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냉장고용 방진고무 |
KR20030044526A (ko) * | 2001-11-30 | 2003-06-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엔에스에서 아이피 주소 할당 방법 |
KR200333513Y1 (ko) | 2003-08-28 | 2003-11-15 | 김승일 | 바다낚시용 구멍찌 |
KR200344526Y1 (ko) | 2003-11-14 | 2004-03-11 | 이승환 | 낚시줄 지지용 보조찌 |
KR20060127970A (ko) * | 2006-08-02 | 2006-12-13 |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 낚시찌 |
-
2009
- 2009-03-10 KR KR1020090020392A patent/KR1010448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4235B1 (ko) * | 2023-10-23 | 2024-04-02 | 허현성 | 여의봉 구조를 갖는 어신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4897B1 (ko) | 2011-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9025B1 (ko) | 어신감지용 전자찌 | |
US7059080B2 (en) | Fishing lure system | |
KR101044897B1 (ko) | 낚시용 찌 | |
US6050018A (en) | Sandshrimp tail fish lure | |
JP2003079278A (ja) | 擬似餌 | |
US2515018A (en) | Fishing lure | |
US20110056113A1 (en) | Vibrating fishing lure | |
KR20230058864A (ko) | 민물낚시용 전자찌 및 상기 전자찌를 제어하는 전자찌 제어 리모콘 | |
KR100808211B1 (ko) | 바다낚시용 경사형 구멍찌 | |
JP3233839U (ja) | 釣り用棒浮き | |
US2881549A (en) | Fish lure | |
KR100553670B1 (ko) | 중량 조절용 편납 홀더가 부설된 전자 낚시추 채비 | |
JPH11332420A (ja) | ルアー | |
KR200227094Y1 (ko) | 릴낚시용 봉돌 | |
KR102602077B1 (ko) | 낚시용 인조 미끼 | |
KR200455650Y1 (ko) | 케미라이트 겸용 전자찌 | |
KR200290139Y1 (ko) | 큰구멍 막대낚시찌 | |
JP3103354U (ja) | 魚釣り用発光体固定治具 | |
JP3169030U (ja) | 釣り用浮き | |
JP3577699B2 (ja) | 釣り針 | |
KR20220076660A (ko) | 민물낚시용 전자찌 및 상기 전자찌를 제어하는 전자찌 제어 리모콘 | |
KR200282202Y1 (ko) | 중통찌 | |
KR20230051996A (ko) | 인조미끼 | |
KR200290140Y1 (ko) | 구멍막대 캐미라이트 낚시찌 | |
KR970001359Y1 (ko) | 수중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