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286A -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286A
KR20100101286A KR20090019692A KR20090019692A KR20100101286A KR 20100101286 A KR20100101286 A KR 20100101286A KR 20090019692 A KR20090019692 A KR 20090019692A KR 20090019692 A KR20090019692 A KR 20090019692A KR 20100101286 A KR20100101286 A KR 20100101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composition
waste
waste tailings
weight
tai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441B1 (ko
Inventor
김영도
손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람
Priority to KR20090019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44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2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alkyl, ammonium or metal silicates; containing silica sols
    • C04B28/26Silicates of the alkali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2Waste materials; Refuse from quarries, mining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인산염이 3~10중량% 첨가되었으며, 고로 슬래그 : 플라이 애쉬의 혼합비율이 70 : 30 내지 40 : 60인 혼합물에 폐광미를 10~80중량% 추가로 혼합한 고상 혼합물에, SiO2/M2O의 비율이 1.0~2.5로 조절된 규산나트륨 30~70중량%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여 폐광미를 대량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폐광미를 사용한 압축강도가 현저히 향상된 고강도 콘크리트 결합재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 결합재는 시멘트 대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폐광미, 압축강도, 결합재,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규산나트륨

Description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High-strength binder composition using wastemine tailing }
본 발명은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기로는 초기 및 후기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급결지연 효과가 뛰어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광업은 1980년대 중반 이후 광량의 소진, 채산성의 악화 및 노동 임금의 상승 등으로 인해 경쟁력을 상실하여 휴ㆍ폐광산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금속광산(988개), 비금속 광산(669개) 및 석탄광산(379개)을 포함하여 총 2,036개소의 크고 작은 광산들이 산재되어 있으며, 이들 중에서 약 63.6%가 휴지광산 또는 폐광산에 속한다.
광산 폐기물은 광석채굴시 발생하는 폐석(waste rock)과 광석광물(ore mineral)을 회수하기 위한 선광공정에서 발생하는 광미(tailings)가 있다. 휴ㆍ폐광 이후 광산폐기물에 대한 적절한 환경복원시설을 설치하지 않아 광산주변에 그대로 방치되거나 광산 및 주변지역에 매립되어 있어 집중강우나 강풍에 의해 주변지 역으로 이동 분산되어 농경지와 수계의 환경오염 등 주변생태계가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정부는 가행광산 및 휴ㆍ폐광산에서 발생하는 광산폐기물 등의 광해로부터 자연환경 및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광산피해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법률”을 제정 공표(2005. 5. 31)하였으며, 광산지역 환경오염 방지사업에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광산 폐기물의 처리방법에는 위생매립처리와 재활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위생매립처리의 경우 폐기물을 차단 매립함으로써 무해화할 수 있으나 침출수의 처리 등 이차적인 환경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재활용법에는 물질회수(Materials recovery)법과 물질전환(Materials conversion)법으로 분류된다. 물질회수법은 유가물질회수 차원에서는 경제적으로 유리하나 폐기물 전량을 재활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가물질 회수공정에서 2차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미 자체를 폐기물이 아닌 미활용 에너지로 접근하여 순환자원화하는 방안으로 물질전환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간 폐광미로부터 유용자원 회수 및 자원으로의 재활용 노력이 일부 있었으나, 이는 금, 은과 같은 귀금속 성분 및 기타 금속 성분을 회수하거나 석영 광물 등을 분리 활용하는데 불과하며, 회수 과정에서 2차적 부산물을 대량으로 발생시킴으로써 폐광미를 처리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였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602728호는 아연화합물 분말 5~50중량%, 폐광미 50~95중량%, 철, 동, 니켈, 코발트 등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1~5중량%로 구성되는 저흡수 성 세라믹 소결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소결체를 얻기 위해서는 100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되어야 하므로 폐광미의 처리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554684호는 광미 등에서 발생되는 산성수 및 중금속의 유출을 방지하고 광미 등을 생태적으로 안정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하단 바닥층에 차수제가 혼합된 중금속 불활성 차수제를 그라우팅하여 차주층을 형성시키고, 중금속 불활성제를 투입하고, 표면부에 중금속 불활성제와 식생토와 양질토사를 포함하는 성토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폐광미로부터 중금속의 침출 등을 방지하는 소극적인 방법에 불과하여 폐광미를 효과적인 재활용 방법은 되지 못한다.
한국 특허공개 제10-2006-0102756호에는 폐광미를 고로 슬래그, 플라이 애쉬 등에 혼합하고 수산화나트륨, 무수석고 등의 자극제와 감수제를 첨가하여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혼화재는 시멘트의 대체용으로 사용되며, 그 대체량도 시멘트의 1/4 정도에 불과하여 역시 효과적인 폐광미의 재활용 방안은 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광미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강도 결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급결 지연효과가 향상된 콘크리트용 결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결합재는 인산염이 3~10중량% 첨가되었으며, 고로 슬래그 : 플라이 애쉬의 혼합비율이 70 : 30 내지 40 : 60인 혼합물에 폐광미를 10~80중량% 추가로 혼합한 고상 혼합물에, SiO2/M2O의 비율이 1.0~2.5로 조절된 규산나트륨 30~70중량%가 첨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들에 의한 한국 특허출원 제10-2008-128970호의 이용발명으로서, 상기 출원발명의 결합재를 이용하되 결합재 중 고상 혼합물의 10~80중량%를 폐광미로 대체한 것이다. 다만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출원발명의 고로 슬래그 : 플라이 애쉬의 혼합비율을 90 : 10 ~ 10 : 90에서 70 : 30 ~ 40 : 60으로 변경하였다.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염은 분상 혼합물들이 성형 전에 굳어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급결지연용으로 사용되며, 사용 가능한 인산염으로는 1인산칼륨, 2인산칼륨, 3인산칼륨, 1인산소다, 2인산소다, 인산알루미늄, 인산아연, 폴리인산암모늄,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 1인산칼슘, 2인산칼슘, 3인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인산염을 첨가할 경우 초결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초결시간의 연장으로 제품의 성형이 가능하게 되며, 원료의 재배열이 유도되어 제품 내의 크랙발생이 억제된다. 사용되는 인산염의 종류에 따라 초결종결시간이 다양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현장상황에 맞는 적절한 인산염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생에서 사용되는 규산나트륨은 NaOH, KOH 등을 이용하여 SiO2/M2O의 비율(몰비)이 3.2인 시판되고 있는 공업용 물유리를 SiO2/M2O의 비율이 1.0~2.5가 되도록 조절하여 pH가 13.0 이상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규산나트륨의 SiO2/M2O의 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크랙이 발생되고 강도가 발현되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 전 급결현상이 발생하여 강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지금까지의 폐광미 활용을 위한 대부분의 기술들은 폐광미를 10중량% 이상 함유시키지는 못하였다. 폐광미가 이 범위 이상 첨가되는 경우에는 원하는 물성 또는 폐광미가 첨가되기 전의 물성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폐광미를 80중량%까지 대체하여도 물성의 큰 저하를 보이지 않는다. 폐광미가 고상 혼합물의 80중량% 대체한 경우에, 28일 압축강도는 73.8 MPa로서, 시멘트 결합재로 통상 사용되고 있는 포틀란트 시멘트의 28일 압축강도 40~45 MPa보다 현저하게 우수하다.
폐광미를 80중량%까지 혼합하여도 우수한 강도를 보이는 이유는 바인더로 사용되는 geopolymer의 구성성분과 폐광미의 화학성분이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역할로 작용하고, 평균 입자크기가 각각 25.38㎛, 10.6㎛ 의 입자특성이 결합재 내에서 골격유지 및 충진성을 향상시키고, 폐광미 내에 존재하는 단단한 규석입자 등이 강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geopolymer 바인더의 물성을 유지하여 강도를 발휘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표 1에 폐광미와 geopolymer 바인더의 화학성분 분석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폐광미와 geopolymer 분말을 혼합한 화학성분 조성 역시 geopolymeric matrix의 기본 골격구조인 Mn[(-SiO2)z-AlO2]nwH2O의 SiO2와 Al2O3 의 함량이 약 60%에 달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폐광미에는 다량의 양이온이 존재하기 때문에 geopolymer를 위한 알칼리성 액상이 첨가될 때 이 양이온은 용출 및 용탈되어 반응에 참여함으로써 새로운 2차상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 2차상 예를 들면 중금속인 Pb가 불용성화합물인 PbSiO3 를 생성함으로써 중금속을 효율적으로 고정화함과 동시에 이 상에 의해서 압축강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 1]
원료 SiO2 Al2O3 CaO Fe2O3 MgO Na2O 입자크기
폐광미 53.9 12.0 12.4 11.9 2.54 0.314 25.38㎛
Geopolymer 33.7 12.5 36.4 2.22 2.65 4.34 10.6㎛
폐광미+geopolymer=80:20 49.0 10.3 18.0 8.66 2.29 4.92 21.5㎛
폐광미를 10중량% 미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폐광미를 대량으로 재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폐광미를 80중량% 이상 사용 하게 되면 압축강도 급격하게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폐광미를 대량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폐광미를 사용한 압축강도가 현저히 향상된 고강도 콘크리트 결합재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 결합재는 시멘트 대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
고로 슬래그 : 플라이 애시의 혼합비율을 70 : 30으로 한 혼합물에 인산칼륨 3중량%를 첨가하고, 여기에 폐광미를 10~80중량% 혼합하였다. 이 고상 혼합물에 SiO2/M2O의 비율을 1.8로 조절한 규산나트륨을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5X5X5cm의 3연형 큐브 몰드로 성형하고 5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양생시킨 다음 측정한 시편의 압축강도는 아래의 표2와 같았다.
[표 2]
구 분 고로 슬래그 플라이애시 폐광미 규산나트륨 압축강도(MPa)
(7:3),인산칼륨3중량% 3일 7일 28일
실시예1 60.3 6.7 33.0 105.4 122.8 148.6
실시예2 53.6 13.1 33.3 107.8 129.0 141.3
실시예3 46.9 20.1 33.0 93.3 119.4 135.2
실시예4 40.2 26.8 33.0 87.6 112.5 124.3
실시예5 33.5 33.5 33.0 80.6 96.9 119.2
실시예6 26.8 40.2 33.0 74.4 92.5 110.8
실시예7 20.1 46.9 33.0 70.8 87.7 98.6
실시예8 13.1 53.6 33.3 53.5 66.2 73.8
비교예1 6.7 60.3 33.0 22.5 34.4 42.5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규산나트륨의 첨가량을 25중량%로 낮추었다. 그 결과 시료를 금형에 충전할 수가 없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규산나트륨의 첨가량을 25중량%로 하고 여기에 물을 8중량% 별도로 첨가하였다. 얻어진 시편의 물성은 3, 7, 28일 압축강도가 각각 12.2, 15.1, 22.4MPa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인산칼륨을 첨가하지 아니하였다. 그 결과는 성형 전 수초 내에 경화되어 성형이 불가능하였다.

Claims (4)

  1. 인산염이 3~10중량% 첨가되었으며, 고로 슬래그 : 플라이 애쉬의 혼합비율이 70 : 30 내지 40 : 60인 혼합물에 폐광미를 10~80중량% 추가로 혼합한 고상 혼합물에, SiO2/M2O의 비율이 1.0~2.5로 조절된 규산나트륨 30~70중량%가 첨가된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규산나트륨의 pH는 1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인산염은 1인산칼륨, 2인산칼륨, 3인산칼륨, 1인산소다, 2인산소다, 인산알루미늄, 인산아연, 폴리인산암모늄,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 1인산칼슘, 2인산칼슘, 3인산칼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3일 압축강도가 5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KR20090019692A 2009-03-09 2009-03-09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KR101147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9692A KR101147441B1 (ko) 2009-03-09 2009-03-09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9692A KR101147441B1 (ko) 2009-03-09 2009-03-09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86A true KR20100101286A (ko) 2010-09-17
KR101147441B1 KR101147441B1 (ko) 2012-05-21

Family

ID=4300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9692A KR101147441B1 (ko) 2009-03-09 2009-03-09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4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1220A (zh) * 2021-02-04 2021-05-28 清华大学 一种由工业生产废弃物制备的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435539B1 (ko) * 2022-06-08 2022-08-22 지피이엔씨(주) 실리카-졸 상을 형성하는 무 시멘트 차수 그라우트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수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2457852B1 (ko) * 2022-07-27 2022-10-21 지피이엔씨(주) 실리카-졸 상의 환경친화적 무수축 그라우트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수 그라우팅 시공방법
CN115849811A (zh) * 2022-12-01 2023-03-28 伊春鹿鸣矿业有限公司 一种高稳定自密实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6903329A (zh) * 2023-07-14 2023-10-20 南京水科院瑞迪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腐蚀混凝土管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06B1 (ko) * 1983-07-14 1985-08-03 이광조 경량 경화체 제조법
KR100415006B1 (ko) 2003-09-08 2004-01-13 지오콘머테리얼 주식회사 시멘트 치환재
KR20060102756A (ko) * 2005-03-24 2006-09-28 지오콘머테리얼 주식회사 폐광미를 활용한 콘크리트 혼화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1220A (zh) * 2021-02-04 2021-05-28 清华大学 一种由工业生产废弃物制备的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435539B1 (ko) * 2022-06-08 2022-08-22 지피이엔씨(주) 실리카-졸 상을 형성하는 무 시멘트 차수 그라우트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수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2457852B1 (ko) * 2022-07-27 2022-10-21 지피이엔씨(주) 실리카-졸 상의 환경친화적 무수축 그라우트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수 그라우팅 시공방법
CN115849811A (zh) * 2022-12-01 2023-03-28 伊春鹿鸣矿业有限公司 一种高稳定自密实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5849811B (zh) * 2022-12-01 2024-04-19 伊春鹿鸣矿业有限公司 一种高稳定自密实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6903329A (zh) * 2023-07-14 2023-10-20 南京水科院瑞迪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腐蚀混凝土管桩及其制备方法
CN116903329B (zh) * 2023-07-14 2024-01-23 南京水科院瑞迪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腐蚀混凝土管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441B1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470B1 (ko)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지반 그라우트재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그라우팅 공법
CN104909677B (zh) 一种矿山充填用硅铝基尾砂胶结剂及其制备方法
CN107382239B (zh) 用于稳定含二噁英焚烧飞灰的全固废充填料及制备方法
Tariq et al. A review of binders used in cemented paste tailings for underground and surface disposal practices
Gu et al. Road base materials prepared by multi-industrial solid wastes in China: A review
Kim et al. Stabilization of a residual granitic soil using various new green binders
KR101147441B1 (ko) 폐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KR101256834B1 (ko) 건설폐기물 순환골재를 이용한 비시멘트 친환경 신 건설자재인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CN1207365C (zh) 土壤固化剂
CN107352907A (zh) 一种煤矿用充填料浆的制备方法
CN111305855A (zh) 一种使用土压平衡盾构渣土制造流动化回填土的方法
CN106966678A (zh) 一种协同固化砷的胶结充填料及其制备方法
AU2021103385A4 (en) Cemented backfill materials containing circulating fluidized bed incineration fly ash and its preparation method
CN111167829A (zh) 一种电解锰渣固化处理方法
Kasap et al. Recycling dam tailings as cemented mine backfill: Mechanical and geotechnical properties
CN110002829B (zh) 一种电解锰渣免烧砖及其制备方法
AU2020104368A4 (en) Cement Filling Material for Co-solidifying Antimon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Mymrin et al. Potential application of acid jarosite wastes as the main compon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CN107285702A (zh) 一种煤矿用掺杂废弃混凝土骨料的充填料浆
KR101638079B1 (ko) 심층혼합공법용 고화재
KR20130122162A (ko) 광산 폐기물 및 친환경고화재를 활용한 저강도, 고유동성 광산 채굴적 충진재 조성물
Zhao et al. Influence on fine lead–zinc tailings solidified/stabilised by clinker-free slag-based binder
CN114671633A (zh) 一种全固废无熟料胶凝材料、导电砂浆及其制备方法
Andrews et al. Reuse and stabilization of sulphide mine tailings as fine aggregate for construction mortar
Hu et al. Chloride transport and thermoactivated modification of sustainable cement-based materials with high-content waste concrete pow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