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305A - 비주얼 코드를 이용한 원격 조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비주얼 코드를 이용한 원격 조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305A
KR20100100305A KR1020090019124A KR20090019124A KR20100100305A KR 20100100305 A KR20100100305 A KR 20100100305A KR 1020090019124 A KR1020090019124 A KR 1020090019124A KR 20090019124 A KR20090019124 A KR 20090019124A KR 20100100305 A KR20100100305 A KR 20100100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visual code
pointer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958B1 (ko
Inventor
윤형민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958B1/ko
Priority to US12/461,078 priority patent/US20100225580A1/en
Publication of KR2010010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비주얼 코드를 이용한 원격 조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모바일 장치는 고유 데이터를 비주얼 코드로 인코딩하여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된 비주얼 코드를 인식한 후 모바일 장치와 무선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면, 비주얼 코드와 매핑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를 통해 원격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별도의 조작 수단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모바일 장치의 비주얼 코드를 통해 원격 조작이 가능하다.
비주얼 코드,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포인터

Description

비주얼 코드를 이용한 원격 조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REMOTE CONTROL USING VISUAL COD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장치 간 원격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비주얼 코드를 이용하여 원격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디어 산업이 발전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컨텐츠 제공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TV, 모니터 등과 같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Wall Display, Digital Signage 등과 같이 공공의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많은 컨텐츠 제공자가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는 점차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의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조작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Wall Display를 통해 제공되는 무료 쿠폰을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로 다운로드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 있다.
따라서, 별도의 조작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포인터로 동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컨텐츠에 조작을 할 수 있는 편리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센서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비주얼코드를 디코딩하는 코드 디코딩부, 상기 비주얼 코드로부터 추출한 무선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 수행부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비주얼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을 수신하면, 저장된 고유 데이터를 읽어 비주얼 코드로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센서가 캡쳐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인코딩된 비주얼 코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비주얼 코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방법은 영상 센서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비주얼코드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비주얼 코드로부터 추출한 무선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방법은 비주얼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을 수신하면, 저장된 고유 데이터를 읽어 비주얼 코드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센서가 캡쳐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인코딩된 비주얼 코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조작 수단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비주얼 코드를 표시한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이 없이 비주얼 코드를 표시하는 입력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접속하여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가 움직일 수 있는 방식의 제한이 없어 다양한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가 인지된 위치와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상 조작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포인터의 움직임에 적절하게 반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 된 포인터를 원격 조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모바일 장치(101)와 디스플레이 장치(102) 간에 무선 접속이 이루어 진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장치(101)는 비주얼 코드(103)를 표시할 수 있고,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모바일 장치(101)는 휴대폰, MP3, PMP, PDA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언급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모바일 장치(101)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103)를 인식할 수 있는 영상 센서(105)가 구비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센서(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장치(101)의 특정 키(비주얼 코드 표시)가 입력되면, 모바일 장치(101)는 고유 데이터를 읽어 이미지 형태의 비주얼 코드(103)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형태로 변환된 비주얼 코드(103)는 모바일 장치(101)에 표시될 수 있다.
비주얼 코드(103)는 모바일 장치(101)의 고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비주얼 코드(103)는 모바일 장치(101)마다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비주얼 코드(103)는 방향을 알 수 있는 가이드 바(guide bar) 및 비틀어짐을 알 수 있는 왜곡 보정 특성(distortion correction feature)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구비된 영상 센서(105)는 특정 범위에 속하는 모바일 장치(101)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103)를 캡쳐하고, 디스플레이 장 치(102)는 비주얼 코드(103)를 인코딩하여 추출된 무선 접속 주소를 통해 모바일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접속은 근거리 통신 방식(블루투스, PAN(personal Area Network), IP )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1)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모바일 장치(101)의 움직임은 디스플레이 장치(102) 상에 표시된 포인터(106)에 매핑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101)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2) 상에 표시된 포인터(106)가 원격 조작될 수 있다. 일례로, 모바일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2) 상의 포인터(106)를 통해 포인팅(pointing), 회전(rotating), 틸팅(tilting), 이동(move), 머무름(stay), 키입력(keystrok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101)의 키를 누르면, 포인터(106)가 위치한 컨텐츠(106)를 클릭, 다운로드, 확대, 재생 등의 컨텐츠 처리 동작을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코드 디코딩부(201), 접속 수행부(202), 포인터 표시부(203) 및 컨텐츠 처리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디코딩부(201)는 영상 센서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를 수신하여 비주얼코드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 때, 비주얼 코드는 모바일 장치의 고유 데이터가 인코딩된 이미지 형태의 코드일 수 있다. 일례로, 비주얼 코드는 모바일 장치의 무선 접속 주소, 사용자 조작 영역 및 사용자 ID가 인코딩 된 코 드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102)가 모바일 장치(101)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에 모바일 장치(101)가 존재할 때, 영상 센서는 모바일 장치(101)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를 캡처하여 코드 디코딩부(201)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영상 센서는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전면부에 위치한 영상을 캡쳐하여 모바일 장치(101)의 비주얼 코드의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캡쳐한 영상이 비주얼 코드의 이미지인 경우, 영상 센서는 비주얼 코드를 코드 디코딩부(201)에 전달할 수 있다.
코드 디코딩부(201)는 비주얼 코드를 디코딩하여 비주얼 코드가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포인터를 조작하기 위한 코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비주얼 코드가 포인터를 조작하기 위한 코드로 확인되면, 코드 디코딩부(201)는 비주얼 코드에 인코딩된 모바일 장치의 무선 접속 주소, 사용자 조작 영역 및 사용자 ID를 추출할 수 있다.
접속 수행부(202)는 비주얼 코드로부터 추출한 무선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접속 주소는 블루투스 주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주얼 코드를 표시하도록 입력하면, 추가적인 과정이 없어도 비주얼 코드가 모바일 장치(101)에 표시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비주얼 코드를 감지하여 모바일 장치(101)와 무선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포인터 표시부(203)는 모바일 장치(101)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모바일 장 치(101)의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포인터 표시부(203)는 모바일 장치(101)의 움직임을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표시된 포인터에 반영할 수 있다. 포인터 표시부(203)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2)가 별도의 조작 수단이 없는 경우에도, 비주얼 코드를 표시한 모바일 장치(101)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표시된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204)는 모바일 장치(101)로부터 컨텐츠 처리 입력을 수신하면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컨텐츠 A가 표시되고, 모바일 장치(101)에 매핑된 포인터가 컨텐츠 A에 위치하는 경우, 만약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101)를 통해 컨텐츠 다운로드 입력을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전송하면 컨텐츠 처리부(204)는 컨텐츠 A를 모바일 장치(101)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 입력은 컨텐츠 재생, 다운로드, 선택, 확대보기, 슬라이드 등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예는 일례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 표시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포인터 표시부(203)는 ID 판단부(301), 위치 추출부(302) 및 매핑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ID 판단부(301)는 모바일 장치(101)의 비주얼 코드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ID가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 치(101)는 비주얼 코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표시된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ID 판단부(301)는 사용자 ID가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복수의 모바일 장치(101)가 사용자 ID를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ID가 저장된 모바일 장치(101)는 이미 디스플레이 장치(102)와 접속한 이력이 있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위치 추출부(302)는 사용자 ID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비주얼 코드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1)의 절대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위치 추출부(302)는 비주얼 코드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장치(101)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계산하여 모바일 장치(101)의 절대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위치 추출부(302)는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장치(101)의 움직임이 가능한 거리(사용자 손의 움직임이 가능한 거리)를 고려하여 모바일 장치(101)가 특정 공간에서 어느 지점(x,y)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모바일 장치(101)의 움직임이 가능한 거리는 비주얼 코드를 디코딩하여 추출된 사용자 조작 영역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매핑부(303)는 모바일 장치(101)의 가상 조작 영역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1)의 이동 범위를 포인터의 이동 범위에 매핑 할 수 있다. 일례로, 매핑부(303)는 모바일 장치(101)의 움직임이 가능한 거리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01)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가 인지된 지점을 중심으로 가상 조작 영역(virtual operation plane)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조작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전체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매핑부(303)는 가상 조작 영역 에서 모바일 장치(101)의 이동 범위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 범위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결국, 포인터 표시부(203)는 모바일 장치(101)의 이동 범위에 비율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1)가 오른쪽으로 3cm를 이동하고, 결정된 비율이 3.5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표시된 포인터는 오른쪽으로 10.5cm를 이동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영상 센서에 따라 모바일 장치(101)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인 최대 가상 조작 영역(Virtual Operation Plane: MAX)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최대 가상 조작 영역은 영상 센서의 해상도, 위치(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위치) 및 방향(영상 센서가 향하고 있는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가상 조작 영역은 최대 가상 조작 영역에서 모바일 장치(101)가 인식된 지점을 중심으로 설정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모바일 장치(101)는 입력부(401), 인코딩부(402), 비주얼 코드 표시부(403) 및 처리 명령 전송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01)는 비주얼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부(401)는 사용자로부터 비주얼 코드를 모바일 장치(101)의 윈도우에 비주얼 코드를 표시하라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코딩부(402)는 입력을 수신하면 저장된 고유 데이터를 읽어 비주얼 코드 로 인코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부(402)는 모바일 장치(101)의 무선 접속 주소, 사용자 조작 영역 및 사용자 ID를 읽어 비주얼 코드로 인코딩할 수 있다.
비주얼 코드 표시부(4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영상 센서가 캡처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인코딩된 비주얼 코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비주얼 코드는 비주얼 코드는 모바일 장치(101)의 고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비주얼 코드는 모바일 장치(101)마다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비주얼 코드는 방향을 알 수 있는 가이드 바 및 비틀어짐을 알 수 있는 왜곡 보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비주얼 코드가 표시된 모바일 장치(101)가 영상 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접근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2)가 영상 센서를 통해 비주얼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무선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처리 명령 전송부(404)는 이미지로 변환된 비주얼 코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2)와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102)에서 비주얼 코드와 매핑된 포인터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처리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101)의 움직임이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포인터의 이동에 대응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해 다운로드, 삭제, 확대, 축소, 재생 등의 컨텐츠의 처리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처리 명령에 따라 포인터가 가리키는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움직일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존의 3D 입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등)를 공간 상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면,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X ,Y, Z의 세 방향으로의 이동 및 Yaw, Pitch, Roll 각 방향의 회전을 포함하는 6방향의 조작(6 DOF)이 지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1)에 의하면, 동서남북의 4방향 이동, 전후 이동 및 각 방향으로의 틸트(tilt)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표시된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이동 범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포인터가 이동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비주얼 코드가 표시된 모바일 장치(101)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구비된 영상 센서에 따라 결정되는 최대 가상 조작 영역(602)(Virtual Operation Plane: MAX)이 도시되어 있다. 비주얼 코드가 표시된 모바일 장치(101)가 최대 가상 조작 영역 내에 포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영상 센서를 통해 모바일 장치(101)를 인지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1)가 인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모바일 장치(101)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모바일 장치(101)가 인지된 지점을 중심으로 계산된 거리에 기초한 가상 조작 영역(601)(Virtual Operation Plane)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조작 영역(6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전체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가상 조작 영역(601)에서 모바일 장치의 이동 범위에 따른 포인 터의 이동 범위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이동범위의 비율은 기하학적인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장치(101)가 가상 조작 영역(601) 내에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모바일 장치(101)의 이동 범위에 결정된 비율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표시된 포인터의 이동 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 의해 원격 조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70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영상 센서로부터 모바일 장치(101)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를 수신하여 비주얼 코드를 디코딩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비주얼 코드의 디코딩을 통해 모바일 장치(101)의 무선 접속 주소, 사용자 조작 영역, 사용자 ID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S70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비주얼 코드로부터 추출한 무선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접속의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S70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비주얼 코드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ID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ID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S704)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새로운 모바일 장치로 인식하여 모바일 장치(101)의 사용자 조작 영역을 설정한 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705)로 진행한다. 만약, 사용자 ID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단계(S70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모바일 장치(101)의 절대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비주얼 코드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1)의 절대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비주얼 코드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장치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계산하여 모바일 장치(101)의 절대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S706)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모바일 장치(101)의 가상 조작 영역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1)의 이동 범위를 포인터의 이동 범위에 매핑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모바일 장치(101)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101)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가 인지된 지점을 중심으로 가상 조작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가상 조작 영역에서 모바일 장치(101)의 이동 범위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 범위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70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모바일 장치(101)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바일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다.
단계(S708)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모바일 장치(101)로부터 컨텐츠 처리 입력을 수신하면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모바일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801)에서, 모바일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비주얼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S802)에서, 모바일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면 저장된 고유 데이터를 읽어 비주얼 코드로 인코딩 할 수 있다.
단계(S803)에서, 모바일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센서가 캡쳐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인코딩 된 비주얼 코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계(S804)에서, 이미지로 변환된 비주얼 코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면, 모바일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2)에서 비주얼 코드와 매핑된 포인터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처리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1 내지 도 6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포인터를 원격 조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 표시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움직일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이동 범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포인터가 이동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 의해 원격 조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모바일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모바일 장치
102: 디스플레이 장치
103: 비주얼 코드
104: 컨텐츠
105: 영상 센서
106: 포인터

Claims (20)

  1. 영상 센서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비주얼코드를 디코딩하는 코드 디코딩부;
    상기 비주얼 코드로부터 추출한 무선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 수행부;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디코딩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무선 접속 주소, 사용자 조작 영역 및 사용자 ID가 인코딩된 비주얼 코드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표시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비주얼 코드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ID가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ID 판단부;
    상기 사용자 ID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주얼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절대 위치를 추출하는 위치 추출부;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가상 조작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동 범위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범위에 매핑하는 매핑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출부는,
    상기 비주얼 코드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바일 장치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절대 위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부는,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가 인지된 지점을 중심으로 가상 조작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 조작 영역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동 범위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범위의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가상 조작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크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컨텐츠 처리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비주얼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을 수신하면, 저장된 고유 데이터를 읽어 비주얼 코드로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센서가 캡쳐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인코딩된 비주얼 코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비주얼 코드 표시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이미지로 변환된 상기 비주얼 코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비주얼 코드와 매핑된 포인터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처리 명령을 전송하는 처리 명령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비주얼 코드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동 범위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 이동 범위에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1. 영상 센서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비주얼코드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비주얼 코드로부터 추출한 무선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조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얼코드를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무선 접속 주소, 사용자 조작 영역 및 사용자 ID가 인 코딩된 비주얼 코드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비주얼 코드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ID가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ID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주얼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절대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가상 조작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동 범위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범위에 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조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절대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주얼 코드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바일 장치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절대 위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이동 범위에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비주얼 코드가 인지된 지점을 중심으로 가상 조작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조작 영역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동 범위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범위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조작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크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컨텐츠 처리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조작 방법.
  17. 비주얼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을 수신하면, 저장된 고유 데이터를 읽어 비주얼 코드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센서가 캡쳐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인코딩된 비주얼 코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조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이미지로 변환된 상기 비주얼 코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비주얼 코드와 매핑된 포인터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처리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조작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비주얼 코드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동 범위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터 이동 범위에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작 방법.
KR1020090019124A 2009-03-06 2009-03-06 비주얼 코드를 이용한 원격 조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55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24A KR101554958B1 (ko) 2009-03-06 2009-03-06 비주얼 코드를 이용한 원격 조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12/461,078 US20100225580A1 (en) 2009-03-06 2009-07-30 System and method of remote operation using visual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24A KR101554958B1 (ko) 2009-03-06 2009-03-06 비주얼 코드를 이용한 원격 조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05A true KR20100100305A (ko) 2010-09-15
KR101554958B1 KR101554958B1 (ko) 2015-09-22

Family

ID=4267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124A KR101554958B1 (ko) 2009-03-06 2009-03-06 비주얼 코드를 이용한 원격 조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25580A1 (ko)
KR (1) KR101554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926A1 (ko) * 2012-11-12 2014-05-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004B1 (ko) * 2008-10-29 2015-05-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시각적 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과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1138775A1 (en) 2010-05-04 2011-11-10 Timoc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apping an object to a target
US9310887B2 (en) * 2010-05-06 2016-04-12 James W. Wieder Handheld and wearable remote-controllers
FR2999847A1 (fr) * 2012-12-17 2014-06-20 Thomson Licensing Procede d'activation d'un dispositif mobile dans un reseau, dispositif d'affichage et systeme associes
US10270774B1 (en) * 2015-01-26 2019-04-23 Microstrategy Incorporated Electronic credential and analytics integration
AU2016247572B2 (en) * 2015-04-13 2020-09-24 Rfid Technologies Pty Ltd RFID tag and reader
US10148964B2 (en) * 2016-11-03 2018-12-04 Ujet, Inc. Image quality management
US11321551B2 (en) * 2016-12-07 2022-05-03 Meta Platforms, Inc. Detecting a scan using on-device sensors
US10929630B2 (en) 2019-06-04 2021-02-23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Graphic cod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166A (ja) * 1993-03-12 199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操作装置
US7900224B1 (en) * 1998-09-11 2011-03-01 Rpx-Lv Acquisiti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n audible signal to induce a user to select an E-commerce function
AUPQ952400A0 (en) * 2000-08-18 2000-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ed method and system of effecting a financial transaction
US6724368B2 (en) * 2001-12-14 2004-04-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television receiver
US8313380B2 (en) * 2002-07-27 2012-11-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Scheme for translating movements of a hand-held controller into inputs for a system
WO2004080097A1 (en) * 2003-03-07 2004-09-16 Ktfreetel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ervice using code-pattern
US7874917B2 (en) * 2003-09-15 2011-01-2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depth and direction detection when interfacing with a computer program
US7124953B2 (en) * 2003-12-29 2006-10-24 Nokia Corporation Visual encoding of a content address to facilitate data transfer in digital devices
US7296747B2 (en) * 2004-04-20 2007-11-20 Michael Rohs Visual code system for camera-equipped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US7158118B2 (en) * 2004-04-30 2007-01-02 Hillcrest Laboratories, Inc. 3D pointing devices with orientation compensation and improved usability
US7451409B2 (en) * 2004-08-05 2008-11-11 Ixi Mobile (R & D), Ltd. Embedded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575168B2 (en) * 2004-10-01 2009-08-18 Nokia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nd capturing a series of images of visually encoded data
KR100594127B1 (ko) * 2004-11-16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에서 본딩 프로세스 방법 및 장치
US7499713B2 (en) * 2005-04-28 2009-03-03 Northrop Gruman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 and location monitoring of mobile entities
US7568623B2 (en) * 2005-05-12 2009-08-04 Retter Dale J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from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a bar code reader
US20070002017A1 (en) * 2005-06-30 2007-01-04 Evgeny Mezhibovsky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ursor pointing
JP4049174B2 (ja) * 2005-07-22 2008-02-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
JP4262712B2 (ja) * 2005-10-24 2009-05-13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マウス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をワイヤレスマウス装置として用いる方法
US7696985B2 (en) * 2005-11-30 2010-04-13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roducing display control signals for handheld device display and remote display
US8106884B2 (en) * 2006-03-20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inting input device, method, and system using image pattern
US7852315B2 (en) * 2006-04-07 2010-12-14 Microsoft Corporation Camera and acceleration based interface for presentations
US7693757B2 (en) * 2006-09-21 2010-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nventory using a mobile inventory robot
US8310656B2 (en) * 2006-09-28 2012-11-1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apping movements of a hand-held controller to the two-dimensional image plane of a display screen
FR2906913B1 (fr) * 2006-10-05 2009-02-20 Eastman Kodak Co Procede et systeme pour mettre a jour automatiquement des donnees enregistrees dans un identifieur a radiofrequence
WO2009008372A1 (ja) * 2007-07-06 2009-01-15 Sony Corporation 入力装置、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ハンドヘルド装置
KR101348346B1 (ko) * 2007-09-06 2014-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장치, 포인터 제어 장치, 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제어 방법
KR101426082B1 (ko) * 2007-10-04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상장치를 원격제어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US20090201249A1 (en) * 2007-12-07 2009-08-13 Sony Corporation Input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handheld apparatus
US8451224B2 (en) * 2008-07-23 2013-05-28 Sony Corporation Mapping detected movement of an interference pattern of a coherent light beam to cursor movement to effect navigation of a user interface
US8215541B2 (en) * 2008-12-30 2012-07-10 Dell Products, L.P. Automated proximity-related network authorization
KR20110052869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포인터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926A1 (ko) * 2012-11-12 2014-05-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223422B2 (en) 2012-11-12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ler and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958B1 (ko) 2015-09-22
US20100225580A1 (en) 201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958B1 (ko) 비주얼 코드를 이용한 원격 조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01218B1 (ko) 객체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1970208B1 (ko) 클램핑을 사용한 스크롤링의 변경
CN101123445B (zh) 便携式终端及其用户界面控制方法
JP5987299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120817A1 (en)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306307B2 (ja) 情報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機器
US201001992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put Information from a Continuous Stroke Input
US201201763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voice control method thereof
US10534527B2 (en) Relative pen scroll
US10620817B2 (en) Providing augmented reality links to stored files
CN103942022A (zh) 移动终端与车载终端之间的互联方法及系统、移动终端
KR20140071035A (ko) 복수 스크린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26738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24797A (ko) 자막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5719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KR20120061169A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물 제어시스템
KR101830787B1 (ko)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CN111787410B (zh) 一种键盘输入方法和键盘输入装置
CN106650727B (zh) 一种信息显示方法以及ar设备
JP5800386B2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21749A1 (en) System and handwriting search method
KR2009011475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뷰어 화면 갱신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
US98861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9194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