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279A - 일회용 안전주사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안전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279A
KR20100100279A KR1020090019073A KR20090019073A KR20100100279A KR 20100100279 A KR20100100279 A KR 20100100279A KR 1020090019073 A KR1020090019073 A KR 1020090019073A KR 20090019073 A KR20090019073 A KR 20090019073A KR 20100100279 A KR20100100279 A KR 20100100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afety syringe
push rod
disposable safety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651B1 (ko
Inventor
조훈기
Original Assignee
조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훈기 filed Critical 조훈기
Priority to KR102009001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65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3Connection between plunger distal end and needle hub proximal end, e.g. stud protruding from the plu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통, 니들부, 탄성부재, 고정부재 및 밀대를 포함한다. 외통은 내부에 주사액이 충진된다. 니들부는 외통 내에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니들을 구비한다. 탄성부재는 외통 내에서 니들부에 후방으로 탄성 가압한다. 고정부재는 외통 내에서 니들부를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고정시킨다. 밀대는 외통 내에 삽입되어 주사완료 단계에서 고정부재를 니들부와 분리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사완료 후 주사기의 니들이 밀대 내로 유입되어 니들과의 접촉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주사기의 배출 및 폐기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니들과의 접촉에 의한 질병의 감염을 방지하여 주사기를 안전하게 배출 및 폐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안전, 주사기, 니들, 일회용

Description

일회용 안전주사기{Disposable safety syringe}
본 발명은 일회용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기의 배출 및 폐기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니들과의 접촉에 의한 질병의 감염을 방지하여 주사기를 안전하게 배출 및 폐기할 수 있는 일회용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인체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니들을 인체에 삽입하여 주사액을 주입하는 의료기기로서, 주사기를 재사용할 경우 소독을 하여도 질병이 전염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이 전염될 경우 생명을 잃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주사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의 간편성, 취급의 안정성, 휴대성 등을 감안하여 주로 일회용 주사기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 일회용 주사기는 내부에 주사액을 충진하는 공간부를 가지고 전단에 주사액 주입구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결합된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며, 주사액 주입구에 니들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니들의 외부에는 니들을 보호하는 니들캡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일회용 주사기는 니들캡을 제거하고 주사액을 투여하는 사용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한 후 니들을 니들캡으로 밀폐시켜 폐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니들에 찔리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주사기의 폐기처리업체에서 일회용 주사기의 폐기작업시 니들캡이 탈락되어 작업자가 니들에 찔리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니들에는 환자의 혈흔 속에 잔류하는 전염성 병원균이 존재하여 니들에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찔릴 경우 환자의 전염성 질병에 감염되는 문제가 있다.
세계보건기구인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주사완료 후의 주사기에 의해 감염되는 B형 간염의 발병률이 전체 B형 간염의 33%에 상당하고, 주사완료 후의 주사기에 의해 감염되는 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발병률이 전체 AIDS의 5%에 상당하다고 발표하고 있어, 사용후 주사기의 안전사고가 문제시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회용 주사기는 주사완료 후 배출 및 처리시 오염된 니들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질병의 전염이나 오염된 니들의 노출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주사완료 후 주사기의 니들과의 접촉에 의한 질병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고, 외통에서 니들부의 분리시 니들부와 밀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재활용 폐기물의 분리시 금속재료와 비금속재료의 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주사액이 충진되는 외통;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니들을 구비한 니들부; 상기 외통 내에서 상기 니들부에 후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외통 내에서 상기 니들부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외통 내에 삽입되어 주사완료 단계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니들부와 분리시키는 밀대;를 포함한다. 주사완료 후 주사기의 니들이 밀대 내로 유입되어 니들과의 접촉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주사기의 배출 및 폐기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니들과의 접촉에 의한 질병의 감염을 방지하여 주사기를 안전하게 배출 및 폐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대의 전방을 밀폐하는 끼움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는 전방에 상기 니들부의 후단에 끼워맞춤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는 상기 밀대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니들부에 밀대의 내경 보다 작은 끼움부를 끼워맞춤함으로써, 외통에서 니들부의 분리시 니들부의 이탈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끼움부는 후방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오목홈에 결합되는 돌기가 전방에 형성된 마개부가 상기 밀대의 후방에 구비되어 있다. 밀대의 전방 및 후방에 끼움부와 마개부를 설치하여 니들부의 분리이탈시 끼움부와 마개부가 결합하여 니들부의 탈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마개부의 돌기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다. 마개부의 돌기를 변형이 용이하도록 복수개로 분할하여 끼움부와 마개부의 결합이 용이하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사완료 후 주사기의 니들이 밀대 내로 유입되어 니들과의 접촉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주사기의 배출 및 폐기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니들과의 접촉에 의한 질병의 감염을 방지하여 주사기를 안전하게 배출 및 폐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밀대를 원형형상으로 형성하여 니들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고, 전방 및 후방에 끼움부와 마개부를 설치하여 니들부의 분리이탈시 끼움부와 마개부가 결합하여 니들부의 탈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마개부의 돌기를 변형이 용이하도록 복수개로 분할하여 끼움부와 마개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금속재질의 니들과 탄성부재 등을 마개부에 결합하여 배출하므로, 재활용 폐기물의 분리시 금속재료와 비금속재료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밀대의 끼움부와 마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회용 안전주사기는 외 통(10), 니들부(20), 탄성부재(24), 고정부재(26), 밀대(30) 및 니들캡(40)으로 이루어진다.
외통(10)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주사액이 충진되며, 실린더(11), 주입홀(12), 지지대(13), 단차부(14), 결합홀(15)로 이루어져 있다.
실린더(1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용기부재로서, 후방에 주입홀(12)이 형성되고, 이 주입홀(12)의 외곽 둘레에는 외향으로 확장되어 주사기의 사용시 손가락을 지지하는 지지대(13)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1)의 전방에는 원통의 직경이 축소되어 단차로 형성된 단차부(14)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14)의 선단에는 결합홀(15)이 형성되어 있다.
니들부(20)는 외통(10) 내에 배치되며 외통(10)의 외부로 노출된 니들을 구비하며, 니들(21), 허브(22), 주사홀(23), 허브용 O-링(25)으로 이루어진다.
허브(22)는 니들부(20)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허브(22)의 전단에 니들(21)이 형성되어 있다. 허브(22)의 내부에는 주사홀(23)이 형성되어 니들(21)과 연통되어 있다. 허브(22) 후방에는 끼움홀(22b)이 형성되어 있다. 허브(22)의 외주 둘레에는 O-링 홈(22a)이 형성되고 여기에 허브용 O-링(25)이 결합되어 있다. 허브(22)의 외주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24)는 외통(10) 내에서 니들부(20)를 후방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외통(10)의 전단 내부에 설치되며 니들부(20)의 허브(22) 외주에 끼워맞춤되어, 니들부(20)가 탄성부재(24)에 의해 외통(10) 내에 탄지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4)로는 다양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방향으로 탄지력을 부여하 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6)는 외통(10) 내에서 니들부(20)를 탄성부재(24)의 탄성력에 저하여 고정시키도록 실린더(11)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는 링형상의 고정부재로서, 고정부재(26)의 외주에는 O-링 홈(26a)이 형성되고 여기에 고정부재용 O-링(27)이 결합되어 있다. 또, 고정부재(26)의 내주면에는 후방으로 탄지된 니들부(20)가 끼워맞춤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다.
밀대(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통(10) 내에 삽입되어 여기에 충진된 주사액을 가압에 의해 니들부(20)로 주입하는 압밀부재이다. 밀대(30)는 주사완료 단계에서 가압에 의해 니들부(20)를 외통(10) 내의 고정부재(24)에서 분리시켜 밀대(30) 내로 유입시키며, 내통(31), 끼움부(32), 끼움부용 O-링(33), 마개부(34) 및 기밀부재(35)로 이루어진다.
내통(3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용기부재로서, 후단부 둘레에는 주사액의 충진시 밀대(30)를 후진시키기 위한 걸림부가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내통(31)의 전단부의 외주 둘레에는 오목홈(3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31a)에는 기밀부재(35)가 결합되어 있다. 기밀부재(35)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를 사용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된 밀폐부재로서, 외주둘레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밀폐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부(32)는 내통(31)의 선단부 내주면에 끼워맞춤되어 밀대(30)의 전방을 밀폐하며, 전단부에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니들부(20)의 허브(22) 후방에 형성된 끼움홀(22b)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끼움부(32)의 후면 중앙에는 오목홈(32a)이 형성되어 있고, 끼움부(32)의 외주에는 O-링 홈(32b)이 형성되고 여기에 끼움부용 O-링(33)이 결합되어 있다. 또, 내통(31) 내의 일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끼움부(32)의 후방 외주면 둘레에는 돌기(32c)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22) 내의 일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끼움부(32)의 전방 외주면 둘레에는 돌기(32d)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부(34)는 내통(31)의 후단부 내주면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되며, 전면에는 끼움부(32)의 분리이탈시 끼움부(32)의 오목홈(32a)에 결합되는 돌기(3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34a)는 오목홈(32a)에 결합시 용이하게 변형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통(31) 내의 일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마개부(34)의 전방 외주면 둘레에는 돌기(34b)가 형성되어 있다.
니들캡(40)은 원통형상의 덮개부재로서, 외통(10)의 단차부(14) 외측에 끼워맞춤되어 니들부(20)의 니들(21)을 외부와 차단하여 오염을 방지하고 니들과의 접촉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작동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주입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주입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니들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니들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10) 내에 주사액이 충진된 상태에서 외통(10)의 후단에 삽입된 밀대(30)을 전방으로 가압하면, 외통(10) 내의 충진된 주사액이 니들부(20)을 통해서 외부로 주입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액을 완전히 외부로 주입을 완료한 상태에서 밀대(30)의 내통(31) 전단부가 니들부(20)의 고정부재(26)와 밀착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밀대(30)을 전방으로 더욱 가압하게 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부(20)의 허브(22)가 외통(10)의 단차부(14) 전방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니들부(20)의 허브(22)와 고정부재(26)가 분리된다.
그러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브(22)의 전방에 설치된 탄성부재(24)의 탄지력에 의해 니들부(20)가 밀대(30)의 내통(31) 내로 후진하여 유입하게 된다.
이때 허브(22)의 외주에는 탄성부재(24)가 결합되어 있고 허브(22)의 끼움홀(22b)에는 끼움부(32)가 끼워맞춤되고 끼움부(32)가 밀대(30)의 내통(31)에서 분리되므로, 니들부(20)와 끼움부(32)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후진하여 내통(31)의 후단부에 고정된 마개부(34)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끼움부(32)와 허브(22)의 외경은 밀대(30)의 내통(31)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내통(31) 내로 니들부(20)와 끼움부(32)의 유입을 용이하게 한다.
끼움부(32)와 마개부(34)의 접촉시에는 끼움부(32)의 오목홈(32a)에 마개부(34)의 돌기(34a)가 결합되므로, 마개부(34)에 끼움부(32)와 니들부(20)가 일체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마개부(34)를 내통(31)에서 분리하면, 주사기의 구성재료 중 금속재료와 비금속재료를 분리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의 안전주사기의 폐기시 금속재료와 비금속재료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회용 안전주사기는 1∼10cc 용량의 주사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량의 주사기에도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도록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일회용 안전주사기는 주사기의 배출 및 폐기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니들과의 접촉에 의한 질병의 감염을 방지하여 주사기를 안전하게 배출 및 폐기할 수 있게 된다. 또 니들부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고, 니들부의 분리이탈시 끼움부와 마개부가 결합하여 니들부의 탈거를 용이하게 한다. 마개부의 돌기를 변형이 용이하도록 복수개로 분할하여 끼움부와 마개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금속재질의 니들과 탄성부재 등을 마개부에 결합하여 배출하므로, 재활용 폐기물의 분리시 금속재료와 비금속재료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부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밀대의 끼움부와 마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주입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주입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니들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니들제거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통 20: 니들부
30: 밀대 40: 니들캡

Claims (6)

  1. 내부에 주사액이 충진되는 외통;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니들을 구비한 니들부;
    상기 외통 내에서 상기 니들부에 후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외통 내에서 상기 니들부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외통 내에 삽입되어 주사완료 단계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니들부와 분리시키는 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대의 전방을 밀폐하는 끼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전방에 상기 니들부의 후단에 끼워맞춤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밀대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후방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오목홈에 결합되는 돌기가 전방에 형성된 마개부가 상기 밀대의 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의 돌기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20090019073A 2009-03-06 2009-03-06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1087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073A KR101087651B1 (ko) 2009-03-06 2009-03-06 일회용 안전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073A KR101087651B1 (ko) 2009-03-06 2009-03-06 일회용 안전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279A true KR20100100279A (ko) 2010-09-15
KR101087651B1 KR101087651B1 (ko) 2011-11-30

Family

ID=4300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073A KR101087651B1 (ko) 2009-03-06 2009-03-06 일회용 안전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52A (ko) 2018-09-03 2020-03-11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안전주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56414C (da) 1987-07-13 1990-01-22 Gerda Ingrid Maria Gaarde Injektionssproejte med kanyle, der kan indtraekkes og fastlaases i sproejten
US6010486A (en) 1998-12-18 2000-01-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tracting needle syringe
US6800066B2 (en) * 2001-04-26 2004-10-05 Nmt Group Plc Retractable needle syringe
US20080140005A1 (en) 2006-12-06 2008-06-12 Songneng Luo Disposable safety syri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52A (ko) 2018-09-03 2020-03-11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안전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651B1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271B1 (ko)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
US6077245A (en) Disposable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EP2022521B1 (en) Safety syringe
ES2230201T3 (es) Jeringa hipodermica con aguja selectivamente retractil.
JPH06142204A (ja) 針管格納機構付注射器
US20080221517A1 (en) Fixed-Dose Syringe with Limited Aspiration
US11878154B2 (en) Needle shield puller for drug delivery system
US6450993B1 (en) Half-disposable syringe barrel
CA2521264A1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carrier
KR102354662B1 (ko)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용 안전주사기
JP2010517691A (ja) 再利用防止機構を有する注射器アセンブリ
US5195973A (en) Self-destructing disposable safety syringe system with piston and plunger joined by weak attachment sealant
KR101087651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629274B1 (ko) 안전 주사기
KR101138111B1 (ko) 캡슐 일회용 주사기
WO2014082412A1 (zh) 一种可重复使用助推装置的注射器及其储液装置
KR101234057B1 (ko) 안전 주사기
MX2007011237A (es) Jeringa auto-retractil.
KR200486781Y1 (ko)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
KR100772057B1 (ko) 안전 주사기 및 그 폐기 방법
KR102173408B1 (ko) 재사용 방지 일회용 주사기
KR100981244B1 (ko) 개량형 주사기
KR200283111Y1 (ko) 일회용 주사기
KR100940989B1 (ko) 주사바늘의 교체사용이 가능한 의료용 주사기
KR101802718B1 (ko) 안전 주사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