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224A -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224A
KR20100100224A KR1020090018989A KR20090018989A KR20100100224A KR 20100100224 A KR20100100224 A KR 20100100224A KR 1020090018989 A KR1020090018989 A KR 1020090018989A KR 20090018989 A KR20090018989 A KR 20090018989A KR 20100100224 A KR20100100224 A KR 20100100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channel data
frame
information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409B1 (ko
Inventor
장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09001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40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5Correction of errors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hannel, if related to the coding algorith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17Lossless audio signal coding; Perfect reconstruction of coded audio signal by transmission of coding err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은 다수 개의 1차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1차 디코더를 이용하여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2차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2차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2차 디코더에 의하여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채널 간의 유사도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 프레임의 정보 및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에러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에 대해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과 유사할 것으로 판단되는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 또는 정상적으로 디코딩된 현재 프레임의 정보를 사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을 복원하기 때문에 음질의 열화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De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 과정에서 에러를 검출하고 복원하는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출현으로 이동통신 분야에서 멀티미디어 신호처리의 필요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신호처리는 비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 오디오 신호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신호처리에는 오디오 신호처리가 포함되는데, 오디오 신호처리 중 중요한 한 분야로 코덱(codec) 기술이 있다.
기존의 오디오 코덱은 음성정보 위주의 전달을 목적으로 0.2kHz 내지 0.3kHz의 전송대역폭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0.05kHz 내지 7kHz의 전송대역폭을 가지는 오디오 코덱도 등장하였다. 또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15kHz 내지 20kHz의 전송대역폭을 가지는 오디오 코덱도 등장하였다. 이러한 오디오 코덱에 의해 멀티미디어 신호처리는 단순히 음성정보나 음악을 전달할 수 있는 데 그치지 않고, 효과음, 배경음악 등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DMB(Digita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통신의 경우 특정한 코덱에 의해 인코딩한 오디오 신호를 스트리밍(streaming) 형태로 서비스하게 된다. 즉, 송신단에서 특정 코덱에 의해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한 비트스트림(bitstream)을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디코더는 수신한 비트스트림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디코딩한다.
이러한 비트스트림의 전송과정에서 송신단에서 인코딩하는 단계에서의 문제, 전송 채널의 문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디코더 측의 문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비트스트림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에러가 발생한 비트스트림을 그대로 디코더가 디코딩을 하는 경우, 원래의 신호를 복원하기 어렵다. 그 결과 디코더의 사용자는 열화된 음을 듣게 되고, QoS(Quality of Service)가 보장되지 않는다.
DMB중에서 위성 DMB의 경우, ISO/IEC 14496-3 MPEG-4 High Efficiency AAC(즉, HE-AAC)를 오디오 코덱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이하에서 HE-AAC를 AAC plus라고 칭한다. 업계에서도 편의상 HE-ACC를 AAC plus라고 부르기도 한다.
AAC plus는 디코딩 방법 중에 에러가 발생한 비트스트림의 에러 은닉(error concealment)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에 대해서는 음량을 작게 함으로써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이 출력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뮤팅(muting),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시간 영역 샘플을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보간법(interpolation)에 의해 복원함으로써 에러를 은닉하는 방법이 있다. 이 외에도 송신단의 인코더에서 비트스트림의 인코딩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어떤 프 레임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이러한 정보를 전달받은 디코더는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들을 검사하여 정상적인 프레임의 정보를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에 대한 정보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상술한 에러 은닉 방법은 에러가 발생한 부분 즉,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일부에 대해서만 정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 전체를 이전 프레임의 모든 정보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에러 은닉 방법은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정상적인 정보를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보 손실이 많고, 그 결과 복원을 하여도 이전 프레임과의 불연속성이 발생하여 음질의 열화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을 디코딩 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검출하고,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을 복원하는 경우 발생하는 음질의 열화현상을 줄이는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Aspect)에서 디코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코딩 장치는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다수 개의 1차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1차 디코더;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다수 개의 2차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2차 디코더; 및 상기 2차 디코더에 의하여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채널 간의 유사도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에러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2차 디코더는 상기 에러 검출부의 채널 간의 유사도 판단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 프레임의 정보 및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에러를 복원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디코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코딩 방법은 다수 개의 1차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1차 디코더를 이용하여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2차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2차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2차 디코더에 의하여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채널 간의 유사도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 프레임의 정보 및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에러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은,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에 대해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과 유사할 것으로 판단되는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 또는 정상적으로 디코딩된 현재 프레임의 정보를 사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을 복원하기 때문에 음질의 열화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코딩 장치는 패킷 리시버(110), AAC 디코더(120), AAC plus 디코더(130), 메모리(190), 에러 검출부(170), 에러 발생 기록부(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킷 리시버(110)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스트림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예컨대,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망, T-DMB(Terrestrial-DMB)방송망, IP 망 등일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스트림은 소정의 방법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방법은 예를 들어, MPGE-4 AAC(Advanced Audio Coding 이하 AAC라 약칭한다), MPEG-4 HE-AAC(High Efficiency-AAC, 이하에서 AAC plus로 약칭한다)표준에 의한 방법 등일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는 패킷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패킷은 패킷 헤더, 데이터 영역, 패킷 테일로 구성될 수 있다. 패킷 헤더에는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 예를 들면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정보의 길이, 종류, 인코딩 방법, 프로파일의 종류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코딩 방법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조인트 스테레오 모드 값을 포함할 수 있 다. 여기서 조인트 스테레오 모드 값은 오디오 데이터가 채널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압축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다. 패킷의 데이터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이란 오디오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위이다. 이러한 프레임은 비트 사용량과 비트 사용 효율 등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패킷 테일에는 패킷 전체의 에러 발생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다수개의 채널 별로 구성된 채널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스테레오 채널, 5.1 채널 별로 구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하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2개의 스테레오 채널에 대한 채널 데이터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부가정보는 패킷의 손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단은 오디오 스트림의 인코딩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해당 패킷에 대한 에러 정보를 보낼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가 상기 부가정보일 수 있다. 또는 수신단에서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기 이전 단계에서 전송 네트워크가 패킷의 고유한 ID를 바탕으로 손실된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 어떤 패킷이 손실되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수신단으로 보내주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부가신호는 상위 계층에 속하는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상위 계층은 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의 송신단과 수신단 및 전송 네트워크에서 제어신호를 주고 받는 제어 계층일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를 이용하면, 수신단에서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패 킷 헤더정보를 디코딩하지 않고도 오디오 데이터에 손실된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는 모든 오디오 코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가정보를 제공하지 아니하는 오디오 코덱 시스템의 경우, 패킷 리시버(110)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가 직접 AAC디코더(120)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AAC디코더(120)는 AAC표준에 의해 인코딩된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는 디코더이다.
AAC디코더(120)와 AAC plus 디코더(130)는 서로 계층적으로 연결되며, AAC디코더(120)에 의해 디코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AAC plus디코더(130)가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AAC디코더(120)를 1차 디코더, AAC plus디코더(130)를 2차 디코더라 할 수 있다. 먼저 AAC디코더(1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에 포함되는 AAC디코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AC디코더(120)는 비트스트림 입력부(121), 헤더 분석부(122), AAC디코딩 모듈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 입력부(121)는 입력단자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는 다수개의 패킷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비트스트림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헤더 분석부(122)는 비트스트림 입력부(121)에서 입력받은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패킷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패킷 헤더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한다.
AAC디코딩 모듈부(123)는 입력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일련의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모듈은 예를 들어, 호프만(Huffman) 부호화 방법에 의해 양자화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무잡음 디코딩(Noiseless decoding)모듈, 무잡음 디코딩 모듈에 의해 디코딩된 데이터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 모듈, 역양자화부에 의해 역양자화된 데이터로부터 스케일 팩터를 계산하는 스케일 팩터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가 스테레오 채널 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압축 인코딩된 경우 이에 대응하여 디코딩하는 모듈들 예를 들면, M/S(Middle/Side) 스테레오 디코딩 모듈, 인텐시티 (Intensity) 스테레오 디코딩 모듈 등과 같은 조인트 스테레오(Joint stereo) 디코딩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AC디코더(120)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AAC plus디코더(130)로 제공될 수 있다. AAC plus디코더(130)는 오디오 데이터에 AAC plus표준에 따라 추가적으로 포함된 정보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이다. 여기서, AAC plus표준에 따라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정보는 SBR(Spectral Band Replication) 또는 PS(Parametric Stereo)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에 필요한 정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에 포함되는 AAC plus디코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AC plus디코더(130)는 SBR을 수행하는 SBR모듈(131), PS를 수행하는 PS모듈(132), 및 신호 합성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SBR모듈(131)은 오디오 데이터의 고주파수 성분과 저주파수 성분 사이에 높은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저주파수 성분 및 부가적 정보를 이용하여 고주 파수 성분을 추정하는 모듈이다. SBR모듈(131)은 먼저 저주파수 성분을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하는 전위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부가적 정보를 이용하여 고주파수 대역에 복사된 저주파수 성분의 모양을 조정함으로써 고주파수 성분을 추정한다.
PS모듈(132)은 연관성이 있는 채널 예컨대, 2개의 스테레오 채널에서 한 스테레오 채널의 채널 데이터와 부수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스테레오 채널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모듈이다. 상기 부수정보는 채널 간 강도차, 채널 간 위상차 및 채널 간 연관도와 같은 파라미터일 수 있다.
신호 합성부(133)는 상술한 SBR모듈(131) 또는/및 PS모듈(132)을 통해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메모리(19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이전 프레임 버퍼(150), 현재 프레임 버퍼(140), SBR/PS버퍼(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 프레임 버퍼(150)는 이전 정상 프레임(previous good frame)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이전 정상 프레임은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디코딩이 완료된 가장 최근의 프레임을 의미한다. 이전 정상 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이전 정상 프레임에 대한 주파수 성분, AAC 디코딩 모듈부(123)의 각 모듈별로 디코딩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프레임 버퍼(140)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현재 프레임은 패킷 리시버(110)에 시간적으로 가장 최근에 입력된 프레임을 의미한다. 패킷 리시버(11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AAC디코더(120)에 시간적으로 가장 최근에 입력된 프레임을 의미한다. 현재 프레임에 대한 정보에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주파수 성분, AAC 디코딩 모듈부(123)의 각 모듈별로 정상적으로 디코딩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BR/PS버퍼(160)는 이전 정상 프레임 또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SBR정보 및 PS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SBR정보는 상술한 SBR모듈(131)에서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의미하고, PS정보는 상술한 PS모듈(132)에서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AAC표준에 의해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는 디코딩 과정에서 SBR/PS버퍼(160)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AAC plus표준에 의해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는 디코딩 과정에서 SBR/PS버퍼(16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SBR/PS버퍼(160)는 이전 프레임 버퍼(150) 및 현재 프레임 버퍼(140)와 따로 구성되어 오디오 데이터의 인코딩시 사용된 방법에 따라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SBR/PS버퍼(160)를 따로 구성하면 메모리(190)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에러 검출부(170)는 패킷 리시버(110), AAC디코더(120) 및 AAC plus디코더(130)에서 디코딩되는 데이터에 대한 에러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에 포함되는 에러 검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러 검출부(170)는 선행 에러 검출부(171), 모듈 에러 검출부(172), 채널 에러 판단부(173), 채널 유사도 판단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선행 에러 검출부(171)는 패킷 리시버(110)로부터 부가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프레임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듈 에러 검출부(172)는, AAC디코딩 모듈부(123) 및 AAC plus디코더(130)와 연결되어, AAC모듈 및 AAC plus모듈의 디코딩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채널 에러 판단부(173)는 AAC plus디코더(130)에서 디코딩한 채널 데이터 예를 들어, 2개의 스테레오 채널에 대한 채널 데이터에서 에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채널 유사도 판단부(174)는 상기 2개의 스테레오 채널 신호가 서로 유사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에러 검출부(170)는 패킷 리시버(110), AAC디코딩 모듈부(123), AAC plus디코더(130) 중 어느 하나에서 에러 발생이 검출되면 에러발생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에러발생신호는 패킷손실신호, 모듈에러신호, 2채널 에러발생신호, 채널 유사 에러발생신호, 채널 비유사 에러발생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에러발생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에러 발생 기록부(180)는 에러 검출부(170)에서 에러를 검출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상기 해당 정보는 에러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정보, 시간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발생 기록부(180)는 예컨대, 디코딩 장치의 수신지역에 따른 수신도를 알 수 있는 정보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에러 발생 기록부(180)는 선택적으로 디코딩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킷 리시버(110)는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입력 받 을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일 수 있다. 에러 검출부(170)는 패킷 리시버(110)에 부가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이 손실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200). 이러한 검사단계를 이하에서 선행 에러 검사단계라 칭하기로 한다. 에러 검출부(170)는 선행 에러 검사단계에서 현재 프레임이 손실되었다고 판단되면, 패킷손실신호를 AAC디코더(120)에게 제공한다. 선행 에러 검사단계에서 에러 검출부(170)가 AAC디코더(120)에 제공하는 에러발생신호를 패킷손실신호라 칭하기로 한다.
AAC디코더(120)는 에러 검출부(170)로부터 패킷손실신호가 입력되면, 이전 프레임 버퍼(150)에서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로딩한다(S210). AAC디코더(120)는 로딩된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이용하여 AAC 디코딩을 수행한다(S220). AAC디코더(120)가 디코딩된 데이터를 AAC plus디코더(130)에 전달하면, AAC plus디코더(130)는 AAC plus 모듈의 디코딩을 수행한다(S230). AAC plus디코더(130)는 AAC plus 디코딩이 완료되면, 출력신호를 합성한다(S240). 즉, 선행 에러 검사단계(S200)를 통해 현재 프레임 전체의 손실 여부를 체크하고, 현재 프레임 전체가 손실되었다면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을 복원한다.
상기 선행 에러 검사단계에서 에러 검출부(170)가 현재 프레임이 손실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패킷손실신호를 AAC디코더(120)에 제공하지 않으면, AAC디코더(120)는 현재 프레임에 대해 AAC 디코딩을 수행한다(S250).
모듈 에러 검출부(172)는 AAC 디코딩 단계(S250)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260). 이 때, 모듈 에러 검출부(172)는 AAC디코딩 모듈부(123)의 모듈 별로 출력되는 값을 검사하여 AAC디코딩 단계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AC디코딩 모듈부(123)에 포함되는 스케일 팩터 모듈에서 결과값으로 도출하는 값의 범위가 양수로 정해져 있는데 음수값이 도출되는 경우 모듈 에러 검출부(172)는 스케일 팩터 모듈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모듈 에러 검출부(172)가 AAC 디코딩 단계(S250) 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모듈 에러 검출부(172)는 AAC디코딩 모듈부(123)에게 모듈에러신호를 제공한다. 모듈에러신호는 AAC디코딩 모듈부(123)의 어떤 모듈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에러 검출부(172)로부터 모듈에러신호가 제공되면, AAC디코딩 모듈부(123)는 이전 프레임 버퍼(150)로부터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를 로딩한다. 이 때, AAC디코딩 모듈부(123)는 이전 프레임 버퍼(150)로부터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로딩할 수도 있고, 에러가 발생한 해당 모듈에 대한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만 로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구현 복잡도가 상승할 수 있으나, 에러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모듈에 대해서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므로, 프레임 간의 불연속성을 개선할 수 있다. AAC디코딩 모듈부(123)는 로딩된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를 이용하여 AAC 디코딩을 수행하고(S220), 이 후, AAC plus디코더(130)의 디코딩(S230), 출력 신호 합성 단계(S240)를 거친다.
모듈 에러 검출부(172)가 AAC디코딩 단계(S250)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 고 판단하여 모듈에러신호를 AAC디코딩 모듈부(123)에게 제공하지 않으면, AAC디코딩 모듈부(123)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AAC plus디코더(130)로 제공한다. 그러면, AAC plus디코더(130)에 포함된 SBR 모듈(132) 및 PS 모듈(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AAC디코더(1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한다(S270).
모듈 에러 검출부(172)는 AAC plus 모듈 즉, SBR모듈(131) 및 PS모듈(132)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검사하여 AAC plus 모듈의 디코딩 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280). 모듈 에러 검출부(172)는 AAC plus 모듈이 디코딩한 데이터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헤더 정보는 디코딩된 데이터에 계층적으로 할당된 것으로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에서 AAC plus 모듈이 디코딩한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디코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듈 에러 검출부(172)가 AAC plus 모듈이 디코딩한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채널 에러 판단부(173)는 2개의 스테레오 채널에 모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310).
2개의 스테레오 채널에 모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채널 에러 판단부(173)는 AAC plus디코더(130)에게 2채널 에러발생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AAC plus디코더(130)는 SBR/PS버퍼(160)에서 이전 정상 프레임에 대한 2개 스테레오 채널 모두의 SBR정보 및 PS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로딩할 수 있다(S330). AAC plus디코더(130)는 로딩한 정보를 이용하여 AAC plus 디코딩을 수행한다(S340).
반면, 채널 에러 판단부(173)가 2개의 스테레오 채널 중 하나의 채널에 대한 채널 데이터에서만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채널 에러 판단부(173)은 이러한 정보를 채널 유사도 판단부(174)에 전달하고, 채널 유사도 판단부(174)는 상기 2개의 스테레오 채널이 상호간에 유사도가 존재하는 경우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320).
예를 들어, 채널 유사도 판단부(174)는 오디오 데이터가 채널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압축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조인트 스테레오 모드 값)를 이용하여 2개의 스테레오 채널 간에 유사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압축 알고리즘은 예컨대, M/S 스테레오 인코딩 또는 인텐시티 스테레오 인코딩 알고리즘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채널 유사도 판단부(174)는 오디오 데이터가 채널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압축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우로 상기 조인트 스테레오 모드 값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2개의 스테레오 채널 간에 유사도가 존재하고, 그렇지 않으면 2개의 스테레오 채널 간에 유사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채널 유사도 판단부(174)가 2개의 스테레오 채널 간에 유사도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채널 유사도 판단부(174)는 AAC plus디코더(130)에게 채널 유사 에러발생신호를 제공한다. 그러면, AAC plus디코더(130)는 현재 프레임 버퍼(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적인 스테레오 채널의 주파수 성분을 로딩한다(S350). 상기 주파수 성분은 고주파 성분일 수 있다.
AAC plus디코더(130)는 로딩된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현재 프레임의 스테레오 채널에 대한 채널 데이터를 복원한다(S360). 복원하는 방법은 로딩된 주파수 성분을 에러가 발생한 채널 데이터로 복사하여 대체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2개의 스테레오 채널 데이터는 서로 유사하므로 디코딩 후 인간의 귀로 차이를 명확하게 구별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한 쪽 스테레오 채널에 대한 정보를 에러가 발생한 다른 쪽 스테레오 채널 정보로 복원하는 것이다. 그 후, AAC plus디코더(130)는 출력 신호를 합성한다(S370).
채널 유사도 판단부(174)가 2개의 스테레오 채널 간에 유사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채널 유사도 판단부(174)는 AAC plus디코더(130)에게 채널 비유사 에러발생신호를 제공한다. 그러면, AAC plus디코더(130)는 이전 프레임 버퍼(150)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정상 프레임에 대한 정보 중에서 현재 프레임의 에러가 발생한 스테레오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의 주파수 성분을 로딩한다(S380).
AAC plus디코더(130)는 로딩된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현재 프레임의 스테레오 채널을 복원한다(S360). 그 후, AAC plus디코더(130)는 출력 신호를 합성한다(S3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단계적으로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적으로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므로, 각 에러 발생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현재 프레임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에러가 발생한 위치를 구체적으로 검출하여 에러가 발생하기 전의 정보는 그대로 사용하여 프레임 간의 불연속성을 줄일 수 있다.
특히, AAC plus모듈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2개의 스테레오 채널간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현재 프레임 또는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러가 발생한 채널을 복원하였을 때 왜곡 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현재 프레임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일률적으로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가져와 현재 프레임에 대체하던 방식에 비해 프레임 간의 신호 왜곡 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에러가 발생한 현재 프레임의 복원과정에서 음질의 열화현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에 포함되는 AAC디코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에 포함되는 AAC plus디코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에 포함되는 에러 검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에서 AAC plus 모듈이 디코딩한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디코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7)

  1. 다수 개의 1차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1차 디코더를 이용하여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2차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2차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2차 디코더에 의하여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2차 디코디에 의하여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채널 간의 유사도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 프레임의 정보 및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에러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간의 유사도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 중 채널간 연관성을 나타내는 조인트 스테레오 모드 값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하는 단계는,
    채널 간의 유사도가 존재하는 경우, 현재 프레임의 정보 중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채널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로딩된 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에러가 발생한 채널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채널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는,
    현재 프레임에서 정상적으로 디코딩된 채널 데이터의 고주파수 성분을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하는 단계는,
    채널 간의 유사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 중에서 현재 프레임의 에러가 발생한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의 채널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로딩된 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에러가 발생한 채널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하는 단계는,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 모두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전 정상 프레임의 채널 데이터를 모두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로딩된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채널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1차 모듈 각각이 디코딩한 채널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1차 모듈이 디코딩한 채널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에러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위 계층에서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자체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프레임 자체가 손실된 경우,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을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9.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다수 개의 1차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1차 디코더;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다수 개의 2차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2차 디코더; 및
    상기 2차 디코더에 의하여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채널 간의 유사도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에러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2차 디코더는 상기 에러 검출부의 채널 간의 유사도 판단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 프레임의 정보 및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에러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부는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 중 채널간 연관성을 나타내는 조인트 스테레오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 간의 유사도 존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디코더는,
    상기 에러 검출부가 채널 간의 유사도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현재 프레임의 정보 중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채널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에러가 발생한 채널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디코더는,
    상기 에러 검출부가 채널 간의 유사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 중에서 현재 프레임의 에러가 발생한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의 채널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에러가 발생한 채널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디코더는,
    상기 에러 검출부가 프레임 단위의 채널 데이터 모두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이전 정상 프레임의 채널 데이터를 모두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채널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부는,
    상기 다수 개의 1차 모듈 각각이 디코딩한 채널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디코더는
    상기 에러 검출부가 1차 모듈이 디코딩한 채널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이전 정상 프레임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에러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부는,
    상위 계층에서 부가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자체의 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부가 프레임 자체가 손실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2차 디코더는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로딩하고, 로딩한 이전 정상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KR1020090018989A 2009-03-05 2009-03-05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KR101073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89A KR101073409B1 (ko) 2009-03-05 2009-03-05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89A KR101073409B1 (ko) 2009-03-05 2009-03-05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224A true KR20100100224A (ko) 2010-09-15
KR101073409B1 KR101073409B1 (ko) 2011-10-17

Family

ID=4300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989A KR101073409B1 (ko) 2009-03-05 2009-03-05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1439A (zh) * 2015-08-18 2018-03-27 高通股份有限公司 在带宽变换周期期间的信号再使用
KR20220032318A (ko) *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하이브 조명 제어 시계열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4756A (ja) * 2003-06-30 2005-01-27 Toshiba Corp 復号処理回路および移動端末装置
SE527866C2 (sv) * 2003-12-19 2006-06-27 Ericsson Telefon Ab L M Kanalsignalmaskering i multikanalsaudio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1439A (zh) * 2015-08-18 2018-03-27 高通股份有限公司 在带宽变换周期期间的信号再使用
CN107851439B (zh) * 2015-08-18 2021-12-31 高通股份有限公司 在带宽变换周期期间的信号再使用
KR20220032318A (ko) *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하이브 조명 제어 시계열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409B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716B1 (ko) 압축-도메인 패킷 손실 은폐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2842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equence of Data Packets and Decoder and Apparatus for Decoding a Sequence of Data Packets
JP4944250B2 (ja) Amr−wbdtx同期化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602128B2 (en) Split gain shape vector coding
KR20160006106A (ko)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787490B2 (en)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073409B1 (ko)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JP6145790B2 (ja) 符号化・復号化システム、復号化装置、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復号化方法
CN112992161A (zh) 音频编码方法、音频解码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US7620543B2 (en) Method, medium,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udio data
CN110770822B (zh) 音频信号编码和解码
EP2200025B1 (en) Bandwidth scalable codec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37203B2 (en) Error concealment for speech decoder
JP4572755B2 (ja) 復号化装置,復号化方法及びデジタル音声通信システム
KR101904422B1 (ko)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Korhonen et al. Schemes for error resilient streaming of perceptually coded audio
WO2022258036A1 (zh) 编解码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
JP7420829B2 (ja) 予測コーディングにおける低コスト誤り回復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TWI394398B (zh) 用於傳輸資料分組序列的設備和方法以及用於對資料分組序列進行解碼的解碼器和設備
JP2000244460A (ja) 伝送路誤り符号付加・検出装置
JP2013134301A (ja) 再生装置
JP2000353968A (ja) オーディオ復号装置
KR20000014653A (ko) 음성 복호화기에서 연속적인 프레임 오류시 음성의 점진적 복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