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422B1 -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 Google Patents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422B1
KR101904422B1 KR1020170181525A KR20170181525A KR101904422B1 KR 101904422 B1 KR101904422 B1 KR 101904422B1 KR 1020170181525 A KR1020170181525 A KR 1020170181525A KR 20170181525 A KR20170181525 A KR 20170181525A KR 101904422 B1 KR101904422 B1 KR 101904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c
configuration
network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075A (ko
Inventor
성호상
오은미
정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4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2Mode decision, i.e. based on audio signal content versus external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덱에 관한 것으로, 코덱의 현재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코덱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관한 구성을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 적응적으로 최적화된 코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Method of Setting Configuration of Codec and Codec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덱(Codec)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적용한 코덱에 관한 것이다.
코덱이란 인코더(encoder)와 디코더(decoder)의 합성어로서 영상, 음성 및 오디오를 압축 및 재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컴퓨터에 이용되는 코덱은 영상, 음성 및 오디오 데이터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디지털로 바꿔 주고, 그 데이터를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모니터에 본래대로 재생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AMR(Adaptive Multi-Rate) 코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시스템은 네트워크 측의 TRAU(Transcoding Rate and Adaptation Unit, 11)와 기지국(base station, 12), 및 단말기(mobile station, 13)를 포함하고,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에서 사용된다. GSM은 유럽 및 기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디지털 이동전화 시스템이다. GSM은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압축한 다음, 그것을 두 개의 다른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한 채널을 통해 보내는데, 각각의 데이터는 고유한 시간 대에 보내진다.
기지국(12)의 업링크 측정부(121)는 업링크(UL, uplink)의 상태를 측정하고, 단말기(13)의 다운링크 측정부(131)는 다운링크(DL, downlink)의 상태를 측정한다. 여기서, 업링크는 단말기(13)에서 기지국(12) 방향으로의 전송 경로로서 도 1에서 실선 화살표로 표시되었고, 다운링크는 기지국(12)에서 단말기(13)로의 전송 경로로서 도 1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되었다.
종래의 시스템은 업링크 측정부(121)에서 측정된 업링크의 상태에 대한 정보와 다운링크 측정부(131)에서 측정된 다운링크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스 코딩(source coding)과 채널 코딩(channel coding)에서 사용되는 비트율(bit rate)을 조절할 수 있다. 종래의 코덱에서의 코딩 기술은 소스 코딩과 채널 코딩으로 나누어진다. 소스 코딩은 인간의 감각 기관의 특성을 이용한 압축 기법으로, 데이터를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부분과 인식할 수 없는 부분으로 나누고, 인간이 인식할 수 없는 부분을 축소 또는 제거하여 압축하는 것이다. 채널 코딩은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채널에서 발생되는 잡음에 의한 오류를 수신 측이 검출 혹은 정정할 수 있도록 원래의 데이터에 새로운 데이터를 덧붙이는 방법을 말하며 오류 제어 코딩(ECC, Error Control Coding)이라고도 한다.
최근에는 여러 기술이나 성능이 하나로 합쳐지는 컨버전스(convergence) 시대가 되면서, 한가지 주기능만을 가지던 기존의 단말기 대신에 다양한 능력이 통합된 단말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코덱들이 하나의 단말기에 포함되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 즉, QoS(Quality of Service)는 네트워크에서 적합한 수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충족시켜야 하는 서비스 요구 사항의 집합이다. QoS를 사용하면 실시간 프로그램 등에서 네트워크 대역폭을 적절하게 보장할 수 있고, 네트워크 자원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공유 네트워크에 전용 네트워크와 비슷한 서비스 수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은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비트율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 적응적으로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 적응적으로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현재 상태에 적합한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 적응적으로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현재 상태에 적합하도록 구성이 설정되는 코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덱의 구성(configuration) 설정 방법은 상기 코덱의 현재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덱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관한 구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코덱의 현재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덱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관한 구성(configuration)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덱의 구성(configuration) 설정 방법은 (a) 코덱이 탑재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 상기 코덱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코덱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코덱이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의 초기 값을 결정하여 상기 코덱의 초기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정보,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상기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상기 코덱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a) 코덱이 탑재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 상기 코덱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코덱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코덱이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의 초기 값을 결정하여 상기 코덱의 초기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정보,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상기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상기 코덱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덱의 구성(configuration) 설정 방법은 (a) 코덱이 탑재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 상기 코덱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코덱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의 초기 값을 결정하여 상기 코덱의 초기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정보,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상기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상기 코덱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a) 코덱이 탑재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 상기 코덱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코덱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의 초기 값을 결정하여 상기 코덱의 초기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정보,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상기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상기 코덱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덱은 상기 코덱의 현재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덱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관한 구성을 설정하는 구성 설정부; 상기 설정된 구성에 따라 제1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소스 부호화부; 및 상기 설정된 구성에 따라 제2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소스 복호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덱의 현재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덱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관한 구성을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 적응적으로 최적화된 코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 대한 정보, 코덱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코덱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에 최적화된 코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바, 하나의 코덱으로 각 서비스에서 원하는 포맷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AMR(Adaptive Multi-Rate) 코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재구성 가능한 코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포함된 재구성 가능한 코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고,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초기 코덱 설정부(21)는 코덱이 포함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인 단말기 모드(Terminal Mode, TMi) 정보, 데이터가 전송되는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인 네트워크 모드(Network Mode, NMi) 정보, 코덱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인 입력 모드(Input Mode, IMi) 정보 및 코덱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인 출력 모드(Output Mode, OMi) 정보에 대한 초기 값(initial value)을 기초로 코덱(20)의 구성을 설정한다.
코덱 설정 변경부(22)는 단말기 모드(TMc) 정보, 네트워크 모드(NMc) 정보, 입력 모드(IMc) 정보 및 출력 모드(OMc) 정보에 대한 현재 정보, 구체적으로, 실시간 정보를 기초로 코덱(20)의 구성을 재설정한다.
코덱(codec, 21)은 단말기 모드 정보, 네트워크 모드 정보, 입력 모드 정보 및 출력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코덱의 초기 구성을 설정하고, 단말기 모드 정보, 네트워크 모드 정보, 입력 모드 정보 및 출력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실시한 값(real-time value)을 수신하여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한다.
여기서, 구성(configuration)은 정보 처리 시스템이나 네트워크를 그 기능 단위의 개수, 성질, 상호 접속, 기본적인 특성에 따라 편성하는 것 또는 그렇게 편성된 상태를 말하며, 편성의 대상에 따라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구성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코덱의 구성은 QoS 파라미터(parameter)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QoS 파라미터에는 품질(quality), 비트율(rate), 복잡도(complexity), 지연(delay), 오류 방지(error protection)에 할당되는 비트의 양, 부호화 모드(encoding mode), 부호화 채널(encoding channel), 복호화 채널(decoding channel) 및 프레임 사이즈(frame size) 등이 있다. 이러한 QoS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성능과 서비스 상태 등을 측정하는 모니터링 기술이 요구된다. 이 때 요구되는 QoS 모니터링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측정 및 분석하여 요구 사항을 제대로 만족시키고 있는지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의 결과는 피드백되어 기존의 네트워크 등의 설정을 변경하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품질은 동일한 비트율에서의 음질 또는 화질을 의미하며, 품질이 높을수록 코덱의 성능이 우수해진다. 비트율은 미디어 신호의 전송 속도, 즉, 미디어 신호를 인코딩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하며, 비트율이 높을수록 질은 좋아지나 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미디어 신호는 음성, 음악 및 영상 신호 등을 포함한다. 복잡도는 알고리즘의 복잡한 정도를 의미하며, 복잡도가 낮을수록 코덱의 성능이 우수해진다. 지연은 네트워크 상에서 미디어 신호의 지연 정도를 의미하며, 지연이 낮을수록 코덱의 성능이 우수해진다.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의 양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되는 부가 데이터의 양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삽입하는 부가 데이터의 양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부호화 모드는 입력 신호의 소스에 따라 음성 또는 음악으로 나눌 수 있다. 부호화 채널 및 복호화 채널은 각각 부호화 및 복호화가 일어나는 채널의 수를 나타낸다.
표 1은 단말기 모드에 따라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표 2는 네트워크 모드에 따라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표 3은 입력 모드에 따라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표 4는 출력 모드에 따라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표 1 내지 4를 참조하여 단말기 모드, 네트워크 모드, 입력 모드 및 출력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이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정시기 설정정보
카테고리
설정정보 코덱 설정
Quality Rate Complexity
초기 설정 단말기 형태 무선 Medium NA Low
유선 High NA High
배터리 상태 High NA NA High
Medium NA NA Medium
Low NA NA Low
사용자 설정 Quality
High to Low
High to Low NA NA
Rate
High to Low
NA High to Low NA
Complexity
High to Low
NA NA High to Low
재 설정 배터리 상태 High NA NA High
Medium NA NA Medium
Low NA NA Low
표 1을 참조하면, 단말기 모드는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시기에 따라 초기 설정 단계와 재 설정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초기 설정 단계는 코덱이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이고, 재 설정 단계는 코덱이 서비스를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일 수 있다.
코덱의 구성은 QoS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는 바, 이 때 단말기 모드를 기초로 결정되는 QoS 파라미터에는 품질(Quality), 비트율(Rate) 및 복잡도(Complexity)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정 시기 및 설정 정보에 따라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 설정 단계에서는 단말기의 형태, 배터리 상태 및 사용자 설정 정보 등을 기초로 코덱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의 형태는 전원이 공급되는 형태에 따라 무선(hand-held device) 단말기 및 유선(fixed device) 단말기로 나눌 수 있다. 무선 단말기의 경우에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배터리 상태가 가변적이며 전송 상 지연이 생길 수 있으므로, 품질을 중간 정도로 설정하고 복잡도를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유선 단말기의 경우에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안정적이므로, 품질을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게 설정하고 복잡도도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의 형태는 비트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NA, not applicable).
배터리의 상태는 유선 단말기의 경우에는 고려할 필요가 없지만, 무선 단말기의 경우에는 배터리의 상태가 가변적이므로 코덱의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배터리의 상태는 사용 가능한 양을 정량화하여 3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배터리의 잔량이 충분한 경우, 즉, 배터리의 상태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은 경우에는 복잡도를 높게 설정하여 복잡도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은 알고리즘을 활성화할 수 있다. 배터리의 상태가 보통인 경우에는 복잡도도 보통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즉, 배터리의 상태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복잡도도 낮게 설정하여 복잡도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은 알고리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의 상태는 품질 및 비트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사용자 설정은 초기에 코덱의 품질, 비트율 및 복잡도 등에 대하여 사용자가 미리 결정한 코덱의 구성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품질에 대하여 설정한 경우 비트율 및 복잡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사용자가 비트율을 설정한 경우 품질 및 복잡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사용자가 복잡도를 설정한 경우 품질 및 비트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재 설정 단계에서는 배터리의 상태 등을 기초로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 형태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유선 단말기는 전원이 일정하게 공급되므로 배터리의 상태에 변화가 없다. 그러므로, 무선 단말기의 경우만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재 설정 단계는 코덱의 초기 설정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은 경우에는 복잡도를 높게 설정하여 복잡도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은 알고리즘을 활성화할 수 있다. 배터리의 잔량이 보통인 경우에는 복잡도도 보통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복잡도도 낮게 설정하여 복잡도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은 알고리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상태는 품질 및 비트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설정시기 설정정보
카테고리
설정정보 코덱 설정
Quality Rate Delay Error Protection
초기 서비스
종류
통신 Medium Low Short High
스트리밍 Medium High Long Low
방송 High High Medium High
사용될
네트워크
Mobile Network Medium Low Short High
PSTN Medium Low Medium Low
IP High High Short High
현재 오류율 High NA NA NA High
Low NA NA NA Low
대역폭 High NA High NA NA
Low NA Low NA NA
표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모드는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시기에 따라 초기 설정 단계와 재 설정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초기 설정 단계는 코덱이 서비스를 시작하기 단계이고, 재 설정 단계는 코덱이 서비스를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단계일 수 있다.
코덱의 구성은 QoS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는 바, 이 때 네트워크 모드를 기초로 결정되는 QoS 파라미터에는 품질(Quality), 비트율(Rate), 지연(Delay) 및 오류 방지(Error Protection)에 할당되는 비트 양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정 시기 및 설정 정보에 따라 QoS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 설정 단계에서는 서비스의 종류, 사용될 네트워크의 종류 등을 기초로 코덱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의 종류는 코덱의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비스이며, 통신(communications), 스트리밍(streaming) 및 방송(broadcasting)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통신 서비스의 예로는 실시간(real time)으로 서비스되는 전화나 메신저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는 지연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므로 지연을 소정의 임계값 보다 짧게 설정하고, 품질은 중간 정도로 설정하고, 비트율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게 설정하고,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미디어 신호를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지 않고 인터넷 등에서 음성이나 영상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것으로 최근 활발히 이용되는 UCC(User Created Contents)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품질은 중간 정도로 설정하고, 비트율을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게 설정하며, 지연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길게 설정하고,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방송 서비스는 전파에 의해 공중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품질과 비트율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게 설정되야 하고, 지연은 보통으로 설정되고,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될 네트워크의 종류는 이동 네트워크(mobile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및 IP(Internet Protocol)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동 네트워크는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품질은 중간 정도로 설정하고, 비트율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게 설정하며, 지연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짧게 설정하고,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PSTN은 공공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공중 전화 교환망을 의미하며, 품질은 중간 정도로 설정하고, 비트율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게 설정하며, 지연은 중간 정도로 설정하고,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IP는 인터넷 상의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품질 및 비트율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게 설정하고, 지연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짧게 설정하며,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은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재 설정 단계에서는 네트워크의 오류율(error rate) 및 대역폭(bandwidth) 등을 기초로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오류율은 현재 사용되는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정량화하여 2 단계로 나눈다. 오류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을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게 설정하고, 오류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을 소정의 임계값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대역폭은 현재 사용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의 양을 정량화하여 2 단계로 나눈다. 대역폭이 소정의 임계값 보다 큰 경우에는 비트율을 소정의 임계값 보다 높게 설정하고, 대역폭이 소정의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비트율을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설정시기 설정정보
카테고리
설정정보 코덱 설정
부호화 모드 부호화 채널
초기 채널 수 1 NA 1
2 NA 2
3 이상 NA 3 이상
소스 스피치 스피치 NA
음악 음악 NA
현재 현재 채널 1 NA 1
2 NA 2
3 이상 NA 3 이상
현재 소스 스피치 스피치 NA
음악 음악 NA
표 3을 참조하면, 입력 모드는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시기에 따라 초기 설정 단계와 재 설정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초기 설정 단계는 코덱이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이고, 재 설정 단계는 코덱이 서비스를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단계일 수 있다.
코덱의 구성은 QoS 조절 요인을 결정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는 바, 이 때 입력 모드를 기초로 결정되는 QoS 조절 요인에는 부호화 모드(Encoding Mode) 및 부호화 채널(Encoding Channel)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정 시기 및 설정 정보에 따라 QoS 조절 요인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 설정 단계에서는 채널의 수 및 소스 모드 등을 기초로 코덱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채널의 수는 한 개 내지 N 개일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채널의 수가 한 개(mono)인 경우에 부호화 채널도 한 개로 설정하고, 채널의 수가 두 개(stereo)인 경우에 부호화 채널도 두 개로 설정하며, 채널의 수가 세 개 이상인 경우에 부호화 채널도 세 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호화 모드는 채널의 수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소스 모드는 음성(speech) 또는 음악(music)으로 나눌 수 있으며, 미디어 신호가 음성인 경우에 부호화 모드도 음성 모드로 설정하고, 미디어 신호가 음악인 경우에 부호화 모드도 음악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호화 채널은 소스 모드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재 설정 단계에서는 현재 채널의 수 및 현재 소스 모드 등을 기초로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할 수 있다.
현재 채널의 수는 한 개 내지 N 개일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채널의 수가 한 개(mono)인 경우에 부호화 채널도 한 개로 설정하고, 채널의 수가 두 개(stereo)인 경우에 부호화 채널도 두 개로 설정하며, 채널의 수가 세 개 이상인 경우에 부호화 채널도 세 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호화 모드는 채널의 수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현재 소스 모드는 음성(speech) 또는 음악(music)으로 나눌 수 있으며, 미디어 신호가 음성인 경우에 부호화 모드도 음성 모드로 설정하고, 미디어 신호가 음악인 경우에 부호화 모드도 음악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호화 채널은 소스 모드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설정시기 설정정보
카테고리
설정정보 코덱 설정
Quality 부호화 채널
초기 출력 채널 수 1 NA 1
2 NA 2
3 이상 NA 3 이상
출력 장치 Earphone/Handset Medium 1
Headset High 2
Loud Speaker High 1~3 이상
현재 현재 출력
채널 수
1 NA 1
2 NA 2
3 이상 NA 3 이상
현재 출력 장치 Earphone/Handset Medium 1
Headset High 2
Loud Speaker High 1~3 이상
표 4를 참조하면, 출력 모드는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시기에 따라 초기 설정 단계와 재 설정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초기 설정 단계는 코덱이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이고, 재 설정 단계는 코덱이 서비스를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단계일 수 있다.
코덱의 구성은 QoS 조절 요인을 결정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는 바, 이 때 출력 모드를 기초로 결정되는 QoS 조절 요인에는 품질(Quality) 및 복호화 채널(Decoding Channel)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정 시기 및 설정 정보에 따라 QoS 조절 요인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 설정 단계에서는 출력 채널의 수 및 출력 장치(output device) 등을 기초로 코덱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출력 채널의 수는 한 개 내지 N 개일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채널의 수가 한 개(mono)인 경우에 복호화 채널도 한 개로 설정하고, 채널의 수가 두 개(stereo)인 경우에 복호화 채널도 두 개로 설정하며, 채널의 수가 세 개 이상인 경우에 복호화 채널도 세 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품질은 채널의 수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출력 장치는 출력 단자의 수에 따라 이어폰/핸드셋, 헤드셋 및 라우드 스피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어폰이나 핸드셋과 같이 출력 단자가 한 개인 경우에 품질은 보통으로 설정하고, 복호화 채널은 한 개로 설정할 수 있다. 헤드셋과 같이 출력 단자가 두 개인 경우에 품질은 높게 설정하고, 복호화 채널은 두 개로 설정할 수 있다. 라우드 스피커와 같이 출력 단자가 복수 개인 경우에 품질은 높게 설정하고, 복호화 채널은 한 개 내지 세 개 혹은 그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재 설정 단계에서는 현재 출력 채널의 수 및 현재 출력 장치 등을 기초로 코덱의 구성을 재설정할 수 있다.
현재 출력 채널의 수가 한 개(mono)인 경우에 복호화 채널도 한 개로 설정하고, 채널의 수가 두 개(stereo)인 경우에 복호화 채널도 두 개로 설정하며, 채널의 수가 세 개 이상인 경우에 복호화 채널도 세 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품질은 채널의 수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현재 출력 장치는 출력 단자의 수에 따라 이어폰/핸드셋, 헤드셋 및 라우드 스피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어폰이나 핸드셋과 같이 출력 단자가 한 개인 경우에 품질은 보통으로 설정하고, 복호화 채널은 한 개로 설정할 수 있다. 헤드셋과 같이 출력 단자가 두 개인 경우에 품질은 높게 설정하고, 복호화 채널은 두 개로 설정할 수 있다. 라우드 스피커와 같이 출력 단자가 복수 개인 경우에 품질은 높게 설정하고, 복호화 채널은 한 개 내지 세 개 혹은 그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재구성 가능한 코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단말기(Mobile Station, 31) 및 기지국(Base Station, 32)을 포함한다. 단말기(31)는 재구성 가능한 코덱(Reconfigurable Codec, 311), 채널 부호화/복호화부(Channel Encoding/Decoding Unit, 312), 변/복조부(Modulation/Demodulation Unit, 313) 및 RF 전단부(RF front-end, 314)를 포함한다. 기지국(32)은 업링크 측정부(Uplink Measuring Unit, 321) 및 네트워크 제어부(Network Controlling Unit, 322)를 포함한다.
재구성 가능한 코덱(311)은 미디어 신호에 대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고, 구체적으로, 미디어 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압축을 수행한다. 여기서, 미디어 신호는 음성, 음악 및 영상 신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 가능한 코덱(311)은 입력 모드 정보 제공부(IM, Input Mod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5), 단말기 모드 정보 제공부(TM, Terminal Mod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6), 출력 모드 정보 제공부(OM, Output Mod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7) 및 네트워크 모드 정보 제공부(NM, Network Mod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재구성 가능한 코덱(311)은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고, 조절된 QoS 파라미터에 따라 구성을 재설정한다. 각각의 정보 제공부(315, 316, 317, 318)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상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채널 부호화/복호화부(312)는 미디어 신호의 전송 및 저장 과정에서, 즉, 통신 채널에서 발생되는 잡음에 대한 오류를 수신 측이 검출 또는 정정할 수 있도록 입력된 미디어 신호에 비트를 추가한다. 이 때, 추가된 비트를 리던던시(redundancy)라고 하고, 수신 측에서는 리던던시를 이용하여 오류를 제어한다. 또한, 채널 부호화/복호화부(312)는 채널 잡음에 의해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한다.
변/복조부(313)는 미디어 신호를 통신 회선에 보내기에 적당한 신호로 변환하는, 구체적으로, 미디어 신호를 반송파(carrier wave)에 실어주는 변조를 수행한다. 여기서, 반송파는 무선 통신에서 정보를 실어보내는 사인(sine)파 또는 펄스(pulse)파 등을 의미한다. 또한, 변/복조부(313)는 변조 반송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변조 반송파로부터 반송파 성분을 제거하여 음성 신호를 얻는, 즉, 변조된 신호로부터 원래의 신호를 생성하는 복조를 수행한다.
RF 전단부(314)는 안테나로부터 다운링크된 미디어 신호를 전처리하여 변/복조부(313)에 제공하고, 변/복조부(313)에서 출력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32)에 포함된 업링크 측정부(321)는 업링크의 상태, 구체적으로, 업링크의 품질(quality)을 측정한다. 네트워크 제어부(322)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 업링크 측정부(321)에서 측정된 업링크의 품질을 기초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 제공부(318)에 제공한다.
도 4는 도 3에 포함된 재구성 가능한 코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재구성 가능한 코덱(40)은 모드 정보 분석부(Mode Information Analysis Unit, 41), 구성 설정부(Configuration Setting Unit, 42), 소스 부호화부(Source Encoder, 43), 오류 방지부(Error Protection Unit, 44), 다중화부(Multiplexing Unit, 45), 소스 복호화부(Source Decoder, 46), 오류 방지 복호화/은폐부(Error Protection Decoding/Concealment Unit, 47) 및 역다중화부(Demultiplexing Unit, 48)를 포함한다.
모드 정보 분석부(41)는 단말기 모드 정보(TM), 네트워크 모드 정보(NM), 입력 모드 정보(IM) 및 출력 모드 정보(OM)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기 위해 수신한 정보를 분석한다.
구성 설정부(42)는 모드 정보 분석부(41)에서 분석한 정보를 기초로 코덱의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고, 조절된 QoS 파라미터에 따라 소스 부호화부(43), 오류 방지부(44), 소스 복호화부(46) 및 오류 방지 복호화/은폐부(47)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설정한다. 구체적인 설정 방법은 이상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소스 부호화부(43)는 입력 신호(IN)를 수신하여 디지털로 변환하고 압축한다. 이 때, 구성 설정부(42)로부터 제공받은 제1 제어 신호(CS1, control signal)를 기초로 소스 부호화부(43)의 구성은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설정부(42)가 입력 모드 정보(IM)를 기초로 부호화 모드를 음성 모드 또는 음악 모드로 설정한 경우, 소스 부호화부(43)는 설정된 결과에 따라 음성 모드 또는 음악 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한다.
오류 방지부(44)는 채널을 통해 신호가 전송될 때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스 부호화부(43)의 출력에 패리티 비트(parity bit)를 추가한다. 여기서, 패리티 비트는 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원래의 정보에 덧붙이는 비트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패리티 비트는 시스템의 논리 구조에 따라 1로 된 비트들의 개수가 항상 짝수 또는 홀수가 되도록 바이트의 끝에 붙일 수 있다. 이 때, 구성 설정부(42)로부터 제공받은 제2 제어 신호(CS2)를 기초로 오류 방지부(44)의 구성은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설정부(42)가 네트워크 모드 정보(NM)를 기초로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을 높게 또는 낮게 설정한 경우, 오류 방지부(44)는 설정된 결과에 따라 추가되는 패리티 비트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다중화부(45)는 오류 방지부(44)의 출력으로부터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대응하는 채널로 전송한다. 역다중화부(48)는 채널로부터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오류 방지 복호화/은폐부(47)는 역다중화부(48)의 출력을 수신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된 데이터의 공간적/시간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손상된 데이터를 은폐한다. 구체적으로, 오류 방지 복호화/은폐부(47)는 이전 정상 프레임의 스펙트럼을 반복하여 오류가 발생된 프레임을 복원하는 반복(repetition) 방식, 이전 정상 프레임과 다음 정상 프레임의 스펙트럼을 보간하여 오류가 발생된 프레임을 복원하는 보간(interpolation) 방식 등을 이용하여 오류를 은폐할 수 있다. 이 때, 구성 설정부(42)로부터 제공받은 제3 제어 신호(CS3)를 기초로 오류 방지 복호화/은폐부(47)의 구성은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설정부(42)가 네트워크 모드 정보(NM)를 기초로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을 높게 또는 낮게 설정한 경우, 오류 방지 복호화/은폐부(47)는 설정된 결과에 따라 적절하게 반복 방식 또는 보간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소스 복호화부(46)는 오류 방지 복호화/은폐부(47)의 출력을 수신하여 이를 복호화함으로써, 즉,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 신호(OUT)를 생성한다. 이 때, 구성 설정부(42)로부터 제공받은 제4 제어 신호(CS4)를 기초로 소스 복호화부(46)의 구성은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설정부(42)가 출력 모드 정보(OM)를 기초로 복호화 모드를 음성 모드 또는 음악 모드로 설정한 경우, 소스 복호화부(46)는 설정된 결과에 따라 음성 모드 또는 음악 모드로 복호화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코덱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코덱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51 단계에서 구성 설정부(42)는 코덱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 코덱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코덱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QoS 파라미터의 초기 값을 결정하여 코덱의 초기 구성을 결정한다.
52 단계에서 구성 설정부(42)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QoS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코덱의 구성을 변경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코덱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코덱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덱의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61 단계에서 모드 정보 분석부(41)는 코덱의 현재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정보는 코덱이 탑재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 코덱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코덱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코덱에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62 단계에서 구성 설정부(42)는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코덱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관한 구성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구성 설정부(42)는 수집된 정보가 코덱이 탑재된 단말기의 전원(power supply)의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이면, 단말기의 전원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복잡도를 갖는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설정부(42)는 수집된 정보가 코덱의 입력 데이터의 채널의 수 및 소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이면, 입력 데이터의 채널의 수에 따라 부호화되는 채널의 수를 결정하고, 입력 데이터의 소스가 음성인지 음악인지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소스 또는 음악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설정부(42)는 수집된 정보가 코덱의 출력 데이터의 채널의 수 및 출력 단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이면, 출력 데이터의 채널의 수에 따라 복호화되는 채널의 수를 결정하고, 출력 데이터의 출력 단자의 수에 비례하여 출력 데이터의 품질 및 복호화되는 채널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설정부(42)는 수집된 정보가 코덱의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비스의 종류, 코덱에 연결된 네트워크의 종류 및 대역폭, 및 오류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이면, 컨텐츠 서비스의 종류, 네트워크의 종류 및 대역폭, 및 오류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품질, 비트율, 지연 및 오류 방지에 할당되는 비트 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20 ... 코덱 21 ... 초기 코덱 설정부
22 ... 코덱 설정 변경부

Claims (9)

  1. 단말기에서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코덱의 서비스 품질과 관련된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가 네트워크의 오류율(error rate)과 관련된 경우, 상기 코덱에서 데이터 처리시 상기 네트워크의 오류율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오류제어처리를 적용하도록 상기 구성을 변경하는 코덱의 구성 설정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가 채널의 개수와 관련된 경우, 부호화 혹은 복호화되는 채널의 개수를 상기 채널의 개수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상기 구성을 변경하는 코덱의 구성 설정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가 네트워크의 대역폭과 관련된 경우, 부호화되는 데이터의 비트율을 상기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상기 구성을 변경하는 코덱의 구성 설정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비트율을 결정하는 코덱의 구성 설정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내장된 코덱의 서비스 품질과 관련된 구성을 변경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가 네트워크의 오류율(error rate)과 관련된 경우, 상기 코덱에서 데이터 처리시 상기 네트워크의 오류율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오류제어처리를 적용하도록 상기 구성을 변경하는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가 채널의 개수와 관련된 경우, 부호화 혹은 복호화되는 채널의 개수를 상기 채널의 개수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상기 구성을 변경하는 단말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환경과 관련된 정보가 네트워크의 대역폭과 관련된 경우, 부호화되는 데이터의 비트율을 상기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상기 구성을 변경하는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비트율을 결정하는 단말기.

KR1020170181525A 2017-12-27 2017-12-27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KR101904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525A KR101904422B1 (ko) 2017-12-27 2017-12-27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525A KR101904422B1 (ko) 2017-12-27 2017-12-27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374A Division KR101814607B1 (ko) 2016-07-28 2016-07-28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075A KR20180004075A (ko) 2018-01-10
KR101904422B1 true KR101904422B1 (ko) 2018-10-05

Family

ID=6099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525A KR101904422B1 (ko) 2017-12-27 2017-12-27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619B1 (ko) * 2018-10-04 2021-02-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음원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4487A1 (en) 2003-07-31 2005-02-03 William Chen Video codec system with real-time complexity adaptation and region-of-interest coding
JP3627674B2 (ja) 2001-06-01 2005-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Codec選択方式および方法
US20050105615A1 (en) 2003-11-13 2005-05-19 Khaled El-Maleh Selective and/or scalable complexity control for video codec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7674B2 (ja) 2001-06-01 2005-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Codec選択方式および方法
US20050024487A1 (en) 2003-07-31 2005-02-03 William Chen Video codec system with real-time complexity adaptation and region-of-interest coding
US20050105615A1 (en) 2003-11-13 2005-05-19 Khaled El-Maleh Selective and/or scalable complexity control for video code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075A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138B1 (ko)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JP5268952B2 (ja) データパケットのシーケンスを伝送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ータパケットのシーケンスをデコードするためのデコーダおよび装置
US114899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a content to a client
JP3274655B2 (ja) オーディオ情報処理方法
EP3809408A1 (en) Selective forward error correction for spatial audio codecs
US8195470B2 (en) Audio data packet format and decod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correc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dec setup err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ance same
EP07226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U739176B2 (en) An information coding method and devices utilizing error correction and error detection
US8327211B2 (en) Voice activity detection (VAD) dependent retransmission sche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787490B2 (en)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EP4086899A1 (en) Audio transmiss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07517441A (ja) デジタルマイクロフォン
KR101904422B1 (ko)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US7856096B2 (en) Erasure of DTMF signal transmitted as speech data
KR101814607B1 (ko)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KR101645294B1 (ko) 코덱의 구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덱
Gibson et al. Tandem voice communications: digital cellular, VoIP, and voice over Wi-Fi
US9437203B2 (en) Error concealment for speech decoder
CN112769524A (zh) 语音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4403103B2 (ja) 音声信号パケット通信方法、多地点ミキシング方法、およびそれらを利用したシステム、装置
US11956676B2 (en) Dynamic transmission rates for isochronous streaming
KR20100100224A (ko)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JP5480226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Barros et al. Wireless transmission of packet audio using multiple descriptions
Turkes et al. Priority-Based Voice Segmentation and Transmission in Quality-Driven Wireless Audio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