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074A - 침구류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침구류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074A
KR20100100074A KR1020090018756A KR20090018756A KR20100100074A KR 20100100074 A KR20100100074 A KR 20100100074A KR 1020090018756 A KR1020090018756 A KR 1020090018756A KR 20090018756 A KR20090018756 A KR 20090018756A KR 20100100074 A KR20100100074 A KR 20100100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unit
beddings
cleaning device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주
Original Assignee
박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주 filed Critical 박상주
Priority to KR102009001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0074A/ko
Publication of KR2010010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불이나 매트와 같은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구류의 이동로를 굴곡진 경사로 형성하여 크기를 소형화하고, 역회전 방지기능과 탄성 복원력을 통해 두께가 다른 침구류도 용이하게 압착지지하는 이송롤러 등을 구비하여 청소시 침구류가 확실하게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침구류에 서식하는 진드기, 먼지, 각종 잡균을 신속하고 능율적으로 털어냄은 물론 잔존하는 습기나 잡균을 건조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침구류 청소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 개폐가능한 덮개가 형성되고, 상호 90°각을 이루는 양측면으로는 침구류의 삽입과 배출을 위한 침구류 삽입구 및 침구류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침구류 삽입구와 침구류 배출구 사이에는 침구류 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침구류 이동로의 일측에는 두께가 다른 침구류를 탄성력에 의해 압착지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침구류 이송부와; 상기 침구류 이동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침구류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침구류를 타격 및 털기 동작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침구류의 건조 및 살균을 이루도록 자외선 살균기와 건조기로 이루어지는 살균부와; 상기 침구류 이송부와 이물질 제거부 및 살균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침구류, 청소장치, 두께, 탄성체

Description

침구류 청소장치{Beddings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이불이나 매트와 같은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구류의 이동로를 굴곡진 경사로 형성하여 크기를 소형화하고, 역회전 방지기능과 탄성 복원력을 통해 두께가 다른 침구류도 용이하게 압착지지하는 이송롤러 등을 구비하여 청소시 침구류가 확실하게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침구류에 서식하는 진드기, 먼지, 각종 잡균을 신속하고 능율적으로 털어냄은 물론 잔존하는 습기나 잡균을 건조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생활에서는 직물류가 반드시 필요하고 또 많은 직물류와 24시간 접하고 있다.
예컨대, 대표적인 직물류로서 의류와 이불, 요, 매트리스와 같은 침구류를 들 수 있고, 이러한 의류와 침구류는 세탁 및 청소에 의해 재사용하고 있다.
또, 상기한 의류나 침구류에는 사람에 의해 배출되는 피부 각질 등의 죽은 세포를 먹이로 서식하면서 사람들에게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키는 진드기나 유해균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먼지, 진드기 등에 의한 질병 발생은 어린이 천식의 90% 이상, 성인 천식의 70∼80%, 알레르기성 비염의 50%,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이 광범위하게 발생되고 있다는 것을 여러 매체를 통해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진드기, 잡균의 근본적인 퇴치 및 박멸은 직물류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지만 우리의 생활에서 직물류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진드기와 각종 세균을 퇴치하기 위해서 권장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뜨거운 물로 주 1회 이상 직물류를 살균처리하거나 특수진공청소기로 매트리스와 같은 침구류를 자주 청소하는 것이다.
그러나, 의류나 부피가 작은 침대 커버 같은 직물류는 자주 세척이 가능하지만, 부피가 큰 각종 이불이나 양탄자(카펫 : carpet)와 같은 침구류는 현실적으로 뜨거운 물로 세탁 및 살균처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침구류를 햇볕이 좋은 날 볕이 잘 드는 곳에 내어 널고 몇 시간씩 햇볕에 살균 및 건조시키거나, 침구류에 존재 및 서식하는 먼지와 진드기는 사람이 방망이를 들고 두드려서 털어 내야 하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실외에서 침구류의 건조는 갈수록 악화되는 기상조건(예컨대, 황사, 기습호우 등)때문에 오히려 침구류의 오염을 불러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우리가 사용하는 침구류에 서식하는 진드기나 각종 유해균을 박멸함은 물론 땀이나 사람의 신체에서 유출되는 각질과 먼지를 제거하고 습기를 건조할 수 있는 침구류용 청소기가 요구되었고, 이에 부합하기 위한 침구류 청소기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구류 청소기는 계절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제작되는 침구류 때문에 이송롤러가 두께가 다른 침구류를 모두 이송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침구류 청소기는 이송롤러가 침구류와 밀착시 미끄러짐이나 백회전이 발생하여 확실하게 이송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침구류 청소기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침구류를 이송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크기가 너무 커져, 일반 가정에서는 보관과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에서 보관과 사용이 용이하도록 크기를 소형화하고, 다양한 두께의 침구류를 이송시키면서 침구류에 존재하는 먼지, 진드기, 각종 유해균 등을 털어 내고 살균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구류의 위생 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여 피부질환 및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 침구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롤러의 접지력을 보강하여 침구류의 이송을 확실하게 이루도록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구류 청소장치에 있어서, 일측으 로 개폐가능한 덮개가 형성되고, 상호 90°각을 이루는 양측면으로는 침구류의 삽입과 배출을 위한 침구류 삽입구 및 침구류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침구류 삽입구와 침구류 배출구 사이에는 침구류 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침구류 이동로의 일측에는 두께가 다른 침구류를 탄성력에 의해 압착지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침구류 이송부와; 상기 침구류 이동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침구류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침구류를 타격 및 털기 동작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침구류의 건조 및 살균을 이루도록 자외선 살균기와 건조기로 이루어지는 살균부와; 상기 침구류 이송부와 이물질 제거부 및 살균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구류 이송부는, 침구류의 용이한 압착 이송을 위해 별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침구류 이송롤러와, 상기 침구류 이송롤러가 압착지지하는 침구류의 두께에 상관없이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침구류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에는 침구류의 압착지지 후, 이송롤러의 미끄러짐에 의한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래칫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타격하거나 떨어서 기계적 진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침구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이탈시키도록 20°∼60°의 각도로 설치되는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이탈된 이물질을 쓸어내는 롤러브 러시 및 쓸어내어진 이물질을 진공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흡입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와, 살균부는 분리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구류 이동로는 20°∼ 80°의 각도로 굴곡진 경사를 이루어 침구류의 이송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짧은 길이의 침구류 이동로를 길게 연장되도록 굴곡진 경사로 형성하여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또 침구류 이송롤러를 별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침구류와의 접지력 향상 효과를 도모하며, 래칫의 설치로 1인의 작업자만으로도 청소장치에 침구류의 삽입 장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역회전 및 미끄럼 방지로 침구류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침구류 이송롤러에 쿠션부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물체나 사람의 손이 끼여도 쿠션부에 의해 용이하게 이송롤러를 이동시킬 수 있어 손상없이 빼낼 수 있는 효과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두께가 상이한 침구류의 청소를 이룰 수 있고, 또 날씨와 계절에 관계없이 실내에서 침구류를 항상 살균 및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이 먼지 등을 직접 털어 내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 내에 침구류의 살균 및 건조작업을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침구류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청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구류 청소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요부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본 발명의 침구류 청소장치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기 및 롤러 브러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이송롤러와 쿠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 및 살균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침구류 청소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침구류 청소장치의 보관시 세우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110)과 이물질 제거부(120), 침구류 이송부(130) 및 살균부(14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가볍고 견고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 등으로 압출법이나 사출법, 판금법 등에 의해 개략 장방형을 이루도록 성형하고, 일측으로는 힌 지(미도시) 등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덮개(111)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과 덮개(111)의 사이면에는 침구류(200)가 삽입되는 침구류 삽입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침구류 삽입구(112)와 상호 90°각을 이루는 하우징(110)의 타 일측면으로는 침구류(200)의 배출을 위한 침구류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침구류 삽입구(112)와 침구류 배출구(113)에는 침구류(200)의 청소시 발생되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또는 브러시와 같은 커튼(11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튼(114)은 진동기(121)의 타격봉(121a)에 의해 침구류(200)에서 이탈된 먼지, 진드기와 같은 이물질이 청소장치(10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침구류 삽입구(112)와 침구류 배출구(113)의 사이에는 침구류 이동로(1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침구류 이동로(115)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침구류 이동로가 형성되는 종래의 침구류 청소장치와는 달리 상기 장방형 하우징(110)의 각기 다른 측면에 상호 90°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침구류 삽입구(112)와 침구류 배출구(113) 사이에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115b)을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20°∼ 80°의 각도로 굴곡진 경사로 형성함으로써, 소형의 하우징(110)으로도 침구류(200)의 이동 길이를 연장하여 이물질 제거와 살균 및 건조시간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침구류 이동로(115)를 굴곡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얻 을 수 있는 것은 수평으로 형성하는 것 보다 이물질 제거가 훨씬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침구류 이동로를 수평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이동하는 침구류의 아래면은 진동기의 타격으로 이물질의 이탈 후, 자동 낙하하거나 브러시에 의해 제거가 용이하나, 윗면은 이물질이 이탈 후 자연 낙하를 기대할 수 없음은 물론 브러시에 의해서도 제거가 쉽지 않은데 반해, 경사로 형성할 경우에는 침구류의 양면이 모두 이물질의 이탈 후 자연낙하가 쉬운 각도를 이루게 됨과 동시에 브러시에 의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침구류 이동로(115)는 침구류(200)의 용이한 이동을 위해 스테인레스와 같은 미끄럼성 있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면과 덮개(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침구류 삽입구(112)의 내부 양측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이물질 제거부(120)는 일측부 즉, 하부에는 하부 가이드 패널(120b)이 상기 하우징(110) 내에 분리 및 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 패널(120a)에는 상기 침구류 삽입구(112)로 유입되는 침구류(200)에 존재하는 사람의 피부 각질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침구류(200)를 타격하거나 떨어대도록 기계적 진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진동기(121)가 형성되고, 타 일측부 즉, 상부에는 상부 가이드 패널(120a)이 상기 덮개(111)의 내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패널(120a)에는 침구류(200)의 표면 또는 내부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쓸거나 털어내는 한쌍의 브러시(1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가이드 패널(120a)과 하부 가이드 패널(120b)의 일측 각 각으로는 유입되는 침구류(200)의 용이한 이송을 위해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115a)이 형성된다.
또, 상기 상부 가이드 패널(120b)과 하부 가이드 패널(120a)의 일측으로는 상기 진동기(121)와 브러시(122)에 의해 이탈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진공흡입기(123)가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흡입기(123)는 분리가능하도록 형성할 경우에는 일반 가정용으로 시판되는 진공청소기를 연결할 수 있고,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모터(미도시)와,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 수집필터(미도시) 등을 갖는 별도의 진공흡입기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기(121)는 진동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의 축에 설치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21b)와 타격봉(121a) 등으로 구성하여 이동하는 침구류(200)를 연속타격함으로써, 먼지, 진드기, 곰팡이 등과 같은 이물질을 이탈되도록 한다.
또, 상기 진동기(121)의 타격 강도는 침구류(200)의 소재와 두께 등에 맞추어 다단계로 속도와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구류(200)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121b)의 형성으로 두께가 상이한 침구류(200)의 청소시에도 탄성력에 의해 유동이 용이하게 되므로 타격봉(121a)의 보다 원활한 타격 동작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기(121)는 침구류(200)와의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침구 류 이동로(115)의 굴곡진 경사의 일측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20°∼ 60°각도로 형성되나, 바람직하게는 30°정도가 좋다.
상기 침구류 이송부(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장방향 즉, 상기 침구류 이동로(115)의 일측으로 위치하며 하우징(110)의 양측면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31)과, 상기 회전축(131)에 연동하도록 결합되며 침구류(200)를 압착이송시키는 침구류 이송롤러(132)와, 상기 회전축(131)에 병렬로 설치되어 상기 침구류 이송롤러(132)가 침구류의 두께 만큼 유동되면서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33c)와, 고정판(133a), 이동판(133b), 가이드바(133d), 지지봉(133e), 베어링(133f)을 갖는 쿠션부(133)로 이루어져, 상기 침구류 삽입구(112)로 유입된 침구류(200)를 압착지지하면서 침구류 이동로(115)를 따라 침구류 배출구(113)로 이송되게 한다.
상기 침구류 이송롤러(132)는 원형, 톱니형, 요철형, 별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침구류(200)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압착 이송을 용이하게 이루게 하는 것이라면 어느 형상이라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별형을 예로써 설명한다.
상기 별형으로 형성된 침구류 이송롤러(132)의 뾰족한 부분에는 침구류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다 용이한 접지력을 갖도록 고무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손상방지구(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침구류 이송롤러(132) 중 어느 하나에는 침구류의 압착지지 후, 침구류 이송롤러(132)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pawl)의 작용에 의해 한 쪽 방향으로만 회전을 전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운동을 전하지 않는 바퀴인 래칫(ratchet)(134)이 형성되나, 바람직하게는 제일 상부 측, 즉 침구류 삽입구(112)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침구류 이송롤러(132)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모든 침구류 이송롤러(132)에 역회전 방지를 위한 래칫(134)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래칫(134)은 폴(pawl)의 작용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을 전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운동을 전하지 않는 바퀴로서, 래칫 휠(ratchet wheel)이라고도 한다. 즉, 팔목시계의 태엽을 감을 때 한쪽 방향으로 돌렸을 때만 감기고, 반대 방향으로 돌렸을 때는 감기지 않고 용두(龍頭:태엽꼭지)가 공전(空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그 예이다. 이러한 래칫은 일정한 방향으로는 회전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돌리려고 하면 폴이 이[齒]에 걸려서 돌아가지 않게 되는 것으로서, 폴이 기어의 바깥쪽에 있는 외치(外齒)래칫과, 기어의 이가 안쪽에 붙어 있는 내치래칫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침구류 이송롤러(132)에 형성한 래칫(134)은 내치래칫이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133)는 회전축(131)에 형성되는 베어링(133f)과, 상기 베어링(133f)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력에 의해 유동하는 이동판(133b)에 연결되는 지지봉(133e)과, 상기 이동판(133b)에는 탄성체(133c)를 수용한 가이드바(133d)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133b)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고정판(133a)을 결합하며, 상기 고정판(133a)에는 가이드바 수용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바 수용홈에 상기 가이드바(133d)를 관통 삽입한 후, 가이드바(133d)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S)에 너트(N)를 체결하여 회전축(131)이 이동판(000)과 함께 전,후로 유 동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전축(131)은 복수의 침구류 이송롤러(132)를 수용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장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31)의 양단은 상기 하우징(110)의 장방향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장홈(110b)에 설치되고 상기 쿠션부(133)에 연동하여 전,후로 유동가능하게 되므로 두께가 두껍거나 얇은 침구류(200)도 용이하게 압착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살균부(140)는, 상기 침구류 이송부(130)와의 대향하는 일측에 형성되어 침구류(200)에 존재하는 각종 잡균을 살균하는 오존 또는 자외선 살균기(141)와, 상기 자외선 살균기(1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침구류(200)의 소독건조를 이루도록 하는 원적외선 히터, 발열선, 고온의 스팀, 건조기 등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기(14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120)와 살균부(140)는 체결구 등에 의해 분리와 부착이 가능하게 형성하여 필요시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직물쇼파, 침대매트리스 등과 같은 아주 두껍거나 이동이 불편한 직물류의 청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건조기(142)의 건조 온도는 80-150℃ 사이에서 침구류(200)의 소재와 두께 등에 맞추어 온도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이물질 제거부(120)와 침구류 이송 부(130)와 살균부(14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감속기를 갖는 모터(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미도시)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부(C)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이물질 제거부(120)와 침구류 이송부(130) 및 살균부(140)의 회전축 및 건조기(142)를 구동시키고, 상기 컨트롤부(C)는 회전축의 회전과 건조기(142)의 세기와 온도, 진동기(121)의 타격강도, 침구류(200)의 이동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동부와 컨트롤부(C)는 통상적으로 구동 및 제어를 위해 많이 채용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100)의 덮개(111)를 들어올린 후, 침구류(200)의 일단부가 이물질 제거부(120)의 사이를 거쳐 침구류 이송부(130)의 침구류 이송롤러(132)에 물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침구류 이송부(130)의 회전축(131)과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된 쿠션부(133)는 침구류(200)의 두께만큼 탄성체(133c)를 압축하면서 유동하게 되고, 이동판(133b)은 탄성체(133c)의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침구류(200)의 두께 변화에 따라 유동가능하여 상기 침구류 이송롤러(132)를 전, 후진하도록 연동시켜, 침구류(200)를 일정한 압력으로 지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침구류(200)의 안정된 이동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들어올린 덮개(111)를 닫은 후, 침구류(200)의 삽입 장착이 완료되 면 컨트롤부(C)를 조작하여 구동부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침구류(200)는 먼저, 침구류 이송부(130)의 이송롤러(132)에 의해 압착지지되면서 침구류 이동로(115)로 이동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120)의 진동기(121)가 떨거나 타격 동작하면서 진동기 축에 고정된 타격봉(121a)을 상하로 연속 동작시켜 침구류(200)를 타격하게 되므로 침구류(200)에서 먼지, 진드기, 곰팡이 등과 같은 이물질을 이탈시키게 되며, 롤러 브러시(122)는 회전 동작하면서 진동기(121)에 의해 이탈된 이물질을 털어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진공흡입기(123)가 공기의 흡입동작을 수행하면서 롤러 브러시(122)에 의해 털어내어진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게 된다.
계속하여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진 침구류(200)는 침구류 이동로(115)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살균부(140)의 오존 또는 자외선 살균기(141)가 점등되면서 살균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 살균기(141)의 작동이 시작되고 일정한 시간 개략 5-10초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건조기(142)가 동작하면서 침구류(200)의 건조 작업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침구류 청소장치(100)를 작동시킨 후, 5-10초 후에 침구류 이송부(130)가 동작되도록 하면 침구류(200)의 시작부분을 살균 및 건조시키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침구류(200)를 타격하여 먼지 등을 털어 내는 진동기(121)도 침구류 이송부(130)와 함께 동작된다.
상기와 같이 침구류(200)의 이물질 제거 및 살균 건조작업이 진행되어 침구 류 배출구(113)로 배출되면 모든 작동이 정지되어, 새로운 침구류(200)를 청소,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침구류 청소장치(100)는 사용시 하우징(110)의 배면에 형성된 브래킷(110a)을 이용하여 벽면 등의 설치면에 확실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청소, 살균 및 건조작업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일어선 상태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침구류 청소장치(10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확보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구류 청소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침구류 청소장치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기 및 롤러 브러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이송롤러와 쿠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 및 살균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침구류 청소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침구류 청소장치의 보관시 세우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침구류 청소장치 110 : 하우징
110a : 브래킷 110b : 장홈
111 : 덮개 112 : 침구류 삽입구
113 : 침구류 배출구 114 : 커튼
115 : 침구류 이동로 115a, 115b : 가이드 프레임
120 : 이물질 제거부 121 : 진동기
121a : 타격봉 121b : 탄성체
120a : 상부 가이드 패널 120b : 하부 가이드 패널
122 : 롤러 브러시 130 : 침구류 이송부
131 : 회전축 132 : 침구류 이송롤러
133 : 쿠션부 133a : 고정편
133b : 이동편 133c : 탄성체
133d : 가이드부 133e : 지지봉
133f : 베어링 140 : 살균부
141 : 자외선 살균기 142 : 건조기
200 : 침구류

Claims (6)

  1. 침구류 청소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는 개폐가능하도록 덮개가 형성되고, 측면으로는 침구류의 삽입과 배출을 위한 침구류 삽입구와, 침구류 배출구가 상호 90°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침구류 삽입구와 침구류 배출구의 사이에는 침구류 이동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침구류 이동로의 일측에는 두께가 다른 침구류를 탄성력에 의해 압착지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침구류 이송부와;
    상기 침구류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침구류를 타격 및 털기 동작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침구류 이동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침구류의 건조 및 살균을 이루도록 자외선 살균기와 건조기로 이루어지는 살균부와;
    상기 살균부와 침구류 이송부 및 이물질 제거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구류 이송부는, 침구류의 용이한 압착 이송을 위해 별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침구류 이송롤러와, 상기 침구류 이송롤러가 압착지지하는 침구류의 두께에 상관없이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침구류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에는 침구류의 압착지지 후, 이송롤러의 미끄러짐에 의한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래칫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타격하거나 떨어서 기계적 진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침구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이탈시키도록 20°∼60°의 각도로 설치되는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이탈된 이물질을 쓸어내는 롤러브러시 및 쓸어내어진 이물질을 진공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흡입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와, 살균부는 분리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구류 이동로는 20°∼ 80°의 각도로 굴곡진 경사를 이루어 침구류의 이송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청소장치.
KR1020090018756A 2009-03-05 2009-03-05 침구류 청소장치 KR20100100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756A KR20100100074A (ko) 2009-03-05 2009-03-05 침구류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756A KR20100100074A (ko) 2009-03-05 2009-03-05 침구류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074A true KR20100100074A (ko) 2010-09-15

Family

ID=4300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756A KR20100100074A (ko) 2009-03-05 2009-03-05 침구류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007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779B1 (ko) * 2021-02-15 2021-07-05 홍석중 이동식 침구류 및 의류 클리닝 시스템
WO2021242009A1 (ko) * 2020-05-27 2021-12-02 서진원 매트리스 자동 살균 장치
CN113925321A (zh) * 2021-10-18 2022-01-14 何芳 一种婴儿床
CN116159156A (zh) * 2022-12-01 2023-05-26 北京美迪孚医疗科技有限公司 家用呼吸机消毒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2009A1 (ko) * 2020-05-27 2021-12-02 서진원 매트리스 자동 살균 장치
KR102272779B1 (ko) * 2021-02-15 2021-07-05 홍석중 이동식 침구류 및 의류 클리닝 시스템
CN113925321A (zh) * 2021-10-18 2022-01-14 何芳 一种婴儿床
CN116159156A (zh) * 2022-12-01 2023-05-26 北京美迪孚医疗科技有限公司 家用呼吸机消毒柜
CN116159156B (zh) * 2022-12-01 2023-10-17 北京美迪孚医疗科技有限公司 家用呼吸机消毒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866B1 (en) Arm scrubbing system
CN101247750A (zh) 手持机械式软表面修复(ssr)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557542B (zh) 一种宠物洗脚装置和宠物脚部清洗方法
WO2008018060A2 (en) Support surface for a sleeping person
CN211571148U (zh) 一种纺织面料清洗装置
KR20080063727A (ko)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 흡입헤드
KR101710184B1 (ko) 먼지털이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옷장
WO1983002549A1 (en) Automatic brush cleaner
KR20100100074A (ko) 침구류 청소장치
KR20130007326U (ko) 접이식 자외선 살균기
CN102697424A (zh) 马桶坐圈自动清洁装置
KR20130119097A (ko) 이불 세정기
KR100878064B1 (ko) 침구와 의류용 살균 및 건조장치
CN210124215U (zh) 宠物毛发清理机
CN210382373U (zh) 一种被褥除螨仪
KR20170050974A (ko) 섬유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9792963A (zh) 宠物毛发清理机
CN210275646U (zh) 一种被褥护理仪
CN210612554U (zh) 一种被褥护理仪的行走机构
KR100994427B1 (ko) 걸레장착구 및 이를 이용한 대걸레
KR101528370B1 (ko)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흡입헤드
CN210382374U (zh) 被褥除螨仪
CN207476653U (zh) 一种具有自动清理鸡粪功能的鸡舍
CN112353317A (zh) 一种新型自带消毒功能的拖把
CN210961773U (zh) 一种被褥拍打护理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