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348A -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348A
KR20100098348A KR1020100018445A KR20100018445A KR20100098348A KR 20100098348 A KR20100098348 A KR 20100098348A KR 1020100018445 A KR1020100018445 A KR 1020100018445A KR 20100018445 A KR20100018445 A KR 20100018445A KR 20100098348 A KR20100098348 A KR 2010009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folded
hexahedron
electronic tag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수
Original Assignee
(주)삼화당피앤티
이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당피앤티, 이봉수 filed Critical (주)삼화당피앤티
Publication of KR2010009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14Partitions integra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hinged to the side edges of a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16Partitions integra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or lower edges of a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22Partitions integral formed by two parallel panels located in the base of a tray being folded up towards each oth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이는 하나의 시트를 접철하여 만들어지는 포장상자로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메인공간부 및 보조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공간부에는 내용물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공간부에 전자태그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공간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이 상기 포장상자의 표면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포장상자 내에 담겨지는 내용물이 은박이나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거나 날카로운 에지부를 가지는 경우에도 포장상자 안쪽면에 구비되는 전자태그에 대한 전자기적 및 물리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태그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A Packaging Box Having an Electric Ta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태그가 안쪽면에 구비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포장상자 내에 담겨지는 내용물이 은박이나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거나 날카로운 에지부를 가지는 경우에도 포장상자 안쪽면에 구비되는 전자태그에 대한 전자기적 및 물리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태그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알약(정제)이나 캡슐제와 같은 의약품은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막고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낱개로 분리가능하도록 포켓타입의 포장구조물로 일차 포장된 후, 포장상자 내에 담겨져 최종 포장되어진다.
근래의 RFID(raid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EPC(Electronic Product Code) 태그 및 EAS(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태그와 같은 비접촉식 무선 신호를 이용한 전자태그기술을 통해 물품의 재고관리, 보안, 복제방지, 유통경로 추적을 가능하게 하려는 기술들이 제안됨에 따라, 예컨대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포장상자의 내부면에 전자태그를 부착하여 이러한 기술을 응용하고 있다.
그런데, 정제나 캡슐제를 일차 포장하고 있는 포켓타입의 포장구조물은 수지지지체 상에 은박이나 알루니늄박과 같은 금속박이 씌워져 있는데, 이러한 금속박이 포장상자 내에 구비된 전자태그에 작용하는 전자기파를 반사하는 등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그 수신효과가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전자태그는 이들 포장구조물의 에지부와 대응하는 쪽에 설치되는 것이 전자기파 간섭 효과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지만, 내용물을 일차 포장하기 위해 사용된 금속박의 효과를 완전히 제거시키기 어렵다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더구나 포켓타입의 포장구조물은 대체로 얇은 판의 형태이기 때문에 그 에지부가 상대적으로 딱딱하면서 날카롭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내용물의 충전시나 운반시에, 이 에지부가 포장상자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자태그의 안테나나 다른 구성부품과 접촉하게 되면 대개는 전도성 잉크를 인쇄하여 구성하는 전자태그의 전기적 구조에 물리적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전자태그를 구비하는 포장상자에 있어서, 전자태그에 대한 전자기적 간섭이나 및 물리적인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전자태그를 설치가 용이하고 단순한 공정에 의하여 저렴하게 제작가능한 포장상자에 대한 절실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의 구조를 개선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포장상자 내에 담겨지는 내용물이 은박이나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포장상자 안쪽면에 구비되는 전자태그에 대한 전자기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태그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장상자 내에 전자태그만을 위한 별도의 피난공간 또는 전용공간을 마련하여 전자태그에 대한 불필요한 물리적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전자태그의 부착 위치가 보장되도록 하며 또한 내용물과 전자태그 상호간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상자 내를 개봉한 상태에서도 전자태그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어 포장상자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태그의 동작이 포장상자의 개봉 후에도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게 한 새로운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한 장의 시트를 접는 과정에 의해서 내용물이 구비되는 공간과 전자태그가 구비되는 공간 모두를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포장상자의 제조공정이 간단하게 될 수 있고 전자태그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비용절감 효과가 큰 새로운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는, 내용물이 구비될 수 있는 메인공간부 및 이 메인공간부와는 분리벽에 의하여 분리된 보조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공간부에 전자태그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공간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이 상기 포장상자의 표면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는 하나의 시트를 접철하여 만들어지는 다면체 형태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시트는 상기 포장상자의 외부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시트부와 상기 보조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보조시트부가 연속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의 표면 일부인 상기 보조공간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은 평면의 형태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는 상기 보조공간부의 일 측면 상에 전도성 잉크에 의해 안테나 패턴을 인쇄한 후, 그 중앙에 스트랩을 별도로 부착하여 안테나 패턴과 스트랩이 통전상태가 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부는 접철하면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육면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부날개를 갖는 상면부; 상기 전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 상기 전면부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부; 상기 제2 측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 상에 적층가능하도록 접혀지는 플랩부;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저면을 형성하며, 하부날개를 갖는 하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시트부는, 상기 베이스시트부의 후면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부와 대면하는 제1 보조면; 상기 제1 보조면의 일측단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의 길이보다 일정한 간격만큼 짧게 상기 후면부와 대면하는 제2 보조면; 상기 제2 보조면의 일측단으로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제1 보조면과 대면하는 제3 보조면; 및 상기 제3 보조면의 일측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로 구성하여 상기 제3 보조면과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의 공간이 보조공간부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부는 접철하면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육면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부날개를 갖는 상면부;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저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저면부; 상기 전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는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1 측면부; 상기 전면부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되며, 상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는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2 측면부; 상기 제2 측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와 대응되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저면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 저면부; 상기 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의 표면 상에 적층가능하도록 접혀지는 제1 플랩부; 상기 제1 플랩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랩부와 중첩되는 제2 플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시트부는, 상기 상면부의 상부날개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와 대면되는 제1 보조면; 상기 제1보조면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상부날개와 대면되는 제2 보조면; 상기 제2 보조면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로 구성하여 상기 상면부의 상부날개와 상기 제1, 2 보조면 및 상기 접착부의 내부에 보조공간부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부는 접철하면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육면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부날개를 갖는 상면부;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하면을 형성하는 저면부; 상기 전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1 측면부; 상기 전면부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2 측면부; 상기 제2 측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후면을 형성하며, 하측과 일측단에 각각 날개를 갖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상기 상면부의 표면 상에 적층가능하도록 접혀지는 플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시트부는, 상기 후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부날개의 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와 대면되는 제1 보조면; 상기 제1 보조면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날개와 대면되는 제2 보조면; 상기 제2 보조면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로 구성하여, 상기 측부날개, 상기 제1, 2 보조면 및 상기 접착부의 내부로 보조공간부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부는 접철하면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육면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부날개를 갖는 상면부;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하면을 형성하는 저면부; 상기 전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1 측면부; 상기 전면부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2 측면부; 상기 제2 측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후면을 형성하며, 하측과 일측단에 각각 날개를 갖는 후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시트부는, 상기 후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부날개의 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와 대면되는 제1 보조면; 상기 제1 보조면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날개와 대면되는 제2 보조면; 상기 제2 보조면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로 구성하여, 상기 측부날개, 상기 제1, 2 보조면 및 상기 접착부의 내부로 보조공간부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는, 예컨대 포장상자 내에 담겨지는 내용물이 은박이나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포장상자 안쪽면에 구비되는 전자태그에 대한 전자기적 간섭 및/또는 전자태그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태그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장상자 내에 전자태그만을 위한 별도의 피난공간 또는 전용공간을 마련하여 전자태그에 대한 불필요한 물리적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전자태그의 부착 위치가 보장되도록 하며 또한 내용물과 전자태그 상호간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상자 내를 개봉한 상태에서도 전자태그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어 포장상자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태그의 동작이 포장상자의 개봉 후에도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한 장의 시트를 접는 과정에 의해서 내용물이 구비되는 공간과 전자태그가 구비되는 공간 모두를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포장상자의 제조공정이 간단하게 될 수 있고 전자태그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보조시트부를 접철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베이스시트부를 접철한 상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에 시트에 전자태그를 설치한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보조시트부를 접철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베이스시트부를 접철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보조시트부를 접철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베이스시트부를 접철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보조시트부를 접철한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베이스시트부를 접철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포장상자(100)는, 예컨대 포켓형 포장구조물(500)과 같이 은박이나 알루미늄박과 같은 금속박에 의하여 일차 포장된 내용물이 구비될 수 있는 메인공간부 및 이 메인공간부와는 분리벽에 의하여 분리된 보조공간부(C1)를 구비하는 용기이다. 특히 보조공간부(C1)의 내벽 표면에 전자태그(1)가 인쇄되거나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에 있어서, 전자태그(1)는 포장상자의 외부에서 리더기(미도시)와 같은 판독장치에 의하여 무선 신호에 의하여 접근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면 충분하지만, 내용물이 전자기파를 간섭하거나 차폐하는 금속박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경우에도 외부의 판독장치가 내용물의 위치와 상관없이 전자태그에 접근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보조공간부는 포장상자의 표면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보조공간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이 포장상자의 표면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는 직육면체 형태의 상자의 경우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내용물을 담는 공간과 별도의 전자태그를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즉 예컨대 다면체 형태, 다각기둥 형태, 원기둥, 원뿔이나 다각뿔, 또는 다각추 형상도 가능하며, 또한 불규칙한 형태도 역시 가능하고 주머니와 같은 형태의 것 역시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포장상자의 외부면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 즉 보조공간부의 일 측면은 평면의 형태일 수 있다. 이것은 전자태그(1)의 설치가 평면상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는 전자태그의 안테나가 평면상에 설치된 경우에만 판독율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포장상자는 하나의 시트를 접철하여 만들어지는 다면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순한 접철 공정만으로 포장상자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공정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포장상자의 재료 즉 시트의 재료는 전형적으로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종이나 판지이지만, 경질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옷감, 부직포, 목재 등의 재료도 역시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제작하기 위한 시트에는, 은박이나 알루미늄박과 같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금속층이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태그(1)는 시트가 전개된 상태에서 시트 중 특정 부위에 설치되고, 이후 시트가 접철됨으로써 전자태그가 구비된 포장상자가 완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시트가 전개된 상태에서, 이후 시트가 접철되었을 경우 보조공간부로 되어질 부분의 일 측면 상에 즉 포장상자의 외면부를 이루는 면의 내벽 상에, 전도성 잉크에 의해 안테나 패턴(1a)을 인쇄한 후, 그 중앙에 스트랩(1b)을 별도로 부착함으로써, 안테나 패턴(1a)과 스트랩(1b)이 통전상태가 되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랩(1b)은 베이스층 상에 칩이 부착되고 이 칩 양쪽에 전도성 잉크로 도선을 인쇄한 것으로서, 전자태그의 구성 중 안테나 부분만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부품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부품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포장상자의 외부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시트부(110)와 보조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보조시트부(120)가 연속되어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베이스시트부(110)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6개의 외부면을 이루는 6개 면을 포함하며, 접철되는 직육면체의 내부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내부 공간은 내용물이 구비될 수 있는 메인공간부 및 이 메인공간부와는 분리벽에 의하여 분리된 보조공간부로 이루어진다. 베이스시트부(110)는 사실상 보조공간부(C1)가 없는 통상적이고 기본적인 직육면체의 상자를 만들 수 있는 시트 부분이다.
베이스시트부(110)는 기본적으로 육면체의 6개의 면을 이루는 6개의 면부, 각각의 면부에 부가되는 날개부(접혀 들어가거나 또는 접착되는 부분), 및/또는 플랩부(진열시 고리 등에 매달릴 수 있게 하는 부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시트부(110)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내부 공간 내에서, 보조시트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공간부(C1)의 크기는, 보조공간부(C1)의 존재 목적이 전자태그를 구비하려는 것이므로, 구비되는 전자태그의 크기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태그가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이 고주파대역으로 될수록 통신거리가 늘어나는 장점이 있으나 필요한 안테나의 크기도 역시 비례하여 커져야 하므로, 포장상자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한 주파수 대역과 안테나 길이를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보조공간부의 크기는, 전자태그에 있어 스트랩(1b)이 매우 소형이므로 안테나 패턴(1a)의 형성에 필요한 최소한의 면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RFID 태그를 설치할 때 안테나 패턴(1a)을 위한 최소 면적은 약 10 mm × 3 mm 정도이다. 한편 보조공간부의 폭은 전자태그의 두께에 따라 정해질 수 있지만, 실제로 전자태그의 두께는 매우 얇은데 비하여, 접철되는 시트의 두께가 이 전자태그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보조공간부의 폭은 전자태그의 두께보다는 시트를 접을 때 용이하게 되는 치수, 예컨대 5 ~ 7 mm 정도의 최소 폭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참조하면, 육면체 형태의 포장상자(100)를 위한 하나의 시트가 제공된다. 이 시트는 서로 연속되어 있는 베이스시트부(110) 및 보조시트부(120)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시트부(110)는 접철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폭의 상하측면과 상대적으로 넓은 전후면을 가지는 형태의 육면체 상자를 이루며, 내부에도 대응하는 육면체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도시된 예의 포장상자(100)를 위한 시트는 상하측면을 이루는 길고 좁은 형태의 상면부(112), 제1 측면부(113), 제2 측면부(115), 및 하면부(117)와, 상대적으로 넓은 전면부(111)와 후면부(114)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시트부(110)의 전면부(111)는 포장상자(110)의 가장 넓은 면을 정하는 면부이다. 상면부(112)는 전면부(111)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또는 뚜껑)을 형성하며, 접혀 들어가는 부분인 상부날개(112a)를 갖는 길고 좁은 면부이다. 제1측면부(113)는 전면부(111)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고, 상하에 접착되는 날개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대면'이란, 전개된 상태의 시트에서 동일한 쪽의 면이었던 면들끼리 서로 마주보는 상황을 지칭한다. 제2측면부(115)는 제1측면부(113)와 대면하는 면으로서 역시 제1 측면부(113)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전면부(111)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하고, 상하에 접착되는 날개부가 구비된다. 하면부(117)는 상면부(112)에 대면하는 면으로서 상면부(112)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후면부(114)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저면을 형성하며, 접혀 들어가는 하부날개(117a)를 갖는다. 플랩부(116)는 제2 측면부(115)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후면부(114) 상에 적층가능하도록 접혀진다.
이 베이스시트부(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자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품의 포켓 구조물일 수 있는 내용물(500)은 길고 좁은 형태의 상하면부(112, 117) 측으로 출입하므로, 상하측면부(112, 113, 115, 117)가 내용물의 에지가 향하는 측이 된다. 그러므로 보조공간부(C1)는 이 상하측면부(112, 113, 115, 117) 중 어느 한 면에 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보조시트부(120)는 보조공간부(C1)를 직접적으로 한정하는 형태가 아니라, 오히려 내용물(500)의 일면을 감싸는 형태이다. 따라서 베이스시트부(110)에 의해서 정해진 내부 공간 내에서, 보조시트부(120)가 내용물(500)을 감싸고 남은 공간이 보조공간부(C1)로 정해지게 한다. 이 경우는 내용물(500)의 일면이 은박이나 알루니늄박과 같은 금속박으로 완전히 코팅되어 있을 때에 유용한데, 이는 보조시트부(120)가 내용물(500)의 금속박 부분을 한번 차폐하게 되므로, 전자태그(1)를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500) 표면에 있는 금속박에 의한 전자기파의 간섭 현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보조시트부(120)는 베이스시트(110)의 6개 면부 중 하나에서 연장하여 한번 이상 접철되는 하나 이상의 면부를 구비할 수 있고, 마지막 자유단에는 베이스시트부(110)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조시트부(120)는 베이스시트부(110)의 후면부(114)의 일측단으로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는 3개의 접철되는 보조면(121, 122, 123)과 마지막 접착부(12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4개의 면을 가진 보조시트부(120)는 4각의 단면을 가진 보조공간부(C1)를 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보조면(121, 122, 123) 중에서 하나는 반드시 보조공간부(C1)를 내용물이 구비되는 메인공간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벽의 역할을 하게 된다. 분리벽의 역할을 하는 보조면은 하나면 충분하며, 보조공간부(C1)의 단면 형태가 반드시 4각형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시트부(120)의 보조면이 3개이지만, 이에만 한정할 필요는 없고, 보조면의 갯수는 하나 이상이면 충분하다.
도시된 실시예를 계속 참조하면, 보조시트부(120)의 제1보조면(121)은 베이스시트부(110)의 후면부(114)의 일측단으로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고 제1 측면부(113)와 대면하지만, 제1 측면부(113)의 폭보다는 시트 두께의 두배만큼 좁고 그 길이보다는 더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가진다. 제2 보조면(122)은 제1 보조면(121)의 일측단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전면부(111)의 길이보다 일정한 간격만큼 짧은 크기를 가진다. 제3보조면(123)은 제2 보조면(122)의 일측단으로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제1보조면(121)과 대면한다. 그리고 접착부(124)는 제3 보조면(123)의 일측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후면부(114)의 내면에 접착된다. 이에 따라 보조시트부(120)는 베이스시트(110)의 후면부(114)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측은 접착부(124)에 의하여 후면부(114)의 내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된다. 이 실시예에서, 보조공간부(C1)는 4각의 단면을 가지는 긴 튜브 형태로서, 그 하나의 면은 보조시트부의 제3보조면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3개의 면은 베이스시트부의 3개의 면부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보조시트부(120)의 제3보조면(123)은 보조공간부(C1)를 메인공간부와 격리시키는 분리벽의 역할을 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육면체 형태의 포장상자(200)를 위한 하나의 시트가 제공된다. 이 시트는 서로 연속되어 있는 베이스시트부(210) 및 보조시트부(220)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시트부(210)는 접철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넓은 상하측면과 마찬가지로 넓은 전후면을 가지는 형태의 육면체 상자를 이루며, 내부에도 대응하는 육면체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도시된 예의 포장상자(200)를 위한 시트는 상하측전후면을 이루는 전면부(211), 상면부(212), 제1 측면부(214), 제2 측면부(215), 후면부(216)를 구비하며, 저면은 4개의 서로 맞물려 포개지는 제1 저면부(213), 제2 저면부(217), 제1 측면부의 하부날개(214b) 및 제2 측면부의 하부날개(215b)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시트부(210)는 접철하면 육면체 형상을 형성한다. 전면부(211)는 육면체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는 면부이다. 상면부(212)는 전면부(211)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 또는 뚜껑을 형성하며, 접혀 들어가는 부분인 상부날개(212a)를 갖는다. 제1 저면부(213)는 전면부(211)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저면 일부를 형성한다. 제1 측면부(214)는 전면부(211)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는 상부날개(214a)와 하부날개(214b)를 갖는다. 제1 측면부(214)의 상부날개(214a)는 상면에 접혀 들어가며 하부날개(214b)는 저면에 접혀 들어간다. 제2 측면부(215)는 전면부(211)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되며, 상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는 상부날개(215a) 및 하부날개(215b)를 갖는다. 제2 측면부(215)의 상부날개(215a)는 상면에 접혀 들어가며 하부날개(215b)는 저면에 접혀 들어간다. 후면부(216)는 제2 측면부(215)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전면부(211)와 대응된다. 제2 저면부(217)는 후면부(216)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저면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플랩부(218, 219)는 2개의 면 즉 제1 플랩부(218)와 제2 플랩부(219)가 겹쳐져서 하나의 면으로 되며 내구성이 증가된 형태이다. 제1 플랩부(218)는 후면부(216)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면부(212)의 표면 상에 적층가능하도록 접혀지며, 제2 플랩부(219)는 제1 플랩부(218)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제1플랩부(218)와 중첩되며, 제2 플랩부(219)의 자유단부에는, 제1플랩부(218)와 제2 플랩부(219)의 단부를 서로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부가 부가될 수 있다.
이 베이스시트부(2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자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면 모두 전자태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자태그는 6면 중 어느 면에 포함되어도 상관없지만, 각각의 면 전체에 걸쳐 보조공간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너무 큰 보조공간부가 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모서리 부분의 일부에만 보조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형성되는 보조공간부(C2)는 베이스시트부(210)의 2개 이상의 면이 이루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보조시트부(220)는 베이스시트부(210)의 일부와 함께 4각형 단면을 가지는 보조공간부(C2)를 직접적으로 한정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베이스시트부(210)에 의해서 정해진 내부 공간 내에서, 베이스시트부(210) 중 접혀들어가는 날개부와 함께 보조시트부(220)가 보조공간부(C2)의 형태를 정한다. 이 경우에 보조공간부(C2)는 전자태그(1)가 내용물과 물리적으로 가장 덜 간섭받는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므로 가장 공간절약적인 형태로 전자태그(1)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보조시트부(220)는 베이스시트(210)의 6개 면부 중 하나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혀 들어가는 날개부에서부터 연장하여 한번 이상 접철되는 하나 이상의 면부를 구비할 수 있고, 마지막 자유단에는 베이스시트부(210)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조시트부(220)는 베이스시트부(210)의 상면부(212)의 자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혀 들어가는 상부날개(212a)의 단부로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는 2개의 접철되는 보조면(221, 222)과 마지막 접착부(22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시트부(220)의 보조면의 갯수는 보조면 대신 베이스시트부(210)의 일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서보다 적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시트부(220)는, 상면부(212)의 상부날개(212a)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면부(212)와 대면되는 제1 보조면(221)과; 제1보조면(221)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부날개(212a)와 대면되는 제2 보조면(222); 제2 보조면(222)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면부(212)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223)로 구성하여, 상면부의 상부날개(212a)와 제1, 2 보조면(221, 222) 및 접착부(223)의 내부에 보조공간부(C2)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시트부(220)는 베이스시트(210)의 상면부(212)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측은 접착부(223)에 의하여 상면부(212)의 내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되어 상자의 뚜껑인 상면부(212)의 일부에 보조공간부(C2)가 형성되며, 보조시트부(220)의 제2보조면(222)은 보조공간부(C2)를 격리시키는 분리벽의 역할을 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100)의 경우 보조시트부가 베이스시트부의 하나의 면부에서부터 연장하는 반면에, 위의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200)의 경우에 보조시트부는 베이스시트부의 면부가 아니라 접혀 들어가는 날개부에서부터 연장되었다. 한편 아래의 제3 및 제4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300, 400)에서 보조시트부는 베이스시트부의 면부나 접혀 들어가는 날개부가 아니라 면부에 접착되는 접착부(316b, 418)에서부터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는 플랩부(316a)가 있는가 없는가의 차이만 있는 유사한 형태의 포장상자(300, 400)이다. 제3실시예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며, 제4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시트부(310, 410)는 접철하면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육면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311, 411); 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부날개(312a, 412a)를 갖는 상면부(312, 412); 전면부(311, 411)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하면을 형성하는 저면부(313, 413); 전면부(311, 411)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상,하부 날개(314a, 314b; 414a, 414b)를 갖는 제1 측면부(314, 414); 전면부(311, 411)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상,하부 날개(315a, 315b; 415a, 415b)를 갖는 제2 측면부(315, 415); 제2 측면부(315, 415)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후면을 형성하며, 하측과 일측단에 각각 날개(317, 316b; 417, 418)를 갖는 후면부(316, 416)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포장상자(300)의 경우,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400)에서와 달리 후면부(316)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상면부(312)의 표면 상에 적층가능하도록 접혀지는 플랩부(316a)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시트부(320, 420)는, 베이스시트부(310, 410)의 측부날개(316b, 418)와 함께 4각의 단면을 가지는 튜브를 이루는 2개의 접철가능한 보조면과 하나의 접착부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시트부(320, 420)는 후면부(316, 416)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접착부인 측부날개(316b, 418)의 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후면부와 대면되는 제1 보조면(321, 421); 제1 보조면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측부날개(316b, 418)와 대면되는 제2 보조면(322, 422); 그리고 제2 보조면으로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후면부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323, 423)로 구성하여, 측부날개(316b, 418), 제1, 2 보조면(321, 322; 421, 422) 및 접착부(323, 423)의 내부로, 4각의 단면을 가지는 보조공간부(C3, C4)가 형성되어 전자태그(1)를 설치 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는, 의약품, 식품, 담배나 권련, 초콜릿 등과 같은 물품뿐만 아니라 금속재질의 전자 부품과 같은 물품의 포장상자에 전자태그를 구비하는 분야 등에서 널리 이용가능하다.

Claims (13)

  1. 포장상자로서, 내용물이 구비될 수 있는 메인공간부 및 이 메인공간부와는 분리벽에 의하여 분리된 보조공간부(C1, C2, C3, C4)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공간부에 전자태그(1)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공간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이 상기 포장상자의 표면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는 하나의 시트를 접철하여 만들어지는 다면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시트는 상기 포장상자의 외부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시트부(110, 210, 310, 410)와 상기 보조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보조시트부(120, 220, 320, 420)가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의 표면 일부인 상기 보조공간부의 적어도 일부 표면은 평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1)를 구비한 포장상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1)는 상기 보조공간부의 일 측면 상에 전도성 잉크에 의해 안테나 패턴(1a)을 인쇄한 후, 그 중앙에 스트랩(1b)을 별도로 부착하여 안테나 패턴과 스트랩이 통전상태가 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부(110)는 접철하면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육면체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는 전면부(111);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부날개를 갖는 상면부(112); 상기 전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부(113); 상기 제1 측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114); 상기 전면부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부(115); 상기 제2 측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 상에 적층가능하도록 접혀지는 플랩부(116);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저면을 형성하며, 하부날개를 갖는 하면부(1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부(120)는, 상기 베이스시트부(110)의 후면부(114)의 일측단으로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부(113)와 대면하는 제1 보조면(121); 상기 제1 보조면의 일측단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의 길이보다 일정한 간격만큼 짧게 상기 후면부(114)와 대면하는 제2 보조면(122); 상기 제2 보조면의 일측단으로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제1 보조면(121)와 대면되는 제3 보조면(123); 및 상기 제3 보조면의 일측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114)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124)로 구성하여 상기 제3 보조면(123)과 상기 제2 측면부(115) 사이의 공간이 보조공간부(C1)로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부(210)는 접철하면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육면체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는 전면부(211);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부날개를 갖는 상면부(212);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저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저면부(213); 상기 전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는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1 측면부(214); 상기 전면부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되며, 상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는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2 측면부(215); 상기 제2 측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와 대응되는 후면부(216);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저면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 저면부(217); 상기 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의 표면 상에 적층가능하도록 접혀지는 제1 플랩부(218); 상기 제1 플랩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랩부와 중첩되는 제2 플랩부(21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부(220)는, 상기 상면부(212)의 상부날개(212a)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와 대면되는 제1 보조면(221); 상기 제1보조면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상부날개(212)와 대면되는 제2 보조면(222); 상기 제2 보조면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212)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223)로 구성하여 상기 상면부의 상부날개(212a)와 상기 제1, 2 보조면(221, 222) 및 상기 접착부(223)의 내부에 보조공간부(C2)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부(310)는 접철하면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육면체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는 전면부(311);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부날개를 갖는 상면부(312);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하면을 형성하는 저면부(313); 상기 전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1 측면부(314); 상기 전면부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2 측면부(315); 상기 제2 측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후면을 형성하며, 하측과 일측단에 각각 날개를 갖는 후면부(316); 상기 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상기 상면부의 표면 상에 적층가능하도록 접혀지는 플랩부(316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부(320)는, 상기 후면부(316)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접착되는 측부날개(316b)의 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와 대면되는 제1 보조면(321); 상기 제1 보조면으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측부날개(316b)와 대면되는 제2 보조면(322); 상기 제2 보조면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323)로 구성하여, 상기 측부날개(316b), 상기 제1, 2 보조면(321, 322) 및 상기 접착부(323)의 내부로 보조공간부(C3)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부(410)는 접철하면 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육면체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는 전면부(411);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부날개를 갖는 상면부(412);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하면을 형성하는 저면부(413); 상기 전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1 측면부(414); 상기 전면부의 타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타측면을 형성하며, 상하단에 상,하부 날개를 갖는 제2 측면부(415); 상기 제2 측면부의 일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어 육면체의 후면을 형성하며, 하측과 일측단에 각각 날개를 갖는 후면부(4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부(420)는, 상기 후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부날개(418)의 측단에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와 대면되는 제1 보조면(421); 상기 제1 보조면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날개와 대면되는 제2 보조면(422); 상기 제2 보조면로 부터 접철되게 연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423)로 구성하여, 상기 측부날개(418), 상기 제1, 2 보조면(421, 422) 및 상기 접착부(423)의 내부로 보조공간부(C4)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KR1020100018445A 2009-02-27 2010-03-02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KR20100098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7241 2009-02-27
KR1020090017241 2009-02-27
KR1020090090966 2009-09-25
KR1020090090966A KR20100098272A (ko) 2009-02-27 2009-09-25 전자태그를 갖는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348A true KR20100098348A (ko) 2010-09-06

Family

ID=430052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966A KR20100098272A (ko) 2009-02-27 2009-09-25 전자태그를 갖는 포장상자
KR1020100018445A KR20100098348A (ko) 2009-02-27 2010-03-02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966A KR20100098272A (ko) 2009-02-27 2009-09-25 전자태그를 갖는 포장상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308986A1 (ko)
KR (2) KR201000982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8021A1 (ko) * 2011-04-07 2012-10-1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포장용 박스
KR101254416B1 (ko) * 2011-02-18 2013-04-15 유하정판 주식회사 전자태그가 구비된 포장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66125A (en) * 2011-09-14 2018-05-24 Microconnections Sas Rfid antenna
AT512406B1 (de) * 2012-01-25 2013-08-15 Ait Austrian Inst Technology Medikamentenpackung
US9797680B2 (en) 2013-12-13 2017-10-24 Rph Engineering Llc Secure storage systems and methods
KR102358360B1 (ko) * 2014-07-31 2022-02-04 지.디 쏘씨에타'퍼 아지오니 흡연 물품용 강성 박스 및 관련 제작 방법
US9968129B2 (en) * 2015-07-31 2018-05-15 R.J. Reynolds Tobacco Company Product and package including power producer and output mechanism, and related method
US20170355495A1 (en) 2016-06-08 2017-12-14 N2 Packaging Systems, Llc Child resistant and senior friendly can lid
WO2018019950A1 (en) * 2016-07-27 2018-02-01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tainer with radio frequency element
SE540481C2 (en) * 2017-02-16 2018-09-25 Stora Enso Oyj Cigarette pack comprising an rfid/nfc tag
SE542987C2 (en) * 2017-03-14 2020-09-22 Stora Enso Oyj Beverage capsule package comprising an rfid / nfc tag
US11132153B2 (en) * 2017-04-26 2021-09-28 Sato Holdings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method and packing box
US11958666B2 (en) 2017-06-07 2024-04-16 N2 Packaging Systems, Llc Child resistant double seam container lid
US11834237B2 (en) 2017-06-07 2023-12-05 N2 Packaging Systems, Llc Child resistant double seam container lid adapter ring
CN107600618A (zh) * 2017-09-18 2018-01-19 东莞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温度监控功能的冰淇淋运输箱
CN107554911A (zh) * 2017-09-18 2018-01-09 东莞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rfid标签功能的酸奶运输瓦楞纸箱
SE541540C2 (en) * 2017-12-21 2019-10-29 Stora Enso Oyj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lar piece comprising an RFID tag
WO2019147299A2 (en) * 2018-01-29 2019-08-01 N2 Packaging Systems, Llc Re-sealable container for a controlled substance having a child resistant lid
US10737827B2 (en) * 2018-11-07 2020-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cking device enclosure
EP4220482A1 (en) * 2019-11-16 2023-08-02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Rfid and packaging substrate systems and methods
EP4033407B1 (en) * 2021-01-26 2023-11-01 Société BIC Papercraft digitization
IT202100029117A1 (it) * 2021-11-17 2023-05-17 Giuliani Fulvio Vincenzo Scatola per medicinali e/o contenuti assimilabili con tasca/scomparto per dépliant estraibile e metodo per l’assemblaggio/costruzion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4687A (en) * 1919-05-19 1920-03-23 Wyle T Wilson Folded cardboard receptacle
US2643811A (en) * 1949-04-14 1953-06-30 Bradley & Gilbert Company Display carton
US4413730A (en) * 1982-04-14 1983-11-08 Morse Henry C Carton-slide chart
US5871100A (en) * 1995-12-22 1999-02-16 Rayovac Corporation Security battery package
US6112978A (en) * 1999-04-12 2000-09-05 Nintendo Of America Inc. Integral insert packaging
US20040008123A1 (en) * 2002-07-15 2004-01-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medical devices
US6667092B1 (en) * 2002-09-26 2003-12-2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RFID enabled corrugated structures
CA2528797A1 (en) * 2005-12-01 2007-06-01 Intelligent Devices Inc. Rfid transponder structure optimized for in-line label constru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16B1 (ko) * 2011-02-18 2013-04-15 유하정판 주식회사 전자태그가 구비된 포장상자
WO2012138021A1 (ko) * 2011-04-07 2012-10-1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포장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08986A1 (en) 2011-12-22
KR20100098272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8348A (ko)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WO2010098643A2 (ko)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US20140263655A1 (en) RFID Inlay Incorporating a Ground Plane
JP2006151402A (ja) 無線タグを備えた段ボール箱
US200602088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ckages with RFID tags
BR112021009460A2 (pt) método, sistema e aparelho para formação e colocação de rótulo de rfid
CN211568539U (zh) 一种高强度包装纸箱
KR101254409B1 (ko) 전자태그를 구비한 포장상자
US20120211385A1 (en) Medical product package
KR102429081B1 (ko)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비자 물품의 변형된 용기
JP7252595B2 (ja) 包装箱構造
CN106275814B (zh) 一种附着rfid电子标签的香烟包装体
KR101254416B1 (ko) 전자태그가 구비된 포장상자
KR200477384Y1 (ko) 포장 상자
JP2006290376A (ja) 景品収納部付き包装箱
CN204957280U (zh) 一种附着rfid电子标签的香烟包装体
CN214452670U (zh) 一种可以缓冲、抬升产品并方便其取出的包装盒
US20220127065A1 (en) Smoking Articles Box
JP2019521923A (ja) 識別可能な厚さの要素を備える消費者物品の改善された容器
US20140346181A1 (en) Partial reinforcement packing structure
CN208181607U (zh) 化妆品瓶包装盒
JP7132809B2 (ja) 包装容器を成形するための展開体
CN207275213U (zh) 一种新型包装盒
CN202022348U (zh) 纸质循环包装箱
JP2007045442A (ja) Icタグ保持用包装材およびicタグ保持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204

Effective date: 2013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