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081B1 -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비자 물품의 변형된 용기 - Google Patents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비자 물품의 변형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081B1
KR102429081B1 KR1020197001725A KR20197001725A KR102429081B1 KR 102429081 B1 KR102429081 B1 KR 102429081B1 KR 1020197001725 A KR1020197001725 A KR 1020197001725A KR 20197001725 A KR20197001725 A KR 20197001725A KR 102429081 B1 KR102429081 B1 KR 102429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container
blank
compensating means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240A (ko
Inventor
티모시 카요
데이비드 피톤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3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4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소비자 물품용 용기는 블랭크 두께(T1)를 갖는 박층 블랭크(100, 300)로부터 형성된 것이며 약 50㎛ 내지 약 500㎛의 두께(T2)를 갖는 3차원 요소(104, 304)를 포함하고 있다. 요소(104, 304)는 용기의 제1 벽면의 내부 표면(108)의 첨부 구역(106) 상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하여 용기에 첨부되어 있다. 용기는 첨부 구역 이외의 용기의 내부 표면의 영역 상에 전체적으로 제공된 두께 보상 수단(112, 312)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비자 물품의 변형된 용기
본 발명은 용기의 표면에 첨부된 식별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부가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박층 블랭크를 접음으로써 형성된 소비자 물품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표현 "식별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약 50㎛ 내지 약 500㎛의 두께를 갖는 임의의 3차원 요소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이러한 요소의 예가 무선 주파수 식별 (RFID) 요소이다. 본 발명의 용기는, 흡연 물품과 같은 세장형 소비자 물품 물품 용기로서의 구체적인 응용예를 발견한다.
흡연 물품은 일반적으로 박스 및 용기의 후면 벽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경첩선을 따라 박스에 경첩식으로 연결된 뚜껑을 포함하고 있는 강성의 경첩-뚜껑 용기 내에 포장된다. 박스 내에 수용된 흡연 물품의 묶음은 공통적으로 금속화지, 금속 포일 또는 다른 가요성 시트 물질의 내부 라이너, 또는 패키지로 포장된다. 경첩-뚜껑 용기와 내부 패키지는 모두 블랭크로부터 형성된다. 운반 중에는 물론 포장 기계로 공급될 때, 블랭크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의 최상부 상에 편평한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는 종종 내부 패키지 외부에 배열된 내부 프레임으로서 또는 내부 패키지 내부에 배열된 보강재로서 제공될 수 있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운반 중 용기 내의 흡연 물품을 보다 잘 보호할 목적으로 패키지의 압축 저항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이러한 경첩 뚜껑 용기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뚜껑 전면 벽면이 놓일 수 있는 편평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박스의 전면 벽면의 상부 에지를 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뚜껑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이러한 장치를 구비한 용기가 실질적으로 편평한 전면 표면을 소비자에게 제시할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보강 부재는 전형적으로 내부 패키지의 전면 벽면에 대하여 놓여진 보강 전면 벽면을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하나의 이러한 보강 부재는 보강 전면 벽면에 매달려 있고 내부 패키지의 측면 벽면에 대하여 놓이도록 각각의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힌 측면 벽면들을 더 포함하고 있는 칼라(collar)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시, 하나의 이러한 보강 부재는 3개의 측에서 흡연 물품의 묶음을 감싼다.
무선 주파수 요소는 정보를 인쇄할 필요없이 많은 양의 정보가 접근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무선 주파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따라서 특히 이 공간이 브랜드 또는 다른 인쇄된 정보에 더 잘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무선 주파수 요소는 용기의 외부 표면 상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상술한 유형의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블랭크 상에 식별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요소를 제공하는 것은 블랭크의 유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바람직하지 않게 제조 공정의 복잡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식별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요소의 존재는 용기가 형성되는 박층 블랭크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증가시킬 것이기 때문에, 블랭크가 하나의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면, 블랭크들을 서로의 최상부에 적층하는 것이 덜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는 블랭크의 보관 및 운반 동안 뿐만 아니라 블랭크가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포장 기계로 고속으로 공급될 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신규하고 개선된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이러한 용기는 용기 내에 보유된 소비자 물품이 잠재적으로 손상을 주는 압축 하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하나의 이러한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따라서 다수의 블랭크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쉽게 적층되고 팔레트에 얹어지며 운반될 수 있고 포장 기계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장비에 대한 주요 변경을 요구함이 없이 쉽게 제조될 수 있는, 소비자 물품을 위한 하나의 이러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블랭크 두께를 갖는 박층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소비자 물품용 용기가 제공된다. 용기는 약 50㎛ 내지 약 500㎛의 두께를 갖는 3차원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요소는 용기의 제1 벽면의 내부 표면의 첨부 구역 상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하여 용기에 첨부되어 있다. 또한, 용기는 첨부 구역 이외의 용기의 내부 표면의 영역 상에 두께 보상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제공하며, 블랭크는 기재 두께를 갖는 박층 기재; 및 약 50㎛ 내지 약 500㎛의 두께를 가지며 박층 기재에 첨부된 3차원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요소는 박층 기재의 제1 표면의 첨부 구역 상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하여 용기에 첨부되어 있다. 또한, 블랭크는 첨부 구역 이외의 박층 기재의 제1 표면의 영역 상의 두께 보상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을 참고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이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측면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면", "후면", "상부", "하부", "최상부", "최하부" 및 "측면"은, 용기가 용기의 최상부에 있는 접근용 개구를 갖는 직립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부분 및 그의 구성 요소의 상대 위치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설명할 때, 이들 용어는 설명되는 용기의 배향과 관계없이 사용된다. 외부 경첩-뚜껑 하우징의 후면 벽면은 경첩선을 포함하고 있는 벽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설명할 때, 용어 "길이방향"은 최하부에서 최상부로 또는 그 반대로의 방향을 지칭하고, "가로방향"은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용기의 길이방향 축"은 최하부에서 최상부로 또는 그 반대로 연장되어 있는 축이다.
용어 "폭"은 가로방향으로 측정한 무선 주파수 요소 또는 블랭크 패널 또는 용기 벽면과 같은, 요소의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용어 "패널"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조립된 용기의 벽면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블랭크의 일부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패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힘선을 따라 하나 이상의 다른 패널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용어 "접힘선"은 두개의 서로 인접한 패널들 사이의 접이부를 지칭한다. 용기를 형성할 때, 서로 인접한 패널은 용기의 에지 또는 그의 일부를 형성하게 될 수 있는 그들 공통의 접힘선을 따라 접힌다. 조립된 용기에서, "벽"은,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겹친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은 두개 이상의 맞닿거나 겹치는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용어 "높이"는 요소의 폭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될 때 하나의 이러한 요소의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용기의 요소를 설명할 때, 참조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상태의 요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에서, 용어 "길이방향 축"은 블랭크의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편평한 상태로 블랭크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블랭크의 축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은 대응하는 용기 전면 벽면을 기준으로 취한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블랭크 전면 패널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한편, 용어 "가로방향 축"은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편평한 상태로 블랭크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블랭크의 축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이러한 블랭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측정된 블랭크의 대향 말단들 사이의 최대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방향 치수"를 갖는다. 또한, 하나의 이러한 패널은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측정된 블랭크의 대향 말단들 사이의 최대 거리에 대응하는 "가로방향 치수"를 갖는다.
사각형에서, 길이방향 치수와 가로방향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높이와 폭에 해당한다. 그러나, 소비자 물품용의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인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는 일반적으로 대략 사변형을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정사각형의 정확한 대칭을 나타내지는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용어 "길이방향 치수" 및 "가로방향 치수"는 블랭크, 특히 블랭크가 정확히 직사각형인 경우에 블랭크의 높이 및 폭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사변형의 블랭크의 치수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용어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은 본 발명에 따라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 즉 길이방향 축의 양쪽 종점들로부터 등거리인 지점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이러한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의 종점들은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블랭크의 대향 에지들 상에 있다.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은 길이방향 축을 양분하므로,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과 어느 한 종점 사이의 거리는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의 실질적으로 절반이다.
용어 "첨부 구역"은 본원에서 3차원 요소의 둘레를 둘러싸는 블랭크의 최소 영역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블랭크의 구성 요소와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 사이의 거리"는 구성 요소의 중심 지점에서 측정된다.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3차원 요소일 수 있으므로, 3차원 요소의 기하학적 중심 또는 첨부 구역의 기하학적 중심을 참조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블랭크의 두 구성 요소 사이의 거리"는 구성 요소들의 각 중심 지점에서 측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3차원 요소와 3차원 패치 부재 사이의 거리는 요소의 중심 지점과 패치 부재의 중심 지점 사이에서 측정된다.
용어 "두께"는 요소의 높이와 폭에 수직인 방향으로, 무선 주파수 요소와 같은, 3차원 요소의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용기에 첨부될 때, 3차원 요소는 실질적으로 요소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첨부 구역을 포함하고 있는 용기의 내부 표면에 의해 규정된 평면 위로 돌출한다.
패키지 또는 경첩-뚜껑 용기가 형성될 수 있는 박층 블랭크와 관련하여, 용어 "두께"는 블랭크의 대향하는 내부 및 외부 표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표현 "식별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약 50㎛ 내지 약 500㎛의 두께를 갖는 임의의 3차원 요소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이러한 요소의 예가 무선 주파수 식별 (RFID) 요소이다.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에 약 50μm 미만의 두께를 갖는 요소를 첨부하는 것은 블랭크의 감소된 유연성에 관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야기하지 않으며, 또한 블랭크를 적층하는 용이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지도 않거나 또는 조립된 용기 내에서 소비자 물품에 압축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일부 구현예에서, 요소의 식별할 수 있는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0μm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50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0㎛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0㎛ 미만이다.
용어 "내부 표면"은 용기의 내부를 향해, 예를 들어 용기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소비자 물품을 향해 면하고 있는 조립된 용기의 구성 요소의 표면을 지칭하도록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다. 용어 "외부 표면"은 용기의 외부 쪽을 향하고 있는 용기의 구성 요소의 표면을 지칭하기 위해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용기의 전면 벽면은 용기의 내측과 소비자 물품을 향하고 있는 내부 표면, 및 소비자 물품에서 멀리 향하고 있는 외부 표면을 가지고 있다. 내측 또는 외측 표면은 용기의 조립체에 사용되는 블랭크의 특정 측면과 반드시 동등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 블랭크가 상기 소비자 물품 주위로 어떻게 접히는지에 따라서, 상기 블랭크의 동일한 측면에 있는 영역들은 상기 용기의 외부를 향하든지 외부를 향해 면할 수 있다.
용어 "경첩선"은 경첩-뚜껑 하우징을 개방하기 위해서 뚜껑이 축회전될 수 있는 선을 지칭한다. 경첩선은, 예를 들어 용기의 후면 벽을 형성하는 패널 내의 접힘선 또는 눈금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블랭크 두께를 갖는 박층 블랭크로부터 형성된다. 용기는 약 50㎛ 내지 약 500㎛ 범위의 두께를 갖는 3차원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블랭크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두께를 갖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기존 용기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요소는 용기의 제1 벽면의 내부 표면의 첨부 구역 상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하여 용기에 첨부되며, 용기는 부가적인 요소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두께 보상 수단은 첨부 구역 이외의 용기의 내부 표면의 영역 상에 전체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 보상 수단은 첨부 구역 이외의 위치에서 용기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되며, 따라서 상기 위치에서 용기의 두께는 3차원 요소의 충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하도록 설정된 양만큼 증가된다. 이 보상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두께 보상 수단이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와 겹쳐서는 안된다는 점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두께 보상 수단 전체는 첨부 구역 이외의 용기의 내부 표면의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즉, 3차원 요소 밑에 있는 용기의 내부 표면의 임의의 부분은 또한 두께 보상 수단의 밑에 있지 않다. 따라서, 보상 수단이 제공되는 영역에서, 용기의 국부적인 두께는 블랭크 두께와 두께 보상 수단의 두께의 합과 실질적으로 대응할 것이다.
따라서, 또한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로 용기의 표면 상의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부가적인 요소에 의해 야기된 국부적인 두께 증가의 영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 또는 보상하는 것이 유리하게는 가능하다. 이는 유리하게는 용기의 블랭크의 두께 불균질성을 균일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두께가 -평균적으로- 더 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수의 블랭크를 안정적인 방식으로 서로의 최상부 상에 적층하는 것이 더 쉬우며, 따라서 많은 블랭크가 로 한꺼번에 팔레트에 얹어지고 운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적층체는 보다 정돈되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블랭크를 포장 기계에 공급하는 것이 또한 더욱 쉽고, 따라서 제조 공정 역시 보다 신뢰성있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서, 부가적인 요소는 유리하게는 용기의 정상적인 사용 중에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동시에 용기의 외부 표면 상의 공간이 브랜딩(branding) 또는 다른 인쇄 정보를 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및 블랭크는 제조하기 쉽고 기존 장치의 어떠한 광범위한 변형을 요구하지 않는다.
블랭크에 첨부된 요소는 식별할 수 있는 두께, 즉 요소가 부착되는 블랭크의 두께와 비교할 만한 크기의 두께를 갖는 임의의 3차원 요소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요소는 무선 주파수 (식별) 요소이며, 또한 일반적으로 RFID 태그로 지칭된다. RFID 태그 또는 다른 무선 주파수 요소는 제품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제품의 식별 및 진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하나의 이러한 태그는 안테나 또는 유도 코일에 연결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RFID 판독기는 안테나 또는 코일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태그에 질문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신호에 응답하여, RFID는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를 RFID 판독기로 반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요소는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위치에 있으며, 요소와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 사이의 거리는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의 약 20% 미만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블랭크로부터 효과적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는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를 차지한다. 요소는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 상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요소가 중간 블랭크 가로방향 축의 양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블랭크 표면의 중앙 밴드 내에 배열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는 길이방향 축 상의 인식 가능한 두께의 요소의 위치가 블랭크의 무게 중심 부근에 있기 때문에 유리한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는 특히 안정적이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접혀지고 용기로 형성되기 위하여 포장 기계로 공급되기 쉽다.
이론에 얽매이는 것을 바라지 않지만, 블랭크의 표면 상에 부착된, 무선 주파수 요소와 같은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의 존재는 일반적으로 박층 기재의 가요성의 국부적인 감소를 야기한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블랭크의 표면 상의 한 위치에서의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의 제공 때문에,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표면은 일반적인 블랭크의 경우와 같이 평평하지 않다. 따라서,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2개의 블랭크가 서로의 최상부 상에 적층될 때, 최상부 블랭크는 최하부 블랭크 상의 요소의 국부적인 부가적인 두께를 수용하도록 약간 만곡지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가 (예를 들어, 팔레트 상에서) 보관, 운반, 또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포장 기계에 공급될 때의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이 효과는 다수의 블랭크가 서로 최상부 상에 적층될 때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요소가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위치에 있고 요소와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 사이의 거리가 블랭크의 길이방향 크기의 약 20% 미만인 경우, 상술한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가 최소화되고 블랭크들의 적층체가 특히 안정적이라는 것을 찾아 내었다. 이는 블랭크의 국부적인 만곡이 대체로 블랭크의 무게 중심 근처의 위치 및 각 블랭크의 대칭 중심을 대략적으로 한정하는 위치에서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보관 및 운반 단계에서부터 실제 제조 작업에 이르기까지 전체 생산 공정을 현저하게 더욱 쉽고 더 믿을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 보상 수단은 적어도 첨부 구역 주위로 연장된 용기의 제1 벽면의 내부 표면의 영역 상에, 즉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 주위에 도포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이러한 코팅층은 바니쉬 또는 자외선(UV) 코팅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칼슘 카보네이트 및 카올리나이트와 같은, 종이 및 판지를 코팅하기 위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여러 가지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종이와 판지에 접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증점제와 정제되고 혼합될 수 있다. UV 코팅은 종이 또는 판지에 광택 또는 무광택 마무리를 부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코팅층은 첨부 구역 주위로 연장되어 있는 용기의 제1 벽면의 내부 표면의 한정된 부분까지만 연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코팅층은 실질적으로 첨부 구역 주위로 연장되어 있는 용기의 제1 벽면의 전체 내부 표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코팅층은 용기의 제1 벽면의 주변을 넘어, 그리고 조립된 용기에서 용기의 내부 표면을 한정하는 블랭크의 전체 표면까지도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코팅층이 예를 들어 디보싱(debossing) 또는 제거 공정 전에 블랭크 전체 표면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도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층은 요소 두께의 적어도 약 70%의 두께를 갖고 있다. 따라서, 코팅층은 증분 두께를 부분적으로만 보상하지만, 이러한 정도의 보상이 블랭크의 안정적인 적층체를 용이하게 형성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더 바람직하게는, 코팅층은 소자 두께의 적어도 약 80%의 두께를 갖고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팅층은 요소 두께의 적어도 약 90%의 두께를 갖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코팅층은 실질적으로 요소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다. 이는 국부적으로 증가된 두께를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오프셋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층은 제거 가능하다. 이는 특히 다수의 블랭크가 서로 적층될 필요가 있을 때, 즉 보관 및 운반 중에 식별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부가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블랭크의 균일하지 않은 표면을 보상할 필요성이 느껴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단계 동안, 다른 층은 블랭크의 보관 및 운반 중에 박층 기재의 표면을 유리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부가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블랭크를 포장 기계에 공급할 때, 대신에 첨부 구역 외부에서 박층 블랭크의 원래의 두께를 회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포장 기계에 의하여 설정된 것뿐만 아니라 조립된 용기가 소정의 시각적 영향을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제조 요구 사항과 관련되거나 조립된 용기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유일 수 있다.
코팅층에 대한 대안으로서, 두께 보상 수단은 첨부 구역 이외의 위치에서 용기의 내부 표면 상에 배열된 3차원 패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차원 패치는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위치에 있으며, 요소와 3차원 패치 사이의 거리는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약 35%이다. 따라서, 특정 정도의 대칭을 갖는 배열이 유리하게 달성되며, 따라서 펼쳐진 블랭크의 무게 중심은 실질적으로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요소와 패치 부재 사이의 위치에 배열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요소와 3차원적 패치 간의 거리는 블랭크의 길이방향 크기의 적어도 약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블랭크의 길이방향 크기의 적어도 약 45%이다.
바람직하게는, 패치 부재는 제1 벽면 이외의 용기의 벽면의 내부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패치 부재는 제1 벽면 반대쪽의 용기의 벽면의 내부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요소가 후면 벽면 상에 첨부된 경우, 패치 부재는 전면 벽면 상에 첨부되어 있다.
조립된 용기에서 벽면의 내부 표면을 한정하는 블랭크의 동일한 표면 상에 하나의 이러한 패치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블랭크 또는 용기의 두께 불균질성의 적어도 부분적인 감소가 달성된다. 예를 들어, 요소가 용기의 후면 벽면의 내부 표면 상에 첨부되는 경우, 보상 패치 부재 또한 용기의 전면 벽면의 내부 표면 상에 첨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치 부재의 폭은 블랭크의 가로방향 크기보다 작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패치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패치 부재가 배열되는 블랭크 패널의 길이방향 치수보다 작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패치 부재는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의 형상 및 크기와 비교될 만한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치 부재는 요소 두께의 적어도 약 70%의 두께를 갖고 있다. [1]따라서 패치 부재는 증분 두께의 일부분만을 보상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도의 보상은 안정적인 블랭크의 적층을 쉽게 형성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패치 부재는 요소 두께의 적어도 약 80%의 두께를 갖고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패치 부재는 요소 두께의 적어도 약 90%의 두께를 갖고 있다. 일부 특별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패치 부재는 요소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다. 이는 조합 상태의 요소와 패치 부재가 다른 블랭크가 편평한 상태에 근접한 상태에서 놓일 수 있는 융기된 표면을 한정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요소가 용기의 제1 벽면에 첨부되는 경우, 패치 부재는 용기의 다른 벽면의 내부 표면 상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벽면의 반대 벽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요소가 용기의 후면 벽면의 내부 표면에 첨부되는 경우, 패치 부재는 용기의 전면 벽면의 내부 표면 상에 첨부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대칭성을 갖는 배열이 유리하게 달성되며, 여기서 블랭크의 무게 중심은 실질적으로 요소와 패치 부재 사이의 위치에서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배열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블랭크는 여전히 서로의 최상부 상에 아주 용이하게 적층될 수 있으며, 이는 보관, 운반 및 포장 기계로의 블랭크 공급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패치 부재는 제거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패치층은 제거 가능한 스티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용어 "제거 가능한"은 본 명세서에서 2개의 기재가 어느 기재에 어떠한 손상을 주지 않고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2개의 기재 사이 -예를 들어, 패치 부재와 용기가 형성되는 블랭크의 표면 사이-의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저 점착성 접착제에 의하여 표면에 부착된 스티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용기는 적어도 용기의 전면 벽면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놓여진 전면 벽면을 포함하고 있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보강 부재의 전면 벽면의 최하부 에지에서 거리를 두고 용기 상의 첨부 구역에 배열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요소의 최상부 에지와 보강 부재의 최하부 에지로부터의 거리는 적어도 약 1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블랭크는 기재 두께를 갖는 박층 기재 및 실질적으로 기재 두께와 동일한 크기의 두께를 갖는 3차원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요소는 박층 기재에 첨부되어 있다. 요소는 박층 기재의 제1 표면의 첨부 구역 상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하여 기재에 첨부되어 있다. 또한, 블랭크는 첨부 구역 이외의 박층 기재의 제1 표면의 영역 상에 두께 보상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두께 보상 수단의 전체는 첨부 구역 이외의 제1 표면의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블랭크로부터 용기가 조립될 때, 요소가 첨부되는 블랭크의 제1 표면은 용기 내부를 향하게 된다. 즉,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부가적인 요소는 용기의 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패널의 측면에 첨부되며, 따라서 조립된 용기에서 부가적인 요소는 용기의 상기 벽면의 내부 표면 상에 첨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소는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위치에 있으며, 요소와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 사이의 거리는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의 약 20% 미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요소는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위치에 있고, 요소와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 사이의 거리는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의 약 1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의 약 10% 미만이다.
예를 들어, 구현예에서,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는 약 200mm이고,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은 박층 블랭크의 어느 한 말단으로부터 약 100mm에 있고,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는 중간 지점으로부터 약 40mm 이하의 거리에서 길이방향 축 상에 위치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는 중간 지점으로부터 약 30mm 이하의 거리에서 길이방향 축 상에 위치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는 중간 지점으로부터 20mm 이하의 거리에서 길이방향 축 상에 위치되어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박층 기재의 길이방향 치수가 약 250mm인 경우,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은 박층 블랭크의 어느 한 말단으로부터 약 125mm에 있고,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는 중간 지점으로부터 약 50mm 이하의 거리에서 길이방향 축 상에 위치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는 중간 지점으로부터 약 37.5mm 이하의 거리에서 길이방향 축 상에 위치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는 중간 지점으로부터 25mm 이하의 거리에서 길이방향 축 상에 위치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 보상 수단은 적어도 첨부 구역 주위로 연장되어 있는 박층 기재의 제1 표면의 영역 상에 도포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있다. 대안으로서, 두께 보상 수단은 첨부 구역 이외의 위치에서 박층 기재의 제1 표면 상에 배열된 3차원 패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내의 소비자 물품은 함께 묶여지고 금속 포일 또는 금속화지의 패키지 내에 포장된다. 패키지 재료는, 금속화된 폴리에틸렌 필름과 라이너 재료의 적층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패키지 재료는 수퍼캘린더드 글라신 용지(supercalendered glassine paper)일 수 있다. 또한, 패키지 재료에는 인쇄 수용성 상단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패키지는 박스 및 경첩 뚜껑 용기의 후면 벽면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경첩선을 따라 박스에 경첩 결합된 뚜껑을 포함하고 있는 경첩 뚜껑 용기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경첩 뚜껑 용기는, 판지(cardboard), 보드지(paperboard), 플라스틱, 금속,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들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랭크는 약 100g/㎡ 내지 약 350g/㎡의 중량을 갖는 적층 판지 블랭크이다.
경첩 뚜껑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고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배향된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염화폴리비닐리덴, 셀룰로오스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의 투명한 중합체 필름인 외부 래퍼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 래퍼는 종래 방식으로 적용된다. 외부 래퍼는 개봉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래퍼는 이미지, 소비자 정보 또는 다른 데이터가 인쇄될 수 있다.
외부 경첩 뚜껑 용기뿐만 아니라, 패키지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더 좁은 벽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더 넓은 벽을 포함하는 직육면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예를 들어 궐련, 엽궐련 또는 가는 엽궐련과 같은 세장형 흡연 물품용 용기로서의 특정한 적용예를 발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의 적합한 선택을 통하여, 상이한 수의 종래 사이즈, 킹 사이즈, 슈퍼-킹 사이즈, 슬림 또는 슈퍼-슬림 궐련용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른 소비자 물품이 용기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의 적절한 선택을 통하여, 상이한 총 수의 흡연 물품, 또는 흡연 물품의 상이한 배열을 유지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의 적절한 선택을 통하여, 총 10개 내지 30개의 흡연 물품을 유지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흡연 물품은 흡연 물품의 총 수에 따라서 상이한 교합(collation)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블랭크의 세부 구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박층 블랭크(100)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박층 블랭크(100)는 필터식 담배와 같은 흡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평행육면체형 경첩 뚜껑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박층 블랭크(100)는 표준 장치를 사용하여 조립되고 채워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블랭크(100)의 세부 구조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블랭크(100)는 약 320㎛의 두께(T1)를 갖는 박층 기재(102)를 포함하고 있다. 박층 기재(102)는 길이방향 축(200), 길이방향 치수 (202) 및 가로방향 치수(204)를 갖고 있다. 또한, 블랭크(100)는 약 200㎛의 두께(T2)를 갖는 평행육면체 형상의 요소(104)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소(104)는 박층 기재(102)의 제1 표면(108)의 첨부 구역(106) 상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해 박층 기재(102)에 첨부되어 있다. 용기가 박층 블랭크(100)로부터 형성될 때, 제1 표면(108)은 용기의 내측을 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104)는 박층 기재(102)의 길이방향 축(200)을 따르는 위치에 있으며, 요소(104)와 박층 기재의 길이방향 축(200)의 중간 지점(206) 사이의 거리는 박층 기재(102)의 길이방향 치수(202)의 약 15% 미만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요소(104)는 무선 주파수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길이방향 축(200)에 대해 대칭적인 형상이다. 박층 기재의 길이방향 치수(202)는 약 250mm이다.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206)은 박층 기재의 어느 한 말단으로부터 약 125mm에 있다. 요소(104)와 중간 지점(206) 사이의 거리는 약 12mm (약 25mm에 달하는 박층 기재의 길이방향의 치수의 10%)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랭크(100)는 첨부 구역(108) 주위로 연장되어 있는 박층 기재(102)의 제1 표면 (108)의 영역 상에 바니시(varnish)를 포함하고 있는 추가 층(112)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추가 층(112)의 두께(T3)는 실질적으로 요소 두께(T2)만큼 크다. 따라서, 추가 층은 유리하게는 요소 두께의 전체를 보상한다. 추가 층(112)은 용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블랭크(100)를 포장 기계에 공급하기 직전에 박층 기재(102)로부터 제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비자 물품을 위한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300)의 변형예를 보여주고 있다. 블랭크(300)는 박층 기재(302) 및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평행육면체 요소(304)를 포함하고 있으며, 요소(304)는 블랭크(300)의 제1 표면의 첨부 구역에 고정되고 이 첨부 구역 내로 수용된다.
블랭크(300)는 첨부 구역 주위로 연장되어 있는 추가 층 대신에 첨부 구역 이외의 위치에서 박층 기재의 제1 표면 상에 배열된 3차원 패치 부재(312) 형태의 두께 보상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의 블랭크(100)와 다르다.

Claims (15)

  1. 소비자 물품용 용기로, 상기 용기는 블랭크 두께를 갖는 박층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것이며; 상기 용기는 50㎛ 내지 500㎛의 두께를 갖는 3차원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상기 용기의 제1 벽면의 내부 표면의 첨부 구역 상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용기에 첨부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용기는 상기 박층 블랭크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3차원 요소의 두께를 보상하도록 제공된 두께 보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은 상기 첨부 구역 이외의 상기 용기의 내부 표면의 영역 상에 전체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영역에서 상기 용기의 전체 두께는 상기 블랭크 두께와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의 두께의 합이고;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은 상기 영역에서 상기 용기의 전체 두께를 상기 블랭크 두께로 회복하도록 제거 가능한 것인,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상기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위치에 있으며, 상기 요소와 상기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의 20% 미만인 것인,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은 적어도 상기 첨부 구역 주위로 연장된 상기 용기의 상기 제1 벽면의 내부 표면의 영역 상에 적용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인,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은 상기 첨부 구역 이외의 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 표면 상에 배열된 3차원 패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은 상기 요소 두께의 적어도 70%의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인,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은 실질적으로 상기 요소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인, 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패치 부재는 상기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위치에 있으며, 상기 요소와 상기 3차원 패치 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의 적어도 35%인 것인, 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패치 부재는 상기 제1 벽면에 대향한 상기 용기의 벽면의 내부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인, 용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용기의 전면 벽면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놓여진 전면 벽면을 포함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상기 보강 부재의 전면 벽면의 최하부 에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용기에 첨부되어 있는 것인, 용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물품은 흡연 물품인 것인, 용기.
  11.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로, 상기 블랭크는 기재 두께를 갖는 박층 기재 및 50㎛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박층 기재에 첨부되어 있는 3차원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상기 박층 기재의 제1 표면의 첨부 구역 상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블랭크에 첨부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블랭크는 상기 블랭크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3차원 요소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두께 보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은 상기 첨부 구역 이외의 상기 박층 기재의 제1 표면의 영역 상에 제공되며,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의 전체는 상기 첨부 구역 이외의 제1 표면의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어, 상기 영역에서 상기 블랭크의 전체 두께는 상기 박층 기재와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의 두께의 합이고;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은 상기 영역에서 상기 용기의 전체 두께를 상기 박층 기재의 두께로 회복하도록 제거 가능한 것인, 블랭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위치에 있으며, 상기 요소와 박층 블랭크의 길이방향 축의 중간 지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블랭크의 길이방향 치수의 20% 미만인 것인, 블랭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은 적어도 상기 첨부 구역 주위로 연장된 상기 박층 기재의 제1 표면의 영역 상에 적용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인, 블랭크.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보상 수단은 상기 첨부 구역 이외의 위치에서 상기 박층 기재의 제1 표면 상에 배열된 3차원 패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블랭크.
  15. 삭제
KR1020197001725A 2016-07-27 2017-07-24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비자 물품의 변형된 용기 KR102429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1559.2 2016-07-27
EP16181559 2016-07-27
PCT/EP2017/068679 WO2018019787A1 (en) 2016-07-27 2017-07-24 Modified container of consumer articles comprising an element of discernible thickn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240A KR20190031240A (ko) 2019-03-25
KR102429081B1 true KR102429081B1 (ko) 2022-08-04

Family

ID=5656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725A KR102429081B1 (ko) 2016-07-27 2017-07-24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비자 물품의 변형된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919689B2 (ko)
EP (1) EP3490896A1 (ko)
JP (1) JP7214621B2 (ko)
KR (1) KR102429081B1 (ko)
CN (1) CN109476402B (ko)
MX (1) MX2019000909A (ko)
RU (1) RU2736521C2 (ko)
SG (1) SG11201810511QA (ko)
WO (1) WO2018019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0481C2 (en) * 2017-02-16 2018-09-25 Stora Enso Oyj Cigarette pack comprising an rfid/nfc tag
KR20220146623A (ko) * 2020-04-21 2022-11-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박스 전방 벽면과 측벽면 사이에 경사진 길이방향 에지를 갖는 세장형 소비자 물품용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423A (ja) * 2002-11-25 2004-07-15 G D Spa 万引きマーカーを有するタバコ商品の包装体
JP2005242977A (ja) * 2004-01-26 2005-09-08 Toppan Forms Co Ltd スレ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8699A (en) * 1927-06-30 1929-01-08 Champe S Andrews Folded box
US2745591A (en) * 1951-12-22 1956-05-15 Brown Bridge Mills Company Inc Stay tape
US3197113A (en) * 1962-10-31 1965-07-27 American Can Co Carton
US3355081A (en) * 1966-04-12 1967-11-28 Kachurchak Joseph Plastic liner for cardboard box
US4034909A (en) * 1974-12-29 1977-07-12 Mitsunori Toda Collapsible container
US5964345A (en) * 1994-11-07 1999-10-12 G. D S.P.A. Cigarette packet with a hinged lid
JP4151100B2 (ja) * 1998-01-19 2008-09-17 凸版印刷株式会社 たばこ包装体
IT1320873B1 (it) * 2000-01-18 2003-12-10 Gd Spa Pacchetto rigido di sigarette .
CN1791881A (zh) 2003-05-09 2006-06-21 诚实公司 具有薄膜插入模制rfid标签的元件处理装置
DE102004040831A1 (de) 2004-08-23 2006-03-09 Polyic Gmbh & Co. Kg Funketikettfähige Umverpackung
FR2877462B1 (fr) 2004-10-29 2007-01-26 Arjowiggins Security Soc Par A Structure comportant un dispositif electronique pour la fabrication d'un document de securite.
JP3798804B1 (ja) 2005-10-21 2006-07-19 達夫 笹崎 シートへのicタグ付テープ貼着方法
JP4888494B2 (ja) * 2007-02-06 2012-02-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磁結合モジュール付き包装材
CN201249952Y (zh) * 2008-07-07 2009-06-03 刘彩凤 一种带有无源rfid智能电子标签的香烟盒
RU107131U1 (ru) * 2011-03-10 2011-08-10 Олег Львович Котлер Сенсорная упаковка
US20130155715A1 (en) 2011-06-23 2013-06-20 Samuel Kim Optoelectronic food decoration and packaging
CN202144318U (zh) 2011-07-01 2012-02-15 佘文龙 防水代塑周转箱
CN202807236U (zh) 2012-09-28 2013-03-20 中包精力托盘共用系统(北京)有限公司 一种烟草包装箱
JP2015530327A (ja) 2012-10-09 2015-10-1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接着ラベル付き容器
US9202162B2 (en) * 2012-11-09 2015-12-0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Embedd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package
CN203079018U (zh) * 2013-02-05 2013-07-24 广州众码汇信息科技有限公司 具有近距离通讯验证的香烟盒
GB201306389D0 (en) * 2013-04-09 2013-05-22 British American Tobacco Hold Product authentication and/or identification
ES2772200T3 (es) * 2016-01-08 2020-07-07 Reemtsma Cigarettenfabriken Gmbh Paquete para productos de tabaco, que incluye una etiqueta de RF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423A (ja) * 2002-11-25 2004-07-15 G D Spa 万引きマーカーを有するタバコ商品の包装体
JP2005242977A (ja) * 2004-01-26 2005-09-08 Toppan Forms Co Ltd スレ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14621B2 (ja) 2023-01-30
RU2019103840A3 (ko) 2020-09-17
RU2736521C2 (ru) 2020-11-17
US20200223618A1 (en) 2020-07-16
WO2018019787A1 (en) 2018-02-01
RU2019103840A (ru) 2020-08-27
CN109476402A (zh) 2019-03-15
EP3490896A1 (en) 2019-06-05
SG11201810511QA (en) 2018-12-28
MX2019000909A (es) 2019-07-01
JP2019521922A (ja) 2019-08-08
KR20190031240A (ko) 2019-03-25
US10919689B2 (en) 2021-02-16
CN109476402B (zh)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08986A1 (en) Packaging box with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US20090173659A1 (en) Packaging box
KR102429081B1 (ko) 식별할 수 있는 두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비자 물품의 변형된 용기
US20070003726A1 (en) Adjustable width edge protector with self adhesive and release liner
EP3583052B1 (en) Cigarette pack comprising an rfid/nfc tag
JP4899518B2 (ja) 無線icタグ付き包装体
CN109348711A (zh) 包装件
WO2014178528A1 (ko) 접이식 포장박스
EP3275794B1 (en) Improved container of consumer articles comprising an element of discernible thickness
US20060280891A1 (en) Edge protector with self adhesive and release liner
WO2019029816A1 (en) IMPROVED CONTAINER FOR CONSUMER ITEMS INCLUDING A DISCERNABLE THICKNESS ELEMENT
JP7102798B2 (ja) Icチップ付包装箱およびicチップ付包装箱の積載体形成方法
SE1750294A1 (en) Beverage capsule package comprising an rfid / nfc tag
KR102566045B1 (ko) 포장용 상자
WO2018150329A1 (en) A cigarette pack comprising an rfid/nfc tag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JP2003081344A (ja) Icを装着した包装副資材
JP3199046U (ja) 配送用組立容器
US20230196054A1 (en) Mandrel-forming containers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US20210130080A1 (en) Box-in-box package
KR200192720Y1 (ko) 개량 골판지
JP2006160279A (ja) 無線タグを備えた包装箱
US20140353204A1 (en) Shipping Container For Paper Reams
JP2002059975A (ja) リターナブル包装システム
US20020130166A1 (en) Packaging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