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098A -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098A
KR20100098098A KR1020090017104A KR20090017104A KR20100098098A KR 20100098098 A KR20100098098 A KR 20100098098A KR 1020090017104 A KR1020090017104 A KR 1020090017104A KR 20090017104 A KR20090017104 A KR 20090017104A KR 20100098098 A KR20100098098 A KR 20100098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g
wing
hydraulic cylinder
wing rai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스텐 트로비치
Original Assignee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우아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우아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09001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8098A/ko
Publication of KR2010009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10Frogs
    • E01B7/14Frogs with mov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2Nature of the movement
    • E01B2202/025Pure trans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플레이트(18) 상에 가동적으로 배치되며 리브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윙 레일(14, 16)에 대해 조절 가능한 프로그(frog; 12)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조적으로 간단한 조치에 의해, 프로그 및 윙 레일의 확실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즉 프로그를 필요한 범위로 홀드-다운시키기 위해, 프로그(12)가 윙 레일(14, 16)에 대해 판 스프링(52, 54)에 의해 50 kN ≤F ≤100 kN 의 고정력 F으로 상기 윙 레일과 접촉한 위치로 고정되고, 프로그의 조절을 위해 상기 고정력이 유압 실린더(62)를 통해 적어도 감소 가능하다.
Figure P1020090017104
슬라이드 플레이트, 리브 플레이트, 윙 레일, 프로그, 판 스프링, 유압 실린더.

Description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DEVICE FOR CLAMPING A FROG TO A WING RAIL}
본 발명은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같은 하나의 베이스 상에 가동적으로 배치되며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제 2 베이스 상에 배치된 윙 레일에 대해 조절 가능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프링 가동적인 크로싱에서, 프로그 또는 크로싱 블록은 윙 레일들 사이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같은 베이스 상에 지지되는 한편, 관련 윙 레일은 거의 고정적으로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베이스로부터 시작한다. 프로그가 밀려지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에 윙 레일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DE-C-23 30 828에 따르면, 홈붙이 레일(grooved rail) 전철기용 크로싱으로부터 로드가 시작하여 윙 레일을 관통하고, 상기 로드에 의해 프로그가 조절 가능하다.
DE-B-1 272 951에는 윙 레일의 하부에 연장하는 로드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 프로그가 설명된다.
트랙 시스템의 수직 축 방향으로 진동이 도입될 때, 프로그와 윙 레일 사이 의 상대 운동이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로그와 윙 레일 사이에서 휠의 통과 영역에 상이한 조건이 형성됨으로써, 프로그가 바람직하지 않게 마모된다.
스프링 가동적인 프로그 또는 탄성 지지되는 프로그는 DE-A 37 08 233 또는 DE-A 41 42 276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적으로 간단한 조치에 의해 프로그 및 윙 레일의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즉 프로그가 필요한 범위 내에서 홀드-다운되도록 상기 방식의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동시에, 하나의 윙 레일로부터 다른 윙 레일로 프로그의 조절을 위해, 프로그 외에 추가 질량이 이동될 필요 없이 소정의 자유 이동성이 주어져야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프로그가 윙 레일에 대해 판 스프링에 의해 50 kN ≤F ≤100 kN 의 고정력 F으로 상기 윙 레일과 접촉한 위치로 고정되고, 프로그의 조절을 위해 상기 고정력이 유압 실린더를 통해 감소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에 의해 70 kn 내지 90 kN 범위의 고정력이 가해진다.
고정력은 프로그가 접촉하는 윙 레일에 의해 프로그가 구체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고정력은, 프로그 또는 윙 레일의 수직 축을 따른 상대 운동을 배제하는 힘이 윙 레일 및 프로그에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정력은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가 예컨대, 크로싱의 통과시 다른 부재가 고정 배치되는 지지부에 가하는 압착력일 수 있다.
유압 실린더는 특히 환기 유닛과 연결된, 단일 작용 실린더이다.
따라서, 높은 기능성을 보장하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된 실린더가 사용된다.
프로그 영역의 종방향으로 볼 때 윙 레일을 지지하는 연속하는,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제 2 베이스들 사이에, 윙 레일의 푸트 하부에 연장되는 가로대가 배치되고, 상기 가로대는 유압 실린더가 작용하지 않을 때 판 스프링에 의해 푸트 하부면에 대해 힘을 받으며, 상기 판 스프링은 프로그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대향 지지부에 지지된다.
이와 관련한 조치에 의해 하나의 유닛이 형성됨으로써, 윙 레일 및 프로그의 동일한 하강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통과 영역에서 큰 동적 부하가 방지된다.
하부면이 윙 레일에 지지되는 가로대에 의해, 프로그가 홀드-다운 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같은 제 1 베이스에 간접적으로 가압되고, 특히 프로그와 연결된 대응 홀더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대응 홀더와 가로대 사이에는 판 스프링이 연장된다. 따라서, 고정력은 압착력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하나의 윙 레일로부터 다른 윙 레일로 프로그의 자유로운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그 또는 프로그와 푸트 측에서 연결된,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형 부재가 유압 실린더의 포트형 하우징의 푸트 측으로 연장하는 외부면을 따라 지지되고, 상기 외부면은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가 활성화되면, 대향 지지부가 프로그와 견고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프로그는 가로대를 윙 레일들, 즉 그 하부면에 대해 이격시킨다. 동시에, 프로그가 상승한 다. 따라서, 가로대, 판 스프링 및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홀드-다운 장치가 프로그와 함께 조절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자유 이동성이 주어진다. 이를 위해, 특히 윙 레일로부터 홀더가 시작하고, 상기 홀더는 윙 레일 푸트의 하부에 연장하며 유압 실린더의 작동시 가로대를 지지하는 롤러 부재를 포함한다.
대향 지지부 자체는 프로그 측이 개방된 포트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중앙에서 중공 실린더 부재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중공 실린더 부재는 유압 실린더의 하우징 및 가로대에 연결된다.
중공 실린더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의 하우징 하부에 플랜지형 돌출부를 갖거나 또는 그러한 것을 형성하는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 또는 부재에 대해 판 스프링이 지지된다.
이러한 모든 조치는, 수직 축의 방향으로, 즉 수직선을 따라 바람직하지 않은 상대 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프로그를 인접한 윙 레일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고정력을 프로그와 함께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는 홀드-다운 장치가 전달하는 것을 보장한다. 동시에, 조절시, 프로그와 함께 홀드-다운 장치의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하다.
대안으로서, 프로그는 프로그의 수직축 및 종축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로드형 부재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로드형 부재는 유압 실린더가 작동하지 않을 때 프로그에 판 스프링에 의해 제 1 베이스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윙 레일에 하부면에서 지지되고, 하나의 윙 레일로부터 다른 윙 레일로의 프로그의 조절을 위해, 유압 실린더가 판 스프링의 압축을 위해 작동된다. 프로그 내 의 관통구는 로드형 부재와 관련해서, 판 스프링의 압축시 로드형 부재가 관통구에 대해 상승할 수 있거나 및/또는 관통구 내에서 회전될 수 있어서, 힘 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간단한 조치에 의해, 프로그 및 윙 레일의 고정 가능성과 동시에 자유로운 변위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필요한 판 스프링 및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홀드-다운 장치가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로드형 부재 자체는 프로그의 조절 거리에서 베이스의 방향으로 돌출한 캠과 같은 돌출 부분을 갖는다. 상기 돌출 부분들 중 하나는 프로그의 홀드-다운 시에 윙 레일들 중 하나의 윙 레일에 접촉한 위치로 관통구의 베이스 영역에 지지된다. 이로 인해, 관통구에서 부재의 평면 지지가 이루어질 필요 없이, 프로그의 확실한 홀드-다운이 보장된다.
특히, 로드형 부재가 프로그 및 윙 레일을 관통하고 부분적으로 윙 레일의 하부에 연장되는 제 1 홀더에 연결되며, 판 스프링으로부터 시작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윙 레일 푸트들 중 하나 이상에, 특히 2개의 윙 레일 푸트에 지지된다. 이를 위해, 홀더는 윙 레일 하부에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같은 플레이트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은 판 스프링의 대향 지지부로서 사용된다.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은 윙 레일들 사이로 연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리세스 내에 삽입되어야 하고, 탄성 중합체 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리세스에 대해 지지되어야 한다.
유압 실린더, 즉 그것의 하우징은 제 2 홀더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홀더는 윙 레일과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판 스프링을 수용하는 제 1 홀더와 윙 레일 사 이의 필요한 상대 운동이 가능해서, 윙 레일의 수직 축 방향으로 로드형 부재의 운동이 가능하다.
제 1 홀더는 또한 외측에서 윙 레일을 따라 연장되고, 로드형 부재를 잡기 위한 클램핑 조를 포함한다.
로드형 부재가 윙 레일을 관통하면, 이것 내에 있는 관통구는 로드형 부재 및 그 운동과 관련해서, 로드형 부재의 위치와 관계없이 윙 레일과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 사항, 장점 및 특징들은 청구항들, 이것에 포함된 특징들 - 단독으로 및/또는 조합해서- , 및 도면을 참고로 하는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 설명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해, 프로그 및 윙 레일의 확실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즉 프로그를 필요한 범위 내에서 홀드-다운시키는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에는 윙 레일들(14, 16) 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본 실시예에서 가동적인 프로그(12)를 통상적인 방식으로 포함하는 크로싱(10)이 단면도로 도시된다. 프로그(12)는 본 실시예에서 윙 레일(14, 16)용 내부 레일 고정부로 형성된 슬라이드 플레이트(18)에 지지된다. 프로그(12)는 그 조절 거리를 따라, 내부 레일 고정부를 위해 사용될 필요가 없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지지된다.
윙 레일들(14, 16)은 도시되지 않은,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제 2 베이스에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는 침목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같은 지지부와 연결된다. 그러한 점에서는 충분히 공지된 트랙 시스템 구성을 참고할 수 있다.
프로그(12)를 필요한 범위에서 윙 레일(14 또는 16)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즉 레일 차량의 통과시 상대 운동을 피하면서 부재들의 동일한 하강을 보장함으로써, 전이 영역에서 큰 동적 부하를 피하고 그로 인해 프로그(12)의 마모를 줄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은 상대 운동을 막는, 인접한 윙 레일(14, 16)에 대한 프로그(12)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필요한 고정력 및 압착력이 50 kN 내지 100 kN 범위, 특히 70 kN 내지 90 kN 범위로 문제없이 발생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구조적으로 복잡한 조치가 필요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윙 레일(14)로부터 윙 레일(16)로 및 그 반대로 프로그의 변위시 자유 이동성이 주어진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로드형 부재(20)는 프로그(12) 및 윙 레일(14, 16)을 관통구(22, 24, 26)) 내에서 관통한다. 여기서, 관통구들(22, 24, 26)은 서로 동일 평면으로 정렬된다.
로드형 부재(20)는 홀더(28)로부터 시작하며, 상기 홀더는 로드형 부재(20)를 고정하는, 본 실시예에서 외측의 클램핑 조(30, 32), 및 윙 레일(14, 16)의 하부에 연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4)로서의 플레이트형 부분을 포함한다. 홀더(28)는 단면도로 볼 때 윙 레일(14, 16)을 원주 측으로 둘러싸는 U 형상을 갖는다. 윙 레일들(14, 16)의 오목 챔버 내로 연장되는 클램핑 조들(30, 32)과 베이스 플레이트(34) 사이에 스페이서들(36, 38)이 제공되며, 상기 스페이서들의 두께 는 홀더(28)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서 윙 레일들(14, 16)의 푸트(44, 46)의 높이 보다 더 크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홀더(28)와 윙 레일들(14, 16) 사이의 상대 운동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마찰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클램핑 조(30, 32), 스페이서(36, 38) 및 베이스 플레이트(34)는 볼트 또는 스크루(48, 50)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고정된다.
홀더(28)의 베이스 플레이트(34)는 윙 레일(14, 16)의 푸트(44, 46)의 하부면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4) 및 홀더(28)는 판 스프링(54)의 2개의 패킷(52)에 의해 윙 레일(14, 16)에 대해 지지된다. 따라서, 홀더(28) 또는 로드형 부재(20)는 하부로,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18) 또는 윙 레일(14, 16)의 푸트(44, 46)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로 인해, 로드 부재(20)가 프로그(12)의 관통구(22)의 베이스 영역에 지지됨으로써, 프로그(12)가 슬라이드 플레이트(18) 상에 홀드-다운된다. 이와 달리, 로드 부재(20)는 윙 레일(14, 16)의 관통구(24, 26)를 이격된 상태로 관통한다.
최적의 힘 도입시, 확실한 홀드-다운을 보장하기 위해, 로드형 부재(2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8)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캠형 돌출부(56, 58)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들(56, 58)은 프로그가 윙 레일(14) 또는 윙 레일(16)에 접촉하는 경우 프로그(12)의 관통구(22)의 베이스에 지지된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그리고 홀더(28)가 판 스프링(52)에 의해 윙 레일들(14, 16)에 지지됨으로써, 그리고 프로그(12)가 로드형 부재(20)에 의해 홀 드-다운됨으로써, 프로그(12)와 윙 레일들(14, 16) 간의 상대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고정력 또는 압착력이 발생한다.
상기 고정력은, 로드형 부재(20) 위의 프로그(12)가 판 스프링 패킷(52, 54)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18) 방향으로, 윙 레일(14, 16) 자체를 홀드-다운시키는 슬라이드 플레이드(18)에 대해 가압되는 힘이다.
로드형 부재(20)가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윙 레일(14)로부터 윙 레일(16)로의 변위시 프로그(12)의 자유로운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윙 레일들(14, 16)에 대해 고정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윙 레일들에 연결되는 제 2 홀더(64)로부터 시작하는 유압 실린더(62)에 의해, 판 스프링 패킷(52)이 압축됨으로써 홀더(28)가 상승될 수 있어서, 캠형 돌출부(45)가 프로그(12) 내의 돌출부(22)의 베이스 면에 대해 이격됨으로써, 이것이 문제없이 조절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62)는 윙 레일들(14, 16) 사이에, 특히 중심에 연장하는, 제 1 홀더(28)의 리세스(66) 내에 연장된다. 상기 리세스(66) 내에서 유압 실린더(62)의 피스톤(68)이 조절될 수 있고, 상기 피스톤(68)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중합체 링과 같은 탄성 부재(70)를 통해 리세스(66)의 내부 베이스 면에 대해 지지된다. 유압 실린더(62)의 하우징(72)은 탄성 중합체 링과 같은 탄성 부재(74)를 통해 제 2 홀더(64)에 대해 지지되어야 한다. 또한, 유압 공급 라인(76)이 도시된다. 유압 실린더(62)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유압 액체가 제공될 수 있는 실린더 챔버가 환기 유닛(78)에 의해 필요한 범위로 환기될 수 있다.
프로그(12)가 조절되어야 하면, 즉 판 스프링 패킷(52, 54)의 힘이 필요한 범위로 감소되어야 하면, 유압 실린더(62)가 활성화됨으로써, 피스톤(68)이 제 1 홀더(28)의 방향으로 조절된다. 유압 실린더(62)를 수용하는 제 2 홀더(64)가 윙 레일(14, 16)에 대해 고정 배치되기 때문에, 유압 실린더(62)의 작동시 판 스프링 패킷(52, 54)의 압축 및 홀더(28)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로드형 부재(20)가 제 1 홀더(28)와 고정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로드형 부재(20)가 관통구(22) 내에서 조절된다. 즉, 그 베이스 경계로부터 상승된다. 이는, 프로그가 로드형 부재(20)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도 2에는 프로그(110) 및 윙 레일(112, 114)을 포함하는 크로싱(100)이 단면도로 도시된다. 프로그(110)는 가동적으로 형성되고 단면 전방 및 후방에서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지지된다. 윙 레일(112, 114)은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에 고정된다. 경우에 따라 리브 플레이트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하나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충분히 공지된 트랙 시스템 구성을 참고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프로그(110)와 윙 레일(112, 114)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프로그(110)의 상대 운동에 의해 그 수직 축(116)을 따른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는 높은 동적 부하를 피하기 위해, 프로그(116)가 접촉해야 하는 윙 레일(112, 114)에 대한 프로그(116)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도 1과 달리, 프로그(116)와 함께 조절되는 고정력 또는 압착력 장치가 제공되며, 고정을 위해 도 1에 상응하게 판 스프링(120)의 패킷(118)이 사용되고, 고정 해제를 위해 단일 작용 유압 실린더(122)가 사용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의 내부 챔버 내에는 라인(124)을 통해 유압 액체가 공급된다. 상기 내부 공간은 또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환기 유닛(126)에 의해 환기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122)는 포트형, 즉 단면도로 볼 때 U형 하우징(128)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28) 내에서 피스톤(130)은 프로그(110)의 수직 축(116)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프로그(110) 자체가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형의, 즉 단면도로 볼 때 U형의 베이스 부분(132) 위에서 탄성 중합체 링(134)과 같은 탄성 부재를 통해 피스톤(130)에 지지된다.
유압 실린더(122)는 홀더(136)로부터 시작하고, 상기 홀더(136)는 가로대(14)와 연결되며 가로대(14)와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가로대는 평면도로 볼 때 크로싱의 종축에 대해 수직인 2개의 레그들을 가지며, 상기 레그들은 횡방향 레그(142, 144)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횡방향 레그들(142, 144) 사이에는 홀더(136)가 연장되며 상기 홀더(136)와 연결된다.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가로대(140)의 레그들은 윙 레일(140, 112)로부터 시작하는, 측면도로 볼 때 L형의 홀더(146, 148) 외부에 연장되며, 상기 홀더들(146, 148)은 윙 레일(112, 114)의 푸트(150, 152) 하부에 롤러들(154, 156)을 갖는다. 프로그(114)가 조절되어야 하면, 가로대(140)의 종방향 레그가 상기 롤러들(154, 156)에 지지되며 상기 롤러들 상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부재는 프로그(110)와 고정 연결된 포트형 대향 지지부(158)이다.
상기 대향 지지부(158)는 판 스프링 패킷(118)을 포함하고, 상기 판 스프링 패킷(118)은 링 형상을 가진 판 스프링(120)으로 이루어진다. 판 스프링 패킷, 따라서 대향 지지부(158)는 홀더(136)의 중공 실린더 부분(160)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홀더(136)는 외부로 돌출한, 대응 홀더(158)에 의해 둘러싸인 플랜지형 돌출부(162)를 갖거나 또는 그러한 돌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해 패킷(118)으로서 판 스프링(120)이 지지된다. 따라서, 판 스프링 패킷(118)은 대응 홀더(158)의 내부로 향한 플랜지형 베이스(164)와 홀더(136)의 플랜지형 내부 돌출부(162) 사이에 연장한다.
프로그(116)와 접촉하는 윙 레일(112, 114)에 대해 프로그(116)가 고정되어야 하면, 유압 실린더(122)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판 스프링(120)만이 작용하므로, 가로대(140)가 윙 레일(112, 114)의 푸트(150, 152)의 하부 면에 대해 60 kN 내지 100 kN, 특히 70 kN 내지 90 kN의 필요한 압착력으로 가압된다. 유압 실린더가 작동하지 않을 때, 프로그(110)가 가로대와 하나의 고정 유닛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대 조절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고정력은 가로대(14)가 판 스프링(120)에 의해 윙 레일(112, 114)의 푸트(150, 152)의 하부면에 가압되는 힘이다. 유압 실린더(122)가 작용하지 않을 때 프로그(116)가 가로대와 하나의 강성 유닛을 형성하기 때문에, 통과시 윙 레일(112, 114)에 대한 프로그(110)의 상대 운동이 불가능하다.
프로그(110)가 조절되어야 하면, 유압 실린더(122)가 활성화됨으로써, 판 스프링(120)이 압축된다. 이로 인해, 가로대(140)가 롤러(154, 156) 상으로 하강된다. 동시에, 프로그(110)의 상승이 이루어지므로, 프로그(110)의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해진다. 가로대(140), 즉 크로싱 종축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는 그 종방향 레그가 롤러(154, 156) 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지지된다. 프로그가 윙 레일들(114, 112) 중 하나의 윙 레일에 접촉하면, 유압 실린더(122)가 비활성화됨으로써, 피스톤(130)은 하우징(128)의 베이스 면에 놓일 때까지 후퇴된다. 이 순간에, 프로그(110)는 가로대(140) 및 대향 지지부(158)와, 상대 운동을 하지 않는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유닛은 판 스프링 패킷(118)에 의해 윙 레일(112, 114)의 푸트(150, 152)의 하부면에 압착된다.
도 1은 윙 레일들 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프로그용 홀드-다운 장치의 제 1 실시예.
도 2는 상응하는 홀드-다운 장치의 제 2 실시예.

Claims (20)

  1.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같은 베이스(18) 상에 가동적으로 배치되며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제 2 베이스 상에 배치된 윙 레일(14, 16, 112, 114)에 대해 조절 가능한 프로그(12, 110)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12, 110)는 상기 윙 레일(14, 16, 112, 114)에 대해 판 스프링(52, 54, 120)에 의해 50 kN ≤F ≤100 kN 의 고정력 F으로 상기 윙 레일과 접촉한 위치로 고정되고, 상기 프로그의 조절을 위해 상기 고정력이 유압 실린더(62, 122)를 통해 적어도 감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62, 122)는 단일 작용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62, 122) 또는 유체로 채워질 수 있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 챔버는 환기 유닛(78, 12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로싱의 종방향으로 볼 때 상기 윙 레일(112, 114)을 지지하는 연속하는 제 2 베이스들 사이에서 하부면에 상기 윙 레일을 따라 가로대(140)가 연장하고, 상기 가로대(140)는 상기 유압 실린더(62)가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판 스프링(120)에 의해 상기 윙 레일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120)은 한편으로는 상기 가로대(1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향 지지부(158)에 지지되고, 상기 대향 지지부(158)는 상기 프로그(110)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110)는 푸트 측에서 상기 가로대(140) 또는 상기 가로대에 연결된 부재 내로 삽입되고, 상기 프로그(110)는 푸트 하부면에 또는 상기 프로그와 푸트 측에서 연결된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형 부재(132)는 상기 유압 실린더(122)의 바람직하게는 포트형 하우징(128)의 푸트 측에 연장된 외부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122)의 피스톤(130)은 상기 유압 실린더의 하우징을 관통하며 푸트 하부면 또는 상기 프로그(110)로부터 시작하는 상기 플레이트형 부재(132)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트 하부면 또는 상기 프로그의 상기 플레이트형 부재(132)와 상기 유압 실린더(122)의 상기 피스톤(130) 사이에 탄성 중합체 링과 같은 탄성 부재(134)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윙 레일(112, 114)로부터 홀더(146, 148)가 시작하고, 상기 홀더(146, 148)는, 윙 레일 푸트(150, 152)의 하부에서 연장하며 상기 유압 실린더(122)의 작동시 상기 가로대를 지지하는 롤러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110)에 대해 고정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그와 직접 연결된 대향 지지부(158)는 프로그 측에서 개방 포트형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서 홀더(138)의 중공 실린더 부분(160)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홀더(138)는 한편으로는 유압 실린더(122)를 수용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가로대(14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실린더 부분(136)은 플랜지형 돌출부(162)를 갖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판 스프링(120)이 상기 돌출부 또는 부재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12)는 상기 프로그의 수직축 및 종축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로드형 부재(20)에 의해 관통됨으로써, 상기 로드형 부재는 상기 유압 실린더(62)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판 스프링(52, 54)에 의해 상기 프로그에 상기 제 1 베이스(18)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판 스프링(52, 54)은 상기 윙 레일(14, 16)에 푸트 측에서 지지되고, 상기 프로그의 변위를 위해 상기 유압 실린던가 상기 판 스프링의 압축을 위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12)를 관통하는 상기 관통구(22)는 상기 로드형 부재(20)와 관련해서, 상기 판 스프링(52, 54)의 압축시 로드형 부재가 상기 관통구의 내주 벽에 대해 이격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형 부재(20)는 상기 프로그(12) 및 상기 윙 레일(12, 14)을 관통하고, 상기 로드형 부재는 부분적으로 상기 윙 레일 하부에 연장하는 홀더(28)와 연결되고, 상기 홀더는 하부면에서 상기 판 스프링(52, 54)에 의해 하나 이상의 윙 레일 푸트(46, 48)에 지지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형 부재(20)는 프로그(12)의 조절 거리에서 그 하부면의 방향으로 캠형 돌출부(56, 58)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 각각은 홀드-다운 시에 상기 프로그를 상기 윙 레일들 중 하나의 윙 레일에 접촉하는 그 위치에서 상기 관통구(22)의 베이스 영역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8)는 상기 윙 레일(14, 16) 하부에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형 부분(34)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형 부분은 상기 윙 레일들 중 하나 이상의 윙 레일의 하부면에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판 스프링(52, 54)에 대한 대향 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62)의 피스톤(68)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내에서 상기 윙 레일들(14, 16) 사이에 연장하는 리세스(66)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68)은 탄성 중합 체 링(70)과 같은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리세스(66)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62)의 하우징은 제 2 홀더(64)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64)는 상기 윙 레일들(14, 16)에 대해 고정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윙 레일들(14, 1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62)의 상기 하우징(72)은 탄성 중합체 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 2 홀더(64)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KR1020090017104A 2009-02-27 2009-02-27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KR20100098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104A KR20100098098A (ko) 2009-02-27 2009-02-27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104A KR20100098098A (ko) 2009-02-27 2009-02-27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098A true KR20100098098A (ko) 2010-09-06

Family

ID=4300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104A KR20100098098A (ko) 2009-02-27 2009-02-27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80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6712A (en) * 2014-03-03 2015-02-04 Univ Loughborough Railway track crossing
US10260202B2 (en) 2013-12-20 2019-04-16 Loughborough University Railway points, railway points operating apparatus and railway track cross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0202B2 (en) 2013-12-20 2019-04-16 Loughborough University Railway points, railway points operating apparatus and railway track crossing
GB2516712A (en) * 2014-03-03 2015-02-04 Univ Loughborough Railway track crossing
GB2516712B (en) * 2014-03-03 2015-08-19 Univ Loughborough Railway track cros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390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сокоупругого закрепле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рельсов на стандартных бетонных шпалах
KR101019923B1 (ko) 레일 고정 장치
RU2468135C2 (ru)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перечной регулировки положения рельса
US7938379B2 (en) Three axis adjustable mounting system
BR112012015312B1 (pt) aparelho fixador de trilho ferroviário
KR101821331B1 (ko) 전철기의 첨단 레일용 롤러 장치
JP5607619B2 (ja) レールを固定するためのアングルガイドプレートおよびシステム
RU2008143291A (ru) Ручной резак для керамики
KR20100098098A (ko) 윙 레일에 대한 프로그의 고정 장치
CN212714928U (zh) 一种预应力锚索加固结构
RU2012147521A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стовин с подвижным сердечнтком
CN106103069B (zh) 工具滑动机构
CN105401490B (zh) 用于调整道岔尖轨的滚子装置
US10138602B2 (en) Fastening point, in which a rail forming part of a track for rail vehicles is mounted on a foundation
KR102291644B1 (ko) 철도 레일 고정 장치
KR20070025013A (ko) 탄성레일체결장치
CA3057955C (en) Boltless rail brace
EA037904B1 (ru) Регулируемое роли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релочных остряков
TW200300811A (en) Device for the lateral support of a rail
KR20120056949A (ko) 철도 베이스플레이트 및 레일 체결장치
US20160244919A1 (en) Intermediate Element and System for Fixing a Rail for a Rail Vehicle Onto a Foundation
RU2484194C1 (ru) Анкер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CN109297661B (zh) 一种汽车座椅耐久性试验台
RU2575317C2 (ru) Роли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рякового рельса стрелочного перевода
US20230383473A1 (en) Arrangement for holding down a 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