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925A - 얼음조각용 도구, 이를 이용한 입체감이 있는 무늬의 조각방법 및 입체감이 있는 얼음조각 - Google Patents

얼음조각용 도구, 이를 이용한 입체감이 있는 무늬의 조각방법 및 입체감이 있는 얼음조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925A
KR20100097925A KR1020090016814A KR20090016814A KR20100097925A KR 20100097925 A KR20100097925 A KR 20100097925A KR 1020090016814 A KR1020090016814 A KR 1020090016814A KR 20090016814 A KR20090016814 A KR 20090016814A KR 20100097925 A KR20100097925 A KR 20100097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ool
carving
pattern
dimensional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호
Original Assignee
신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호 filed Critical 신명호
Priority to KR102009001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7925A/ko
Publication of KR2010009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three-dimensionally for making single sculptures or models
    • B44B1/0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1/00Artists' hand tools for sculpturing, kneading, carving, engraving, guilloching or embossing;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얼음조각법으로는 전혀 구현할 수 없었던 꽃 무늬와 같이 복잡한 형상의 입체 무늬를 얼음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어, 얼음조각 디자인의 다양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얼음조각용 도구와 이를 이용한 조각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는 전동모터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와 커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팅부는 길이의 직각방향 단면이 삼각형으로 되어 3개의 커팅 날을 이루고, 그 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얼음조각

Description

얼음조각용 도구, 이를 이용한 입체감이 있는 무늬의 조각방법 및 입체감이 있는 얼음조각 {TOOL FOR ICE CARVING, METHOD OF CARVING ICE WITH THREE-DIMENSIONAL EFFECT USING THE TOOL AND ICE CARVING WITH THREE-DIMENSIONAL EFFECT}
본 발명은 얼음에 입체감이 있는 무늬를 얼음의 내부에 형성하기 위한 얼음조각용 도구와 이 도구를 이용한 조각방법과 이 방법을 통해 형성된 얼음조각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얼음조각법으로는 전혀 구현할 수 없었던 꽃 무늬와 같이 복잡한 형상의 무늬를 얼음의 내부에 쉽게 새길 수 있어, 얼음조각의 디자인의 다양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얼음조각용 도구와 이를 이용한 조각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얼음조각은 얼음 소재로 하여 동물, 인체, 건축물, 기타 각종 형상을 조각한 것으로서, 실내 분위기를 화려하게 꾸며주기 때문에 각종 연회, 파티, 야외결혼식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각이다.
이와 같은 얼음조각에는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얼음조각 속에 사진이나 연회 목적에 맞는 명칭, 심볼, 글씨 또는 무늬 등을 새기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 다.
한편, 얼음조각은 단단하게 얼었을 때는 지나치게 취성이 강하여 쉽게 부서지기 때문에 얼음이 전반적으로 녹아내려 물기가 흐를 때 조각을 시작하며, 보통 50×25×100㎝ 표준 사이즈의 얼음 1개를 조각하는데 보통 30~40분 정도의 조각 시간이 소요된다.
종래의 얼음의 내부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은, 글씨, 심볼 또는 단순한 무늬 등을 얼음에 음각하거나, 음각한 글씨, 심볼 또는 무늬 부분에 불투명한 얼음가루를 채워 넣어 음각한 얼음의 반대 측에서 볼 때, 글씨나 심볼 등이 부각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상감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무늬 자체를 음각으로 만드는 방법은 얼음의 투명성으로 인해 그 무늬가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에 미감을 높이는데 적합하지 않고, 음각으로 파낸 부분에 얼음가루를 채우는 방식은 이미 녹기 시작한 얼음의 표면에 얼음가루를 채우기 때문에 얼음가루가 쉽게 녹아버릴 뿐 아니라 작업상으로도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상감기법에 의해 얼음판의 내부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장미나 카네이션과 같은 복잡한 꽃 무늬를 실제와 거의 유사한 입체감을 부여하도록 음각하기가 매우 곤란할 뿐 아니라, 설령 음각을 했다 하더라도 음각한 부분의 말단까지 얼음가루를 채워넣기 위해 외부에서 높은 압력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미세하게 조각된 부분이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심할 경우 조각 자체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제까지 꽃 무늬와 같이 복잡한 입체감을 요하는 무늬를 얼음판의 내부에 형성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꽃 무늬와 같이 미세하면서도 복잡한 형태의 입체 무늬를 용이하게 얼음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는 얼음조각용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복잡하고 섬세한 형상의 입체 무늬를 얼음 내부에 형성할 수 있는 조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입체감이 있는 무늬가 내부에 형성된 얼음조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전동모터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와 커팅부로 이루어진 얼음조각용 도구로서, 상기 커팅부는 길이의 직각방향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3개의 커팅 날을 형성하며, 그 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조각용 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의 커팅부의 단부는 얼음 내부로 쉽게 도입되어 다양한 깊이로 미세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단면상 삼각형을 이루는 커팅 날은 회전운동에 의해 절삭된 얼음가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얼음 내부에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는 종래의 얼음조각용 도구와 정 반대로 절삭된 얼음가루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내부에 그대로 유지시키도록 하는데 기 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얼음의 내측에 회전하는 공구를 삽입하여 얼음가루로 만들고 이 얼음가루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유지시켜 무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조각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방법은 전술한 종래의 음각한 부분에 얼음가루를 채우는 상감방식에 의하지 않고, 단지 상기 도구를 얼음판 내부에 찔러넣고 헤집는 방법을 통해 얼음가루를 만들어 그 자리에 유지시켜 이를 그대로 무늬로 활용하는 점에서 종래의 방법과는 그 발상이 완전히 다르다.
또한, 상기 얼음조각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구로 전술한 단면상 삼각형을 이루는 3개의 커팅 날을 구비한 도구를 사용하며, 무늬를 형성한 후에 상기 도구를 삽입한 투입구 부분에 염료를 주입하여 염료가 침투하는 깊이에 따른 염료의 농도 차에 의해 입체감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작된 꽃과 같은 입체감이 있는 무늬가 음각으로 형성된 얼음조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에 의하면, 종래의 얼음조각 도구나 조각방법으로는 도저히 구현할 수 없었던 꽃 무늬와 같이 복잡하고도 입체감이 있는 무늬 를, 회전하는 도구를 얼음판의 내부에 삽입한 후 헤집는 작업만으로도 단시간 내에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방법에 의하면, 절삭된 얼음가루를 얼음 내부에 그대로 유지시켜 이를 무늬로 활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음각 후 얼음가루를 채우는 방법에 비해 작업공정이 줄어들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방법은 얼음이 녹지 않은 상태에 있는 얼음 내부에서 얼음가루를 형성하고 그대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얼음조각이 완전히 녹기 전까지 내부의 얼음가루가 녹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포함한다"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 /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 및 얼음조각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얼음조각용 도구]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의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를 전동모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1)는, 크게 체결부(10)와 커팅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체결부(10)는 전동모터의 체결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원통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전동모터의 체결방식에 따라 체결부에 평탄 절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커팅부(20)는 상기 체결부(10)의 일 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A 단면상 삼각형을 이루면서 소정길이까지 연장하다가, 단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여 끝이 뾰족한 형상을 이룬다. 이에 따라 커팅 날이 3개 형성되어 있고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되어 있다. 선단의 경우 날카롭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라운드형으로 하는 것이 복잡한 형상의 조각에 보다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커팅부의 선단은 재료가 되는 얼음판의 내부로 커팅 날이 용이하게 도입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3면으로 이루어진 커팅 날은 커팅된 얼음가루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않고, 커팅된 부분에 그대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얼음조각용 도구(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 에 체결되어 사용된다.
[조각 방법]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의 작업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를 이용하여 제작한 얼음조각의 정면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를 이용하여 제작한 얼음조각의 측면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조각방법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한다.
상기 음각단계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조각용 도구의 커팅부(20)를 얼음판의 내부로 비스듬하게 다양한 깊이로 삽입하여 부채꼴 모양으로 회전시키면서 얼음판의 내부를 헤집어서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 얼음판의 내부에 커팅된 얼음가루는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은 채 유지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늬를 입체적으로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염색단계에서는 얼음조각용 도구를 삽입한 부위의 얼음가루에 염료를 주입하면, 염료는 얼음가루를 따라 깊이 방향으로 침투되어 가는데, 이때 침투깊이가 깊어질수록 염료의 농도가 옅어지기 때문에, 얼음판의 다른 면에서 볼 때, 입체감이 보다 분명해지며, 거의 실물에 가까운 꽃과 같은 음각이 가능해진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음각 무늬가 형성된 얼음조각의 정면 및 측면도의 사진인데, 이들 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거의 실물에 가까운 복잡한 입체 꽃 무늬의 형성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를 전동모터에 장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의 작업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를 이용하여 제작한 얼음조각의 정면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조각용 도구를 이용하여 제작한 얼음조각의 측면 사진이다.

Claims (4)

  1. 전동모터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와 커팅부로 이루어진 얼음조각용 도구로서,
    상기 커팅부는 길이방향의 직각방향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3개의 커팅 날을 이루고, 그 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조각용 도구.
  2. 얼음의 내측에 회전하는 공구를 삽입하여 얼음가루로 만들고 이 얼음가루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유지시켜 무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조각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제 1 항의 공구이며, 상기 무늬를 형성한 후에 상기 공구를 삽입한 투입구 부분에 염료를 주입하여 염료가 침투하는 깊이에 따른 농도 차에 의해 입체감이 부여되도록 하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형성된 얼음조각.
KR1020090016814A 2009-02-27 2009-02-27 얼음조각용 도구, 이를 이용한 입체감이 있는 무늬의 조각방법 및 입체감이 있는 얼음조각 KR20100097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814A KR20100097925A (ko) 2009-02-27 2009-02-27 얼음조각용 도구, 이를 이용한 입체감이 있는 무늬의 조각방법 및 입체감이 있는 얼음조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814A KR20100097925A (ko) 2009-02-27 2009-02-27 얼음조각용 도구, 이를 이용한 입체감이 있는 무늬의 조각방법 및 입체감이 있는 얼음조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925A true KR20100097925A (ko) 2010-09-06

Family

ID=4300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814A KR20100097925A (ko) 2009-02-27 2009-02-27 얼음조각용 도구, 이를 이용한 입체감이 있는 무늬의 조각방법 및 입체감이 있는 얼음조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9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2840A (zh) * 2013-12-24 2014-04-02 范崇义 一种深浮雕三棱锥刀
CN106696573A (zh) * 2017-03-15 2017-05-24 中山市园丰精密刃具有限公司 一种雕刻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2840A (zh) * 2013-12-24 2014-04-02 范崇义 一种深浮雕三棱锥刀
CN106696573A (zh) * 2017-03-15 2017-05-24 中山市园丰精密刃具有限公司 一种雕刻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7925A (ko) 얼음조각용 도구, 이를 이용한 입체감이 있는 무늬의 조각방법 및 입체감이 있는 얼음조각
CA2476045A1 (en) A method for creating a three-dimensional engraving in a solid and a product created by said method
MY150108A (en) Editing text within a three-dimensional graphic
CN204128019U (zh) 一种激光雕刻图案的陶瓷面板
KR102001660B1 (ko)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JP2006257344A (ja) 加飾成形体及び成形体の加飾方法
CN100455450C (zh) 美术石材及其制造工艺
GB2512142A (en) Method for modifying, customising or personalising flip flop straps
JP4228372B2 (ja) 備長炭を用いた篆刻雅印
JP3560545B2 (ja) 象嵌風細工製品の製造方法
CN214383330U (zh) 一种具象泥塑衣纹低点雕塑刀
CN2782429Y (zh) 具立体视觉效果的工艺品结构
CN106696579A (zh) 一种刀具手柄的木质外柄的加工方法
CN105644250A (zh) 一种木雕镶片加工工艺
CN202463431U (zh) 一种镶嵌玻璃的灯箱画
KR101260345B1 (ko) 발포스티로폼과 솔리드액을 이용한 문양의 입체화 방법
CN105856948A (zh) 一种琉璃镶嵌铜版画
JPH0521438Y2 (ko)
FR3009641A1 (fr) Procede de sculpture en ligne couple a un dispositif 3d
KR20090054351A (ko) 양과 음의 패션
CN109080362A (zh) 一种石材余料拼接工艺及制成的工艺品
CN114801567A (zh) 一种基于透明材质的三维五面雕刻方法
KR20010082474A (ko) 레이저 조각기를 이용한 비석 및 묘비에 사용되는석판상에 초상화 조각 및 가공
EP0462097A1 (fr) Procédé de reproduction analytique par gravure sur pierre ou sur tout autre matériau
JP5347058B1 (ja) 化粧シート又は化粧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