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895A -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895A
KR20100097895A KR1020090016769A KR20090016769A KR20100097895A KR 20100097895 A KR20100097895 A KR 20100097895A KR 1020090016769 A KR1020090016769 A KR 1020090016769A KR 20090016769 A KR20090016769 A KR 20090016769A KR 20100097895 A KR20100097895 A KR 2010009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building
floor
wall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열
Original Assignee
서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열 filed Critical 서종열
Priority to KR102009001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7895A/ko
Publication of KR2010009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포성 재료의 단열성을 극대화고 건축물의 바닥,벽,지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경제성과 주거환경성에서 장점이 있는 특징이 있다. 인류의 주거생활과 더불어 많은 건축재재료의 발전도 있었으나 시각적으로 보이는 부분은 화려하거나 견고하게 축조하고 있으나 건축물에서 중요한 단열문제는 허술하게 처리하여 냉난방에 에너지 비용을 지 불하고 있다.건축재료가 사용되는 벽이나 지붕 단열의 기능성을 확보하자면 미세 공기층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벽의 두께를 30cm 이상으로 할 수도 없다.
건축재료의 특성상 견고성,단열성 흡수성 ,내화성, 흡 음성, 환경성,내구성 등이 요구되고 있으나 유기재료와 무기재료의 한계성으로 어느 재료는 과하거나 부족하여 서로 보완하여 사용되고 있다.즉 콘크리트재료와 발포합성수지의 재료에서 콘크리트 제품은 견고성과 내화성에서는 매우 안정적이지만 반면 발포합성수지의 장점인 단열성, 흡수성이 부족하여 발포합성수지와 무기발포 등을 사용하여 부족한 특성을 보조재료로 사용되고 있는데 5~10cm 이상의 공기층을 형성하기는 곤란하고 발포합성수지만을 20cm이상 사용하면 견고성, 화재의 취약점과 내구성에서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단열성, 내진성, 내풍성,냉난방, 외벽, 주거환경성, 건축물, 벽체구조

Description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The construction method which uses the firing characteristic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즘 들어 지구 온화와 CO2 배출이 심각히 대두하게 된바 건축과 환경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즉 효율적인 건축방법으로 에너지 사용을 극히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포성 재료의 단열성을 극대화고 건축물의 바닥,벽,지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경제성과 주거환경성에서 장점이 있는 특징이 있다. 인류의 주거생활과 더불어 많은 건축재재료의 발전도 있었으나 시각적으로 보이는 부분은 화려하거나 견고하게 축조하고 있으나 건축물에서 중요한 단열문제는 허술하게 처리하여 냉난방에 에너지 비용을 지 불하고 있다.건축재료가 사용되는 벽이나 지붕 단열의 기능성을 확보하자면 미세 공기층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벽의 두께를 30cm 이상으로 할 수도 없다.
건축재료의 특성상 견고성,단열성 흡수성 ,내화성, 흡 음성, 환경성,내구성 등이 요구되고 있으나 유기재료와 무기재료의 한계성으로 어느 재료는 과하거나 부족 하여 서로 보완하여 사용되고 있다.즉 콘크리트재료와 발포합성수지의 재료에서 콘크리트 제품은 견고성과 내화성에서는 매우 안정적이지만 반면 발포합성수지의 장점인 단열성, 흡수성이 부족하여 발포합성수지와 무기발포 등을 사용하여 부족한 특성을 보조재료로 사용되고 있는데 5~10cm 이상의 공기층을 형성하기는 곤란하고 발포합성수지만을 20cm이상 사용하면 견고성, 화재의 취약점과 내구성에서 문제가 발
생 될 수 있다.
건축방법에서 건축물의 범위는 바닥, 벽, 지붕을 나눌 수 있는데 어떤 재료와 방법으로 시공하느냐에 따라 그 비용과 효율이 발생하게 되는데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IT분야의 속도에 비하면 특이한 건축재료가 개발이 되지 않은 것은 그만큼 특별한 기능과 효능이 있는 재료의 개발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재료는 생활 건강상 해로운 것이 발견되어 생산이 중단되고 사용된 것들의 처리가 곤란하여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기발포제품들은 양면을 철판으로 보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700℃ 이상의 화제온도에 소방수가 침투하지 못하여 화재에 취약한 분분이라 할 수 있다.이러한 재료를 건축재로 사용할 경우 비용의 발생과 시공의 편리함의 이득의 있으나 건축물의 부실한 시공과 건축물 표면에서 발생 되는 복사에너지의 방지는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건축물에서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즉 건축에 있어서 지붕의 역할은 직접적으로 태양과 계절의 온도변화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내후성이 문제 시 되며 남대문화재에서 기둥이나 벽보다는 지붕의 화재가 취약하거나 오래된 고 건축물에서 기와의 보수가 제일 먼저 이루어지는 것 을 보면 지붕의 건축방법이 건축물의 수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지붕건축에서 내후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수분의 흡수가 재료의 변형을 가져오는 주요인이라 말할 수 있고 진동과 바람과 화재 등의 의한 소실을 들을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살펴 본 바 상반된 재료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고 경제성과 시장성,시공성을 더한 재료를 대한민국특허등록 10-049914호에 본 발명자가 개발한 건축재료가 제시되고 있으나 상기 재료를 이용하여 건축하는 과정에서 건축자재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건축방법의 간소화와 지붕설치에 특징이 있어 건축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개발한 상기발명은 형틀에서 발포합성수지입자와 시멘트모르타르에 강한 압축을 가하고 양생한 후 절삭하는 방법으로 압축강도와 내후성, 단열성이 양호하여 압축구조물을 대형화시켜 장비작업에 의하여 구조물을 조립하는 방법으로 주로 건축물의 벽에 사용하는 실용화 단계에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서 그다지 압축강도가 필요하지 않거나 바닥과 지붕과 같이 면적이 넓은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면서 지붕설치의 일체화와 건축시공방법이 간소하여 20Cm로 타설하였을 시에 완벽한 단열의 효과와 화제에 안전한 건축물이 될 수 있으며 창틀의 인방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앵글, 형강 등을 삽입하여 발포성 재료와 시멘트모르타르를 투입하여 다짐한 후 양생하는 단계로 마무리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바닥,벽,지붕에 최적의 재료와 건축방법이 조화를 이루어 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 인구의 노령화에 따라 전원주택이나 농가주택에서 제일 문제가 되고 있는 냉난방의 절감과 건축비용의 최소화하여 에너지절약과 폐기시 발생하는 환경부화를 최소화하는 건축방법이다.
철근콘크리트구조, 목조, 블록조적구조, 철골구조 등 여러가지 건축물의 지붕설치에 있어서 목조 건축물에서는 석가래 위에 가로로 목재를 설치하고 흙을 체우고 기와, 짚,스레트, 함석,너와 등으로 마무리하거나 콘크리트건축물에서는 거프짚위에 단열재를 5~10cm설치하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무리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있고 발포합성수지인 스티로폼, 우레탄폼 등으로 판넬을 만들어 시공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러한 재료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매우 취약한 부분이 있는 반면 시공의 편리성 등이 있다. 이러한 상반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장점을 최대한 보유하는 것이 과제라 할 수 있다.
건축물의 바닥,벽,지붕에 최적의 재료와 건축방법에서 유기재료와 무기재료를 결합하여 재료 간의 장단점을 보완하고자 개발된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이다,
무기발포성 재료로는 질석, 진주암, 부석, 난석, ALC경량브럭,유리면 등이 있고 유기발포성 재료로는 스티로폼, 아이소 핑크 ,우레탄폼 ,비닐발포재 등이 있는데 유기성 발포재는 단열재로서 재사용에 매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소각 하거나 매립하는 방법보다 다시 사용하는 것이 환경부화를 저감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발포성 재료를 압축강도가 강하고 값이 비교적 저렴한 시멘트와 모래를 모르타르로 만들어 발포성 재료의 입자와 혼합하여 바닥,벽,지붕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철근, 앵글, 형강들을 배근하거나 조립하여 시멘트모르타르와 혼합된 발포성 재료를 투입하여 다짐을 한 후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방법으로 양성시켜 거푸집을 해체한 후 일반적인 시공방법으로 표면을 처리하여 마감한다.
특히 지붕건축에 있어서 목재 석가래 위에 가로막을 설치하여 시멘트모르타르와 혼합된 발포성 재료를 투입한 후 다짐을 하여 양성한 다음 시멘트 미장을 하여 아스팔트싱글이나 기타 지붕재로 시공하여 마무리 하거나 상기 혼합된 재료를 투입한 후 다짐을 하여 양성한 후 황토 진흙으로 기와지붕 시공방법과 같이 마무리한다.또한 철골구조물 지붕에 있어서 철근,앵글, 형강 등을 설치 후 거프집을 시공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혼합된 재료를 투입한 후 다짐한 후 다양한 방법으로 마무리한다.콘크리트 지붕은 바닥과 지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거푸집설치 후 상기 혼합된 재료를 투입한 후 다짐하여 2~3일 간 양생한 다음 철근배근과 전기시설을 한 후 일반적인 콘크리트 타설방법에 준한다.
주택건축물 등의 건설비의 저가격화하는 것은 건축주, 건축설계자 및 건축시공자에 있어서의 공통의 과제인데 거기에 내구성, 차음성, 내화성 및 축열성, 단열성, 물리적 성능에 있어서도 우수하다면 그러한 재료는 획기적인 발전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국에서 생산된 비교적 저가격의 수입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건축비를 저가격화하는 필요한 수단으로 생각하지만 운송비 등 재료의 품질도 문제 시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습식공법은 공법의 단점을 뛰어 넘는 효과가 있다.
건축물의 바닥, 벽,지붕 등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단열을 적절하게 조합시키고 설계하중을 적절하게 부담하는 철골구조물(14)과 저층 건축물의 외벽 마무리(2) 벽체구조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서 건축물의 지붕구조는 발포성 혼합재료(1)를 사용하여 친환경의 주거지를 저렴한 재료비와 시공,운송비 등을 절약함에 있어서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기술한다.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으로 시공하는 설명도 도 1에서 보면 건축물의 모든 부분에서 발포성 혼합재료(1)가 사용될 수 있는데 지붕바닥면(5)은 단층에서는 도 3의 철근 콘크리트 타설이 필요없는 지붕에 관한 상세도와 같이 1차 미장마무리면(9) 을 방수 처리와 더불어 잔디(17)나 아스팔트싱글 및 기타지붕재(18)로마감을 한다. 한 편 도 4와 같이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으로 철근 콘크리트 타설이 필요한 지붕, 바닥에 관한 상세도에서 보는 것 같이 도 3의 철근 콘크리트 타설이 필요없는 지붕에 관한 상세도에 일반 콘크리트타설(12) 공법으로 시공하면 벽이나 바닥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단열재를 따로 쓰지 않아도 되며 지붕바닥면(5)에 발포성 혼합재료(1)두께를 20Cm로 시공하고 1차 미장마무면(9)에 콘크리트 철근(7)을 배근한 후 일반 콘크리트타설(12)로 2차 미장마무리면(10)에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마감한다.
이때 지붕이나 슬라브가 두꺼워져 단기수평하중이 문제시되나 이에 적합한 설계구 조를 갖는 철골구조물(14)에서 건축물의 벽체구조인 전단보강부재에 의하여 중량이부담이 된다. 오히려 완벽한 단열과 층간 소음문제에 중량과 층고가 증가하는 부담은 상쇄하고 남는다.
발포성 혼합재료(1)를 지붕바닥면(5)이나 바닥에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이나입자가 조밀한 철망을 지붕 및 바닥심재(3)의 아래 부분에 동바리를 설치하거나 동바리가 필요없이 지붕 및 바닥심재(3)의 아래부분에 발포성 혼합재료(1)가 빠져 나가지않은 조밀한 철망이나 철판을 직접 용접하거나 목제 합판을 영구적으로 부착하여 발포성 혼합재료(1)를 투입하고 다짐을 하여 양생을 2~3일 한 후 1차 미장마무리면(9)을 마감하여 지붕이나 바닥면을 시공한다. 상기의 동바리가 필요없는 시공방법에서 지붕 및 바닥심재(3)에 의해 발포성 혼합재료(1)의 천체중량이 벽 구조체에 전달된다.발포성 혼합재료(1)가 양생 되면 지붕 및 바닥심재(3) 만으로 벽 구조체에 전달되던 중량이 발포성 혼합재료(1)의 물성인 벌집구조와 결합이되어 발포성 혼합재료(1)를 타설 한 4~5일 후 콘크리트 철근(7)을 배근하고 일반 콘크리트타설(12)을 한다. 이때 중량을 받는 벽구조체의 이격 거리가 길면 소정의 동바리를 설치하여야 되나 튼튼하고 층이 높은 철골구조물에서의 슬라브는 H빔 사이에 설계구조에 적합한 지붕바닥,벽에 사용되는 심재(6)을 선택하여 시공하면 도 3의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으로 철근 콘크리트 타설이 필요없는 지붕에 관한 상세도에 와이어메쉬,조밀한 철망 등을 깔고 모르타르로 시공하면 동발이가 전혀 필요하지 않아 건축공기의 단축과 완벽한 단열과 소음진동을 차단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포성 혼합재료(1)의 두께는 20~30Cm 정도 투입하여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방법은 발포성 혼합재료(1)와 지붕 및 바닥심재(3)를 형틀에 적합한 치수로 삽입하여 제작하여 다른 장소에 설치하고 상기 재료를 압축장치로 압축하여 양생한 후 장비를 사용하여 바닥,지붕,벽에 시공한다.또한 상기방법에 콘테이너 박스와 같은 형태의 모서리 부분과 내부에 지붕바닥,벽에 사용되는 심재(6)를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양생한 후 박스형태의 구조물을 연결하거나 적층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이 있는 데 상기의 구조물의 형태에 있어서 사각형 박스형태와 둥근형, 삼각형 등에서 어느한 형태를 선택하고 구조물을 연결하거나 모서리 부분이 심재끼리 용접하거나 불트로 체결하여 구조물을 시공하고 창문이나 출입문은 발포성 혼합재료(1)와 지붕 및 바닥심재(3)와 같이 미리 제작하거나 양생후 현장에서 카타장치를 사용하여 도려내어 필요한 부분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 할수 있으나 사각형 박스형태는 육면 중에 어느 한 면과 둥근 형태에서는 반원형의 밑부분을 발포성 혼합재료(1)를 투입하지 않고 양생시켜 구조물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한 면이 없는 면 끼리 적층하거나 연결하여 시공하면 공간이 넓은 곳의 건축물의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와 인건비 등 많은 비용이 절감된다.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에서 상기의 구조물형태로 제작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어려운 점과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보면 최하 육면체의 구조물을 2.5mХ2.5mХ6m로 제작하려면 대형압축장치의 시설이 어려운 점이 있으나 구조물형태로 제작하여 시공하는 방법 중 효과적인 것은 대형프랜트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정밀도와 시공상 편리성과 공기의 단축과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 할 수 있고 적층 된 구조물의 바닥 슬라브나 지붕을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을 할 때 동발이나 유로폼이 필요하지 않아 자제와 인건비 등이 생략되는 효과가 있다, 즉 건 축물의 지붕, 바닥, 벽이 발포성 혼합재료(1)와 지붕 및 바닥바닥심재(6)의 일체화로 된 구조물에 의해 시공되는 효과가 있고 구조물을 이축하거나 철거 할 경우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즉 다양한 모형과 면을 만들어 조립식 건식공법으로 시공하는 데 공기의 축과 재료비절감과 인건비의 노무비용 줄일 수 있다. 조립식 방법으로 시공한 건축물에서는 상하좌우 연결부분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재료는 입자간의 균열이 발생되지 않아 우레탄 스프레 발포제나,시멘트모르타로 접착이 잘된다. 상기 양생된 구조물을 벽구조체 설치에 있어서 상하에 접촉하는 면에는 시멘트모르타가 접착에 용이하고 좌우 측면은 우레탄 스프레이 발포제가 시공에 접합한 접착재료이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실시 예는 발포성 혼합재료(1)와 지붕 및 바닥심재(3)의 재료의 선택과 시공방법은 실시 예를 들지 않더라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에 준한다.
건축물의 창호 설치에 있어서 창틀의 인방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창문인 방 심재(15)로 앵글, 형강 등을 삽입하여 발포성 혼합재료(1)와 시멘트모르타르를 투입하여 다짐한 후 양생하는 단계로 마무리하는 방법은 창틀 위의 중량을 저감하여 창틀의 변형을 방지하고 주로 창문에서 발생하는 응결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이며
건축구조물의 조립시 발생하는 자투리 부분의 벽체나 초대형 저온저장고의 벽체에 지붕바닥,벽에 사용되는 심재 (6)를 삽입하거나 제외시켜 거푸집을 시공한 후 발포성 혼합재료(1)를 투입하고 다짐하여 양생시키면 자투리부분은 편리하게 연 결을 할 수 있고 초대형저장고나 온도를 보관할 목적의 건축물은 벽체 등의 두께를 30Cm이상으로 시공할 경우 건축물의 에너지사용을 극히 적게 사용할 수 있다.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에서 발포성 재료의 단열성을 극대화고 건축물의 바닥,벽,지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의 하나로 태양의 복사에너지에 방지에는 지붕에 태양전지판이나 초본식물식재(11)를 하거나 벽 구조체의 주변에 초목을 식재 하거나 덩굴식물을 올려 태양의 복사에너지 저감에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지만 콘크리트 지붕에서 완벽한 방수처리가 되지 않거나 판넬 지붕에는 초본식물식재(11)을 위해 양질토(8)가 적제 되기때문에 중량을 견디지 못하여 시공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의 지붕의 초본식물식재(11)를 위해 1차미장마무리면(9)또는 2차 미장마무리면(10)을 완벽한 방수처리와 더불어 지붕에 양질토(8)를 적재하여 잔디(17)등의 초본식물식재(11)를 하여 태양의 복사에너지 저감과 주거환경성에서 장점이 있는 특징이 있다.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은 주거생활의 건축물에 전반적인 분분에서 시공상 특징이 있는데 그중에 단열성이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는 데 그 부분에 시공방법을 역점을 두면 실내의 조명과 실내공기의 오염이 문제될 수 있으나 창문은 작게 설치하고 고정식 실내조명창(13)을 적절하게 설치하여 조명의 부족한 점을 해결하고 실내 공기의 오염은 실내공기정화 및 환기구(16)를 설치하여 나가는 공기의열과 들어오는 공기의 열의 온도차를 열 회수장치를 설치하여 들어오는 공기를 필터등의 장치를 설치하여 정화시켜 실내에 유입되게 하여 황사나 기타 공기의 의한 전염병균에 노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주거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으로 발포성 재료 를 이용한 건축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요 창문은 여닫이가 필요없는 고정식 창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실내조명창(13)도 고정식으로 시공하는데 우천에 대비하거나 우박등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스태인레스 철망을 설치하고 창이나 실내조명창(13)은 3~4중 유리로 시공하여 완벽한 단열건축물을 축조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비상시를 대비하거나 실내공기의 자연대류현상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향의 창문은 여닫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 단열재로 사용 할 경우 아파트 아래층의 소음 ,진동, 공명현상을 최소화하고 보일러 배관시는 제품배관의 크기에 따라 기계로 홈을 파고 모르타르로 바닥마감을 하면 바닥 콘크리트의 두께가 8Cm~5Cm에서 3Cm~2Cm로 줄이는 효과가 있고 철골 구조물 건축에서는 일반 콘크리트블럭에 비해 60%로 건물이 경량화된다.
외벽과 내벽,지붕을 다양한 방법으로 마감처리하여 건축물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다용도 복합소재로 고급금속, 비금속강판을 접착, 흡착, 부착하여 마무리하거나, 내 외벽과 천정의 표면을 가열하여 유기 발포성 입자를 용융시키면 표면에 깊은 굴곡이 생기는데 그 표면에 순황토만을 모르타르로 만들어 내외벽을 미장 마감하여 순황토방의 기능을 할 수 있는데 깊게 패인 구멍으로 순황토 모르타르가 치환되어 건축물의 천정 내외벽을 황토로 마감 건조한다.
황토 내벽은 황토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과 황토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악취제거 와 실내공기의 정화효과을 얻을 수 있어 건강생활에 도움을 주며 황토외벽은 마무리는 건조 후 방수액분사로 마감처리 하면 빗물에 의한 표면유실을 막을 수 있
외벽마무리(2) 지붕 및 바닥심재(3) 지붕바닥면(5)
지붕바닥,벽에 사용되는 심재 (6)콘크리트 철근(7)양질토(8
발포성 혼합재료(1) 외벽마무리(2) 지붕 및 바닥심재(3) 지붕바닥면(5)
지붕바닥,벽에 사용되는 심재(6) 콘크리트 철근(7)양질토(8)
1차 미장마무리면(9) 2차 미장마무리면(10) 초본식물식재(11)
일반 콘크리트타설(12) 실내조명창(13) 철골구조물(14) 창문인방 심재(15)
실내공기정화 및 환기구(16) 잔디(17) 아스팔트싱글 및 기타지붕재(18)
도1 ;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으로 시공하는 설명도
도2 ;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으로 지붕,벽,바닥에
심재 사용방법의 관한 상세도
도3 ;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으로 철근 콘크리트 타설이
필요없는 지붕에 관한 상세도
도4 ;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으로 철근 콘크리트 타설이
필요한 지붕, 바닥에 관한 상세도

Claims (5)

  1. 거푸집으로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지붕,바닥,벽에 사용되는 심재(6)를 삽입하는 단계와 수분을 흡수하지 않은 발포성 재료에 일정량의 비율로 시멘트와 모래,물을 혼합한 발포성 혼합재료(1)를 상기 구조물에 투입하여 다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으로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에 건축물의 지붕, 바닥, 벽이 발포성 혼합재료(1)와 지붕 및 바닥바닥심재(6)의 일체화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물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재료는 스티로폼,아이소핑크,우레탄폼,비닐발포제,
    질석,진주암,ALC경량블럭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바닥,벽에 사용되는 심재(6)는 목재,철근, 앵글,형강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혼합재료(1)를 상기 구조물의 지붕에 투입하여 다짐하고 1차, 2차 미장 마무리면(10)을 완벽한 방수처리와 더불어 지붕에 양질토(8)를 적재하여 잔디(17)등의 초본식물식재(11)를 하여 태양의 복사에너지 저감과 주거환경성에 장점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KR1020090016769A 2009-02-27 2009-02-27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KR20100097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69A KR20100097895A (ko) 2009-02-27 2009-02-27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69A KR20100097895A (ko) 2009-02-27 2009-02-27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895A true KR20100097895A (ko) 2010-09-06

Family

ID=4300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769A KR20100097895A (ko) 2009-02-27 2009-02-27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8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332B1 (ko) * 2018-05-28 2019-06-12 이영선 다공성 발포석을 이용한 잔디기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332B1 (ko) * 2018-05-28 2019-06-12 이영선 다공성 발포석을 이용한 잔디기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3238B2 (en) High performance, reinforced insulated precast concrete and tilt-up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9809981B2 (en)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precast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panels and high energy-efficient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913469B2 (en) Concrete load-bearing wall with compound heat-insulating layer
US20150315798A1 (en) Building panels and method of forming building panels
US8539721B2 (en) Lightweight building structure produced by using a mortar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RU2336395C2 (ru) Многослойн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наружной стены монолитно-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из многослойных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CN106522359A (zh) 一种全装配式村镇民居类复合墙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JP200222732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CN111101594A (zh) 一种冷弯薄壁轻钢结构建筑
CN215054296U (zh) 一种高强度防火保温隔墙结构
CN206205140U (zh) 一种全装配式村镇民居类复合墙结构体系
KR20100097895A (ko) 발포성 재료를 이용한 건축방법
CN205476047U (zh) 用于钢结构墙体的装配式eps模块夹心保温复合墙板
CN210828046U (zh) 一种免支模复合保温隔声板
KR101387602B1 (ko)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RU2812973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дания
KR100823300B1 (ko) 콘크리트 골조주택 스틸마감구조 및 방법
CN216041960U (zh) 轻质组合整体式预制内隔墙
RU147338U1 (ru) Монолитное здание
KR100603752B1 (ko) C형강, h빔, 원목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799091B1 (ko)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209837280U (zh) 多孔钢架复合轻型墙体的建筑结构
CN113818601A (zh) 轻质组合整体式预制内隔墙及加工方法
KR20230010873A (ko) 그래핀 강화 초경량 경질발포우레탄 복합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강화 초경량 경질발포우레탄 복합판넬
CN105275127B (zh) 一种超轻体复合墙板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