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565A -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565A
KR20100097565A KR1020090016566A KR20090016566A KR20100097565A KR 20100097565 A KR20100097565 A KR 20100097565A KR 1020090016566 A KR1020090016566 A KR 1020090016566A KR 20090016566 A KR20090016566 A KR 20090016566A KR 20100097565 A KR20100097565 A KR 20100097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back tone
tone content
terminal
calling termin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7565A/ko
Publication of KR2010009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링백톤 서비스 서버는 착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요청한 발신 단말기로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전송하고,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발신자)가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제공받을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면 링백톤 서비스 서버는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를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제공받을 링백톤 컨텐츠의 선택 권한을 발신자에게 양도함으로써, 발신자의 링백톤 컨텐츠의 선택폭을 넓혀 발신자의 편의를 도모를 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16566
링백톤 서비스, 컬러링, 링백톤 컨텐츠, 변경, 링백톤

Description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service by a sender’s terminal}
본 발명은 링백톤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한 발신 단말기에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제공하여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로 대표적인 것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기능이라 할 수 있는 호 연결 시에 제공되는 링백톤 서비스이다. 링백톤 신호는 이동교환국(MSC)에서 발신 단말기로 제공되며,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할 때 발신자로 하여금 착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리는 음향 신호로 제공된다.
그러나 링백톤 신호는 음향이 매우 단조로워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대기 시간 동안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인 발신자가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단조로운 링백톤 신호를 대체하여 다 양한 영상 또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링백톤 컨텐츠를 제공하는 링백톤 서비스를 부가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링백톤 서비스는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인 착신자가 웹(web)이나 왑(wap)을 통해 링백톤 컨텐츠를 설정하면, 착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 단말기는 착신자가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를 출력하고 이를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인 발신자가 제공받는 부가서비스이다. 링백톤 서비스는 컬러링, 링투유, 필링 등의 서비스 명칭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링백톤 컨텐츠의 수혜자인 발신자는 착신자가 어떠한 링백톤 컨텐츠를 설정한다 하더라도 선택의 여지없이 설정된 링백톤 컨텐츠를 제공받기 때문에, 발신자의 편의가 고려되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발신자는 착신자가 변경하지 않는 한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를 반복적으로 제공받기 때문에, 착신자에게 잦은 호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자의 경우 단일 링백톤 컨텐츠의 잦은 노출로 인해 해당 링백톤 컨텐츠에 대하여 자칫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자가 설정해둔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발신자가 임의로 제공받을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호 제어기 및 링백톤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 제어기는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호 연결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는 상기 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전송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링백톤 서비스 서버가 호 제어기로부터 발신 단말기의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 전송 단계와,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링백 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링백톤 컨텐츠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링백톤 DB,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링백톤 서비스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링백톤 DB는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와,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저장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호 제어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링백톤 DB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추출하여 전송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를 상기 링백톤 DB에서 추출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요청을 호 제어기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 출력 단계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를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를 출력하 는 링백톤 컨텐츠 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통신부, 입력부, 단말 제어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발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는 호 제어기를 통하여 링백톤 서비스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요청을 상기 호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을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상기 링백톤 컨텐츠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백톤 서비스 서버는 착신자가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통하여 수신할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신자의 링백톤 컨텐츠 선택폭을 넓혀 발신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착신자가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의 선택 권한을 발신자에게 양도함으로써, 발신자는 착신자가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링백톤 컨텐츠의 선택 권한을 발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신자는 다양한 링백톤 컨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기 때문에, 발신자로 하여금 링백톤 서비스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호 제어기(30)와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 제어기(30)는 ALL-IP망과 같은 통신망을 매개로 링백톤 서비스 서버(40)와 연결되며,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10)간의 호 연결을 제어한다. ALL-IP 망은 일반 전화 교환망과 같은 유선 전화망과 국제 이동통신 IMT-2000망, 무선망, 패킷 데이터 망과 같은 기존의 통신망을 IP(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통합한 망이다.
호 제어기(30)는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10) 사이의 호 연결을 제어한다. 즉, 호 제어기(30)는 호 및 세션처리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CSCF(Call State Control Function) 또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 중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CSCF로 구현된 호 제어기(30)는 인입호에 대한 게이트웨이 기능, 호제어 기능, SPD(Serving Profile Database) 기능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의 단말기 위치 확인 기능 등을 수행 할 수 있다.
호 제어기(30)는 데이터 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기는 데이터 처리에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는 MRF(Media Resource Function)일 수 있다. 이 데이터 처리기는 패킷 라우팅, 전송,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및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호 제어기(30)는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10)로부터 MIN(Mobile Identity Number) 및 ESN (Electronic Serial Number) 정보를 수신하여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 제공할 수 있다.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호 제어기(30)로부터 착신 단말기(10)로 호 연결을 요청한 발신 단말기(20)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착신자가 기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링백톤 컨텐츠 메뉴는 다수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링백톤 컨텐츠 항목마다 링백톤 컨텐츠가 적용되어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적어도 하나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링백톤 컨텐츠 항목에 적용된 링백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이와 같은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발신 단말기(20)로 제공하여 발신자로 하여금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다수의 링백톤 컨텐츠가 저장된 CP(Contents Provider) 서버들과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CP 서버들로부터 링백톤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에 따른 링백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링백톤 서비스 서버(4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링백톤 DB(41), 송수신부(42) 및 제어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링백톤 DB(41)는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와,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저장한다. 링백톤 DB(41)는 착신자가 링백톤 서비스의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링백톤 서비스 사용자 등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42)는 착신 단말기(10)와 발신 단말기(20)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송수신부(42)를 통해 발신 단말기(2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링백톤 DB(41)에 저장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링백톤 컨텐츠를 포함한다.
제어부(43)는 링백톤 서비스 서버(4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43)는 착신자가 웹이나 왑을 통해 링백톤 서비스 서버(40)에 접속하여 설정하는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를 포함하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링백톤 DB(41)에 저장한다. 제어부(43)는 송수신부(42)를 통해 호 제어기(30)로부터 발신 단말기(20)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발신 단말기(20)가 호 연결을 요청한 착신 단말기(10)의 착신자가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제어부(43)는 호 제어기(30)로부터 착신 단말기(10)의 MIN 또는 ESN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링백톤 컨텐츠 DB(41)에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추출하여 발신 단 말기(2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43)는 착신자가 링백톤 서비스에 등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 여부에 따라 발신 단말기(20)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43)는 호 제어기(30)로부터 수신된 착신 단말기(10)의 MIN 또는 ESN 정보에 따라 링백톤 DB(41)에서 링백톤 서비스 사용자 등록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43)는 착신 단말기(10)가 링백톤 서비스 사용자로 등록된 것을 확인하면 해당 착신자가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링백톤 컨텐츠 DB(41)에서 추출하여 발신 단말기(20)로 제공한다.
제어부(43)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하여 발신자로 하여금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43)는 발신 단말기(20)로부터 발신자가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요청에 따라 해당 링백톤 컨텐츠를 링백톤 DB(41)나 CP 서버에서 검색하여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링백톤 컨텐츠 메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을 포함한다. 각 링백톤 컨텐츠 항목마다 링백톤 컨텐츠가 적용되어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적어도 하나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링백톤 컨텐츠 항목에 적용된 링백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링백톤 컨텐츠는 발신 단말기(20)에서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된다. 링백톤 컨텐츠 항목은 텍스트, 아이콘 또는 음성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발신 단말기(20)가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링백톤 컨텐츠 메뉴는 발신 단말기(20)에서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해당 링백톤 컨텐츠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 아이콘, 텍스트 및 동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기(20)가 다양한 영상 출력이 제한되는 경우, 예를 들면 영상 통화가 지원되지 않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링백톤 컨텐츠 메뉴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링백톤 컨텐츠는 지역, 운세, 날씨, 증권, 뉴스, 경제, 스포츠, 게임, 서적 또는 광고 컨텐츠 등 다양한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43)는 발신 단말기(10)로 링백톤 컨텐츠를 전송할 때, 링백톤 컨텐츠와 연관된 발신자의 개인 정보, 위치 정보, 링백톤 컨텐츠에 대한 호감 내역 등을 반영된 링백톤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링백톤 컨텐츠 메뉴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과 링백톤 컨텐츠에 대한 설명을 가지는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링백톤 컨텐츠 메뉴가 수신된 발신 단말기(20)에서 발신자가 링백톤 서비스에 대해 잘 알지 못하여 링백톤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링백톤 컨텐츠 메뉴는 이를 대비하기 위해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과 링백톤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정보는 발신 단말기(20)에서 동영상, 이미지 및 텍스트 등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음성 정보는 발신 단말기(20)에서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는 발신 단말기(20)가 착신 단말기(10)로 호 연결을 시도하 면 호 대기 시간, 즉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10) 간의 호가 연결되기까지의 대기시간에 발신 단말기(20)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전송한다.
또한 발신 단말기(20)의 호 연결 요청 시간이 호 대기 시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43)가 발신 단말기(20)로 제공되던 호 연결 서비스를 부재중 통화 서비스로 전환하고 전환 결과를 발신 단말기(20)로 통보하여 발신 단말기(20)가 부재중 통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43)는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하던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호 연결 서비스를 부재중 통화 서비스로 전환한다.
그리고 발신 단말기(20)의 호 연결 요청 시간이 호 대기 시간에 도달한 경우, 호 제어기(30)가 발신 단말기(20)로 제공되던 호 연결 서비스를 부재중 통화 서비스로 전환하고 전환 결과를 발신 단말기(20)로 통보하여 발신 단말기(20)가 부재중 통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3)는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하던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호 대기 시간은 1분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당업자의 소용에 따라 호 대기 시간은 변경 가능하다.
제어부(43)는 착신 단말기(10)가 발신 단말기(20)와 호 연결을 수락하는 후크(hook)신호를 감지하면,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하던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발신자가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10) 간의 호 연결을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43) 대신 호 제어기(30)가 착신 단말기(10)가 발신 단말기(20) 와 호 연결을 수락하는 후크(hook)신호를 감지하여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10) 간의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3)는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하던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발신자가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한다.
발신 단말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 입력부(22), 출력부(23) 및 단말 제어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신 단말기(20)는 호 제어기(30), 링백톤 서비스 서버(40) 및 착신 단말기(1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로서, 유선전화기, 화상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CDMA폰 그리고 현재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한다.
통신부(21)는 통신을 위한 데이터 및 신호를 외부로 송수신한다. 통신부(21)는 호 제어기(30)를 경유하여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부터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를 수신한다.
입력부(22)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발신자의 선택사항을 입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부(22)는 다수의 키 버튼으로 구성된 키 패드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터치 입력을 수행 할 수 있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23)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를 영상 또는 음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출력한다. 출력부(23)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표시부(23a)와 음성처리부(2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23a)는 단말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표시부(23a)로는 LCD, LED, 세그먼트 또는 터치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장치와 입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23a)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발신자의 터치 입력을 통하여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의 링백톤 컨텐츠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단말 제어부(24)에 전송할 수 있다.
음성처리부(23b)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신호화하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성처리부(23b)는 단말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23b)는 마이크를 통하여 발신자의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의 링백톤 컨텐츠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단말 제어부(24)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4)는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발신자에게 출력하고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를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부(23)의 표시부(23a) 및 음성처리부(23b)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단말 제어부(24)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링백톤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과 링백톤 컨텐츠에 대한 설명을 추출하여 출력부(23)를 통해 출력하고, 발신자의 링백톤 컨텐츠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한편 단말 제어부(24)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링백톤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과 링백톤 컨텐츠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와중에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면 설명의 출력을 중단하고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를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 요청하여 출력부(23)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단말 제어부(24)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가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로 제작되는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출력부(23)를 통해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를 음성 및 영상으로 출력한다.
단말 제어부(24)는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링백톤 컨텐츠의 선택 입력을 표시부(23a)에 출력된 링백톤 서비스 영역정보에서 발신 단말기(20) 사용자인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단말 제어부(24)는 이를 인지하고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 항목에 해당되는 링백톤 컨텐츠를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 요청하여 해당 링백톤 컨텐츠를 발신 단말기(20)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때 단말 제어부(24)는 입력부(22), 표시부(23a) 또는 음성처리부(23b)를 통하여 발신자의 링백톤 컨텐츠 선택을 인지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4)는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의 출력 중에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재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재출력한다. 즉 발신자는 재출력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통하여 제 공받을 링백톤 컨텐츠를 다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제어부(24)는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재전송을 요청 및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제어부(24)는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발신 단말기(2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와 링백톤 컨텐츠(55)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20)는 착신 단말기(10)로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부터 착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 메뉴(51)를 수신하여 표시부(23a)에 출력한다.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는 링백톤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이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예컨대,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은 지역, 운세, 날씨, 증권, 뉴스, 경제 등을 포함한다.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는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해 주세요”라는 안내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안내 정보는 화면에 텍스트 형태로 표시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발신자는 각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을 입력부(22), 표시부(23a) 또는 음성처리부(23b)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의 각 링백톤 컨텐츠 항목(53)들은 입력부(22)의 키 버튼과 각각 연동된다. 즉 키 버튼 “1” 은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서 “지역”항목과 연동된다. 키 버튼 “2”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서 “운세”항목과 연동된다. 키 버튼 “3”은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서 “날씨”항목과 연동된다. 그리고 나머지 링백톤 컨텐츠 항목인 “증권”, “뉴스” 및 “경제”항목들도 각각 키 버튼 “4”, “5”, 및 “6”와 연동된다.
그리고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는“이전화면”버튼(57)과 “다음화면”버튼(59)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전화면”버튼(57)은 키 버튼 “*”와 연동되며, “다음화면”버튼(59)은 키 버튼 “#”과 연동된다. 이때 “이전화면” 버튼(57)과 “다음화면”버튼(59)은 표시부(23a)에 표시된 링백톤 컨텐츠 항목(53) 이외에 다른 링백톤 컨텐츠 항목이 있는 경우에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표시부(23a)에 표시된 링백톤 컨텐츠 항목(53) 이외에 다른 링백톤 컨텐츠 항목이 없는 경우, “이전화면”버튼(57)과 “다음화면”버튼(59)은 비활성 상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이전화면”버튼(57)과 “다음화면”버튼(59)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발신자가 키 버튼 “3”을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제어부(24)는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도 4의 51)에서 “날씨”항목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링백톤 컨텐츠 항목에 따른 링백톤 컨텐츠(55)를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4)는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날씨”에 해당되는 링백톤 컨텐츠(55)를 수신하여 출력부(23)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링백톤 컨텐츠(55)는 발신 단말기(2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한 발신 단말기(20)가 위치한 지역의 날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발신자가 “운세”항목을 선택하면, 발신 단말기(20)는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부터 발신자의 생년월일 정보를 토대로 해당일의 운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발신자가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를 표시할 때, 발신 단말기(20)는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부터 링백톤 컨텐츠와 연관된 발신자의 개인 정보, 위치 정보, 링백톤 컨텐츠에 대한 호감 내역 등을 반영된 링백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4)는 링백톤 컨텐츠(55)를 출력하던 도중 “이전화면”버튼(57)이 선택되면, 링백톤 컨텐츠(55)의 출력을 중단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백톤 컨텐츠 메뉴(51)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부(24)는 “을지로”의 날씨에 해당하는 링백톤 컨텐츠를 출력하는 도중 발신자가 키 버튼 “*”을 선택하면 링백톤 컨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53)들을 출력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4)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51)를 출력하는 도중 발신자가 “이전화면”버튼(57) 또는 “다음화면”버튼(59)을 선택하면 링백톤 컨텐츠 항목(53) 중 출력되지 않았던 다음 영역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을 출력한다. 즉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의 화면에 한번에 출력할 수 있는 범위를 넘는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을 출력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분배하여 출력하되, 발신자가 “이전화면”버튼(57)과 “다음화면”버튼(59)을 선택하면 분배된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을 전환하며 출력한다.
예를 들면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 포함된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이 지 역, 운세, 날씨, 증권, 뉴스, 경제, 스포츠 및 게임에 해당하는 8개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을 가지고 있으나 단말 제어부(24)가 한번에 6개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53)만을 출력부(23)로 표시할 수 있는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지역, 운세, 날씨, 증권, 뉴스 및 경제에 해당하는 6개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을 출력한다.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은 일정 규칙을 갖고 출력되거나 랜덤하게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4)는 키 버튼 “*”이나 키 버튼 “#”이 선택되면 해당 키 버튼과 연동하는 “이전화면”버튼(57)이나 “다음화면”버튼(59)에 해당하는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출력되고 있는 지역, 운세, 날씨, 증권, 뉴스 및 경제 항목들을 증권, 뉴스, 경제, 스포츠 및 게임 항목으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부(22)를 통한 링백톤 컨텐츠 선택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표시부(23a)가 터치 스크린인 발신 단말기(20)의 경우 표시부(23a)의 터치 입력에 따른 링백톤 컨텐츠 선택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가 표시부(23a)에 출력된 링백톤 컨텐츠 항목(53) 중 “날씨”항목을 터치하면 단말 제어부(24)는 표시부(23a)에서 발신자가 터치한 “날씨”항목에 하이라이트를 설정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링백톤 컨텐츠(55)를 링백톤 서비스 서버에서 수신하여 발신자에게 출력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백톤 컨텐츠(55)를 출력하던 도중 표시부(23a)에서 “이전화면”버튼(57)이 터치되면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재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백톤 컨텐 츠 메뉴(51)를 재출력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4)는 음성을 통하여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서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서 “날씨”항목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날씨”라고 말을 하면 단말 제어부(24)는 음성처리부(23b)의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단말 제어부(24)는 인식된 음성을 통해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서 “날씨”항목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씨”항목에 해당하는 링백톤 컨텐츠(55)를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부터 수신하여 발신자에게 출력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백톤 컨텐츠(55)를 출력하던 도중 발신자가 “이전화면”이라고 말을 하면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출력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재출력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의 화면 예시도에서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서 하나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을 선택하여 제공받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두 개 이상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을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서“날씨”항목과 “운세”항목이 함께 선택되면, 발신 단말기(20)는 날씨 및 운세에 대응하는 링백톤 컨텐츠를 표시부(23a)의 화면을 분할하여 PIP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발신 단말기(20)는 선택된 두 링백톤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표시부(23a) 또는 음성처리부(23b)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링백톤 서비스 서버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호 제어기(30)를 통해 발신 단말기(20)로부터 착신 단말기(10)와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S100).
링백톤 서비스 서버(40)가 착신자가 기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링백톤 DB(41)에서 추출한다(S110). 이 경우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착신 단말기(10) 사용자가 링백톤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링백톤 DB(41)에서 검색하고 등록된 사용자임을 확인한 후, 링백톤 DB(41)에서 해당 착신 단말기(10) 사용자가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추출할 수도 있다. 한편 착신 단말기(10)가 링백톤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 통상적인 링백톤이 발신 단말기(20)로 전달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링백톤 서비스 서버(40)가 추출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S120). 발신 단말기(20)는 발신자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통하여 제공받을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다음으로 링백톤 서비스 서버(40)가 발신 단말기(20)로부터 요청된 링백톤 컨텐츠를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S130). 즉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발신 단말기(20)로부터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 신하여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를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이 경우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 속한 링백톤 컨텐츠를 링백톤 DB(41)에서 추출하여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또는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링백톤 컨텐츠를 제공하는 별도의 CP(Contents Provider)서버에서 해당 링백톤 컨텐츠를 검색하여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S130단계 이후,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발신 단말기(20)로부터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재호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S140). 즉 재호출 신호는 발신자가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링백톤 컨텐츠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에 발신 단말기(20)로부터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 출력되는 신호이다.
S140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 단말기(20)로부터 재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S120단계로 복귀하여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즉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을 중단하고 S120단계 내지 S130단계를 통하여 발신 단말기(20)로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링백톤 컨텐츠를 전송한다.
S140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 단말기(20)로부터 재호출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발신 단말기(20)의 호 요청 신호가 호 대기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호 대기 시간은 1분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소용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S150단계의 판단 결과 호 대기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링백톤 서비스 서 버(40)는 S130단계로 복귀하여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S150단계의 판단 결과 호 대기 시간에 도달한 경우, 링백톤 서비스 서버(40)은 발신 단말기(20)의 호 연결 서비스를 부재중 통화 서비스로 전환한다(S160). 부재중 통화 서비스는 발신자에게 착신자가 호 연결을 수락하지 않을 경우 착신자와의 호 연결이 실패했음을 알리고 발신자의 음성 메시지 등을 착신자에게 남기는 서비스로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서비스 전환 결과를 발신 단말기(20)로 통보하고 발신 단말기(20)로 제공되던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을 중단한다(S170). 또한 발신자가 부재중 통화 서비스의 이용을 원치 않아서 호 연결 종료를 선택하는 경우,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발신 단말기(20)로 제공되던 호 연결 서비스와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호 제어기(30)가 발신 단말기(20)의 호 연결 요청 시간이 호 대기 시간에 도달한 경우 발신 단말기(20)로 제공되던 호 연결 서비스를 부재중 통화 서비스로 전환하고 전환 결과를 발신 단말기(20)로 통보하여 발신 단말기(20)가 부재중 통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하던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링백톤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한다.
그리고 전술한 S110단계 내지 S150단계에서 각 단계마다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10) 간의 호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0).
S180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20) 간의 호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각각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S180단계의 판단 결과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10)간의 호가 연결된 경우,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발신 단말기(20)로 제공되던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을 중단한다(S181). 즉 링백톤 서비스 서버는 착신 단말기(10)가 발신 단말기(20)와 호 연결을 수락하는 후크(hook)신호를 감지하면,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하던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발신자가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한다.
그리고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10) 간의 호 연결을 진행한다(S182).
한편 S181단계와 S182단계에서 링백톤 서비스 서버(40) 대신 호 제어기(30)가 착신 단말기(10)가 발신 단말기(20)와 호 연결을 수락하는 후크(hook)신호를 감지하여 발신 단말기(20)와 착신 단말기(10) 간의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는 발신 단말기(20)로 전송하던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발신자가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한다.
도 7은 발신 단말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제어부(24)가 호 제어기(30)로 착신 단말기(10)와의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300).
다음으로 단말 제어부(24)가 링백톤 서비스 서버(40)에서 링백톤 컨텐츠 메 뉴를 수신한다(S310). 이때 링백톤 컨텐츠 메뉴는 착신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을 포함한다.
이어서 단말 제어부(24)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출력한다(S320). 이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가 가지고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선택 방법에 대한 설명과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 해당되는 링백톤 컨텐츠에 대한 설명을 영상 또는 음성으로 발신 단말기(20)의 출력부(23)를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도 4에서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51)에 링백톤 컨텐츠 항목(53)이 아이콘 형태로 표시된 예를 개시하였다.
다음으로 단말 제어부(24)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발신자가 선택한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 정보를 확인한다(S330). 이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발신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부(22)의 키 패드를 통해 발신자의 링백톤 컨텐츠의 선택을 인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표시부(23a)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23a)를 터치하는 발신자의 터치 입력과, 발신자가 발신 단말기(20)의 음성처리부(23b)를 통해 음성으로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는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하여 링백톤 컨텐츠의 선택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말 제어부(24)가 발신자의 선택 신호에 따른 링백톤 컨텐츠를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 요청한다(S340).
이어서 단말 제어부(24)가 링백톤 서비스 서버(40)에서 수신한 링백톤 컨텐츠를 출력한다(S350).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55)는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S350단계에서 단말 제어부(24)는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를 출력부(23)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4)는 발신 단말기(20)가 다양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데 제한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영상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음성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제작된 링백톤 컨텐츠라 하더라도 음성으로만 링백톤 컨텐츠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말 제어부(24)가 발신자로부터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재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60). S360단계에서 단말 제어부(24)는 재호출 신호를 입력부(22), 표시부(23a) 또는 음성처리부(23b)를 통하여 입력받는다.
S360단계의 판단 결과 재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S310단계로 복귀하여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부(24)는 발신자가 새로운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부터 다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 제어부(24)는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의 출력 중에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재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재출력한다. 발신자는 재출력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통하여 제공받을 링백톤 컨텐츠를 다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제어부(24)는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재전송을 요청 및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제어부(24)가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재전송을 링백톤 서비스 서버(40)로 요청하였지만, 단말 제어부(24)가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S360단계의 판단 결과 재호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말 제어부(24)가 착신 단말기(10)와의 호 연결을 요청한 시간이 호 대기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70).
S370단계의 판단 결과 호 대기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S350단계로 복귀하여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S370단계의 판단 결과 호 대기 시간에 도달한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부재중 통화를 표시하고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링백톤 컨텐츠의 출력을 중단한다(S380). 이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호 연결 서비스가 부재중 통화 서비스로 전환된 것을 링백톤 서비스 서버(40)에서 통보받아 표시부(23a)로 부재중 통화 표시를 출력한다.
그리고 S300단계 이후부터 S360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단말 제어부(24)는 각 단계마다 착신 단말기(10)와의 호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S390). 단말 제어부(24)는 착신 단말기(10)와의 호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해당 단계 이후의 일련의 단계를 수행하며, 착신 단말기(10)와의 호가 연결된 경우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링백톤 컨텐츠의 출력을 중단한다(S391).
그리고 단말 제어부(24)는 착신 단말기(10)와의 호 연결을 진행한다(S392).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링백톤 서비스에 적용가능하며, 실재 링백톤 컨텐츠의 수혜자인 발신자로 하여금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히며 다양한 링백톤 컨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발신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한편, 발신자로 하여금 링백톤 서비스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링백톤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발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발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링백톤 컨텐츠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링백톤 서비스 서버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7은 발신 단말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 착신 단말기
20 : 발신 단말기 21 : 통신부
22 : 입력부 23 : 출력부
23a : 표시부 23b : 음성처리부
24 : 단말 제어부 30 : 호 제어기
40 : 링백톤 서비스 서버 41 : 링백톤 DB
42 : 송수신부 43 : 제어부

Claims (13)

  1.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의 호 연결을 제어하는 호 제어기;
    상기 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전송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링백톤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링백톤 서비스 서버가 호 제어기로부터 발신 단말기의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 전송 단계;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링백톤 컨텐츠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 이후의 각 단계마다 수행되는,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간의 호가 연결되면,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의 링백톤 컨텐츠 메뉴 및 상기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을 중단하는 중단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4.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와,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저장하는 링백톤 DB;
    호 제어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링백톤 DB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추출하여 전송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 요 청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링백톤 컨텐츠를 상기 링백톤 DB에서 추출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링백톤 서비스 서버.
  5.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요청을 호 제어기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 출력 단계;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를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를 출력하는 링백톤 컨텐츠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 출력 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 출력 단계에서,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를 각각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링백톤 컨텐츠 항목을 텍스트, 아이콘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 컨텐츠 출력 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링백톤 컨텐츠 항목의 선택 신호를 키입력, 음성 입력 또는 터치 입력 중에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 컨텐츠 출력 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 컨텐츠 출력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재호출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링백톤 컨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재출력하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 재출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 컨텐츠 재출력 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의 재출력을 요청 및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임시 저장한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12. 호 제어기를 통하여 링백톤 서비스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한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요청을 상기 호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복수의 링백톤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링백톤 컨텐츠 메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링백톤 컨텐츠 메뉴에서 선택한 링백톤 컨텐츠의 전송을 상기 링백톤 서비스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상기 링백톤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발신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상기 링백톤 컨텐츠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링백톤 컨텐츠 메뉴와 상기 링백톤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발신 단말기.
KR1020090016566A 2009-02-26 2009-02-26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7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566A KR20100097565A (ko) 2009-02-26 2009-02-26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566A KR20100097565A (ko) 2009-02-26 2009-02-26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565A true KR20100097565A (ko) 2010-09-03

Family

ID=4300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566A KR20100097565A (ko) 2009-02-26 2009-02-26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5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1811B2 (en) Notifications of incoming messages
US11096019B2 (en) Text alternative to established voice call session
US969289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locking unwanted communications
US7889853B2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products for providing ring backs
US8972559B2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products for providing alerts for communications
US7526306B2 (en) Push to talk user interface
US20070223668A1 (en) Inserting content into a connection using an intermediary
US20050261034A1 (en) Communication mechanism for calls in which speaking is not possible
US8494123B2 (en) On-hold visual menu from a user&#39;s communications device
KR20070051237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70165800A1 (en)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2020191570A (ja) 電話システム、電話端末
JP2011501552A (ja) ダイヤリングと呼出ボタンの押下のみで実施できるウェブベースコールバックの提供
KR100850631B1 (ko) 삼자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삼자통화 방법
EP2224712B1 (en) Method of providing message information, including call subject information, to a recipient of a telephone call
KR20100097565A (ko) 발신 단말기를 통한 링백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52625B1 (ko) 아이콘 대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0762B1 (ko) 통화 중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101820464B (zh) 一种向电话呼叫的接收者提供消息信息的方法
CN102449994A (zh) 终端的具有可视呼叫进程指示符的图形用户界面
WO2017111725A1 (en) A system for enabling communication device of a called subscriber to ring with a sound desired by a calling subscriber
KR100682268B1 (ko) 효과음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6169A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20020071802A (ko) 대기음 발송 방법
JP2005045577A (ja) Ip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