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282A - Mobile phone with camera easy to filming document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with camera easy to filming doc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282A
KR20100097282A KR1020090016150A KR20090016150A KR20100097282A KR 20100097282 A KR20100097282 A KR 20100097282A KR 1020090016150 A KR1020090016150 A KR 1020090016150A KR 20090016150 A KR20090016150 A KR 20090016150A KR 20100097282 A KR20100097282 A KR 2010009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mobile phone
unit
photograph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1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65710B1 (en
Inventor
공준상
Original Assignee
공준상
김용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준상, 김용숙 filed Critical 공준상
Priority to KR102009001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710B1/en
Publication of KR2010009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2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Abstract

PURPOSE: A cellular phone which photographing a document is easy is provided to prevent shaking in photographing a document, thereby obtaining a clear picture quality document image. CONSTITUTION: A camera unit photographs a document. According to an input of an input unit, a display unit(40) expresses a document photographing menu.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a CPU(Central Processing Unit) generates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A mounting unit(61) forms mobile phone mounting surface on the upper side. A support unit(63)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unit in length direction. The support unit is separated in the height capable of securing document photographing viewing angle of the camera unit.

Description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Mobile phone with Camera easy to filming document}Mobile phone with Camera easy to filming document}

본 발명은 문서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입력부와, 문서촬영 메뉴가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와, 문서에 기록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해상도를 갖 카메라부와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중앙처리부 등이 구비된 휴대폰 본체와, 본 휴대폰 본체를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문서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며, 문자를 인식할 정도로 선명한 화질의 문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unit including a document photographing function key, a display unit including a document photographing menu, a camera having a resolution enough to recognize a character recorded in a document, and a center capable of correcting a photographed image. It includes a mobile phone main body equipped with a processing unit, and a holder supporting the mobile phone main body at a height sufficient to secure a document viewing angle to prevent shaking during document shooting, and to display a document image of clear image quality to recognize characters. It relates to a mobile phone that can easily obtain document capture.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That i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y, people can use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Internet access,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message transmiss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량의 통신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 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rapid dissemin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in modern life, such as a large amount of communication occurring in human relationship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핸드폰 기술의 발달과 함께 소형 광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카메라 기능과 휴대폰 기능이 하나로 합쳐진 카메라폰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phone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compact optical technology, a camera phone that combines a camera function and a mobile phone function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카메라 폰은 핸드폰 내부에 CCD와 같은 촬상소자와 소형 렌즈를 장착하여 간단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을 핸드폰의 메모리에 디지털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amera phone is equipped with an image pickup device such as a CCD and a small lens inside the mobile phone so that a simple picture can be taken and the captured image can be stored as a digital image in the memory of the mobile phon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간단한 이미지 저장이 가능한 카메라폰은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여 스캐너를 대신하여 간단한 문서촬영 등에도 이용된다.Therefore, the camera phone capable of storing a simple image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carry and use, and is also used for simple document taking in place of a scanner.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폰은 문서 촬영시 사용자 본인이 휴대폰을 직접 들고 카메라 조작을 하여 사진 촬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손떨림 등으로 인하여 문자를 인식할 정도로 선명한 화질의 문서 이미지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amera phone has a problem in that a document image having a sharp image quality that is recognizable enough to recognize a character due to hand shake, etc. is required because the user needs to take a photograph by directly operating a camera while holding a mobile phone.

또한, 사용자가 휴대폰 카메라를 손에 들고 찍었을 경우, 문서의 크기에 적합한 촬영범위 및 구도로 휴대폰을 이격하여 고정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촬영된 문서의 수평이 어긋나는 등의 기하학적 왜곡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user takes a mobile phone camera in his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geometric distortion such as the horizontality of the recorded document is generated because the mobile phone cannot be fixed at a shooting range and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docu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서촬영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리모컨 등의 입력수단과 고해상도의 촬영수단 및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본체와, 본 휴대폰 본체를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문서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문자를 인식할 정도로 선명한 화질의 문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main body having an input means such as a remote control provided for easy document shooting, a high resolution photographing means, and a correction means capable of correct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Provides a mobile phone that can be easily documented to obtain a document image with a clear image quality to recognize characters by preventing the shaking during document shooting by configuring a cradl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height to secure document shooting viewing angle to prevent document shaking There is.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촬영된 문서의 수평이 어긋나는 등의 기하학적 왜곡을 제거할 수 있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that can easily photograph documents that can remove geometric distortion such as misalignment of photographed documents.

또한, 컴퓨터를 통해 간편하게 문서 촬영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촬영된 문서 이미지를 컴퓨터나 이메일 등으로 즉시 전송할 수 있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 document can be easily taken through a computer, and a mobile phone that can easily take a document that can immediately transfer a photographed document image to a computer or an e-mail is provid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에 있어서, 문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문서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입력수단이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문서 촬영 메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유선으로 문자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접속수단이 마련된 커넥터;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촬영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문서 촬영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휴대폰 본체; 및, 상면에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를 거치시키는 거치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taking pi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document; and an input unit having an input means including a document photographing function key;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ocument photographing menu; and a connector provided with a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such as a text image through a wire; a memory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n image signal from the camera unit; and the input unit. A mobile phone body provided to enable document photographing,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generating a photographing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ating portion that forms a seating surface on which a mobile phone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formed in a lengthwise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at a height capable of securing a document photographing viewing angle of the camera portion. Characterized by having a cradle for mounting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에 있어서, 문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문서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입력수단이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문서 촬영 메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유선으로 문서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접속수단이 마련된 커넥터;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촬영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문서촬영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휴대폰 본체; 및, 상기 커넥터를 통해 컴퓨터 등의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설치된 문서 촬영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bject is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that can take a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unit for taking a document; and an input unit having an input means including a document shooting function key; and the input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ocument photographing menu according to an input; and a connector provided with a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such as a document image by wire; a memory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n image signal from the camera unit; and the input unit A mobile phone body provided to enable document photographing,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to generate a photographing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of the mobile phone body; And control means connected to a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through the connector and controlling the camera unit through a document photographing program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여기서, 상기 문서 촬영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할 수 있는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촬영전 영상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문서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document capturing program may be provided to display a pre-capture image of a document to be photographed to control the camera unit, and may include an input means including the document capturing function key.

또한, 상기 휴대폰은 상면에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를 거 치시키는 거치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includes a seating portion that forms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mobile phon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upport portion spaced apart at a height capable of securing a document photographing viewing angle of the camera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radle for mounting the mobile phone main body.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크기에 따라 상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may be formed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ocument to be photograph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문서 촬영 메뉴에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크기, 촬영모드, 해상도 등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isplay unit may be implemented to display a size, a photographing mode, a resolution, etc. of a document to be photographed in the document photographing menu.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크기, 촬영모드, 해상도 등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거리 및 상기 플래시의 조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be provid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lens and the illuminance of the flas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ocument to be photographed, the photographing mode, the resolution, and the like.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원격조작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means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amera unit by wire or wirelessl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은, 문서촬영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입력수단과 고해상도의 촬영수단 및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수단이 구비된 휴대폰 본체와, 본 휴대폰 본체를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서, 문서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문자를 인식할 정도로 선명한 화질의 문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for easy document shoo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phone main body including an input means provided for easy document shooting, a high resolution photographing means, and a correction means for correcting a photographed image; Including a holder supporting the main body at a height capable of securing a document photographing viewing angle, it is possible to prevent shaking during document shooting, thereby obtaining a document image having a clear image quality that is sufficient to recognize a character.

또한, 촬영된 문서의 수평이 어긋나는 등의 기하학적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geometric distortion such as the horizontal shift of the photographed document.

또한, 컴퓨터를 통해 간편하게 문서 촬영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촬영된 문서 이미지를 컴퓨터나 이메일 등으로 즉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not only can the document be easily taken through a computer, but also the captured document image can be immediately transferred to a computer or e-m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배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easy to shoot a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view of a mobile phone easy to shoot a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은 문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본체(10)와, 본 휴대폰 본체(10)를 지지하며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키는 거치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or 2, the mobile phone easy to shoot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mobile phone main body 10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document shooting,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to secure a document shooting viewing ang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radle 60 to be spaced apart to a height.

상기 휴대폰 본체(10)는 문서(80)에 기록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해상도를 갖는 CCD(Charge Coupled Devices)와 플래시(33)와 카메라 렌즈(31)를 포함한 카메라부(30)와, 문서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입력수단이 구비된 입력부(20)와, 상기 카메라부(30)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55)와, 카메라부(30)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입력부(20)의 입력에 따라 문서 촬영 메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40)와, 입력부(20)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30)를 조작하며 촬영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내장 및 구동하는 중앙처리부(50)를 포함한다.The mobile phone body 10 includes a camera unit 30 including a charge coupled device (CCD) having a resolution capable of recognizing a character recorded in a document 80, a flash 33, and a camera lens 31; , An input unit 20 including an input means including a document photographing function key, a memory unit 55 for receiving and storing an image signal from the camera unit 30,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30, The display unit 40 expressing a document photographing menu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20 and the camera unit 3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20 to generate a photographing driving signal and generate a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It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50 that is built and driven.

또한, 상기 거치대(60)는 상면에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안착부(61)와, 본 안착부(61)의 하면 외측부에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본체(10)의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 키는 지지부(6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lder 6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6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61 to form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mobile phone is seate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body ( And a support 63 spaced apart at a height capable of securing a document photographing viewing angle of 10).

여기서, 상기 휴대폰 본체(10)는 도 1에서 예로 든 휴대폰 형태 외에도 폴더형 휴대폰이나 플립형 휴대폰, PDA 등의 다른 형태로도 얼마든지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may be configured in any number of other forms, such as a folding mobile phone, a flip-type mobile phone, a PDA, etc., in addition to the mobile phone type illustrated in FIG. 1.

휴대폰 본체(10)는 내부에 송화부인 마이크(11)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키버튼이 설치된 입력부(20)가 위치하며, 문자, 숫자, 이미지, 동영상 등을 나타내는 액정표시 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표시부와 수화부인 스피커(12)가 설치되어 있다.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includes a display unit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microphone 11 serving as a talker, an input unit 20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installed therein, and displaying letters, numbers, images, and videos. The speaker 12 which is a receiver is provided.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 본체(10)의 폴더의 중앙 상측 하면에 플래시(33)와 카메라 렌즈(31)를 포함한 카메라부(30)가 위치하며, 본 카메라 렌즈(31)와 플래시(33)는 휴대폰 본체(1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camera unit 30 including the flash 33 and the camera lens 31 is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folder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the camera lens 31 And the flash 33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물론, 상기 카메라부(30)는 휴대폰 본체(10)의 중앙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사진 촬영이 용이한 곳이라면 휴대폰 본체(10)의 내·외부면의 어느 곳이든지 위치할 수 있다. Of course, the camera unit 30 is described as being located above the center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but can be located anywhere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if it is easy to take a picture. .

입력부(20)는 휴대폰 본체(10)에 각종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휴대폰 본체(1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이다. The input unit 20 is a data input device for directly inputting various data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or having various function key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여기서, 입력부(2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키가 포함되어 있다.Here, the input unit 20 includes one or more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입력부(20)는 문서 촬영에 관련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문서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20 includes a document photographing function key for implementing a function related to document photographing.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20)에는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종류, 문서의 품질 문서의 색상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문서 촬영 기능키가 마련된다.For example, the input unit 20 is provided with a document photographing function key for inputting the type of document to be photographed, the color of the document quality document,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입력부(20)는 상기 카메라부(30)를 조작할 수 있는 원격조작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nput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means that can operate the camera unit 30.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조작수단은 상기 커넥터(15)에 연결되는 유선리모컨(25)으로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mote control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wired remote control 25 connected to the connector 15.

여기서, 상기 리모컨(25)은 상기 커넥터(15)에 연결되어 커넥터(15)의 데이터 전송 통로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remote controller 25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5 so as to control the camera unit 30 through a data transmission passage of the connector 15.

또한, 상기 원격조작수단은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 리모컨(25)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means may also be provided with a wireless remote control 25 by wireless communication.

여기서, 상기 휴대폰 본체(10)는 상기 무선리모컨(25)과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은 RF통신, IR통신, 블루투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ireless transceiv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remote control 25,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implemented by RF communication, IR communication, Bluetooth, etc. have.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컴퓨터에 설치된 문서 촬영 프로그램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for easily document cap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document photographing program installed in a computer of a mobile phone for easy document cap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A. The control screen is shown.

상기 커넥터를 통해 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컴퓨터에 설치된 문서 촬영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through a document photographing program installed in the computer through a wired connection with the computer through the connector.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컴퓨터(27)에 탑재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조작할 수 있는 문서 촬영 프로그램(29)과 본 문서 촬영 프로그램의 조작에 의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선을 포함하여 상기 커넥터와의 연결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document photographing program 29 mounted on the computer 27 for operating the camera unit and a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by operating the document photographing program. It is configured to be controlled through.

여기서, 상기 문서 촬영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할 수 있는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촬영전 영상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문서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입력수단을 구비한다.Here, the document capturing program is provided to display a pre-capture image of a document to be photographed that can control the camera unit, and includes an input means including the document capturing function key.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휴대폰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촬영 모드, 촬영 범위, 색상 등을 상기 컴퓨터(27) 등에 설치된 문서 촬영 프로그램(29)을 통하여 직접 제어할 수 있으며, 촬영된 문서 이미지를 컴퓨터(27) 등을 통해 간편하게 보정하며 저장할 수 있다.Therefore,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hotographing mode, photographing range, color, etc. of the document to be photographed by the mobile phone can be directly controlled through the document photographing program 29 installed in the computer 27, and the photographed document image. Can be easily corrected and stored via a computer 27 or the like.

또한, 상기 촬영된 문서 이미지를 컴퓨터(27) 등을 통해 인터넷이나 이메일 등으로 쉽게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graphed document image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Internet or e-mail through a computer 27 or the like.

카메라부(30)는 상기 휴대폰으로 사진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31)와 CCD, 플래시(33), 촬영된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등이 구비된다.The camera unit 30 includes a camera lens 31 capable of capturing a photograph and the like with the mobile phone, a CCD, a flash 33, and a means for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signal.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30)는 카메라 렌즈(31)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으로 이루어지는 삼원색의 밝기와 색상(Color)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중앙처리부(5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Accordingly, the camera unit 30 converts the brightness and color values of the three primary colors of red, green, and blue of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lens 31 into electrical signals, and convert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s into electrical signals. It functions to transmit to 50.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30)는 문서 촬영이 용이하도록 구현되며, 이를 위해 상기 CCD는 고해상도의 CCD가 사용된다.Here, the camera unit 30 is implemented to facilitate document photographing, and for this purpose, a CCD of high resolution is used.

상기 CCD의 해상도는 스캐너에서 적용되는 문서 스캔의 해상도 기준으로 150dpi ~ 1200dpi의 해상도와 매칭되는 해상도를 갖도록 한다.The resolution of the CCD is to have a resolution that matches the resolution of 150dpi ~ 1200dpi as a reference for the resolution of the document scan applied by the scan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렌즈(31)는 문서(80) 전체가 상기 CCD의 촬상범위에 들어올 수 있을 정도로 광각을 가지는 렌즈로 마련된다.Preferably, the camera lens 31 is provided with a lens having a wide angle such that the entire document 80 can be in the imaging range of the CCD.

또한, 상기 카메라부(30)는 상기 입력부(20)에 구비된 문서 촬영 기능키의 조작을 통해 구현된 문서 촬영 메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31)의 초점거리 및 상기 플래시(33)의 조도, 상기 CCD의 촬상 범위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30 is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lens 31 and the illuminance of the flash 33 according to the document shooting menu implemen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ocument shooting function key provided in the input unit 20, And to adjust the imaging range of the CCD automatically.

여기서, 상기와 같은 초점거리, 조도, 촬상 범위 등은 상기 중앙처리부(5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Here, the focal length, illuminance, imaging range, and the like described above are made by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30) 주위에 문서의 각 모서리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하여서, 본 위치센서에 감지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와 같은 초점거리, 조도, 촬상범위 등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2, the camera unit 3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each corner of the document, by using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to th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focal length, illuminance, imaging rang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위치센서의 감지되는 위치신호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기울어짐 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중앙처리부(50)에서 문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ilt of the document to be photographed by the detected position signal of the position sensor may be grasped so tha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 may correct the tilt of the document image.

따라서, 사용자는 문서 촬영시 상기 입력부(20)의 분서 촬영 기능키를 눌러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 크기와 촬영모드, 해상도 등을 입력하면, 이에 맞게 상기 카메라 렌즈(31)의 배율과 CCD에 촬상되는 이미지의 화소와 촬영되는 이미지의 색상(흑백, 칼라)이 자동으로 된 후 문서 촬영이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a user inputs a document size, a shooting mode, a resolution, and the like to be photographed by pressing a document capturing function key of the input unit 20 when photographing a document, an image captured by the magnification of the camera lens 31 and the CCD accordingly Documents are taken after the pixels of color and the color (black and white, color) of the captured image are automatically set.

상기 입력부(20)의 문서 크기와 촬영모드, 화질, 해상도 등을 입력할 수 있 는 기능키는 상기 원격조작수단에도 구비된다.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document size, a photographing mode, an image quality, a resolution, etc. of the input unit 20 is also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means.

디스플레이부(40)는 사용자가 촬영 기능키를 눌러 촬영 중인 영상을 중앙처리부(50)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동 통신망을 통해 휴대폰 본체(10)로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4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n image being photographed by a user by pressing a photographing function key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 or displaying various data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휴대폰 본체(10)의 카메라 기능키를 눌러 문서, 사진 등의 피사체를 촬영하면 촬영중인 피사체의 이미지가 휴대폰 본체(10)의 LCD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촬영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unit 40 captures a subject such as a document or a photograph by pressing a camera function key of the cellular phone main body 10, the image of the subject being photographed i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f the cellular phone main body 10 to be properly photographed. You can check immediately.

만약, LCD 화면을 통해 촬영된 영상이 맘에 들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의 삭제 버튼을 눌러 휴대폰 본체(10)에 저장된 촬영 영상을 삭제하고, 재촬영을 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user does not like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LCD screen, the user may delete the photographed image stored in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by pressing the delete button of the photographed image and retake the imag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문서 촬영 메뉴가 표현된 디스플레이부(40)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40 in which a document photographing menu of a mobile phone for easily document cap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문서 크기와 촬영모드, 해상도 등의 메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문서 촬영 메뉴가 표시되도록 구현된다.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unit 40 is implemented to display a document photographing menu capable of displaying menus such as document size, photographing mode, and resolution.

여기서, 상기 문서 촬영 메뉴의 조작은 상기 입력부(20)에 의해 이루어지며, 문서 촬영 메뉴에 표시된 문서 크기와 촬영모드, 해상도 등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30)의 카메라 렌즈(31)의 배율과 CCD에 촬상되는 이미지의 화소와 촬영되는 이미지의 색상(흑백, 칼라)이 자동으로 조정된 후 문서 촬영이 이루어진다.Herein, the manipulation of the document photographing menu is performed by the input unit 20, and the magnification of the camera lens 31 of the camera unit 30 and the CC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ocument size, the photographing mode, and the resolution displayed on the document photographing menu. Documents are taken after the pixels of the captured image and the color (black and white, color) of the captured image are automatically adjust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촬영중인 문서 이미지가 휴대폰 본체(10)의 LCD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촬영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40 may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 document image being photographed i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to properly capture the imag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for easily taking a docu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내부 구성은 중앙처리부(50), 카메라부(30), 메모리부(55), 디스플레이부(40) 및 입력부(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4,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phone easy to shoot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 the camera unit 30, the memory unit 55, the display unit 40 and the input unit 20 ).

중앙처리부(50)는 휴대폰 본체(10) 전반의 제어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문서 촬영에 관련된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 is a part in charge of the overall control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program related to document photographing is mounted.

촬영된 문서를 스캐너에 의해 스캔된 문서와 동일한 이미지로 구현되도록 하는 보정프로그램이 포함된다.A correction program for including the photographed document in the same image as the document scanned by the scanner is included.

상기 보정프로그램은 촬영된 이미지의 색상을 분석하여 문자에 해당되는 이미지와 문서의 용지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분류한다.The correction program analyzes the color of the photographed image and classifie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aper sheet of a document.

또한, 상기 보정프로그램은 문서 촬영시 상기 카메라 플래시(33) 또는 형광등 같은 기타 외부광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광학적 잡영이나 그림자 등을 제거하며, 상기 분류된 문자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교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rrection program removes optical blurring or shadows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camera flash 33 or other external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and corrects the skew of the classified text image. .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서 이미지의 패턴 매칭 알고리즘(Algorithm)을 이용하여 가장 유사한 특징을 갖는 모델로 분류하여 문자를 추출여하여 인식하는 문자인식프로그램을 추가로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by using a pattern matching algorithm (Algorithm) of the document image may be classified into a model having the most similar features to further include a character recognition program for extracting and recognizing characters.

메모리부(55)은 휴대폰의 전원이 오프(OFF)되어도 기억 내용이 지워지는 일 이 없는 불 휘발성 메모리로 휴대폰 본체(10)의 운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프로그램과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각종 파라미터(Parameter)를 저장하고 있다.The memory unit 55 is a nonvolatile memory that does not erase the contents even when the mobile phone is turned off. The memory unit 55 stores basic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and various parameters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aving.

또한, 상기 메모리부(55)는 카메라부(30)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의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카메라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memory unit 55 temporarily stores image data of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by the camera unit 30 or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camera.

거치대(60)는 상기 휴대폰 본체(10)를 안착·지지하며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로 상면에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안착부(61)와 본 안착부(61)의 하면 외측부에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본체(10)의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키는 지지부(63)를 포함한다.The cradle 60 is a mobile phone mounting device which functions to separate and support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and spaced to a height capable of securing a document photographing viewing angle. And a support portion 63 positioned to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61 and spaced apart at a height capable of securing a document photographing viewing angle of the mobile phone body 10.

상기 안착부(61)는 상기 지지부(63)의 상면에 고정되며, 휴대폰 본체(10)를 결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구비된다. The seating portion 6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63, and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for coupling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여기서 상기 안착부(61)는 상기 카메라부(30)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하면을 향한 상기 카메라 렌즈(31)의 촬영각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seating portion 61 is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camera unit 30 is located, the groove is formed to secure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camera lens 31 toward the lower surface.

상기 지지부(63)는 상기 안착부(61)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30)의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킨다.The support part 63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61 and spaced apart to a height capable of securing a document photographing viewing angle of the camera part 30.

여기서, 상기 지지부(63)는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부(6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Here, the support portion 63 can b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63 by adjusting the length as needed.

또한, 상기 지지부(63)는 내부에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크기에 따라 상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63 is formed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ocument to be taken therei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안착부(6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ating part 61 of a mobile phone for easily photographing a docu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80)에 따라 상기 지지부(63)가 이격될 수 있는 거리를 눈금(64)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부(63)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istance that the support 63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document 80 is indicated by a scale 64 so that the support 63 can be positio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ocument to be photographed by the user. The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여기서, 상기 거치대(60)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61)와 지지부(63)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63)를 절곡시키는 접철수단(65)이 마련되어 지지부(63)를 안착부(61) 사이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Here, in order to improve the portability of the holder 60, folding means 65 for bending the support portion 63 is provid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61 and the support portion 63 to seat the support portion 63. It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between 61.

따라서, 상기 지지부(63)는 상기 지지부(63) 밑면에 밀착되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support 63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upport 63 to be fol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6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지지부(63)가 서로 교차하면서 접혀서 상기 지지부(63) 밑면에 완벽히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part 63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hree support parts 63 may be folded while crossing each oth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63.

상기 지지부(63)의 개수는 상기 안착부(61)의 형상이나 안착부(61)에 안착되는 휴대폰 본체(10)의 무게 등에 따라 그 이상의 수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number of the support parts 63 may be configured to be a greater numb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eating part 61 or the weight of the mobile phone body 10 seated on the seating part 61.

또한, 상기 거치대(60)는 문서 촬영시 상기 카메라 플래시(33) 또는 형광등 같은 기타 외부광원이 거치대(60)에 의해 반사되거나 가려져서 발생될 수 있는 광학적 잡영이나 그림자 등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빛을 용이하게 투과시킬 수 있는 소재인 투명 아크릴 소재로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60 facilitates light in order to minimize optical noise or shadows that may be generated when the camera flash 33 or other external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are reflected or obscured by the holder 60 when photographing a document. It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acrylic material that is a material that can be permeated easily.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describ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On the basis of th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 구성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shapes and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s well a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may exi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easy to shoot a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배면도,Figure 2 is a rear view of the mobile phone easy to shoot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문서 촬영 메뉴가 표현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display unit expressing a document shooting menu of a mobile phone easy to shoot a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easy to shoot a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안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ating part of a mobile phone for easily taking a docu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사시도,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easy to shoot a docu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의 제어수단에 포함된 문서 촬영 프로그램 제어화면을 나타낸 도면,FIG. 6B is a view showing a document photographing program control screen included in a control means of a mobile phone for easily document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A;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휴대폰 본체 11 : 마이크 10: mobile phone body 11: microphone

12 : 스피커 15 : 커넥터 12: speaker 15: connector

20 : 입력부 25 : 리모컨 20: input unit 25: remote control

27 : 컴퓨터 29 : 문서 촬영 프로그램27: computer 29: document shooting program

30 : 카메라부 31 : 카메라 렌즈 30: camera unit 31: camera lens

33 : 플래시 40 : 디스플레이부33: flash 40: display unit

50 : 중앙처리부 55 : 메모리부 50: central processing unit 55: memory unit

61 : 안착부 63 : 지지부61: seating portion 63: support portion

63 : 지지부 64 : 눈금63: support 64: scale

65 : 접철수단 80 : 문서65: folding means 80: document

Claims (8)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에 있어서,In a mobile phone with a camera that can take pictures, 문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document; and 문서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입력수단이 구비된 입력부;와An input unit including an input means including a document photographing function key; and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문서 촬영 메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ocument photographing menu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and 유선으로 문자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접속수단이 마련된 커넥터;와 A connector provided with connection means for transmitting data such as a text image by wire;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n image signal from the camera unit; and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촬영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문서촬영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휴대폰 본체; 및A mobile phone main body provided to enable document photographing,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to generate a photographing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And 상면에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안착부;와A seating portion form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mobile phone is seated;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를 거치시키는 거치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I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 support portion spaced apart to a height that can secure the document viewing angle of the camera portion; including a cradle for mounting the mobile phone body; easy to shoot document, characterized in that cellphone.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에 있어서,In a mobile phone with a camera that can take pictures, 문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document; and 문서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입력수단이 구비된 입력부;와An input unit including an input means including a document photographing function key; and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문서 촬영 메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ocument photographing menu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and 유선으로 문서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접속수단이 마련된 커넥터;와 A connector provided with connection means for transmitting data such as a document image by wire;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n image signal from the camera unit; and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촬영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문서촬영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휴대폰 본체; 및A mobile phone main body provided to enable document photographing,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to generate a photographing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And 상기 커넥터를 통해 컴퓨터 등의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설치된 문서 촬영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And a control means connected to a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through the connector and controlling the camera unit through a document photographing program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문서 촬영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할 수 있는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촬영전 영상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문서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The document photographing program is provided such that a pre-capture image of a document to be photographed that can control the camera unit is displayed, and the document photographing function key comprises an input means including the document photographing function key.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휴대폰은 상면에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문서 촬영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를 거치시키는 거치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The mobile phone may include a seating part that forms a seating surface on which a cell phone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upport part that is formed in a lengthwise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and spaced apart at a height capable of securing a document photographing viewing angle of the camera part. Mobile phone easy document shoo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지지부는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크기에 따라 상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The support is a mobile phone easy to shoot docu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ocument to be photographe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문서 촬영 메뉴에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크기, 촬영모드, 해상도 등이 표시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The display unit is a mobile phone that is easy to shoot docu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ocument is implemented to display the size, shooting mode, resolution, etc. of the document to be taken in the document shooting menu.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촬영하고자 하는 문서의 크기, 촬영모드, 해상도 등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거리 및 상기 플래시의 조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a mobile phone that is easy to shoot docu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lens and the illuminance of the flash according to the size, shooting mode, resolution, etc. of the document to be photographed.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원격조작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The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remote control means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amera unit by wire or wirelessly.
KR1020090016150A 2009-02-26 2009-02-26 Mobile phone with Camera easy to filming document KR101065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50A KR101065710B1 (en) 2009-02-26 2009-02-26 Mobile phone with Camera easy to filming doc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50A KR101065710B1 (en) 2009-02-26 2009-02-26 Mobile phone with Camera easy to filming doc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282A true KR20100097282A (en) 2010-09-03
KR101065710B1 KR101065710B1 (en) 2011-09-22

Family

ID=4300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150A KR101065710B1 (en) 2009-02-26 2009-02-26 Mobile phone with Camera easy to filming doc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71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3526A (en) * 2014-07-25 2014-11-05 滁州华尊电气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cubbyhole
CN105376482A (en) * 2015-10-23 2016-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Selfie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5491293A (en) * 2016-01-07 2016-04-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Shooting control method, device, mobile terminal, selfie stick and shooting control system
CN107405211A (en) * 2015-03-26 2017-11-28 利富高(韩国)股份有限公司 In the Tepid therapeutic equipment remote control holder of bed form
WO2019142756A1 (en) * 2018-01-16 2019-07-25 日下部麗 Stand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114B1 (en) * 2011-12-23 2013-09-25 (재)네오딘의학연구소 With portable sword body from inspection request photographing deferment unit
KR102120437B1 (en) * 2018-10-15 2020-06-08 주식회사 코너스톤 Support for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027B1 (en) * 2002-03-21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and personal computer
JP2004101749A (en) 2002-09-06 2004-04-02 Morito Co Ltd Tripod for camera built in cellular phone
KR100663470B1 (en) * 2003-03-3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taking a photograph method using that
JP2006208857A (en) * 2005-01-28 2006-08-10 Scalar Corp Attachment for cellular phone with camera or digital camera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3526A (en) * 2014-07-25 2014-11-05 滁州华尊电气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cubbyhole
CN107405211A (en) * 2015-03-26 2017-11-28 利富高(韩国)股份有限公司 In the Tepid therapeutic equipment remote control holder of bed form
CN105376482A (en) * 2015-10-23 2016-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Selfie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5491293A (en) * 2016-01-07 2016-04-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Shooting control method, device, mobile terminal, selfie stick and shooting control system
WO2019142756A1 (en) * 2018-01-16 2019-07-25 日下部麗 Stand device
JPWO2019142756A1 (en) * 2018-01-16 2020-05-28 日下部 麗 St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710B1 (en)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710B1 (en) Mobile phone with Camera easy to filming document
US20060103893A1 (en) Cellular telephone based document scanner
WO2006033255A1 (en) Projector device, mobile telephone, and camera
KR100636452B1 (en) Portable terminal and announcement method thereof
US834514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cu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63470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taking a photograph method using that
JPWO201515615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8228053A (en) Camera
JP4631370B2 (en) Projector device, mobile phone, camera
WO2020158070A1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4961662B2 (en) Projector device, mobile phone, camera
KR100819243B1 (en) Method of taking and storing a picture image on digital-camera-enabled phone
JP4834973B2 (en) Projector device, mobile phone, camera
JP201412388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0124406A (en)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928243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JP4655565B2 (en) Projector device, mobile phone, camera
JP4655563B2 (en) Projector device, mobile phone, camera
JP2010278511A (en) Electronic equipment
JP4655564B2 (en) Projector device, mobile phone, camera
JP2005045317A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JP5324980B2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rection correction method
KR10101575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document image and image converting method therefor
KR100663471B1 (en) System for including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taking a photograph method using that
JP2010130182A (en)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