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639A -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639A
KR20100096639A KR1020090015619A KR20090015619A KR20100096639A KR 20100096639 A KR20100096639 A KR 20100096639A KR 1020090015619 A KR1020090015619 A KR 1020090015619A KR 20090015619 A KR20090015619 A KR 20090015619A KR 20100096639 A KR20100096639 A KR 20100096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stirring
shaft
tractor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메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메카텍 filed Critical (주)아이메카텍
Priority to KR1020090015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6639A/ko
Publication of KR2010009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01C15/007Hoppers with agitators in the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distributing slots, e.g. adjustable openings for dosing
    • A01C15/08Fertiliser distributors with distributing slots, e.g. adjustable openings for dosing with pushers or stirrers in the sl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6Manure distributors, e.g. dung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비료비산수단을 구비하여 투하되는 비료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산시켜 줌으로써, 회전력에 의해 한쪽으로 쏠림이 없이 골고루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는, 트렉터에 탈장착가능한 지지대(100)와, 지지대(100)의 상부지지대(110)에 장착되고, 내부에 비료가 수용되며 하부에는 비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비료배출판(210)이 형성된 수용용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좌우로 대칭되게 제1 및 제2투하구멍(210a,210b)이 형성된 비료배출판(210); 서로 다른 형태의 교반날개부(310,320)를 가지면서 수용용기(200) 내부에 설치되어 비료를 교반 및 분쇄시켜 주는 교반수단(300); 제1 및 제2투하구멍(210a,210b)을 통해 투하되는 비료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비산시켜 주도록 비료배출판(210)의 저부에 대칭되게 설치된 한쌍의 비료비산수단(400a,400b); 및 지지대(100)의 하부지지대(120)에 설치되며, 교반수단(300) 및 한쌍의 비료비산수단(400a,400b)을 동시에 구동시켜 주는 구동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듀얼 비산수단, 비료살포기, 교반기, 고속살포

Description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Dual Fertilizer Distributor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하되는 비료를 2개의 비료비산수단을 통해 골고루 비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료는 농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것으로 작업자가 수작업 또는 트랙터 등을 이용하여 전답에 살포하게 된다. 최근에는 전답의 크기가 커지고 있어 수작업에 의한 살포보다 트랙터에 의한 살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비료 살포장치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128941호에 '비료 살포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1a 및 도1b에 도시하였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료 살포장치는 비료가 저장되는 저장통(6), 저장통(6)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교반수단(4), 저장통(6) 하부에 설치된 살포장치(S)와 교반수단(4) 및 살포장치(S)를 회전시키는 구동부(9)로 구성된 비료 살포장치로서, 다수개의 프레임(22)으로 구획되어 관통구(20)가 형성된 지지 대(2)가 저장통(6)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살포장치(S)는 다수의 배출공(710,720,730)을 갖는 다수개의 차폐판(71,72,73)을 중첩시킨 차폐부재(7)와 차폐부재(7)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비료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8)로 구성된다.
아울러 교반수단(4)은 주축(41), 주축(41) 상·하부에 형성되며, 저장통(6) 내부에 설치되어 비료를 혼합시키는 상단 혼합구(42)와 하단 혼합구(44) 및 하단 혼합구(44)와 상단 혼합구(42)를 연결하는 교반날개부(46)를 구비한다.
또한 구동부(9)는 동력발생원(90)과 이에 연결된 감속장치로 구성되며, 감속장치는 동력발생원(90)의 축에 베벨기어(93)로 연결된 제1구동축(91), 제1구동축(91)의 구동 기어(96)에 치합된 다수개의 연결기어(94)와 연결기어(94)에 치합되어회전판(82)을 지지하는 제2풀리(922)가 결합되고 회전축(86)에 고정된 제2구동축(92)이 구성된다. 아울러 제1구동축(91)은 살포장치(S)의 분산부재(8)에 결합되고, 제2구동축(92)은 회전축(86)을 통해 교반수단(4)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료살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1) 비료를 분산시켜 주는 분산부재가 회전방식으로서 1개가 구비되어 있기 구동수단이 균일하게 회전하지 못하거나 투하되는 비료의 부하가 달라지게 되면 때문에 원심력에 의해 비료가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2) 비료의 종류, 특히 젖은 퇴비와 같은 경우 교반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퇴비의 살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3) 퇴비와 같은 비료는 교반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쇄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투하구멍이 막힌다든가 투하구멍을 크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2개의 비료비산수단을 구비하여 투하되는 비료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산시켜 줌으로써, 회전력에 의해 한쪽으로 쏠림이 없이 골고루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를 제공하는데 제1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암형 교반날개부와 굴곡진 형태의 날개가 십자형으로 배치된 방사형 교반날개부를 갖는 교반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젖어 있는 퇴비도 균일하고 빠르게 살포할 수 있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를 제공하는데 제2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반수단의 회전속도보다 비료비산수단의 회전속도가 빠르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비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교반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살포 능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를 제공하는데 제3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는,
트렉터에 탈장착가능한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부지지대에 장착되고, 내부에 비료가 수용되며 하부에는 비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비료배출판이 형성된 수용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좌우로 대칭되게 제1 및 제2투하구멍이 형성된 비료배출판;
서로 다른 형태의 교반날개부를 가지면서 수용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비료를 교반 및 분쇄시켜 주는 교반수단;
제1 및 제2투하구멍을 통해 투하되는 비료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비산시켜 주도록 비료배출판의 저부에 대칭되게 설치된 한쌍의 비료비산수단; 및
지지대의 하부지지대에 설치되며, 교반수단 및 한쌍의 비료비산수단을 동시에 구동시켜 주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비료는 비료는 유기질 부산물 퇴비, 쌀겨, 왕겨, 유박, 펠렛, 톱밥퇴비, 화학비료, 규산질 석회비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반수단은, 회전방향으로 곡률진 십자 형태로 이루어진 방사형의 제1교반날개부; 제1교반날개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암형의 제2교반날개부; 제1 및 제2교반날개부가 장착되며, 일단이 비료배출판을 구동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교반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2교반날개부는 3개의 교반날개가 등간격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고, 각 교반날개는 중앙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 교반날개는 암의 단부에 각각 보조교반날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보조교반날개부는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비료비산수단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동수단의 상면에 하 단부가 고정되는 장착브라켓; 장착브라켓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된 축부; 각각 제1 및 제2토출구를 통해 투하되는 비료를 수평방향으로 비산시켜 주기 위한 비산용 날개부; 및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각 날개부에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스프라켓이 구비된 회전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장착브라켓은 비산용 날개부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 비료가 일정 방향으로 비산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가이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안내가이드는 양단에 각각 비산용 날개부의 원호 형상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보조안내가이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구동수단은,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이 구비된 기어박스;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을 연동하여 회전시켜 주는 주구동축; 및 구동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구동축은 교반축을 회전시켜 주고, 제2구동축은 장착브라켓에 설치된 보조구동축의 스프라켓을 연동하여 회전시켜 주고, 제2구동축과 비료비산수단, 스프라켓과 비료비산수단이 각각 체인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는 제2구동축을 제1구동축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2개의 비산수단을 통해 비료를 살포하기 때문에 비료가 어느 한쪽으로 쏠 림이 없이 살포하고자 하는 위치에 골고루 살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2) 통상적으로 알갱이 형태로 제공되는 화학비료 뿐만 아니라 젖은 퇴비와 같이 비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살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 저속의 교반작용으로 비료의 교반효과를 높이면서 고속의 비산수단을 통해 살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살포 면적인 넓더라도 균일하면서도 고속으로 비료 살포가 가능하게 된다.
4) 암형 교반날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젖은 퇴비 등 다양한 유기질/부산물 퇴비의 교반 및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퇴비의 투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를 단면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용용기(200)에 수용된 비료가 두갈래로 나뉘어서 투하되도록 안내하는 비료배출판(210)와, 서로 다른 타입의 교반날개부를 갖는 교반수단(300)과, 이 비료배출판(210)을 통해 배출되는 비료를 분산시켜 주기 위한 한쌍의 비료비산수단(400a,400b)과, 교반수단(300) 및 비료비산수단(400a,400b)을 동시에 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수용용기(200)는 통상적으로 역원뿔 형태로 제작하여 이용되는 통상적인 기술로 제작되는 것을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수용용기(200)는 트랙터(미도시됨)에 탈장착이 가능한 지지대(100)에 설치하여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100)는 장착의 용이성을 위해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한다.
비료배출판(210)는 수용용기(200)의 저면에 형성되어 비료가 하부, 바람직하기로는 중앙으로 모이도록 호퍼형태로 형성된 수용용기(20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특히, 비료배출판(210)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대칭 형태로 제1 및 제2투하구멍(210a,210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료는 화학비료라든가 자연비료를 구분하지 않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유기질 부산물 퇴비, 쌀겨, 왕겨, 유박, 펠렛, 톱밥퇴비, 화학비료, 규산질 석회비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료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비료배출판(210)은 교반수단(300)에 의해 교반과 분쇄가 이루어진 비료를 제1 및 제2투하구멍(210a,210b)를 통해 투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비료배출판(210)을 통해 투하된 비료는 비료비산수단(400a,400b)에 의해 전답에 비산되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교반수단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이 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교반수단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교반수단(300)은 도 3a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교반날개부(310,320)와, 이 제1 및 제2교반날개부(310,320)를 동시에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교반축(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교반날개부(310)는 중심의 보스(311)를 중심으로 십자형태로 4개의 날개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 날개는 회전방향으로 굴곡되어 마주보는 날개와 함께 전체적으로는 "S"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311)에는 내부에 정다각형의 형태, 도 3a에서는 정육각형 형태의 장착구멍(3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교반날개부(320)는 보스의 중앙에 상술한 장착구멍(311a)과 동일한 장착구멍(323)이 형성된 암 형상의 교반날개(32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교반날개(320a)는 보스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휘어진 형태, 즉 칼날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서 퇴비와 같은 비료를 분쇄하는데 유리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교반날개부(320)는 복수개의 교반날개(320a)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교반날개(320a)를 구비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교반날개(320a)의 갯수는 상술한 제1교반날개부(310)의 날개수보다 적은 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교반날개부(320)가 제1교반날개부(310)의 상부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즉, 상부에서 유입되는 퇴비와 같은 비료를 제2교반날개부(320)에서 큰 덩어리 형태로 분쇄하고 하 부의 제1교반날개부(310)에서 작은 크기로 분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교반날개(320a)에는 단부에 보조교반날개(321)를 더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보조교반날개(321)에는 장공(322)을 구비하여 교반날개(320a)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보조교반날개(321)는 교반날개(320a)에 볼트(324)로 체결고정되게 되는데, 이때 이 장공(322)을 통해 장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보조교반날개(321)를 통해 교반날개(320a)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반날개(320a)는 보조교반날개(321)에 의해 암부의 연장효과와 함께 수용용기(200)의 내면에 부착되는 퇴비를 긁어내는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a와 도 3b에서와 같이, 가장 상부에 장착되는 교반날개(320a)의 경우 상부를 마감하여 비료 등이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축(330)은 단면이 정다각형, 바람직하기로는 정육각형 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특히, 교반축(330)은 상술한 장착구멍(311a,323)를 통해 제1 및 제2교반날개부(310,310)를 삽입할 수 크기로 형성한다. 물론,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제1 및 제2교반날개부(310,310)는 볼트라든가 육각너트 등을 이용하여 교반축(330)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반축(330)은 후술하게 될 구동수단(500)의 제1구동축(5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설치구멍(3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 설치구 멍(331)은 교반축(3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설치구멍(331)은 상부는 도 4의 (b)와 같이, 육각기둥 형태로, 그리고 하부에는 도 4의 (c)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설치구멍(331)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키홈(331a)이 형성된다. 이 키홈(331a)은 제1구동축(511)에 삽입장착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교반축(330)은 상술한 제1 및 제2교반날개부(310,320)가 수용용기(2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그 하단부는 상술한 비료배출판(210)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어 구동수단(500)의 제1구동축(511)에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비료비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에서, 설명의 편의상 교반수단이 탈거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비료비산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도 5 뿐만 아니라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료비산수단(400a,400b)은 "V"자 모양의 판상으로 제작된 장착브라켓(420)과, 장착브라켓(42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축부(430a,430b)와, 투하되는 비료를 비산시켜 주는 비산용 날개부(410a,410b)와, 이 비산용 날개부(410a,410b)를 회전지지해 주기 위한 회전지지부(440a,4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산용 날개부(410a,410b)는 투하되는 비료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판(411)과, 이 원판(411)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비산날개(412)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특히, 원판(411)은 직경이 상술한 제1 또는 제2투하구멍(210a,210b)과 같거나 조금 큰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제 투하되는 비료를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로 제작하기 위함이다.
장착브라켓(420)은, 도 6에서와 같이, "V"자 형상의 판상부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장착브라켓(420)은 양단부에 각각 축장착구멍(423a,42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에는 축삽입구멍(4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착브라켓(420)에는 도 5와 같이 안내가이드(421)를 더 구비하여 비료의 비산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안내가이드(421)는 상술한 비산용 날개(410a,410b)의 원판(411)의 반경보다 조금 큰 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2개의 비산용 날개(410a,410b)를 하나의 안내가이드(421)로 그 외주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각의 안내가이드(421)를 제작하여 각 비산용 날개(410a,410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는 2개의 안내가이드(421)가 각각 비산용 날개(410a,410b)를 감싸도록 2개가 설치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안내가이드(421)에는 양단에 각각 보조안내가이드(422a,422b)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안내가이드(422a,422b)는 안내가이드(421)를 연장하는 것으로, 휨 방향에 있어서 안내가이드(421)와 반대되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안내가이드(422a,422b)는 원호 형상으로 제작하되, "S"자 형태가 되도록 안내가이드(421)에 장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비료의 비산 범위를 최 대한 넓은 범위에 걸쳐 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장착브라켓(420)은 구동수단(500)의 상면에 탈장착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술한 축삽입구멍(424)에는 구동수단(500)의 제2구동축(512)이 장착브라켓(420) 위로 돌출되도록 끼워지고, "V" 형상의 중간에는 제1구동축(511)이 위치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각 축장착구멍(423a,423b)에는 각각 비산용 날개부(410a,410b)를 회전지지하기 위한 축부(430a,430b)가 설치된다.
축부(430a,430b)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하부에 플랜지(431a,431b)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축부(430a,430b)는 각각 상술한 장착브라켓(420)의 축장착구멍(423a,423b)의 저부로부터 끼워지고, 장착브라켓(420)에 볼트(423a,423b)로 체결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됨에 따라 각 축부(430a,430b)는 장착브라켓(420)의 상부로 서로 나란하게 돌출되게 되고, 돌출된 각 축부(430a,430b)에는 회전지지부(440a,440b)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지지부(440a,440b)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축부(430a,430b)에 베어링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상술한 비산용 날개(410a,410b)에 각각 고정되게 된다.
또한, 각 회전지지부(440a,440b)에는 후술하는 구동수단(500)에 의해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외주면에 각각 스프라켓(441a,441b)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들 스프라켓(441a,441b)은 형성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구동수단(500)과 체인으로 구동하게 되는데, 이때 체인끼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회전지지부(440a,440b)는 축부(430a,430b)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축부(430a,430b)에 스페이서(442a,442b)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수단(50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구동수단(500)은 제1구동축(511) 및 제2구동축(512)이 구비된 기어박스(510)와, 이 기어박스(5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520)과, 구동축(520)을 구동시켜 주는 구동모터(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어박스(510)는 주구동축(520)과 베벨기어(514)로 치합된 제2구동축(512)이 연동되며, 제2구동축(512)은 제1구동축(511)과 아이들축(515)을 매개로 연동되게 된다. 즉, 제2구동축(512)과 아이들축(515)에 각각 구비된 기어(515a,518)의 치합으로, 제2구동축(512)과 아이들축(515)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아이들축(515)의 또 다른 기어(515b)와 제1구동축(511)의 또 다른 기어(511a)가 서로 치합되어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주구동축(520)의 회전으로 제2구동축(512)-아이들축(515)-제1구동축(511)이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기어박스(510)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대(100)의 하부지지대(120)에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어박스(510)는 제2구동축(512)을 제1구동축(511)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감속비가 조절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교반수단(300)의 회전속도보다 비료비산수단(400a,400b)이 빠른 속도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젖은 퇴비와 같은 비료의 분쇄 및 교반 작용을 높이고 비료를 고속으로 비산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감속비의 조절은 기어의 치수를 달리하는 것으로 가능한 것으로서 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는 구성으로, 여기서는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구동축(511)은 기어박스(500)의 상부로 수직 돌출되고, 외주면에는 상술한 키홈(51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구동축(511)에는 상술한 교반수단(300)의 교반축(330)이 삽입 고정된다. 이때, 이들의 키홈(331a,516)에는 키(미도시됨)를 삽입하여 장착력을 높이게 된다.
제2구동축(512)은 제1구동축(511)과 나란하게 기어박스(510)의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특히, 제2구동축(512)에는 스프라켓(512a)과 기어(512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기어(512b)에는 장착브라켓(420)의 상부에 제2구동축(512)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된 보조구동축(513)과 치합되어 있다.
보조구동축(513)에는 베어링지지되어 함께 연동하는 스프라켓(513a) 및 상술한 기어(512b)에 치합되는 기어(513b)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제2구동축(512)이 회전하게 되면, 보조구동축(513)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특히, 장착브라켓(420)의 상면으로부터 이들 스프라켓(512a,513a)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하게 된다. 바람직한 설치위치는 상술한 비료비산수단(400a,400b)의 스프라켓(441a,441b)의 설치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하게 된다. 일예로, 스프라켓(512a)이 비료비산수단(400b)의 스프라켓(441b)의 높이에, 그리고 다른 스프라켓(513a)이 나머지 비료비산수단(420a)의 스프라켓(441a)의 높이에 설치한다. 그리고, 동일 높이에 위치한 스프라켓들을, 도 7에서와 같이, 서로 체인(517)으로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제2구동축(512)과 비료비산수단(400b), 그리고 스프라켓(513a)과 비료비산수단(400a)이 동시에 구동가능하게 된다. 도 7에서는 하나의 비료비산수단(400b)만 체인(517)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저속으로 회전하는 교반수단(300)과 함께 듀얼 방식의 비료비산수단(400a,400b)을 통해 비료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막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젖은 퇴비와 같이 덩어리진 비료라도 용이하게 파쇄 및 교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비료의 고속 살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 다.
도 1a는 종래의 비료살포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1b는 종래의 비료 살포 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교반수단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교반수단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교반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비료비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장착브라켓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대 110 : 상부지지대
120 : 하부지지대 200 : 수용용기
210 : 비료배출판 210a, 210b : 제1 및 제2투하구멍
300 : 교반수단 310 : 제1교반날개부
311 : 보스 311a, 323 : 장착구멍
320 : 제2교반날개부 320a : 교반날개
321 : 보조교반날개 322 : 장공
324 : 볼트 330 : 교반축
331 : 설치구멍 331a : 키홈
400a, 400b : 비료비산수단 410a, 410b : 비산용 날개
411 : 원판 412 : 비산날개
420 : 장착브라켓 421 : 안내가이드
422a, 422b : 보조 안내가이드 423a, 423b : 축장착구멍
424 : 축삽입구멍 430a, 430b : 축부
431a, 431b : 플랜지 432a, 432b : 볼트
440a, 440b : 회전지지부 441a, 441b : 스프라켓
442a, 442b : 스페이서 500 : 구동수단
510 : 기어박스 511 : 제1구동축
511a : 기어 512 : 제2구동축
512a, 513a : 스프라켓 512b, 513b : 기어
513 : 보조구동축 514 : 베벨기어
515 : 아이들축 515a, 515b : 기어
516 : 키홈 517 : 체인
518 : 기어 520 : 주구동축
530 : 구동모터

Claims (10)

  1. 트렉터에 탈장착가능한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지지대(110)에 장착되고, 내부에 비료가 수용되며 하부에는 상기 비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비료배출판(210)이 형성된 수용용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좌우로 대칭되게 제1 및 제2투하구멍(210a,210b)이 형성된 상기 비료배출판(210);
    서로 다른 형태의 교반날개부(310,320)를 가지면서 상기 수용용기(2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료를 교반 및 분쇄시켜 주는 교반수단(300);
    상기 제1 및 제2투하구멍(210a,210b)을 통해 투하되는 비료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비산시켜 주도록 상기 비료배출판(210)의 저부에 대칭되게 설치된 한쌍의 비료비산수단(400a,400b); 및
    상기 지지대(100)의 하부지지대(120)에 설치되며, 상기 교반수단(300) 및 상기 한쌍의 비료비산수단(400a,400b)을 동시에 구동시켜 주는 구동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300)은,
    회전방향으로 곡률진 십자 형태로 이루어진 방사형의 상기 제1교반날개부(310); 상기 제1교반날개부(3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암형의 상기 제2교반날개부(320); 상기 제1 및 제2교반날개부(310,320)가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비료배출판(210)을 상기 구동수단(50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교반축(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반날개부(320)는 3개의 교반날개(320a)가 등간격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각 교반날개(320a)는 중앙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교반날개(320a)는 암의 단부에 각각 보조교반날개부(32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조교반날개부(321)는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 록 폭방향으로 장공(3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비료비산수단(400a,400b)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500)의 상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장착브라켓(420);
    상기 장착브라켓(42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된 축부(430a,430b);
    각각 상기 제1 및 제2토출구(213a,213b)를 통해 투하되는 상기 비료를 수평방향으로 비산시켜 주기 위한 비산용 날개부(410a,410b); 및
    상기 축부(430a,430b)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각 날개부(410a,410b)에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스프라켓(441a,441b)이 구비된 회전지지부(440a,4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420)은 상기 비산용 날개부(410a,410b)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 상기 비료가 일정 방향으로 비산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2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421)는 양단에 각각 상기 비산용 날개부(410a,410b)의 원호 형상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보조안내가이드(422a,422b)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0)은,
    제1구동축(511) 및 제2구동축(512)이 구비된 기어박스(510);
    상기 제1구동축(511) 및 상기 제2구동축(512)을 연동하여 회전시켜 주는 주구동축(520); 및
    상기 구동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동축(511)은 상기 교반축(330)을 회전시켜 주고,
    상기 제2구동축(512)은 상기 장착브라켓(420)에 설치된 보조구동축(513)의 스프라켓(513a)을 연동하여 회전시켜 주고,
    상기 제2구동축(512)과 상기 비료비산수단(400b), 상기 스프라켓(513a)과 상기 비료비산수단(420a)이 각각 체인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510)는 상기 제2구동축(512)을 제1구동축(511)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KR1020090015619A 2009-02-25 2009-02-25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KR20100096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619A KR20100096639A (ko) 2009-02-25 2009-02-25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619A KR20100096639A (ko) 2009-02-25 2009-02-25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639A true KR20100096639A (ko) 2010-09-02

Family

ID=4300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619A KR20100096639A (ko) 2009-02-25 2009-02-25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663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2637A (ja) *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肥料散布機
CN107155483A (zh) * 2017-07-14 2017-09-15 赵南南 一种农业施肥装置
CN107172943A (zh) * 2017-07-14 2017-09-19 赵南南 一种方便化肥挥洒的农业施肥装置
CN110024527A (zh) * 2019-03-21 2019-07-19 凤台县农业科学研究所 一种绿色糯稻种植时的禽畜粪肥混施设备及其工作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2637A (ja) *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肥料散布機
CN107155483A (zh) * 2017-07-14 2017-09-15 赵南南 一种农业施肥装置
CN107172943A (zh) * 2017-07-14 2017-09-19 赵南南 一种方便化肥挥洒的农业施肥装置
CN110024527A (zh) * 2019-03-21 2019-07-19 凤台县农业科学研究所 一种绿色糯稻种植时的禽畜粪肥混施设备及其工作方法
CN110024527B (zh) * 2019-03-21 2020-11-17 凤台县农业科学研究所 一种绿色糯稻种植时的禽畜粪肥混施设备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7946A (ko) 스크류식 퇴비 및 비료 살포기
KR20100096639A (ko) 트랙터용 듀얼 비료살포기
KR101034092B1 (ko) 이중 감속장치가 구비된 로터리식 비료 및 퇴비 살포 장치
CN210641295U (zh) 一种绿肥切碎还田的垂直旋耕机具
CN213323698U (zh) 一种极端困难立地条件下的无人机播撒草籽设备
CN209714944U (zh) 一种新型高效腐殖酸肥料生产用反应器
CN210444849U (zh) 一种辣椒种植用施肥装置
CN211133588U (zh) 一种果酱加工用的预先混料机构
KR200443493Y1 (ko) 유압식 다목적 비료살포기
CN213726088U (zh) 一种农业用化肥搅拌装置
KR20110104837A (ko) 이중 축을 이용한 비료 살포기
CN213915460U (zh) 一种土壤污染物治理设备
KR20090005435A (ko) 퇴비 전용 살포기
CN110495271B (zh) 一种具有施肥功能的旋耕装置
KR100653401B1 (ko) 종횡 절단기능을 갖는 분쇄수단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처리장치
CN210434440U (zh) 一种复混肥用防堆积混料装置
CN209109055U (zh) 饲料原料的搅拌装置
CN206881559U (zh) 家用肥料搅拌机
CN112119722A (zh) 一种农业种植用施肥装置
CN208583289U (zh) 一种混合均匀的肥料混合机
CN201617011U (zh) 一种新型施肥机
KR100628911B1 (ko) 친환경 퇴비 분쇄살포기
CN219555624U (zh) 一种农业施肥播种一体化设备
CN212215353U (zh) 一种农业用化肥搅拌机
CN213094846U (zh) 一种玉米种植用肥料撒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