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341A - 토출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출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341A
KR20100096341A KR1020090015171A KR20090015171A KR20100096341A KR 20100096341 A KR20100096341 A KR 20100096341A KR 1020090015171 A KR1020090015171 A KR 1020090015171A KR 20090015171 A KR20090015171 A KR 20090015171A KR 20100096341 A KR20100096341 A KR 20100096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unit
pressure
dischar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시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09001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6341A/ko
Publication of KR20100096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for maintaining constant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48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temperature control at constant rate of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실내 공간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토출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공기공급부 및 다수의 공간부와 연결된 멀티 덕트부; 및 상기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멀티 덕트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토출부는, 상기 멀티 덕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를 기준압력과 동일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동일 토출량을 출력시키는 토출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토출량, 유량, 센서, 압력, 풍량, 온도, 연성튜브, 회전

Description

토출량 제어 시스템{DISCHARGING AMOUNT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THEREOF}
본 발명은 토출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와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는 토출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Air Conditioning)란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등을 조절하여 실내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현대사회에서는 도심지의 각종 업무용 빌딩, 공공기관의 건물 및 아파트, 콘도미니엄 같은 집합 건물의 한정된 공간 안에 다중이 밀집하여 생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이들 장소에서 재실자의 건강유지 및 업무효율 증진을 위하여는 실내공기의 온도, 습도 및 청정을 항상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건물의 공기조화 방식은 기계실 내에 공조기를 설치하고 이 공조기에 의해 조화된 공기를 덕트를 통해 각 실로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데, 공기의 분배방식을 기준으로 크게 중앙 공조방식과 개별 공조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중앙 공조방식은 중앙기계실에 설치된 열원설비(냉동기, 보일러 등)로부터 열매체를 생산하여 2차측에 설치한 공기조화기에 공급하고 이에 의해 조화된 공기를 각 실이나 존에 공급한다. 또한 중앙 공조방식은 사용되는 열매체의 종류에 따라 전공기 방식(all air system) 수-공기 방식(air-water system) 및 전 수방식(all water system)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공기조화장치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덕트 내부에만 구비함으로써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 또는 토출량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에서 덕트를 통해 토출되는 전체 공기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 또는 실내 조건에 따라 토출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와 토출되는 공기의 압 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는 토출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공기공급부 및 다수의 공간부와 연결된 멀티 덕트부; 및 상기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멀티 덕트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토출부는, 상기 멀티 덕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를 기준압력과 동일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동일 토출량을 출력시키는 토출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출량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가 이동되는 유동로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토출량 제어부는, 상기 멀티 덕트부와 연결되고,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연성튜브; 상기 연성튜브를 회전시켜 상기 유동로의 크기를 제어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를 항상 일정하도록 상기 회전판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 토출부의 토출량 합이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체 공기량보다 클 경우,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체 공기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각각의 토출부는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다수의 공간부와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공간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멀티 배기덕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a)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설치된 토출부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및 상기 각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감지된 각 공기의 압력차와 기준압력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비교된 각 공기의 압력차를 기준압력과 동일하게 조절하여 상기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동일 토출량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비교된 각 공기의 압력 차와 기준압력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공기가 이동되는 각 토출부의 유동로 크기를 제어하여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토출부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연성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튜브를 회전시켜 유동로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 토출부의 토출량 합이 상기 각 토출부에 공급되는 전체 공기량보다 클 경우, 상기 각 토출부에 공급되는 전체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토출부는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토출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공간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와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량 제어부를 연성재질의 연성튜브로 구성하고 상기 연성튜브를 회전시킴으로써 유동로의 크기를 제어하여 0% 내지 100% 범위의 토출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설치된 토출구가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실내 환경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없는 공간부에는 공기의 공급을 중단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의 구조와 제어방법 및 그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련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 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제어부의 각 토출량 제어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10)와, 상기 공기공급부(10)와 연결된 멀티 덕트부(20)와, 상기 멀티 덕트부(20)와 연결된 다수의 공간부(50: 50a, 50b, ..., 50n)와, 상기 다수의 공간부(50) 각각에 설치된 다수의 토출부(30: 30a, 30b, ..., 30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는 다수의 공간부(50) 외측에 설치되고, 정화된 공기 또는 외부 공기를 상기 다수의 공간부(50) 각각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멀티 덕트부(20)에 공기를 공급한다.
멀티 덕트부(20)는 일측이 상기 공기공급부(10)와 연결되어 공기공급부(10) 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으며, 타측이 다수의 토출부(30)와 연결되어 다수의 토출부(30) 각각에 소정의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멀티 덕트부(20)는 상기 공기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다수의 토출부(30) 각각에 동일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공급부(10)와 인접한 토출부(30a)에 연결된 덕트 내부 넓이를 넓게 설치하며 공기공급부(10)와 멀리 이격된 토출부(30n)에 연결된 덕트 내부 넓이를 좁게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다수의 토출부(30) 각각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토출부(30)는 상기 멀티 덕트부(20)와 연결되어 다수의 공간부(50) 각각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토출부(30)는 상기 멀티 덕트부(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과 다수의 공간부(50)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각 토출부(30)의 토출량을 기 설정된 토출량과 동일하게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각각의 토출부(30)는 상기 멀티 덕트부(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31)와, 상기 토출부(3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32)와,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31, 32)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를 비교하여 공기의 토출량을 제어함으로써 기 설정된 토출량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량 제어부(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31)는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 덕트부(20)와 연결되는 토출부(30) 상단 내측에 설치되어 멀티 덕트부(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2 감지부(32)는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부(3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부(3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31, 32)는 각 토출부(30) 내측의 어느 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의 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각 토출부(30)의 내측 중앙에 설치되어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량 제어부(40)는 상기 제1 감지부(31)과 제2 감지부(3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31, 32)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압력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압력과 비교한다.
이때, 상기 토출량 제어부(40)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31, 32)를 통해 각각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가 기 설정된 기준압력이 되도록 공기가 이동되는 상기 토출부(30)의 유동로 면적 크기를 제어한다.
Figure 112009011271308-PAT00001
상기 'P'는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31, 32)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이고, 상기 'S'는 공기가 이동되는 토출부(30)의 유동로 면적이며, 상기 'V'는 토출부(30)의 공기 토출량이다.
즉,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토출량 'V'가 정해질 경우, 상기 공기의 압력차 'P'는 제1 및 제2 감지부(31, 32)에 의해 감지된 공기 압력의 차이 로 산출되는 값이므로, 상기 토출량 제어부(40)는 상기 산출된 공기의 압력차 'P'를 이용하여 토출부(30)의 유동로 면적 'S' 만을 제어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토출량 'V'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의 토출량을 항상 일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토출량 제어부(40)에 대하여 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량 제어부(40)는 상기 멀티 덕트부(20)와 일측이 연결되고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연성튜브(42)와, 상기 연성튜브(42)의 타측과 연결되고 회전성을 갖는 회전판(43) 및 상기 회전판(43)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판(43)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멀티 덕트부(20)와 연성튜브(42)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판(41)을 더 설치하여 상기 연성튜브(42)를 멀티 덕트부(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41)을 상기 회전판(4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31)는 상기 고정판(41)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여 토출부(30)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제2 감지부(32)는 상기 회전판(43)의 하단 중앙부에 위치하여 토출부(3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토출량 제어부(40)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연성튜 브(42)를 회전시킴으로써, I-I'선 단면을 나타낸 도 3에 도시한 유동로(42a)의 면적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로(42a)의 면적 크기는 상기 회전제어수단(44)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수단(44)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31, 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된 각각의 공기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고, 상기 전달된 공기 압력의 차를 산출하며, 산출된 공기 압력차를 기준압력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유동로(42a)의 면적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변경될 유동로(42a)의 면적 크기가 결정되면 상기 회전제어수단(44)은 회전판(43)의 회전력을 연산하여 상기 회전판(43)을 회전시킴으로써 항상 일정한 토출량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가 기준압력보다 크게 감지될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제어수단(44)에서 회전판(4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Ⅱ-Ⅱ'선 단면을 나타낸 도 5처럼, 상기 유동로(42a)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가 기준압력보다 매우 크게 감지될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제어수단(44)에서 회전판(43)을 이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Ⅲ-Ⅲ'선 단면을 나타낸 도 7처럼, 상기 유동로(42a)의 면적을 도 5의 유동로(42a) 면적보다 더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성튜브(42)의 유동로(42a) 면적을 0% 내지 100%까지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토출부(40)의 토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43)의 회전에 의해 연성재질로 형성된 연성튜브(42)의 유동로(42a) 면적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토출부(40) 하부에 모션 감지부(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션 감지부(33)는 각 토출부(40)가 구비된 공간부(5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제어수단(44)에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회전제어수단(44)은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사람이 공간부(50)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설정된 토출량에 해당하는 공기를 토출시킨다.
만약, 상기 제2 공간부(50b)에 설치된 모션 감지부(33)에서 소정시간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2 공간부(50b)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회전제어수단(44)은 상기 회전판(43)을 이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성튜브(42)의 유동로(42a) 면적 크기를 '0'으로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동로(42a)가 막히게 됨으로써, 상기 제2 토출부(40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은 '0'이 되어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부(10) 및 다수의 공간부(50) 각각과 연결되는 멀티 배기덕트부(60: 60a, 60b, ..., 6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멀티 배기덕트부(60)는 상기 다수의 공간부(50)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각 공간부(50)의 하부 또는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공간부(50)와 연결된 멀티 배기덕트부(60)를 더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공간부(50) 내의 공기를 빠르게 정화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의 토출량 제어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멀티 덕트부(2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상기 제1 감지부(31)에서 감지한다.
상기 제1 감지부(31)에서 공기의 압력을 감지한 후, 상기 토출부(40) 하단에 설치된 제2 감지부(32)에서 토출부(3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한다(S110). 이때, 상기 토출량 제어부(40)의 회전제어수단(44)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31, 32)를 통해 각각 감지된 공기의 압력을 인가받으며 이들의 압력차를 산출하게 된다(S120).
상기 회전제어수단(44)은 상기 S120 단계에서 산출된 공기의 압력차와 기 설정된 기준압력을 비교하고(S130), 상기 산출된 공기의 압력차가 기 설정된 기준압력과 동일할 경우 현재 상태의 유동로(42a) 면적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여 현재 상태의 토출량을 지속적으로 출력한다(S140).
만약, 상기 S120 단계에서 산출된 공기의 압력차와 기준압력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토출량 제어부(40)의 회전판(43)을 회전시켜 유동로(42a)의 면적 크 기를 제어한다(S150).
예를 들어, 상기 산출된 공기의 압력차가 기준압력보다 클 경우 상기 회전판(4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연성튜브(42)의 유동로(42a) 면적 크기를 조절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31, 32)를 통해 공기의 압력을 재 감지하고, 재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를 산출한다.
상기 산출된 공기의 압력차를 기준압력과 비교하고, 상기 공기의 압력차가 기준압력보다 작을 경우 상기 회전판(43)을 이전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유동로(42a)의 면적 크기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유동로(42a)의 면적 크기를 제어한 후 공기의 압력을 재 감지하고, 상기 재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와 기준압력을 비교하여 공기의 압력차와 기준압력이 일치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토출량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제어부의 토출량 제어단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공기공급부 20 : 멀티 덕트부
30, 30a ~ 30n : 토출부 31 : 제1 감지부
32 : 제2 감지부 40 : 토출량 제어부
41 : 고정판 42 : 연성튜브
42a : 유동로 43 : 회전판
44 : 회전제어수단 50, 50a ~ 50n : 공간부
60 : 멀티 배기덕트부

Claims (13)

  1.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공기공급부 및 다수의 공간부와 연결된 멀티 덕트부; 및
    상기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멀티 덕트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토출부는,
    상기 멀티 덕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를 기준압력과 동일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동일 토출량을 출력시키는 토출량 제어부;
    를 포함하는 토출량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가 이동되는 유동로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제어부는,
    상기 멀티 덕트부와 연결되고,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연성튜브;
    상기 연성튜브를 회전시켜 상기 유동로의 크기를 제어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감지된 공기의 압력차를 항상 일정하도록 상기 회전판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 토출부의 토출량 합이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체 공기량보다 클 경우, 상기 공기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체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토출부는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다수의 공간부와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공간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멀티 배기덕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 시스템.
  8. a)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설치된 토출부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및 상기 각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감지된 각 공기의 압력차와 기준압력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비교된 각 공기의 압력차를 기준압력과 동일하게 조절하여 상기 다수의 공간부 각각에 동일 토출량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토출량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비교된 각 공기의 압력 차와 기준압력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공기가 이동되는 각 토출부의 유동로 크기를 제어하여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토출부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연성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튜브를 회전시켜 유동로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 토출부의 토출량 합이 상기 각 토출부에 공급되는 전체 공기량보다 클 경우, 상기 각 토출부에 공급되는 전체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토출부는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토출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공간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제어방법.
KR1020090015171A 2009-02-24 2009-02-24 토출량 제어 시스템 KR20100096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171A KR20100096341A (ko) 2009-02-24 2009-02-24 토출량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171A KR20100096341A (ko) 2009-02-24 2009-02-24 토출량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341A true KR20100096341A (ko) 2010-09-02

Family

ID=4300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171A KR20100096341A (ko) 2009-02-24 2009-02-24 토출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63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7486A (zh) * 2014-08-05 2014-12-10 徐州斯尔克纤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纺丝空调机组侧吹风稳定保护装置
FR3101937A1 (fr) * 2019-10-10 2021-04-16 Ludovic Boulanger Dispositif de ventilation de bâtiment
KR102367917B1 (ko) * 2020-12-16 2022-02-25 김충회 양방향 센서를 구비한 공조 겸용 스마트 제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7486A (zh) * 2014-08-05 2014-12-10 徐州斯尔克纤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纺丝空调机组侧吹风稳定保护装置
FR3101937A1 (fr) * 2019-10-10 2021-04-16 Ludovic Boulanger Dispositif de ventilation de bâtiment
KR102367917B1 (ko) * 2020-12-16 2022-02-25 김충회 양방향 센서를 구비한 공조 겸용 스마트 제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10116A1 (en) Optimized airflow distribution system
JP6091655B2 (ja) 空調システム
WO2013073165A1 (ja) 給排型換気装置
US2021020782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0728316B1 (ko) 가변풍량방식 공조 제어시스템
KR20100096341A (ko) 토출량 제어 시스템
KR10045235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3024547A (ja) 換気システム
WO2008029987A1 (en) Home automation system
JPH05118614A (ja) 空気調和機
JP6910474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4003866A (ja) 換気空調装置
AU202025818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144147B1 (ko) 자동압력대응방식의 전기전자식 디퓨져
JP6656043B2 (ja)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装置
JP7229664B2 (ja) 空調システム
JP2015143580A (ja) 換気装置および給排型換気装置
JP2012026697A (ja) 人感センサによる設備制御システム
JPH08200782A (ja) 換気空調装置
KR20180045535A (ko) 선실 구역의 온도 조절용 환기시스템
JP605571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20059322A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난방 방법 및 시스템
JP2008196821A (ja) 換気装置
KR2016010984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691582B2 (ja) 空調二次ポンプ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