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969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969A
KR20100095969A KR1020090015042A KR20090015042A KR20100095969A KR 20100095969 A KR20100095969 A KR 20100095969A KR 1020090015042 A KR1020090015042 A KR 1020090015042A KR 20090015042 A KR20090015042 A KR 20090015042A KR 20100095969 A KR20100095969 A KR 20100095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oothbrush
coupling
groo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09001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5969A/ko
Publication of KR2010009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specially adapted to feed the bristle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칫솔모가 식모된 식모부 및 상기 식모부와 연결되는 자루를 포함하고, 상기 식모부로부터 상기 자루를 향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에 의해 복수 개의 헤드부로 분리될 수 있는 헤드;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는 보관부 및, 양치시 상기 식모부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제시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다.
칫솔, 칫솔모, 헤드, 바디, 휴대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위생을 위해서는 식후 바로 양치질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집이나 회사 이외의 장소에서도 양치질을 하기 쉽도록 많은 사람들이 외출시 칫솔을 휴대하고 다닌다. 하지만, 일부는 칫솔의 크기로 인한 휴대의 불편함때문에 칫솔 휴대를 귀챦아한다.
하여, 칫솔 휴대시 칫솔을 최대한 얇고 작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되, 양치시에는 충분히 크기 및 강성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얇고 작은 크기로 휴대할 수 있고, 양치시 충분히 크기 및 강성을 가질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칫솔모가 식모된 식모부 및 상기 식모부와 연결되는 자루를 포함하고, 상기 식모부로부터 상기 자루를 향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에 의해 복수 개의 헤드부로 분리될 수 있는 헤드;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는 보관부 및, 양치시 상기 식모부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제시한다.
상기 바디는 상기 보관부, 상기 결합부를 이루는 보관홈, 결합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보관홈 및 상기 결합홈을 복개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는 절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관홈과 상기 결합홈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양치를 위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바디의 보관홈은, 각각의 헤드부가 양치시 세워진 자세로부터 상기 폭방향을 중심선으로 하여 회전된 눕혀진 자세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양치를 위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바디의 보관홈은 그 깊이가, 상기 각각의 헤드부의 폭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양치를 위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바디의 보관홈은 상기 폭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보관되는 2개의 헤드부 사이에, 각각의 헤드부의 칫솔모가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양치를 위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바디의 결합홈은 적어도 일부의 폭 길이가, 상기 바디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헤드의 폭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결합홈과 상기 헤드는 각각,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의 결합홈에 삽입되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결합홈은 상기 맞물림부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바디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부분이 모따기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장방형 형상을 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장방향 양단 중 어느 한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방향으로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는 각각, 상기 커버에 의해 상기 보관홈 및 상기 결합홈이 복개되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맞물림부는 상기 커버의 맞물림부인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맞물림부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커버의 맞물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커버 맞물림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을 가로지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 맞물림용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의 삽입부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2,제3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는 그 내측면에 치약의 일부가 보관될 수 있는 치약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치약 보관부로부터 돌출된 치약의 다른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칫솔의 헤드를 그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하여 바디에 보관홈으로써 얇고 작은 크기로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칫솔의 휴대성이 좋고, 양치시에는 바디가 헤드를 견고하게 지지해 줌과 아울러 손잡이 역할을 해 줌에 따라 양치하기 충분한 크기 및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칫솔모(102)가 식모된 식모부(110) 및 식모부(110)와 연결되는 자루(120)를 포함하고, 식모부(110)로부터 자루(120)를 향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100B)에 의해 복수 개의 헤드부(100A)로 분리될 수 있는 헤드(100)와; 복수 개의 헤드부(100A)가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는 보관부(222) 및, 양치시 식모부(110)를 이룰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헤드부(100A)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결합부(224)를 갖는 바디(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양치시에는 헤드(100)를 바디(200)의 결합부(224)에 결합함으로써, 복수 개의 헤드부(100A)를 바디(200)에 의해 일체화함으로써 헤드(100)가 바디(20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바디(200)가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칫솔이 양치질 하기에 충분한 길이 및 강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양치 후에는 바디(200)의 결합부(224)로부터 헤드(100)를 분리한 후, 그 분리된 헤드(100)를 복수 개의 헤드부(100A)로 분리하여 바디(200)의 보관부(222)에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칫솔을 소형으로 휴대할 수 있어서, 칫솔의 휴대 용이성이 좋다.
여기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치시 복수 개의 헤드부(100A)가 식모부(110)를 이루기 위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방향을 폭방향(화살표 W)이라 하고, 양치시 헤드(100)와 바디(200)의 배열방향을 길이방향(화살표 L), 그리고 그 나머지 방향인 양치시 칫솔모(102)의 길이방향을 높이방향(화살표 H)이라 한다.
이때, 휴대시 헤드(100)를 분리하여 바디(200)의 보관부(222)에 보관 부(222A)으로써, 칫솔의 길이를 줄여서 휴대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헤드(100)가 분리선(100B)에 의해 폭방향(화살표 W)을 따라 복수 개의 헤드부(100A)로 분할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의 보관부(222)에 보관되는 보관 두께를 줄여서 얇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드(100)는 도 1 내지 도 6,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헤드부(100A)로 분리될 수도 있고,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분리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3개, 5개 등 다양하게 분리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0)를 2개의 헤드부(100A)로 분리하여 휴대하여도 충분히 얇은 상태로 칫솔을 휴대할 수 있고, 양치를 위한 헤드(100)와 바디(200)의 결합과정 및 칫솔 휴대를 위한 헤드(100)와 바디(200)의 분리과정이 간소하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바디(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치시에는 손잡이 역할을 하고, 칫솔 휴대시에는 헤드(100)의 케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든 무방하다.
다만, 본 실시 예와 같이 바디(200)는 보관부(222), 결합부(224)를 이루는 보관부(222A), 결합홈(224A)이 형성된 베이스(220)와, 보관부(222A) 및 결합홈(224A)을 복개할 수 있는 커버(210)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헤드(100)를 바디(200)의 보관부(222A)에 집어넣거나 빼는 동작만으로 헤드(100)와 바디(200)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200)의 보관부(222A)이 커버(210)에 의해 복개됨으로써, 헤 드(100)를 청결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바디(200)의 보관부(222A) 및 결합홈(224A)이 커버(210)에 의해 복개됨으로써, 헤드(100)가 바디(200)의 보관부(222A) 또는 바디(200)의 결합홈(224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200)의 보관부(222A) 및 결합홈(224A)이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바디(200)의 보관부(222A) 및 결합홈(224A)을 청소하기 쉽다.
이러한 바디(200)와 커버(210)는 수납박스처럼 구조적으로 분리 가능토록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용 편의성이 더 좋도록 서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와 커버(21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어 바디(200)와 커버(210)의 경계라인을 중심으로 서로 절첩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힌지 핀에 의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서로 절첩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바디(200)와 커버(210)는 서랍처럼 커버(2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바디(200)의 보관부(222A) 및 결합홈(224A)을 복개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바디(200)와 커버(2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베이스(220)와 커버(210)는 각각, 커버(210)에 의해 바디(200)의 보관부(222A) 및 바디(200)의 결합홈(224A)이 복개되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제2맞물림부'라 한다)(228, 2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220)와 커버(210)의 제1, 제2맞물림부(226, 212)에 의해, 바디(200)의 보관부(222A) 및 결합홈(224A)이 보다 견고하게 복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바디(200)의 보관부(222A)에 보관된 헤드(1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헤드(100)가 바디(200)의 결합홈(224A)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바디(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베이스(220)와 커버(210)의 제1,제2맞물림부(226, 212)는 바디(200)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베이스(220)와 커버(210)의 제1,제2맞물림부(226, 212)의 맞물림력이 너무 강해서 커버(210)를 여는데 힘이 들 수 있으며, 베이스(220)와 커버(210)의 제1,제2맞물림부(226, 212)는 그 맞물림력이 충분히 형성될 수 있다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의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20)와 커버(210)의 제1,제2맞물림부(226, 212)는 바디(200)의 어디에 형성되든 무방하나,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의 결합부(224)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양치시 특히 바디(200)의 결합부(224)가 베이스(220)와 커버(210)의 제1,제2맞물림부(226, 112)에 의해 견고하게 복개됨으로써, 바디(200)와 헤드(100)의 결합력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220)와 커버(210)의 제1,제2맞물림부(226, 212)는 서로 분리 가능토록 맞물릴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취하든 무방하며, 바람직한 일 예로써, 베이스(220)의 제1맞물림부(226)는 커버(210)의 제2맞물림부(212)인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과 같은 삽입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커버(210)의 돌출부는 바디(200)의 결합홈(224A)을 가로지를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돌기(212A)와, 제1돌기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베이스(220)의 삽입부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2,제3돌기(212B, 21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아울러, 헤드(100)는 바디(200)의 결합부(224)에 결합되었을 때, 커버(210)의 제1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커버(210) 맞물림용 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100)는 바디(200)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200)는 양치시 칫솔이 충분히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장방향 형상을 취함과 아울러, 바디(200)의 결합부(224)는 바디(200)의 장방향 양단 중 어느 한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헤드(100)가 결합부(224)와 결합된 상태에서 장방향으로 바디(2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바디(200)의 결합부(224)는 개구부(224B)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양치시 바디(200)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바디(200)는 바디(200)의 결합부(224)가 형성된 부분이 모따기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디(200)의 결합홈(224A)은 적어도 일부의 폭 길이(224W) 및 그 높이(224H)가 바디(200)의 결합홈(224A)에 결합되는 헤드(100)의 폭 길이(100W) 및 높이(100H)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100)가 바디(200)의 결합부(224)에 결합될 때, 흔들리지 않게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바디(200)의 결합홈(224A)과 헤드(100)는 각각, 헤드(100)가 바디(200)의 결합홈(224A)에 삽입되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제4맞물림부'라 한다)(228, 1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200)와 헤드(100)의 제3,제4맞물림부(228, 122)에 의해, 바디(200)와 헤드(1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디(200)와 헤드(100)의 제3,제4맞물림부(228, 122)는 서로 분리 가능토록 맞물릴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취하든 무방하며, 바람직한 일 예로써 바디(200)의 제3맞물림부(228)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헤드(100)의 제4맞물림부(122)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바디(200)의 제3맞물림부(228)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나 홀의 삽입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헤드(100)는 바디(200)의 보관부(222A)에 보관될 때, 각각의 헤드부(100A)가 양치시 세워진 자세(도 2 참조)로부터 폭방향(화살표 W)을 중심선으로 하여 회전된 눕혀진 자세(도 1의 실선 참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바디(200)의 보관부(222A)의 높이(200H)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칫솔을 매우 얇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어,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200)의 보관부(222A)은 그 높이(200H)가, 각각의 헤드부(100A)의 폭 길이(100W)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200)의 보관부(222A)은 폭방향(화살표 W)으로 가장 외측에 보관되는 2개의 헤드부(100A) 사이에, 각각의 헤드부(100A)의 칫솔모(102)가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복수 개의 헤드부(100A)가 바디(200)의 보관부(222A)에 조밀하게 보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디(200)의 보관부(222A)의 폭 길이(200W)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칫솔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치시에는, 도 3과 같이 칫솔이 휴대 용이한 상태에서,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10)를 열어서 바디(200)의 보관부(222A) 및 결합홈(224A)을 개방한다.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0)를 바디(200)의 보관부(222A)으로부터 빼낸 후, 헤드(100)를 바디(200)의 결합홈(224A)에 결합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10)를 닫으면, 칫솔이 양치를 위한 상태로 바뀔 수 있다.
양치 후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의 과정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을 휴대 용이한 상태로 바꾸면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10)는 그 내측면에 치약(300)의 일부가 보관될 수 있는 치약 보관부(222)(214)가 형성되고, 치약 보관부(222)(214)로부터 돌출된 치약(300)의 다른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치약도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치약 사용시에는 화살표 A와 같이 커버(210)의 개구부(216)를 통해 치약(300)을 누르면, 치약(300)을 커버(210)로부터 용이하게 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휴대를 위한 헤드 자세(실선)와 양치를 위한 헤드 자세(점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칫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휴대를 위한 칫솔의 사시도.
도 4는 양치를 위한 칫솔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커버를 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도 7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양치를 위한 헤드 자세의 평면도.
도 8은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를 위한 헤드 자세의 평면도.
도 9는 제3실시 예에 따른 양치를 위한 헤드 자세의 평면도.
도 10은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를 위한 헤드 자세의 평면도.
도 11은 제4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헤드 100A; 헤드부
102; 칫솔모 110; 식모부
120; 자루 200; 바디
210; 커버 220; 베이스
222; 보관부 222A; 보관홈
224; 결합부 224A; 결합홈

Claims (17)

  1. 칫솔모가 식모된 식모부 및 상기 식모부와 연결되는 자루를 포함하고, 상기 식모부로부터 상기 자루를 향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에 의해 복수 개의 헤드부로 분리될 수 있는 헤드;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는 보관부 및, 양치시 상기 식모부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보관부, 상기 결합부를 이루는 보관홈, 결합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보관홈 및 상기 결합홈을 복개할 수 있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는 절첩 가능토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관홈과 상기 결합홈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양치를 위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바디의 보관홈은, 각각의 헤드부가 양치시 세워진 자세로부터 상기 폭방향을 중심선으로 하여 회전된 눕혀진 자세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양치를 위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바디의 보관홈은 그 깊이가, 상기 각각의 헤드부의 폭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양치를 위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바디의 보관홈은 상기 폭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보관되는 2개의 헤드부 사이에, 각각의 헤드부의 칫솔모가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헤드부가 양치를 위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바디의 결합홈은 적어도 일부의 폭 길이가, 상기 바디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헤드의 폭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결합홈과 상기 헤드는 각각,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의 결합홈에 삽입되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결합홈은 상기 맞물림부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바디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부분이 모따기된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장방형 형상을 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장방향 양단 중 어느 한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방향으로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3.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는 각각, 상기 커버에 의해 상기 보관홈 및 상기 결합홈이 복개되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맞물림부는 상기 커버의 맞물림부인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맞물림부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커버의 맞물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커버 맞물림용 홈이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을 가로지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 맞물림용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의 삽입부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2,제3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내측면에 치약의 일부가 보관될 수 있는 치약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치약 보관부로부터 돌출된 치약의 다른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090015042A 2009-02-23 2009-02-23 칫솔 KR20100095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042A KR20100095969A (ko) 2009-02-23 2009-02-23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042A KR20100095969A (ko) 2009-02-23 2009-02-23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969A true KR20100095969A (ko) 2010-09-01

Family

ID=4300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042A KR20100095969A (ko) 2009-02-23 2009-02-23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59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575B1 (ko) 2014-12-08 2016-01-28 조달호 다용도 칫솔
KR101867777B1 (ko) * 2017-12-01 2018-06-14 이동훈 휴대용 칫솔
WO2020220049A1 (en) * 2019-04-25 2020-10-29 Medioni Betsalel Disposable tooth brush and pick in compact card form fa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575B1 (ko) 2014-12-08 2016-01-28 조달호 다용도 칫솔
KR101867777B1 (ko) * 2017-12-01 2018-06-14 이동훈 휴대용 칫솔
WO2020220049A1 (en) * 2019-04-25 2020-10-29 Medioni Betsalel Disposable tooth brush and pick in compact card form f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467B2 (en) Triple clean toothbrush
US20040040571A1 (en) Combined toothbrush and flossing device
KR20100095969A (ko) 칫솔
KR101589575B1 (ko) 다용도 칫솔
US20040094180A1 (en) Teeth cleaning brush stick
KR200457723Y1 (ko) 구강 위생 용구
KR200393316Y1 (ko) 칫솔
KR102322218B1 (ko) 칫솔 기능을 가진 이쑤시개
KR20210154391A (ko)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KR200477996Y1 (ko) 회전식 출몰구조를 갖는 듀얼칫솔
KR200377277Y1 (ko) 칫솔
KR200449352Y1 (ko) 치약 내장형 칫솔의 치약출구 개폐캡
KR101356341B1 (ko) 휴대용 치간칫솔
JP3108874U (ja) 歯間ブラシ
KR20110096404A (ko) 일회용 식용 칫솔
KR20100006564U (ko) 휴대용 칫솔
CN211269096U (zh) 一种双刷毛折叠刷具
US20060236483A1 (en) Toothbrush
KR102049094B1 (ko)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칫솔
KR20100005175U (ko) 치간칫솔을 보관할 수 있는 칫솔 케이스.
KR102069335B1 (ko) 칫솔
KR200465000Y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KR20230001951U (ko)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KR200491791Y1 (ko) 칫솔이 결합된 휴대용 치약
KR20170095102A (ko)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