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715A -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 Google Patents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715A
KR20100095715A KR1020090014667A KR20090014667A KR20100095715A KR 20100095715 A KR20100095715 A KR 20100095715A KR 1020090014667 A KR1020090014667 A KR 1020090014667A KR 20090014667 A KR20090014667 A KR 20090014667A KR 20100095715 A KR20100095715 A KR 20100095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beverage
water
cold
hot water
stock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광열
Original Assignee
(주)볼케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볼케노코리아 filed Critical (주)볼케노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1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5715A/ko
Publication of KR2010009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정)수을 공급하는 기능은 물론 액상음료(청량음료, 이온음료 등 커피나 녹차를 포함한 액상음료)을 공급할 수 있는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는, 물공급원으로부터 냉각기를 거친 냉수가 토출되는 냉수코크와; 물공급원으로부터 가열기를 거친 온수가 토출되는 온수코크와; 2 이상의 액상음료 원액이 각각 별개의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에 담기며, 상기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로부터 정량의 액상음료 원액이 토출되는 2개 이상의 액상음료원액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 및 온수는 각각 상기 냉수코크 및 상기 온수코크의 수동제어에 의해 토출되며, 상기 2 이상의 액상음료 원액은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액상음료 원액만이 배출되도록 자동 제어되며, 선택음료와 냉온수가 혼합 또는 희석되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액상음료원액,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 액상음료원액 토출구, 냉수코크, 온수코크

Description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Water purifier of cool and warm having liquid beverage dispensor}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정)수을 공급하는 기능은 물론 액상음료(청량음료, 이온음료 등 커피나 녹차를 포함한 액상음료)을 공급할 수 있는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라 함은 물이나 음료를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판매되며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관련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604호(액상음료 배출기)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242626호(정수기겸용 냉온자판기)가 공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604호는 본체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액상음료 저장용기에 수용되는 액상음료의 잔유량을 검출하는 수단의 구조 간단화로 해당 부품수를 줄이고, 사용자의 기호도에 따라 농도가 상이한 액상음료(진한 액상 커피 또는 연한 액상커피를 말함)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액상음료 배출기에 관한 것이나, 액상음료 배출 나아가 농도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갖지만 정 수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지 못하는 액상음료 배출만의 단독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242626호(정수기겸용 냉온자판기)는 정수된 냉온수 및 음료수공급부를 가져 냉온수 및 냉온음료를 제공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지만, 냉온수를 정수하는 정수장치가 별도로 필요하고, 음료수를 공급하기 위해 음료(즉, 커피)의 원료(고체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통 및 저장통으로부터 토출된 원료와 냉온수를 혼합시키는 믹싱트레이를 구성하여 음료수 즉 커피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대적으로 보존기간이 길고 원료의 변질이 잘 되지 않는 고체분말을 원료로 하고 있어 액상음료 원액으로부터 얻어지는 액상음료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된 물을 사용하여 정수장치가 필요없는 단순화 된 냉온(정)수기와, 액상음료 원액을 사용하여 액상음료의 천연의 맛을 즐길 수 있는 실용성이 강화된 음료배출기를 하나의 디스펜서로서 제공하여 이용자의 음용수 또는 음료수의 선택범위를 넓혀 디스펜서로서의 기능을 확대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는, 물공급원으로부터 냉각기를 거친 냉수가 토출되는 냉수코크와; 물공급원으로부터 가열기를 거친 온수가 토출되는 온수코크와; 2 이상의 액상음료 원액이 각각 별개의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에 담기며, 상기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로부터 정량의 액상음료 원액이 토출되는 2개 이상의 액상음료원액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 및 온수는 각각 상기 냉수코크 및 상기 온수코크의 수동제어에 의해 토출되며, 상기 2 이상의 액상음료 원액은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액상음료 원액만이 배출되도록 자동 제어되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컵받이 상부에 컵의 유무에 따라 시스템 동작을 억제하는 센서를 내장하여 컵이 없을시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는, 물공급원으로부터 냉각기를 거친 냉수가 토출되는 냉수코크와; 물공급원으로부터 가열기를 거친 온수가 토출되는 온수코크와; 2 이상의 액상음료 원액이 각각 별개의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에 담기며, 상기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로부터 정량의 액상음료 원액이 토출되는 2개 이상의 액상음료원액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 및 온수는 각각 상기 냉수코크 및 상기 온수코크의 수동제어에 의해 토출되며, 상기 2 이상의 액상음료 원액은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액상음료 원액만이 토출되도록 자동 제어되거나,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액상음료 원액 및 물(상기 냉수 또는 온수)이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자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밀폐용기에 저장된 액상음료 원액의 사용량을 체크하기 위해 사용누적횟수에 의한 시간적산부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정수된 물을 사용하여 정수장치가 필요없는 단순화 된 냉온(정)수기와, 액상음료 원액을 사용하여 액상음료의 천연의 맛을 즐길 수 있는 실용성이 강화된 음료배출기를 하나의 디스펜서로서 제공하여 이용자의 음용수 또는 음료수의 선택범위를 넓힐 수 있는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 온(정)수기의 구조 및 동작제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는 외함을 이루는 본체(110)와, 냉수를 토출하도록 수동 동작이 이루어지는 냉수코크(112)와, 온수를 토출하도록 수동 동작이 이루어지는 온수코크(113)와, 액상음료원액을 담고 있는 밀폐된 제1 및 제2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115, 116)와, 제1 및 제2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115, 116)와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토출호스(117, 118)와, 제1 및 제2 토출호스(117, 118)에 연결되어 액상음료원액이 토출되는 제1 및 제2 액상음료원액 토출구(119, 120)와, 전면을 개폐하여 제1 및 제2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115, 116)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전면덮개(119)로 이루어진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 111은 냉수, 온수 및 음료 선택버튼을 도시한 것이며, 도면번호 114는 토출된 액상음료원액 및 냉온수를 받는 컵을 받칠 수 있는 컵받침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냉수코크(214)가 수동 동작되면, 정수물통(또는 생수물통, 210)으로부터 공급된 정수는 커넥터(211)를 거쳐 냉각기(212)를 통과하여 냉수가 되고, 냉수는 냉수코크(214)에 붙어있는 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마찬가지로 온수코크(215)가 수동 동작되면, 정수물통(210)으로부터 공급된 정수는 커넥터(211)를 거쳐 가열기(213)를 통과하여 온수가 되고, 온수는 온수코 크(215)에 붙어있는 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그리고, 액상음료를 사용자가 선택버튼(도 1의 111)에 의해 선택하면, 제1 및 제2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216, 217)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 제어밸브(218, 219)가 열린상태에서 제1 및 제2 액상음료원액 토출구(220, 221)를 통해 액상음료원액이 토출된다. 사용자는 토출된 액상음료원액이 담긴 컵 등을 다시 냉수코크(214) 또는 온수코크(215)를 통해 냉수 및 온수를 공급받아 냉음료 또는 온음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냉수코크(319)가 수동 동작되면, 정수물통(또는 생수통, 310)으로부터 공급된 정수는 커넥터(311)를 거쳐 냉각기(312)를 통과하여 냉수가 되고, 냉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제1 제어밸브(315)가 열리면서 냉수호스(317)를 통해 냉수코크(319)에 붙어있는 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마찬가지로 온수코크(320)가 수동 동작되면, 정수물통(또는 생수통, 310)으로부터 공급된 정수는 커넥터(311)를 거쳐 가열기(313)를 통과하여 온수가 되고, 온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제2 제어밸브(316)가 열리면서 온수호스(318)를 통해 온수코크(320)에 붙어있는 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그리고, 액상음료를 사용자가 선택버튼(도 1의 111)에 의해 선택하면, 제1 및 제2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321, 322)로부터 각각 제3 및 제4 제어밸브(327, 328)가 열린상태에서 제1 및 제2 액상음료원액 토출구(329, 330)를 통해 액상음료 원액이 토출되고, 액상음료원액이 토출된 후 사용자의 냉음료 또는 온음료의 선택에 의해 정수물통(또는 생수통, 310)으로부터 공급된 정수는 커넥터(311)를 거쳐 냉각기(312) 또는 가열기(313)를 통과하여 냉수 또는 온수가 된다.
냉수는 제1 제어밸브(315)가 열리면서 제1 음료용 냉수호스(323) 또는 제2 음료용 냉수호스(324)를 통해 제3 또는 제4 제어밸브(327, 328)가 열리면서 통과되어 제1 또는 제2 액상음료원액 토출구(329, 330)를 통해 토출되어 냉수와 액상음료원액이 혼합되어 냉음료가 생성되고, 온수는 제2 제어밸브(316)가 열리면서 제1 음료용 온수호스(325) 또는 제2 음료용 온수호스(326)를 통해 제3 또는 제4 제어밸브(327, 328)가 열리면서 통과되어 제1 또는 제2 액상음료원액 토출구(329, 330)를 통해 토출되어 온수와 액상음료원액이 혼합되어 온음료가 생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냉온정수는 정수공급원(410, 정수물통 또는 생수통)으로부터 냉각기(411)를 거친 냉수는 화살표(413) 방향으로 냉수코크(415)의 수동 동작에 의해 토출되며, 정수공급원(410)으로부터 가열기(412)를 거친 온수는 화살표(414) 방향으로 온수코크(416)의 수동 동작에 의해 토출된다.
그리고, 선택된 액상음료는 제1 또는 제2 액상음료 밀폐용기(417, 418)를 거쳐 제1 또는 제2 제어밸브(419, 420)를 거쳐 각각 화살표(421, 422) 방향으로 제1 또는 제2 액상음료 토출구(423, 424)를 통해 액상음료의 원액이 토출된다. 원액이 담긴 컵을 다시 냉수코크(415) 또는 온수코크(416)로 가져가 음용수를 첨가하여 냉 음료수 또는 온음료수를 이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냉온정수는 정수공급원(510)으로부터 냉각기(511)를 거친 냉수는 제어부(미도시, PCB에 내장)의 제어에 의해 제1 제어밸브(513)가 열린 상태에서 화살표(517) 방향으로 냉수코크(517)의 수동 동작에 의해 토출되며, 정수공급원(510)으로부터 가열기(512)를 거친 온수는 제어부(미도시, PCB에 내장)의 제어에 의해 제2 제어밸브(514)가 열린 상태에서 화살표(518) 방향으로 온수코크(517)의 수동 동작에 의해 토출된다.
그리고, 선택된 액상음료는 제1 또는 제2 액상음료 밀폐용기(519, 520)를 거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3 또는 제4 제어밸브(521, 522)를 거쳐 각각 화살표(523, 524) 방향으로 제1 또는 제2 액상음료 토출구(525, 526)를 통해 액상음료의 원액이 토출된다.
이어서, 사용자의 냉음료 또는 온음료의 선택에 따라 정수공급원(510)으로부터 냉각기(511)를 거친 냉수는 제1 제어밸브(513)를 통과하여 제3 또는 제4 제어밸브(521, 522)를 통과하고 다시 화살표(523, 524) 방향으로 제1 또는 제2 액상음료 토출구(525, 526)를 통해 토출되어 액상음료 원액과 냉수가 섞여 냉음료가 생성되거나, 정수공급원(510)으로부터 가열기(512)를 거친 냉수는 제2 제어밸브(514)를 통과하여 제3 또는 제4 제어밸브(521, 522)를 통과하고 다시 화살표(523, 524) 방향으로 제1 또는 제2 액상음료 토출구(525, 526)를 통해 토출되어 액상음료 원액과 온수가 섞여 온음료가 생성된다.
액상음료 원액과 냉온수는 순차적으로 토출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단독으로도 토출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Claims (3)

  1. 물공급원으로부터 냉각기를 거친 냉수가 토출되는 냉수코크와;
    물공급원으로부터 가열기를 거친 온수가 토출되는 온수코크와;
    2 이상의 액상음료 원액이 각각 별개의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에 담기며, 상기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로부터 정량의 액상음료 원액이 토출되는 2개 이상의 액상음료원액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 및 온수는 각각 상기 냉수코크 및 상기 온수코크의 수동제어에 의해 토출되며,
    상기 2 이상의 액상음료 원액은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액상음료 원액만이 배출되도록 자동 제어되어 토출되는,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2. 물공급원으로부터 냉각기를 거친 냉수가 토출되는 냉수코크와;
    물공급원으로부터 가열기를 거친 온수가 토출되는 온수코크와;
    2 이상의 액상음료 원액이 각각 별개의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에 담기며, 상기 액상음료원액 밀폐용기로부터 정량의 액상음료 원액이 토출되는 2개 이상의 액상음료원액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 및 온수는 각각 상기 냉수코크 및 상기 온수코크의 수동제어에 의해 토출되며,
    상기 2 이상의 액상음료 원액은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액상음료 원액만이 토출되도록 자동 제어되거나, 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액상음료 원액 및 물(상기 냉수 또는 온수)이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자동 제어되는,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에 저장된 액상음료 원액의 사용량을 체크하기 위해 사용누적횟수에 의한 시간적산부가 내장되는,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KR1020090014667A 2009-02-23 2009-02-23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KR20100095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667A KR20100095715A (ko) 2009-02-23 2009-02-23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667A KR20100095715A (ko) 2009-02-23 2009-02-23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715A true KR20100095715A (ko) 2010-09-01

Family

ID=43003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667A KR20100095715A (ko) 2009-02-23 2009-02-23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57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534A1 (ko) * 2016-08-24 2018-03-01 이규용 워셔액 즉석 생성기
KR20180022597A (ko) * 2016-08-24 2018-03-06 이규용 워셔액 즉석 생성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534A1 (ko) * 2016-08-24 2018-03-01 이규용 워셔액 즉석 생성기
KR20180022597A (ko) * 2016-08-24 2018-03-06 이규용 워셔액 즉석 생성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5510B2 (en) Beverage carbonating system and method for carbonating a beverage
US20130189400A1 (en) Single serve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n ionizer
CA2875899C (en) Beverage carbonating system and method for carbonating a beverage
KR102088552B1 (ko) 음료를 제조하고 분배하기 위한 캡슐 기반 시스템
US8673379B2 (en) Liquid flow control and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10414642B2 (en) Cold beverage dispenser and flexible pouch
US9198534B2 (en) Liquid flow control and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AU2006291158B2 (en) Drain for beverage forming machine
US8434401B2 (en) Liquid flow control and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GB2413480B (en)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413479B (en)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8607692B2 (en) Beverage system
US20120298594A1 (en) Liquid flow control and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160205988A1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method for use with single serve flavor pods
CA2413489A1 (en) Hot beverage maker with cup-activated dispenser
ATE425689T1 (de) Getrankezubereitungsvorrichtung mit mehreren getrankesammelkammern
CN103663329A (zh) 具有碳酸饱充系统的饮料分配装置
US20140004240A1 (en) Beverage carbonating system and method for carbonating a beverage
KR20130125634A (ko) 생맥주 자동 정량 주출장치
JP6220451B2 (ja) 炭酸水混合装置
KR20060129579A (ko) 정수기의 첨가물 공급장치
KR20100095715A (ko)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
KR20160001967U (ko)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JP2006263028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マシーン
RU2008101637A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варных напит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