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179A -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179A
KR20100094179A KR1020090013488A KR20090013488A KR20100094179A KR 20100094179 A KR20100094179 A KR 20100094179A KR 1020090013488 A KR1020090013488 A KR 1020090013488A KR 20090013488 A KR20090013488 A KR 20090013488A KR 20100094179 A KR20100094179 A KR 2010009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absorber
bare cell
ferrite
loop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3884B1 (ko
Inventor
김봉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884B1/ko
Priority to US12/706,217 priority patent/US20100209744A1/en
Priority to EP10153881A priority patent/EP2226869B1/en
Publication of KR2010009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은 베어셀 및 베어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흡수체는 소결된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배터리팩, 흡수체, 페라이트, 루프 안테나

Description

배터리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장소로부터 가까이 위치하는 리더기(또는 기지국)과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RF 신호를 이용한 RFID 인식 기술을 발전함으로써 교통카드 및 전자상거래와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 때, 단말기와 리더기 사이의 RF 신호의 송수신은 단말기나 단말기에 장착되는 배터리팩에 안테나를 장착함으로서 가능하며, 안테나와 리더기와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RF 감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RF 감도를 향상시켜 외부 전자기기와의 통신을 원활히 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은 베어셀, 베어셀의 장측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흡수체는 소결된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흡수체는 니켈 페라이트, 징크 페라이트, 니켈징크 페라이트 및 바륨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흡수체가 니켈징크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산화철 47 내지 48wt%, 산화니켈 30wt%, 산화아연 20wt%, 산화구리 2 내지 3wt%의 배합비율을 가질 수 있다. 흡수체의 투자율은 100 내지 115T일 수 있다.
흡수체의 두께는 1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mm 이하일 수 있다. 흡수체의 장측면의 면적과 상기 베어셀의 장측면의 면적의 비는 1:2 내지 1:1일 수 있다.
흡수체의 일측면에는 페라이트 재질의 취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머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흡수체는 베어셀에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베어셀의 일측면에는 흡수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홈이 형성되며, 흡수체는 상기 홈에 위치할 수 있다.
흡수체는 다수의 페라이트 절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페라이트 절편은 삼각 절편 또는 사각 절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수체의 장측면에는 루프안테나가 위치하며, 루프 안테나는 보호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루프 안테나는 13.56MHz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루프 안테나는 루프 형태를 가지는 안테나 패턴 및 안테나 패턴을 덮는 필름 형상으로 구성되는 커버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루프 안테나는 커버레이 대신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상기 안테나 패턴을 감싸도록 코팅된 절연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안테나 패턴은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배터리팩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은 소결된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흡수체를 구비함으로써 투자율을 높여 루프 안테나의 RF 감도를 향상시켜 외부 전자기기와의 통신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수체는 소결된 페라이트로만 이루어지므로 배터리팩의 제조공정이 쉽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어셀의 용량을 유지하면서 배터리팩의 부피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팩의 용량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500)의 SEM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회로모듈(2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은 베어셀(100), 보호회로모듈(200), 루프 안테나(300), 흡수체(500), 상부케이스(910), 하부케이스(920) 및 라벨(9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팩(10)은 소결된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흡수체(500)를 구비함으로써 투자율을 높여 루프 안테나(300)에 내장된 루프 안테나(300)의 RF 감도를 향상시켜 외부 리더기와의 통신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상기 베어셀(100)은 캔(110), 전극조립체(미도시) 및 캡조립체(미도시)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캔(1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며, 상기 개구부는 캡조립체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베어셀(100)은 전기적으로 양극과 음극을 가지며, 충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팩(10)의 최소단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캔(1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캔(1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부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캔(110)은 알루미늄(Al) 등의 경량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자체가 양극 단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캔(110)에는 개구된 상부를 통해 전극조립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판, 음극판, 세퍼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위치하여,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는 캔(110)의 상부를 통해 캔(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캡조립체는 캡플레이트(121), 전극단자(122), 가스켓(123), 절연플레이트(미도시) 및 터미널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캡조립체는 별도의 절연케이스와 함께 캔(110)의 개구부에서 전극조립체와 결합되어 캔(110)을 밀봉할 수 있다. 전극단자(122)는 음극단자가 될 수 있다.
베어셀(100)의 외관은 전극 단자가 돌출된 상면(101), 상면과 마주보는 하면(102), 한쌍의 장측면(103, 104)과 한쌍의 단측면(105, 106)으로 정의할 수 있 다. 여기서, 한 쌍의 장측면(103, 104)은 폭이 넓은 측면들이며, 한 쌍의 단측면(105, 106)은 폭이 좁은 측면들이다.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은 베어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베어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보호회로기판(210), 보호회로소자(220), IC칩(230), 충방전단자(240), 양극 리드플레이트(250), 음극 리드플레이트(260) 및 루프 안테나 패드(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회로기판(210)의 하면에는 PTC 소자(미도시)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기판(210)은 베어셀(100)의 상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회로기판(210)의 내부에는 보호회로소자(220), IC칩(230), 충방전단자(240), 양극 리드플레이트(250), 음극 리드플레이트(260) 및 루프 안테나 패드(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금속패턴(미도시)이 설계되어 있다.
상기 보호회로소자(220)는 기판의 일면에 위치하며, 베어셀(100)의 충방전 상태, 및 전지의 전류, 전압, 온도 등의 정보를 점검하여 배터리팩(1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IC칩(230)은 보호회로기판(210)의 하면에 위치하며, 루프 안테나 단자(270)를 통해 루프 안테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C칩(230)은 루프 안테나(300)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예를 들면, RF 신호 인식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단자(240)는 보호회로기판(210)의 상면에 위치하며, 외부 전자기기(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적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양극 리드플레이트(250)는 보호회로기판(210)과 베어셀(100)의 상면과 보호회로기판(210) 사이에 위치하여, 캡플레이트(121)와 보호회로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양극 리드플레이트(250)는 보호회로기판(210)의 단변측에 각각 두 개가 위치할 수 있는데, 두 개 모두 캡플레이트(121)와 보호회로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 중 어느 하나만이 캡플레이트(121)와 보호회로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양극 리드플레이트(250)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극 리드플레이트(260)는 보호회로기판(210)의 하면에 형성되어, 보호회로기판(210)의 중앙에 형성된 용접홀(210a)과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음극 리드플레이트(260)는 베어셀(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전극단자(122)와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극 리드플레이트(260)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루프 안테나 단자(270)는 상기 보호회로기판(210)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루프 안테나(300)의 내부에 내장된 루프 안테나(300)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루프 안테나(300)는 베어셀(100)의 두 장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루프 안테나(300)는 베어셀(100)의 장측면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사각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안테나 패턴(310), 커버레이(320) 및 접속단자(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310)은 커버레이(320) 내부에 위치하며, 커버레이(320)의 가장자리에 수차례 권선되는 루프 형태를 가지며,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레이(320)는 안테나 패턴(310)을 덮도록, 얇은 필름 형상으로 구성되며,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는 안테나 패턴(310)의 양 단에 접속되어 보호회로기판(210)의 하면에 위치하는 루프 안테나(300) 단자(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루프 안테나(300)는 외부 전자기기(예를 들면, 리더기)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면, RF 신호를 보호회로모듈(200)에 위치하는 IC칩(230)에 송신한다. IC 칩은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판독 처리하여, 다시 루프 안테나(300)를 통하여 외부 전자기기에 응답 RF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루프 안테나(300)의 RF 송신 전력은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받은 RF 신호의 유도 기전력이 될 수 있다. 루프 안테나(300)는 13.56MHz 주파수로 외부 전자기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흡수체(500)는 베어셀(100)과 루프 안테나(300) 사이에 위치하며, 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수체(500)는 루프 안테나(300)에서 발생하는 와류 신호를 감소시키며, 루프 안테나(300)를 지나는 자속을 집중시켜 RF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체(500)는 소결된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흡수체(500)는 니켈 페라이트, 징크 페라이트, 니켈징크 페라이트 및 바륨페라 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완전히 소결될 수 있다.
상기 흡수체(500)를 니켈징크 페라이트로 형성하는 경우, 산화철 47 내지 48wt%, 산화니켈 30wt%, 산화아연 20wt%, 산화구리 2 내지 3w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산화철 48wt%, 산화니켈 30wt%, 산화아연 20wt%, 산화구리 2wt%로 이루어진 페라이트 분말을 소성하여 흡수체(500)로 만든 후, SEM으로 측정한 사진한 사진으로 각각 500배, 2000배 확대한 것이다.
기존 흡수체의 경우 페라이트 분말과 고무를 혼합한 재료로 제작되어 배터리팩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500)에 비하여 재료의 단가가 높은 편이며, 흡수체에 고무 수지가 더 포함됨으로써 추가되는 공정이 늘어나 제조공정이 효율적이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500)의 경우 페라이트 분말 및 바인더를 혼합 믹싱한 후 소성하여 바인더를 제거하면 되므로 공정이 단순하며 고무 수지에 비하여 페라이트 분말의 가격이 저렴하므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500)는 100%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므로 페라이트 분말과 고무를 혼합한 흡수체에 비하여 투자율이 높다. RF 신호에 대한 감도가 커지므로 루프 안테나가 RF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체(500)의 두께는 1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흡수체(500)의 두께가 0.0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깨질 수 있고, 흡수체(500)의 두께가 1mm보다 큰 경우에는 배터리팩(10) 의 두께가 커지므로 베어셀(100)의 용량대비 배터리팩(10)의 용량밀도가 작아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흡수체(500)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소성된 페라이트 물질의 취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흡수체(500)의 어느 일면에 폴리머층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체(500)는 베어셀(100)과 흡수체(500) 사이에 양면테이프를 위치시켜 상호 접착시킬 수 있으며, 액상의 접착제로 베어셀(100) 상에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체(500)의 장측면의 면적과 상기 베어셀(100)의 장측면의 면적의 비율은 1:2 내지 1:1이 될 수 있다. 상기 흡수체(500)의 장측면의 면적이 상기 베어셀(100)의 장측면의 면적의 1/2보다 작은 경우 배터리팩(10)에 내장되는 페라이트의 양이 적어지며, 루프 안테나(300)와 겹쳐지는 면적이 적어지므로 루프 안테나(300)의 RF 신호 감도 향상의 효과가 적게 되며, 상기 흡수체(500)의 장측면의 면적이 상기 베어셀(100)의 장측면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베어셀(100)의 용량대비 배터리팩(10)의 용량밀도가 작아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술한 물질 및 구조를 가지는 흡수체의 투자율은 100 내지 115T일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사이즈가 작다는 점, 따라서 흡수체는 그 두께가 1mm 이하인 박형이며 그 면적 또한 작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상기 수치는 기존의 페라이트 분말과 고무를 혼합한 흡수체에 비하여 매우 높은 편이다.
상기 상부케이스(910) 및 하부케이스(920)는 각각 보호회로모듈(200) 및 베어셀(100)의 하부를 덮도록 위치하며, 상기 라벨(930)은 상기 베어셀(100)의 장측 면과 단측면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910), 하부케이스(920) 및 라벨(930)은 베어셀(100), 보호회로모듈(200), 흡수체(500) 및 루프 안테나(3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 때, 라벨(930) 대신에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의 하드 타입 외장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경우 흡수체(500) 및 루프 안테나(300)는 외장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어 베어셀(100)과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10)은 소결된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흡수체(500)를 구비함으로써, 투자율을 높여 루프 안테나(300)의 RF 감도를 향상시켜 외부 전자기기와의 통신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은 홈(115)이 형성된 베어셀(100a)과 흡수체(6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셀(100a)의 장측면(103a), 보다 상세하게 캔(110a)의 장측면에(103a)는 흡수체(6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15)에는 흡수체(600)가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통하여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셀(100a)의 홈(115)에 흡수체(600)를 안착시켜 배터리팩 내에서 흡수체(6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베어셀(100a)의 용량을 유지 하면서 배터리팩의 부피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팩의 용량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베어셀의 형상 및 베어셀과 흡수체의 결합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 기능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팩의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팩에서, 흡수체(700, 800)는 다수의 절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흡수체는 동일한 사각 형상을 가지는 네 개의 페라이트 절편(710, 720, 730, 740)이 모여 베어셀의 장측면과 대응하는 흡수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삼각 형상을 가지는 네 개의 페라이트 절편(810, 820, 830, 840)이 모여 베어셀의 장측면과 대응하는 흡수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어셀의 충방전 중 캔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캔이 부풀어오르는 스웰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웰링이 일어날 때 전극조립체의 중심부의 부피가 가장 커지므로 베어셀에서도 장측면의 중심부가 돌출되게 된다. 스웰링이 일어날 때, 흡수체가 하나의 시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 베어셀의 중심을 기준으 로 흡수체에 균열이 가거나 불규칙한 다수의 절편으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팩은 베어셀의 장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흡수체를 다수의 절편으로 하여 베어셀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이는 이미 베어셀의 장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장측면의 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페라이트 절편이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베어셀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흡수체에 균열이 생기거나 깨질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흡수체의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 기능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안테나(400)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에서 루프 안테나(400)는 안테나 패턴(410), 절연재(420) 및 접속단자(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410)은 베어셀 장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차례 권선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재(420)는 상기 안테나 패턴(410)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안테나 패턴(410)을 감싸도록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재(420)는 안테나 패턴(410)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접속단자(430)는 안테나 패턴(410)의 양 단에 접속되어 보호회로기판의 하면에 위치하는 루프 안테나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루프 안테나(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안테나(300)와 비교하여 RF 신호의 감도는 비슷하나, 가격면에서 더 저렴하다. 따라서 배터리팩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상술한 루프 안테나의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 기능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팩은 소성된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흡수체를 통해 루프 안테나의 RF 감도를 향상시켜 외부 전자기기와의 통신을 원활히 하고, 배터리팩의 용량밀도를 높이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의 SEM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회로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팩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Claims (20)

  1. 베어셀; 및
    상기 베어셀의 장측면에 위치하는 흡수체;
    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체는 소결된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배터리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니켈 페라이트, 징크 페라이트, 니켈징크 페라이트 및 바륨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징크 페라이트는 산화철 47 내지 48wt%, 산화니켈 30wt%, 산화아연 20wt%, 산화구리 2 내지 3w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두께는 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두께는 0.05 내지 0.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장측면의 면적과 상기 베어셀의 장측면의 면적의 비는 1:2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일측면에는 폴리머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과 상기 흡수체는 상기 베어셀과 상기 흡수체 사이에 위치하는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과 상기 흡수체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의 일측면에는 흡수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홈이 형성되며, 상기 흡수체는 상기 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다수의 페라이트 절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절편은 삼각 절편 또는 사각 절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장측면에는 루프 안테나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상기 베어셀 상에 위치하는 보호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13.56MHz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루프 형태를 가지는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안테나 패턴을 덮는 필름 형상으로 구성되는 커버레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루프 형태를 가지는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상기 안테나 패턴을 감싸도록 코팅된 절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구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투자율은 100 내지 115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KR1020090013488A 2009-02-18 2009-02-18 배터리팩 KR101023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488A KR101023884B1 (ko) 2009-02-18 2009-02-18 배터리팩
US12/706,217 US20100209744A1 (en) 2009-02-18 2010-02-16 Battery pac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0153881A EP2226869B1 (en) 2009-02-18 2010-02-17 Battery pac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488A KR101023884B1 (ko) 2009-02-18 2009-02-18 배터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179A true KR20100094179A (ko) 2010-08-26
KR101023884B1 KR101023884B1 (ko) 2011-03-22

Family

ID=4222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488A KR101023884B1 (ko) 2009-02-18 2009-02-18 배터리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09744A1 (ko)
EP (1) EP2226869B1 (ko)
KR (1) KR1010238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874B1 (ko) * 2012-05-15 2013-10-23 주식회사 아모텍 Nfc 안테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nfc 안테나
KR101339018B1 (ko) * 2013-04-11 2013-12-09 에이큐 주식회사 엔에프씨 안테나를 구비한 배터리팩
KR101400126B1 (ko) * 2013-04-11 2014-06-27 에이큐 주식회사 Nfc 안테나와 무접점 충전안테나를 구비한 배터리팩
KR101469370B1 (ko) * 2013-06-28 2014-12-04 주식회사 이그잭스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KR200475782Y1 (ko) * 2013-11-13 2015-01-02 주식회사 비츠로셀 스파이럴 링 타입의 리튬 전지
KR20210145113A (ko) * 2021-04-26 2021-12-01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230007298A (ko) * 2014-03-28 2023-01-12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6090B1 (en) * 2009-07-14 2017-10-25 BlackBerry Limited Low magnetic interference battery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2709494A (zh) * 2012-01-04 2012-10-0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电池组件
CN102709495B (zh) * 2012-01-04 2015-02-04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电池组件
KR101969801B1 (ko) * 2012-05-10 2019-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551758B2 (en) 2012-12-27 2017-01-24 Duracell U.S. Operations, Inc. Remote sensing of remaining battery capacity using on-battery circuitry
KR20140115209A (ko) * 2013-03-20 2014-09-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안테나를 갖는 배터리 팩
US9083063B2 (en) 2013-04-03 2015-07-14 The Gillette Company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US9478850B2 (en) 2013-05-23 2016-10-25 Duracell U.S. Operations, Inc. Omni-directional antenna for a cylindrical body
US9726763B2 (en) 2013-06-21 2017-08-08 Duracell U.S. Oper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determining a battery characteristic
KR102247011B1 (ko) * 2014-03-28 2021-05-03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9882250B2 (en) 2014-05-30 2018-01-30 Duracell U.S. Operations, Inc. Indicator circuit decoupled from a ground plane
US9893390B2 (en) * 2014-08-27 2018-02-13 Duracell U.S. Operations, Inc. Battery pack including an indicator circuit
DE102015202339A1 (de) * 2015-02-10 2016-08-11 Robert Bosch Gmbh Batterie mit thermischer Isolierung
US10297875B2 (en) 2015-09-01 2019-05-21 Duracell U.S. Operations, Inc. Battery including an on-cell indicator
US10608293B2 (en) 2016-11-01 2020-03-31 Duracell U.S. Operations, Inc. Dual sided reusable battery indicator
US11024891B2 (en) 2016-11-01 2021-06-01 Duracell U.S. Operations, Inc. Reusable battery indicator with lock and key mechanism
US10483634B2 (en) 2016-11-01 2019-11-19 Duracell U.S. Operations, Inc. Positive battery terminal antenna ground plane
US10818979B2 (en) 2016-11-01 2020-10-27 Duracell U.S. Operations, Inc. Single sided reusable battery indicator
US10151802B2 (en) 2016-11-01 2018-12-11 Duracell U.S. Operations, Inc. Reusable battery indicator with electrical lock and key
JP6614401B1 (ja) * 2018-07-24 2019-1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デバイス
US11837754B2 (en) 2020-12-30 2023-12-05 Duracell U.S. Operations, Inc. Magnetic battery cell connect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5999A (ko) * 1974-06-05 1975-12-16
US6603080B2 (en) * 2001-09-27 2003-08-05 Andrew Corporation Circuit board having ferrite powder containing layer
KR20020090931A (ko) * 2002-07-23 2002-12-05 (주)에이치엔티 알에프아이디 안테나 내장형 배터리팩
KR100517526B1 (ko) * 2003-04-14 2005-09-27 주식회사 에이엠아이 씨 전자파에 의한 장애 방지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의배터리 모듈
KR200344208Y1 (ko) 2003-11-26 2004-03-10 주식회사 웨이브솔루션 노이즈 제거용 충전 배터리
JP2005340759A (ja) * 2004-04-27 2005-12-08 Sony Corp アンテナモジュール用磁芯部材、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JP2006020083A (ja) * 2004-07-01 2006-01-19 Omron Corp タグ通信用アンテナ、タグ通信装置、タグ通信システム、タグ通信装置のスキャン調整方法、およびスキャン調整プログラム
KR100614381B1 (ko) * 2004-07-29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이차 전지
EP1724708B1 (en) * 2005-04-26 2016-02-24 Amotech Co., Ltd. Magnetic sheet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529786B2 (ja) * 2005-04-28 2010-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信号処理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非接触icカード並びにタグ
KR100903187B1 (ko) * 2005-06-25 2009-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품 전지 인식 시스템
US7562445B2 (en) * 2005-07-18 2009-07-21 Bartronics America, Inc. Method of manufacture of an identification wristband construction
JP4466689B2 (ja) * 2006-08-31 2010-05-26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アンテナ及び携帯電子機器
KR100867405B1 (ko) * 2007-02-09 2008-11-06 (주)애니쿼터스 Rfid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배터리 충전 장치
US8723054B2 (en) * 2007-04-11 2014-05-13 Toda Kogyo Corporation Electromagnetic noise suppression sheet, flat cable for high-frequency signals,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electromagnetic noise suppression sheet
KR100864887B1 (ko) * 2007-05-25 2008-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978478B2 (ja) * 2008-01-11 2012-07-18 ソニー株式会社 電磁波抑制放熱シート及び電子機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874B1 (ko) * 2012-05-15 2013-10-23 주식회사 아모텍 Nfc 안테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nfc 안테나
KR101339018B1 (ko) * 2013-04-11 2013-12-09 에이큐 주식회사 엔에프씨 안테나를 구비한 배터리팩
KR101400126B1 (ko) * 2013-04-11 2014-06-27 에이큐 주식회사 Nfc 안테나와 무접점 충전안테나를 구비한 배터리팩
KR101469370B1 (ko) * 2013-06-28 2014-12-04 주식회사 이그잭스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KR200475782Y1 (ko) * 2013-11-13 2015-01-02 주식회사 비츠로셀 스파이럴 링 타입의 리튬 전지
KR20230007298A (ko) * 2014-03-28 2023-01-12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210145113A (ko) * 2021-04-26 2021-12-01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26869A1 (en) 2010-09-08
EP2226869B1 (en) 2012-12-19
KR101023884B1 (ko) 2011-03-22
US20100209744A1 (en)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884B1 (ko) 배터리팩
KR101009526B1 (ko) 배터리 팩
US8514135B2 (en)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02195025B (zh) 电极组件和使用该电极组件的二次电池
EP2782158A1 (en) Battery pack with antenna
US20080118820A1 (en) Secondary battery with protective circuit module
TWI525885B (zh) 電池組、製造此電池組的方法及包含此電池組的行動裝置
KR101438439B1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CN106605314A (zh) 包括指示器电路的电池组
KR100947981B1 (ko) 전지 팩
US8658294B2 (en)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20090087694A1 (en) Protection circuit board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US9929442B2 (en) Battery pack having PCM case
JP2008251283A (ja) 電子機器及び二次電池
US9269942B2 (en) Secondary battery
US9905890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label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bel film for rechargeable battery
KR20150134128A (ko) 홀더에 탈부착이 가능한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 및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가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는 홀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296937B1 (ko) 이차전지
KR101143297B1 (ko) 전자파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무선 통신기기용 전지팩
KR101210372B1 (ko) 박막전지
JP2000114679A (ja) 実装基板及び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