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456A -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456A
KR20100093456A KR1020090077792A KR20090077792A KR20100093456A KR 20100093456 A KR20100093456 A KR 20100093456A KR 1020090077792 A KR1020090077792 A KR 1020090077792A KR 20090077792 A KR20090077792 A KR 20090077792A KR 20100093456 A KR20100093456 A KR 20100093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switch
metal dome
spring
main body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Original Assignee
김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근 filed Critical 김대근
Priority to PCT/KR2010/00019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93121A2/ko
Publication of KR2010009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탈돔스위치의 본체에 형성된 통기부가 키패드와 중앙접촉부가 맞닿는 접촉부분과 상호 겹치지 않도록 중앙접촉부 주변에 형성되어, 메탈돔스위치 내의 공기압 해소를 원활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자기기의 클릭감 및 응답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하고, 또 통기부가 복수로 구비되어 메탈돔스위치의 중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제품의 소량화를 가능하게 하며, 아울러 각 통기부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열되어 가압 하중에 대하여 메탈돔스위치가 어느 방향에서든지 동일한 하중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피씨비, 접점부, 메탈돔스위치, 접촉부, 통기공, 고정시트, 키패드

Description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ELECTRONIC INSTRUMENT EQUIPPED WITH METAL-DOME SWITCH}
본 발명은 메탈돔스위치의 본체에 형성된 통기부가 키패드와 중앙접촉부가 맞닿는 접촉부분과 상호 겹치지 않도록 중앙접촉부 주변에 형성되어, 메탈돔스위치 내의 공기압 해소를 원활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자기기의 클릭감 및 응답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하고, 또 통기부가 복수로 구비되어 메탈돔스위치의 중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제품의 소량화를 가능하게 하며, 아울러 각 통기부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열되어 가압 하중에 대하여 메탈돔스위치가 어느 방향에서든지 동일한 하중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 구비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문자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키패드는 메탈돔이 구비되며,
메탈돔은 금속성(특히 스테인리스 재질)로서, 다수의 키패드 스위치들이 배열된 PCB 판 위에 배열된다.
즉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키(자판)를 누르면 그 저면에 위치한 메탈돔도 가압되어 하부로 밀리면서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에 의하여 키패드 스위치를 눌러 스위칭 작동이 일어나게 한다.
이러한 메탈돔은 사용자가 키를 누를 때 손가락 끝에 클릭감을 느끼게 하고, 하부의 키패드 스위치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메탈돔에 관한 다양한 기술 중,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3-0092301호(2003.12.06.공개,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 "메탈돔 스위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종래기술 1은 메탈 돔 스위치(metal dome switch)의 내측면에 접점돌기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접점돌기를 메탈돔의 내측 저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시키고, 상기 접점돌기들을 메탈돔 내측면의 정점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시켜 구성함으로써, 메탈돔에 형성되는 접점돌기가 메탈돔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접점이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긴 하나,
메탈돔은 금속 판재를 프레스로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상기 접점돌기를 프레스 가공시 매번 적정 크기로 동일하게 프레스로 정밀 가공하는 데에 한계가 있고, 또 소형이면서 원형의 메탈돔을 적정 높이가 되도록 프레스로 가공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어 불량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각 키의 클릭감이 동일하지 않고, 푸싱 압력에 의해서 하강되는 접점돌기의 하강 거리 또한 일정치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또 메탈돔이 푸싱 압력에 의해서 하강시 내부에 발생하는 공기압을 해소하지 못하고 내부 공기압이 에어 스프링(air spring) 역할을 하게 되어 클릭감이나 응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메탈돔 내부 공기압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22272호(2001.02.19.등록, 이하 '종래기술 2'라 함) "통신기기의 키패드 내의 메탈돔 스위치 조립체"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종래기술 2는 공기 유통로가 형성된 기판지를 활용하여 다수의 메탈돔 스위치 사이에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메탈돔 스위치에 공기 유통로를 형성시킴으로써 메탈돔 스위치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한 메탈돔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긴 하나,
메탈돔이 위치하게 되는 공간부 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인 공기 유통로나, 각 공간부 일측으로 트인 형태의 공기 유통로는 오히려 기판지(본 발명의 시트에 해당) 내에 배열되는 메탈돔의 고정을 방해하고, 또 메탈돔 조립시 간섭을 일으킬 수 있어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16964호(2006.05.15. 등록, 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함.) "다접점을 구비한 돔 스위치" 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종래기술 3은 반구 형상의 돔 스위치 몸체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접점부가 형성되며, 접점부와 대응하는 복수의 배출부가 형성되어 접점능력을 향상시키고, 돔 스위치 내의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통공의 접점부는 키패드를 가압 시 피씨비에 구비된 도전성의 접점 또는 접점단자와 맞닿게 되는데,
이 경우 통공의 접점부는 그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그 끝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 통공의 접점부와 피씨비의 접점 또는 접점단자가 맞닿는 경우 키패드의 가압력에 따라 피씨비의 접점 또는 접점단자가 접점부에 의하여 긁히거나 스크래치 현상이 일어나거나 또는 상호 간의 마찰에 의한 마모로 스위칭 불량 등의 원인으로 제품의 신뢰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통공은 키패드가 가압되는 경우 돔 스위치와 키패드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종래기술 3에서 이루고자 하는 본래의 목적인 이물질의 배출이 폐색될 수 있다는 문제와,
아울러 돔 스위치 내의 공기압 또한 해소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돔 스위치의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메탈돔스위치의 본체에 형성된 통기부가 키패드와 중앙접촉부가 맞닿는 접촉부분과 상호 겹치지 않도록 중앙접촉부 주변에 형성되어, 메탈돔스위치 내의 공기압 해소를 원활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자기기의 클릭감 및 응답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하고, 또 통기부가 복수로 구비되어 메탈돔스위치의 중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제품의 소량화를 가능하게 하며,
아울러 각 통기부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열되어 가압 하중에 대하여 메탈돔스위치가 어느 방향에서든지 동일한 하중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 구비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최근 휴대폰의 경박단소화 경향에 맞춰 모듈 자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고 구성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원가 절감에 이바지하며,
무엇보다도 기존 제품이 갖는 슬라이드 개폐 초기 동작시의 저항감을 줄일 수 있도록 상시 탄성을 갖는 제2스프링과, 탄성이 개폐 완료시에는 소멸하는 제1스프링으로 이원화하여,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획기적으로 부드러운 슬라이드 개폐 초기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슬라이드 동작이 본격화할 경우에는 양 스프링의 탄성이 함께 작용하여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개폐 동작의 초기 및 중기 이후 동작시의 탄성 변화로 이동플레이트나 고정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는 횡광종협(橫廣縱狹)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접촉부에는 융기부와 딤플이 구비되어 키패드의 어느 방향을 눌러도 중앙접촉부와 피씨비의 내접점부의 접속률이 높아 응답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통기부가 본체 각 측부를 오목하게 도려낸 형태의 통기홈으로 이루어져, 메탈돔스위치 내의 공기압 해소는 물론, 탄성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져 메탈돔스위치의 가압 하중을 저감시킴으로써 클릭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메탈돔스위치의 중량의 저감시키고, 재료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가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내외 접점부를 갖는 피씨비; 상기 피씨비 상부에 배 열된 본체와, 상기 본체 중심부에 배열되고, 상기 피씨비의 내접점부에 접속되는 중앙접촉부와, 상기 본체 양측부에 배열되고, 상기 피씨비의 외접점부에 접속되는 외곽접촉부와, 그리고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접촉부 주변에 배열된 복수의 통기부를 포함하는 메탈돔스위치(metal dome switch); 상기 메탈돔스위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는 고정시트; 및 상기 메탈돔스위치 상부에 배열된 키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탈돔스위치에서 상기 각 통기부는 상호 대칭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레임은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부에 배열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제1 및 제2 스프링; 및 상기 두 플레이트에 제1 및 제2 스프링의 양단을 결합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개폐 완료시 탄성이 소멸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시 탄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탈돔스위치에서 상기 본체는 횡광종협(橫廣縱狹)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본체의 횡(橫)방향 양측부 또는 종(縱)방향 양측부, 또는 이들 모든 방향의 양측부를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도려낸 형태의 통기홈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메탈돔스위치의 본체에 형성된 통기부가 키패드와 중앙접촉부가 맞닿는 접촉부분과 상호 겹치지 않도록 중앙접촉부 주변에 형성되어, 메탈돔스위치 내의 공기압 해소를 원활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자기기의 클릭감 및 응답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하고, 또 통기부가 복수로 구비되어 메탈돔스위치의 중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제품의 소량화를 가능하게 하며,
아울러 각 통기부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열되어 가압 하중에 대하여 메탈돔스위치가 어느 방향에서든지 동일한 하중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최근 휴대폰의 경박단소화 경향에 맞춰 모듈 자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고 구성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원가 절감에 이바지하며,
무엇보다도 기존 제품이 갖는 슬라이드 개폐 초기 동작시의 저항감을 줄일 수 있도록 상시 탄성을 갖는 제2스프링과, 탄성이 개폐 완료시에는 소멸하는 제1스프링으로 이원화하여,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획기적으로 부드러운 슬라이드 개폐 초기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슬라이드 동작이 본격화할 경우에는 양 스프링의 탄성이 함께 작용하여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개폐 동작의 초기 및 중기 이후 동작시의 탄성 변화로 이동플레이트나 고정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는 횡광종협(橫廣縱狹)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접촉부에는 융기부와 딤플이 구비되어 키패드의 어느 방향을 눌러도 중앙접촉부와 피씨비의 내접점부의 접속률이 높아 응답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통기부가 본체 각 측부를 오목하게 도려낸 형태의 통기홈으로 이루어져, 메탈돔스위치 내의 공기압 해소는 물론, 탄성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져 메탈돔스위치의 가압 하중을 저감시킴으로써 클릭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메탈돔스위치의 중량의 저감시키고, 재료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키패드, 시트, 인쇄회로기판 및 스위치부를 나타낸 분해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메탈돔스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3의 메탈돔스위 치가 키패드, 고정시트, 피씨비에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에서 고정시트에 탑필름이 마련된 것을 나타낸 분해 구성도이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을 기준으로 특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50) 측을 ‘상부 또는 상측’이라 하고, 피씨비(20) 측을 ‘하부 또는 하측’이라 특정한다.
그리고 도 4를 기준으로 평면상에서 바라본 메탈돔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상에서 본체(31)의 하부 및 상부 측을 ‘전후(前後)’라 정하고, 본체(31)의 양측에 형성된 스커트(36) 측을 각각 ‘좌우(左右)’라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고, 내외 접점부(21)(22)를 갖는 피씨비(20); 상기 피씨비(20) 상부에 배열된 본체(31)와, 상기 본체(31) 중심부에 배열되고, 상기 피씨비(20)의 내접점부(21)에 접속되는 중앙접촉부(32)와, 상기 본체(31) 양측부에 배열되고, 상기 피씨비(20)의 외접점부(22)에 접속되는 외곽접촉부(33)와, 그리고 상기 본체(31)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접촉부 주변에 배열된 복수의 통기부(35)를 포함하는 메탈돔스위치(metal dome switch)(30); 상기 메탈돔스위치(30)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부(41a)를 갖는 고정시트(40); 및 상기 메탈돔스위 치(30) 상부에 배열된 키패드(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상기 피씨비(20)는
환형의 내접점부(21), 그리고 상기 내접점부(21)의 외측에 이격되어 배열된 환형의 외접점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내접점부(21) 및 외접점부(22)는 도전성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패드(50)의 푸싱 동작에 따라 도전성의 상기 메탈돔스위치(33)의 중앙 및 외곽접촉부(32)(33)가 각각 내접점부(21) 및 외접점부는(2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내접점부(21) 및 외접점부는(22) 사이에는 절연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상호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상기 메탈돔스위치(30)는
상기 피씨비(20) 상부에 배열된 본체(31)와, 상기 본체(31) 중심부에 배열되고, 상기 피씨비(20)의 내접점부(21)에 접속되는 중앙접촉부(32)와, 상기 본체(31) 양측부에 배열되고, 상기 피씨비(20)의 외접점부(22)에 접속되는 외곽접촉부(33)와, 그리고 상기 본체(31)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접촉부(32) 주변에 배열된 복수의 통기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메탈돔스위치(30)는 생산성, 돔 형태의 높이 및 탄성의 정도에 따라 키패드에 형성된 각 키의 클릭 시 그 민감도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으로 메탈돔스위치(30)의 응답성능을 우수하게 하기 위해서 그 구조적인 형상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따라소 본 발명에 메탈돔스위치(30)에서 상기 본체는 돔(dome) 형태로 이루어지되, 횡광종협(橫廣縱峽)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횡광종협이라 함은, 가로의 폭이 세로의 폭 보다 큰 형상을 의미하며,
이는 각종 전자기기, 특히 휴대폰에 배열되는 키패드의 형상이 횡광종협을 이루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키패드(50)의 푸싱 동작에 따른 응답성 향상을 위한 것이기에, 키패드(50)와 상응한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탈돔스위치(30)는 상기 피씨비(20)의 내외 접점부(21)(22) 상부에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31)의 중심부에 상기 피씨비(20)의 내접점부(21)와 접속하기 위하여 형성된 중앙접촉부(32)와, 상기 본체(31)의 양측 하부에 상기 피씨비(20)의 외접점부(22)와 접속하기 위하여 형성된 외곽접촉부(33)와, 그리고
상기 중앙 및 외곽접촉부(32)(33)를 연결하고, 푸싱에 동작에 따라 상기 중 앙접촉부(32)가 하강한 후, 푸싱 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상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탈돔스위치(33)의 중앙접촉부(32)는 둥근 지붕 형태를 취하고 있어, 상기 메탈돔스위치(30) 상부에 배열된 키패드(50)의 푸싱 동작 시,
적정 푸싱 압력이 가해지지 못하거나, 특히 상기 중앙접촉부(32)에 대해 직각으로 푸싱 되지 않고, 기울어진 각도에서 푸싱 동작 시
상기 피씨비(20)의 내접점부(21)까지 하강하지 못하여 비(非)접속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탈돔스위치(30)의 중앙접촉부(32)를 상방으로 돌출된 융기(隆起)부(32a)와, 상기 융기부(32a) 내측에 배열되어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의 딤플(dimple)(32b)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푸싱 된 키패드(50)와 상기 중앙접촉부(32)의 융기부(32a)가 상호 접촉하게 되고, 푸싱 압력에 의해서 하강하는 융기부(32a)는 중심에 딤플(32b)이 상기 피씨비(20)의 내접촉부(21)와 접속하게 되는 구조이여서 둥근 지붕 형태 보다 비접속되는 경우가 대폭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상기 딤플(32a)은 하면부는 평면 형태의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피씨비(20)의 내접점부(21)와 접속될 수 있는 접촉면을 충분하게 확보하여 그 접속률을 보다 높여 제품의 작동신뢰성 및 소비자의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50) 하면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돌출부가 상기 융기부(32a) 중심의 딤플(32b)에 안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키패드(50)의 푸싱 동작 시 메탈돔스위치(30) 내부의 공기압이 에어 스프링(air spring) 역할을 하게 되어 응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30)의 본체(31)에는 통기부(35)가 형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통기부(35)는 상기 중앙접촉부(32) 주변에 복수로 구비되고, 또 각 통기부(35)는 상호 대칭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통기부(35)는 상기 키패드(50)의 푸싱 동작 시 발생하는 공기압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접촉부(32)와 연결되고, 그 주변에 위치하는 리턴부(34)에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통기부(35)는 원형, 타원형, 또는 장방형 형태를 갖는 홀형태의 통기공(35a)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키패드(50)의 푸싱 동작 시 키패드(50)의 하면부가 중앙접촉 부(32)의 융기부(32a)를 가압하여 딤플(32b)의 하면부가 피씨비(20)의 내접점부(21)에 접속되도록 하는 경우,
만약 상기 통기부(35)가 키패드(50)의 푸싱 동작 시 키패드(50)의 하면부와 맞닿을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되면, 키패드(50)에 의하여 통기부(35)가 막혀 메탈돔스위치(30) 내의 공기압을 해소할 수 없어
클릭감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이에 의하여 응답성능이 나빠져 제품의 신뢰가 떨어지게 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통기부(35)를 키패드(50)와 접촉되는 중앙접촉부(35)를 피하여, 그 주변에 형성하여 메탈돔스위치(30) 내의 공기압을 원활하게 해소하여 클릭감 및 응답성능을 좋게 하여 제품의 신뢰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부(35)는 횡광종협 형상인 메탈돔스위치(3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종선(縱線)(V)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되,
전후로 무게 중심이 치우치지 않도록 상기 메탈돔스위치(30)의 종선(V)에 좌우 대칭되면서 횡선(橫線)(H)에 위 아래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기부(35)의 통기공(35a)은 종선(V) 기준으로 좌우 1개씩 형 성될 수 있고,(도 4의 (나) 참조)
또 좌우 2개 이상의 복수개씩 형성될 수 있으며,(도 4의 (가) 참조)
또 좌우 1개씩이되, 전후로 길이가 긴 장방형 형태(장방형의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고(도 4의 (다) 참조),
더 나아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앙접촉부의 융기부 주변에 방사상 형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50) 푸싱 동작 시 푸싱 압력에 의해서 상기 메탈돔스위치(30)의 중앙접촉부(32)가 하강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공기압은 상기 통기공(35a)을 통하여 상부측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푸싱 압력 해제 시 상기 리턴부(3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메탈돔스위치(30)의 중앙접촉부(32)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공기압은 상기 통기공(35a)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탈돔스위치(30) 내부의 공기압은 푸싱 및 푸싱 해제 시 상기 통기공(35a)을 통해 내외부로 유통되어 메탈돔스위치(30)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아울러, 상기 메탈돔스위치(30)는 대략 150~220mg 정도의 중량인 것을 감안한다면, 적정 수의 통기공(35a)을 형성하여 기준치 이내의 중량에 맞추어 생산할 수 있는 부가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각 통기부(35)(통기공(35a))이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은
상기 키패드(50)의 푸싱 동작 시 어느 방향에서 눌려지든 일정한 하중에 의하여 중앙접촉부가 가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메탈돔스위치(30)는 가압 하중에 대하여 어느 방향에서든지 균등하게 가압되어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어 응답성능을 더욱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메탈돔스위치(30)는 일반적으로 금속 판재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제품 슬림화 및 메탈돔스위치의 응답성을 고려하여 0.35~0.4mm 정도의 상하 높이를 갖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치와 같이 메탈돔스위치의 미세한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경우 프레스로 정밀 가공하는 데에 한계가 있고,
특히 원형의 돔 형태일 경우에는 더욱더 가공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탈돔스위치(30)의 형상을 횡광종협(橫廣縱峽)으로 하여 원형의 돔 형태보다 횡선(H)으로 확장된 길이를 갖도록 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접촉부(33) 단부에 경사각이 커진 스커트(36)를 형성하여,
단순 돔 형태인 것에 비해 상기 수치를 충족하는 프레스 정밀 가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36)는 상기 리턴부(34)와의 경사각을 통해 상기 리턴부(34)의 상부 탄성 회복력을 도와주게 되고, 또 상기 외곽접촉부(33)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메탈돔스위치(30)의 상하 높이를 크게 하는 설계 변경이 요구될 때에 상기 스커트(3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메탈돔스위치(30)의 외곽접촉부(33)는 주위로 확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메탈돔스위치(30)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자기기의 크기가 확장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스커트(36)를 통해 메탈돔스위치(30)의 상하 높이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스커트(36)는 상기 리턴부(34)의 원활한 탄성 회복을 위하여 상기 메탈돔스위치(30)의 종선(V) 좌우 대칭되는 외곽접촉부(33)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에서 상기 통기부의 또 다른 변형 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통기부(35)는
상기 본체(31)의 횡(橫)방향 양측부 또는 종(縱)방향 양측부, 또는 이들 모든 방향의 양측부를 오목하게 도려낸 형태의 통기홈(35b)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통기홈(35b)은 상기 횡광종협 형상의 본체(31)의 각 측부를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도려내어진 홈 형태로,
즉 상기 리턴부(34)의 면적을 줄여 상기 리턴부(34)와 외곽접촉부(33)을 연결하는 지지부(34a)를 형성하고, 또 상기 각 지지부(34a) 사이에는 통기홈(35b)이 배열된다.
따라서 메탈돔스위치(30) 내의 공기압을 해소는 물론, 상기 리턴부(34)의 면적을 줄여 상기 리턴부(34)에 형성된 지지부(34a)가
상기 키패드(50)의 푸싱 동작 시 메탈돔스위치(30)의 탄성 민감도를 높여줌으로써
상기 키패드(50)를 적은 힘으로 푸싱하는 경우에는 메탈돔스위치(30)가 가압될 수 있어, 키패드(50) 가압 하중을 저감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보장하고, 클릭감 또한 향상시켜 응답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통기홈(35b)은 살빼기 형태로 메탈돔스위치(30)의 중량을 저 감시켜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재료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 또한 제고할 수 있는 부수적이면서도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상기 고정시트(40)는
상기 메탈돔스위치(30)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부(41a)를 갖는 베이스필름(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베이스필름(41)은 상기 피씨비(20)의 내외 접점부(21)(22) 상부에 배열되는 메탈돔스위치(30)의 전후좌우 고정을 위한 것으로,
상기 메탈돔스위치(30)의 가장자리에 맞게 장착부(4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부에 접착제가 도포한 후,
상기 피씨비(20)의 상면부에 부착시킨 다음, 상기 베이스필름(41)의 장착부(41a)에 상기 메탈돔스위치(30)를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시트(40)는 상기 피씨비(20)의 내외 접점부(21)(22)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필름(41)에 의해서 전후좌우 고정된 상기 메탈돔스위치(30) 상부를 덮어 고정하기 위한 탑필름(4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탑필름(42)의 크기는 상기 피씨비(20)의 상부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배열된 메탈돔스위치(30)를 모두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하면부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필름(41)에 의해 고정된 메탈돔스위치(30)를 덮고, 상기 베이스필름(41) 상면부에 부착된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상기 키패드(50)는
상기 메탈돔스위치(30) 상부에 각각 배열되는 것으로, 필요한 용도에 따른 다양한 문자 또는 문양이 새겨진 복수의 키(51)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키(51)는 키패드(5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키패드(50) 상부에 접착되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경우 생산성이나 또는 키패드(50)의 빈번한 터치에 의한 부착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키패드(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프레임 구조에서 슬라이드 개폐 응답성을 높이고 개폐 동작 초기 저항감을 줄일 수 있는 스프링모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프레임을 이루는 이동 및 고정플레이트에 스프링모듈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9는 스프링모듈의 분해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여러 변형례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분해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상기 프레임(10)은
고정플레이트(11); 상기 고정플레이트(11) 상부에 배열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13); 제1 및 제2 스프링(111)(112); 및 상기 두 플레이트(11)(13)에 제1 및 제2 스프링(111)(112)의 양단을 결합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프링(111)은 상기 이동플레이트(13)의 개폐 완료시 탄성이 소멸되고, 상기 제2스프링(112)은 상시 탄성을 유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이 장착된 휴대폰 슬라이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이동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서 분리된 스프링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100)은 제1스프링(11), 제2스프링(12) 및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을 고정플레이트(11)와 이동플레이트(1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은 각각 일단이 고정플레이트(11)의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플레이트(13)의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플레이트(13)가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슬라이드 이동시 탄성을 작용하여 이동플레이트(13)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한다.
즉, 제1스프링(111)의 양단이 가장 근접된 지점에서 이동플레이트(13)를 위나 아래로 조금만 이동시키면 그때부터는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의 탄성으로 이동플레이트(13)는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되는 방향으로 자동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형상변화와 관련하여 상기 제1스프링(111)은 이동플레이트(13)가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된 때에는 직선이고 그 외에는 라운드지고, 상기 제2스프링(112)은 이동플레이트(13)가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된 때에도 라운드져 있다.
즉, 제2스프링(112)은 제1스프링(111)보다 길이가 긴데, 그 핵심은 길이 및 형상 차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스프링(111)은 상기 이동플레이트(13)의 개폐 완료시 탄성이 소멸되고, 상기 제2스프링(112)은 상시 탄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2스프링(112)은 그 강약의 차이는 있으나 항시 탄성을 가져 제1스프링(111)의 탄성에 자신의 탄성을 보태 이동플레이트(13)가 보다 신속 원활하게 슬 라이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스프링(111)은 이동플레이트(13)가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된 상태에서는 탄성은 소멸되고 이동플레이트(13)가 제2스프링(112)의 탄성에 의해 더 이상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이동플레이트(13)와 고정플레이트(11)에 피로가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 항시 탄성을 갖고 있는 상기 제2스프링(112)을 제거하면 이동플레이트(13)가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된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받는 피로는 없겠지만,
이동플레이트(13)가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로 갈수록 제1스프링(111)의 탄성이 약해져 이동플레이트(13)가 슬라이드이동이 신속,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이를 보완하는 것이 제2스프링(112)의 또 다른 역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모듈(100)에서 상시 탄성을 갖는 제2스프링(112)과, 탄성이 개폐 완료시에는 소멸하는 제1스프링(111)으로 이원화하여 슬라이드 개폐 초기 동작시의 저항감을 줄일 수 있어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획기적으로 부드러운 슬라이드 개폐 초기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슬라이드 동작이 본격화될 경우에는 양 스프링의 탄성이 함께 작용하여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개폐 동작의 초기 및 중기 이후 동작시의 탄성 변화로 이동플레이트(13)나 고정플레이트(11)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기능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스프링(111) 및 제2스프링(112)은 탄성이 좋은 강선 한 가닥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가는 와이어 수십 개를 엮어(꼬아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단면은 원형이 일반적이겠으나, 탄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일명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스프링(111) 및 제2스프링(112)은 각각 한 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각각 수개 겹쳐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도 10의 [C]에는 제1 및 제2 스프링 각각이 두 가닥의 강선으로 구성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 도 9, 도 10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의 양단을 각각 고정플레이트(11)와 이동플레이트(1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연결수단은 제1 및 제2 스프링(111)(112)의 각 단부에 결합되고, 고정홀(123d)이 형성된 고정부(123c)를 갖는 연결부재(123)와, 상기 고정홀(123d)에 결합되는 고정핀(125)(도 8 및 도 9 참조)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0의 [B]와 같이, 대안적으로 각 스프링 자체의 단부가 연장되어 원형으로 말려 형성된 제1권취부(捲取部)(121) 및 제2권취부(捲取部)(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125) 결합시 각 플레이트(11)(13) 접면에는 와셔(127)가 배열되어 마찰 마모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재(123)나 권취부(특히 상호 내외에 배열되어 하나의 동심원을 이루는 권취부)는 최근 휴대폰의 경박단소화 경향에 맞게 모듈 자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고 구성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원가 절감에 이바지하게 된다.
또 상기 고정핀(125)은 상기 제1스프링(111) 및 제2스프링(112)의 양단을 각각 고정플레이트(11)와 이동플레이트(13)에 고정시키는 역할과, 제1스프링(111) 및 제2스프링(112)의 회전축이 되는 축핀의 역할을 하며,
따라서 상기 고정핀(125)은 볼트, 리벳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고정플레이트(11)와 이동플레이트(13) 내면에 고정되어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25)은 상기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 모두를 위한 것으로,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 상기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이 각각 별개로 고정핀(125)에 의해 고정플레이트(11)와 이동플레이트(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 양단이 각각 하나의 고정핀(125)에 의해 고정플레이트(11)와 이동플레이트(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2개의 스프링을 사용하지만 1개의 스프링을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것 이상의 추가 공정이 없어 장착이 용이하고 신속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으로서 상기 연결부재(123)는 상기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의 단부가 고정핀(125)을 통해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이동플레이트(1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123)는 평탄부(123a), 절곡부(123b), 고정부(12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평탄부(123a)는 내면에 상기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의 단부가 접촉되어 놓이고, 외면은 고정플레이트(11) 또는 이동플레이트(13)의 내면을 향하고,
그리고 상기 절곡부(123b)는 상기 평탄부(123a) 양측에 연장되어 있어, 내면을 향하여 절곡된 후에 압착되어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 상기 평탄부(123a)의 외면이 고정플레이트(11) 또는 이동플레이트(13)의 내면을 향하는 것은
만약 스프링 양단을 감싸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는 절곡부(123b)를 각 플레이트 내면을 향하여 배열하는 경우 각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에 비하여
스프링 양단을 감싸는 절곡부(123b)의 대편에 배열되는 평탄부(123a)가 각 플레이트 내면 쪽을 향하도록 배열할 경우에는 마찰 및 소음발생 예상 원인이 원천적으로 제거되어 마찰저항을 줄려 마모를 방지하고, 마찰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아울러 극소한 두께 감소도 절실하고 치열한 휴대폰 슬림화 개발 경쟁에 부응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부(123c)는 평탄부(123a)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125)이 삽입결합되는 고정홀(123d)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고정홀(123d)은 제1 및 제2 스프링(111)(112)의 양단 집결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상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열되어 있어 슬라이드 개폐 초기 동작시의 저항감을 줄여 보다 부드러운 동작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제1 및 제2 스프링(111)(112)의 양단 '집결지점'은 상기 연결부재(123)의 평탄부(123a) 및 절곡부(123b)의 접면에 해당하므로,
도면과 관련하여 표현하면 '편심'은 상기 고정홀(123d)이 상기 제1스프링(111)의 양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는 것에 해당하고,
나아가 제1스프링(111)의 일단과 타단에 구비되는 두 고정홀(123d)은 상기 가상의 직선에서 상호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편심구조를 통하여 제2스프링(112)의 탄성이 개폐 완료지점에서도 지렛대의 원리와 같이 고정핀(125)에 작용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보다 원활한 초기 개폐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두 고정홀(123d)을 편심되고 반대측에 배치시킴으로서 이동플레이트(13)의 초기 이동시, 즉, 제1스프링(111)이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직선의 제1스프링(111)이 라운드지는 것에 대항하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한다.
한편, 도 10의 [B]와 같이, 연결수단을 이루는 상기 제1권취부(捲取部)(121)와 제2권취부(捲取部)(122)는 각각 제1스프링(111)의 양단과 제2스프링(112)의 양단부가 연장되어 원형으로 말려 형성된 것으로,
스프링모듈의 박형화 및 마찰소음 감소 목적 달성을 위하여 대안적으로 별도의 연결부재가 아니라 제1 및 제2 스프링(111)(112) 단부 자체가 원형으로 말려 형성된 각각 제1 및 제2 권취부(捲取部)(121)(122)를 도입한 것이다.
특히 각 권취부(121)(122)는 스프링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토션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호 내외에 배열되어 하나의 동심원을 이루고, 상기 동심원 중앙에는 고 정핀(125)이 끼워져 상기 양 플레이트 각각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스프링모듈(100)의 박형화를 구현하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제1 및 제2 권취부(121)(122)는 상호 반대 반향으로 말린 형태여서 권취부 시작지점에서의 각 스프링이 접촉하지 않고 분리된 형상을 이루므로 각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스프링이 절곡변형되는 경우에도 권취부 부근에서의 양 스프링의 상호 충돌이 방지되어 마찰소음 감소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0의 [B]의 확대된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권취부(捲取部)(121)와 제2권취부(捲取部)(122)는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면서 제2권취부(捲取部)(122)가 제1권취부(捲取部)(121)의 외측을 감싸고,
고정핀(125)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1권취부(捲取部)(121)와 제2권취부(捲取部)(122)가 서로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권취부(捲取部)(121)와 제2권취부(捲取部)(122)의 말리는 방향은 반대로 되어 있다.
아울러 제1권취부(捲取部)(121)와 제2권취부(捲取部)(12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125)이 돌출되어 스프링모듈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도록 제1권취부(捲取部)(121)와 제2권취부(捲取部)(122)는 단차져 있어 고정핀(125)의 헤드를 수용한다.
한편, 상기 각 권취부(121)(122)가 형성하는 동심원 중앙구멍에는 고정핀(125)이 끼워지는데,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동심원은 역시 스프링의 양단 집결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상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열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와셔(127)는 상기 고정핀(125)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이동플레이트(13)의 내면과 상기 연결부재(123)의 평탄부(123a) 또는 제1권취부(捲取部)(121) 및 제2권취부(捲取部)(12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직접 접촉에 의한 마찰에 따른 마모를 방지하고,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며, 제1권취부(捲取部)(121)와 제2권취부(捲取部)(122)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플레이트(13) 외면 쪽에 장착되는 각종 전자부품과, 고정플레이트(11) 외면 쪽에 장착되는 각종 전자부품 간에 전기적 연결을 위해 별도의 전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 그리고 제1스프링(111)과 제2스프링(112)의 양단을 고정플레이트(11)와 이동플레이트(13) 내면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핀(125)을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금속재질로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 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키패드, 시트, 인쇄회로기판 및 스위치부를 나타낸 분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메탈돔스위치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메탈돔스위치에 스커트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메탈돔스위치에 형성된 통기부의 다양한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메탈돔스위치가 키패드, 고정시트, 피씨비에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구성에서 고정시트에 탑필름이 마련된 것을 나타낸 분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프레임을 이루는 이동 및 고정플레이트에 스프링모듈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스프링모듈의 분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여러 변형례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분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프레임 11 : 고정플레이트
13 : 이동플레이트
20 : 피씨비 21 : 내접점부
22 : 외접점부
30 : 메탈돔스위치
31 : 본체 32 : 중앙접촉부
32a : 융기부 32b : 딤플
33 : 외곽접촉부 34 : 리턴부
34a : 지지부 35 : 통기부
35a : 통기공 35b : 통기홈
36 : 스커트
40 : 고정시트 41 : 베이스필름
41a : 장착부 42 : 탑필름
50 : 키패드 51 : 키
100 : 스프링모듈 111 : 제1스프링
112 : 제2스프링 121 : 제1권취부
122 : 제2권취부 123 : 연결부재
123a : 평탄부 123b : 절곡부
123c : 고정부 123d : 고정홀
125 : 고정핀 127 : 와셔
H : 횡선 V : 종선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내외 접점부를 갖는 피씨비;
    상기 피씨비 상부에 배열된 본체와,
    상기 본체 중심부에 배열되고, 상기 피씨비의 내접점부에 접속되는 중앙접촉부와,
    상기 본체 양측부에 배열되고, 상기 피씨비의 외접점부에 접속되는 외곽접촉부와, 그리고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접촉부 주변에 배열된 복수의 통기부를 포함하는 메탈돔스위치(metal dome switch);
    상기 메탈돔스위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는 고정시트; 및
    상기 메탈돔스위치 상부에 배열된 키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돔스위치에서
    상기 각 통기부는 상호 대칭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부에 배열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제1 및 제2 스프링; 및
    상기 두 플레이트에 제1 및 제2 스프링의 양단을 결합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개폐 완료시 탄성이 소멸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시 탄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돔스위치에서
    상기 본체는 횡광종협(橫廣縱狹)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본체의 횡(橫)방향 양측부 또는 종(縱)방향 양측부, 또는 이들 모든 방향의 양측부를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도려낸 형태의 통기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KR1020090077792A 2009-02-16 2009-08-21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KR20100093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0198 WO2010093121A2 (ko) 2009-02-16 2010-01-13 슬라이딩 타입 모바일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16 2009-02-16
KR20090012616 2009-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456A true KR20100093456A (ko) 2010-08-25

Family

ID=413551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144A KR100914551B1 (ko) 2009-02-16 2009-02-20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KR1020090077792A KR20100093456A (ko) 2009-02-16 2009-08-21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144A KR100914551B1 (ko) 2009-02-16 2009-02-20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914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034B1 (ko) * 2009-10-12 2010-09-06 알앤디컴퍼니 주식회사 비변형 직선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힌지모듈과 휴대단말기
KR101001333B1 (ko) * 2009-10-26 2010-12-14 알앤디컴퍼니 주식회사 하나의 선재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병렬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힌지모듈과 휴대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884B1 (ko) * 2006-01-24 2007-09-03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80090699A (ko) * 2007-04-05 2008-10-09 (주)지에스아이 슬라이딩모듈에 설치되는 텐션장치
KR100884735B1 (ko) * 2007-10-11 2009-02-19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551B1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8502A (zh) 键输入设备及电子装置
JP3060240U (ja) 移動体通信機器の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キー
KR20060055582A (ko) 돔 접점 및 그것을 사용한 다단동작 전기 스위치
KR20150140388A (ko) 푸쉬 스위치 및 스위치 모듈
JPH08124453A (ja) キースイッチ
KR20100093456A (ko) 응답성능이 향상된 메탈돔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KR20090116416A (ko) 키패드용 메탈돔 스위치
EP2515315B1 (en) Movable contact member and switch device using movable contact member
KR20050031670A (ko) 키 스위칭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1387830Y (zh) 防静电按键结构以及便携式移动终端
CN216562868U (zh) 一种超薄键盘按键结构
JP2006012497A (ja) 高荷重キードームシート及び電子機器
CN206313860U (zh) 电子设备
KR100935627B1 (ko) 응답성 및 조립성이 향상된 메탈돔을 갖는 전자기기
EP1903590A1 (en) Push-Button Switch
CN213184071U (zh) 按键模块及键盘装置
EP1170765B1 (en) Structure of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0501402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N209785800U (zh) 能够减少弹片压迫感的按键结构及电子设备
CN103117183A (zh) 薄型按键开关
CN201319624Y (zh) 手机键盘
JP5160484B2 (ja) 高荷重スイッチ
KR101713861B1 (ko) 박형 키보드 커맨드 트리거 구조체
CN213546180U (zh) 一种开关
EP1361589A2 (en) Keyswitch device, keyboard with the keyswitch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